KR101892032B1 -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032B1
KR101892032B1 KR1020180059379A KR20180059379A KR101892032B1 KR 101892032 B1 KR101892032 B1 KR 101892032B1 KR 1020180059379 A KR1020180059379 A KR 1020180059379A KR 20180059379 A KR20180059379 A KR 20180059379A KR 101892032 B1 KR101892032 B1 KR 10189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lumn member
side plate
steel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삼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강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강건
Priority to KR102018005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8Profile filled with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기둥부재(100)에 철골보(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철골 구조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200) 양단과 상기 철골기둥부재(100)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0); 상기 철골보(200)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되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플레이트(40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전후단을 각각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41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을 관통하며 상기 철골보(200)의 각 양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빔브라켓거더(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보의 외측면을 감싸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단면 형상을 역마름모형상으로 구성하여, 접합부의 연성 증가에 의한 우수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한편 철골보의 강성 및 철골보 자체의 내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도, 제작의 용이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SRC 구조 및 SC구조도 적용 가능한 효과와, 철골보와 철골기둥부재간 결합에서 지진 등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진동시 발생하게 되는 굽힘응력, 허용응력 및 처짐 현상등을 완충, 완화할 수 있게 되어 용이한 내진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Combinable Structure between Beam and Column Members with Seismic Resistance}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서 보의 구조물에 내진성을 갖도록 하는 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SRC 또는 RC로 구성되는 보의 내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이전부터 철골구조는 변형 능력이 뛰어나 내진 성능이 우수한 구조로 알려져 있다. 특히 근래들어 국내외에서 자주 발생되고 있는 지진 및 그로 인한 인명과 재산상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진 발생에 의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결코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확신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정부에서 중요 시설물 및 건축물의 내진 보강 실시를 위한 기본조사 및 이를 통한 내진 보강이 시작되고 있으며, 철골 구조물의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 중의 하나로, 기존에 시공된 건축구조물에 내진보강을 위한 내진보강공법이 시행되고 있고 이와는 달리 건축물의 시공 초기부터 내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들이 개시되고 있음은 다행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철골구조물에서 보와 기둥간 접합부에 내진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1994년 미국의 노스리지 및 1995년 일본의 효고현 남부지진(고베지진) 당시 많은 강구조물의 용접 모멘트 접합부에 응력집중 현상으로 위한 취성 파괴가 발생되어 막대한 인명, 재산상 손실을 안겨준바 있으며 위 지진에서 노출된 용접 모멘트의 접합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접합부의 연성 증가를 위한 다양한 기술 및 공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 국내의 건축구조 설계기준인 KBC(Korea Building code)에서는 접합부 상세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통하여 종전의 반응수정계수를 6으로 하는 중간 및 보통 모멘트 골조에서 반응수정계수를 각각 8, 4.6, 3.5로 차별화하는 특수모멘트 골조, 중간모멘트 골조, 보통모멘트 골조로 개정하여 중간 및 보통 모멘트 골조에 대하여 일종의 패널티를 부가하는 개정안이 제시되었으며, 특수모멘트 골조는 역량 설계법에 의한 연성설계의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하지만, 우수한 연성능력으로 인한 반응수정계수값의 증가로 설계하중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제적인 골조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철골 기둥에 보를 용접하여 접합 할 경우에는 용접열의 영향에 의해 기둥과 보를 구성하는 소재의 기계적 특성이 변화하고 응력집중부위가 발생하는 등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많은 요소들이 산재한다.
또한, H 형강으로 된 철골 기둥과 철골 보를 접합하는 구조가 특수모멘트 골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층간변형율(Story drift ratio)≥4%의 내진성능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철골 접합구조로는 이러한 요구 성능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당업계에서는 상기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우수한 내진성능을 가지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철골 기둥 및 보의 접합구조에 대한 개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공개 10-2004-0106830(2004.12.18 공개) 특허공개 10-2010-0018877(2010.02.18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당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골 기둥과 철골 보의 용접 형태를 개선함과 동시에 철골 보의 외측면을 감싸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단면 형상을 역마름모형상으로 구성하여, 접합부의 연성 증가에 의한 우수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한편 철골 보의 강성 및 철골 보 자체의 내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도, 제작의 용이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접합구조 및 철골 보의 콘크리트 타설체의 결합에 의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구조는 SRC 구조체는 물론 SC 구조물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골기둥부재(100)에 철골보(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철골 구조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200) 양단과 상기 철골기둥부재(100)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0);
상기 철골보(200)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되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플레이트(40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전후단을 각각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41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을 관통하며 상기 철골보(200)의 각 양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빔브라켓거더(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보의 외측면을 감싸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단면 형상을 역마름모형상으로 구성하여, 접합부의 연성 증가에 의한 우수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한편 철골보의 강성 및 철골보 자체의 내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면서도, 제작의 용이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SRC 구조 및 SC구조도 적용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보와 철골기둥부재간 결합에서 지진 등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진동시 발생하게 되는 굽힘응력, 허용응력 및 처짐 현상등을 완충, 완화할 수 있게 되어 용이한 내진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SC 철골구조물에서의 철골기둥부재와 콘크리트가 타설된 철골보간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 2는 도 1에서 철골기둥부재와 철골보간의 결합상태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면
도 3은 도 1의 철골보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측면플레이트측으로 빔브라켓거더가 관통될 수 있도록 측면플레이트에 삽입관통공이 천공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의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괄적 정면도이며, 확대된 도면은 개괄적 단면도로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역마름모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되는 것으로, SRC 구조물에서의 철골기둥부재와 철골보간 결합된 상태의 개괄적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철골기둥부재와 철골보간을 분리 도시한 상태의 분리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하는 도면 중 도 1 내지 도 5는 SC(Structure colum)인 철골구조물에 의한 기둥과 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SC 구조 또는 SRC 구조에 의한 기둥 및 보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데, 앞서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SC 구조물에서의 기둥과 보간 연결 구조와 보의 구조를 각각 설명하고,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SRC 구조에서의 기둥과 보간 연결구조 및 보의 구조를 각각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도 1 내지 도 5의 SC 구조에 의한 기둥과 보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하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기둥을 철골기둥부재(100)로, 보를 철골보(200)로 명명하며 통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철골보(200)와 철골기둥부재(100) 및, 상기 철골보(200)와 철골기둥부재(100)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0)와, 상기 철골보(200)의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게 고정되는 측면플레이트(400)와, 철골보(200)의 양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빔브라켓거더(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골기둥부재(100)는 통상적인 H-빔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철골기둥부재(100)로부터 보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철골보(200)를 철골기둥부재(100)와 철골기둥부재(100) 사이에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철골보(200)의 경우에도 철골기둥부재(100)와 같이 H-빔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도 2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빔(310)의 일단부는 철골기둥부재(100)의 측면과 용접 고정하고, 연결빔(310)의 타측은 철골보(200)의 단부측과 연결플레이트(320)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3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연결빔(310)과 철골보(200)간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연결빔(310)의 단부측과 철골보(200) 단부측으로 각각 결합공(311,201)들을 천공하여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데, 철골보(200)와 연결빔(310) 상하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20)와, 철골보(200)의 양측면과 연결빔(310)의 양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2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연결플레이트(320)는 철골보(200)와 연결빔(310)간 접하는 상하면과, 철골보(200) 연결빔(310)의 양측면간을 덧대는 형태를 이루며, 연결플레이트(320)에 천공되어 있는 결합공(321)과 철골보(200) 및 연결빔(310)간 결합공(201,311)을 일치시켜 볼트 등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철골보(200)와 철골기둥부재(100)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플레이트(320)를 이용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철골보(200)의 양측단 보강을 위해 하단에 티(T)형강부재(220)를 철골기둥부재(100)와 접하며 고정 지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철골보(200)를 중심 기준점으로 하여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는 측면플레이트(400)와 그 측면플레이트의 전후단을 마감하게 되는 마감플레이트(410)를 이용하여 단면상 역마름모꼴 형태의 타설 공간 영역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즉 단면상 역마름모꼴 형태의 타설 공간 영역을 유효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철골보(200)의 상단 양외측면으로부터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부재(210)를 등간격 이격 되는 위치상으로 고정하게 된다.
즉, 여기서 철골보(200)의 상단 양외측면이라는 것은 도면상 보듯이 철골보(200)가 I-빔 형상(도 2의 도면상 보았을 때 I-빔 형태를 갖고 있어 명명하지만, H-빔을 이용하게 된다)을 갖게 되는데 상단측으로 수평한 상태를 이루며 평활한 상부측의 양단부측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간격유지부재(210)가 연결되고, 그 간격유지부재(210) 타단측으로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 내측면이 접하며 고정되어 그 측면플레이트(400)가 철골보(200)의 상단 외측으로부터 하단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러한 측면플레이트(400)의 경사 배치 고정에 의해 철골보(200)의 양측으로 결합된 각 측면플레이트(400)의 결합에서, 단면상 보았을 때 도 5에서와 같은 역마름모꼴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마름모꼴 형태를 갖는 이유는, 응력하중과 처짐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음은 물론, 같은 경간 및 하중 조건이 있을 때 통상적인 I-빔 형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표 1은 통상적인 형강(I-빔 또는 H-빔)으로만 되는 철골보에서의 발생응력 및 허용응력과 처짐 등의 시험값을 나타낸다.
<표 1> 통상적인 형강의 발생응력 및 허용응력, 처짐 등의 시험값
Figure 112018051232815-pat00001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골보(200)의 발생응력, 허용응력 및 처짐 등의 시험값은 다음의 표 2에서와 같다.
<표 2> 본 발명에 의한 철골보의 발생응력, 허용응력, 처짐 등의 시험값
Figure 112018051232815-pat00002
표 1에서 보듯이 일반 H 형강(I 형강)은 재하된 하중 하에서 압축응력에 대해서는 대체로 안전한 결과를 얻으나, 인장응력과 처짐에 대하여는 불안전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이 적용되었을 경우에는 응력과 처짐 모두 안전한 결과를 얻고 있다.
따라서 상기 표에 의한 시험에 의한 결과, 전술한 것과 같이 같은 경간 및 하중 조건일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H-형강(I-형강)의 크기를 크게 줄이면서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부재(210)와 철골보(200)의 상단 외측면 및 측면플레이트(400) 상단 내측간 고정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철골보(200)는 양측면 상단으로 간격유지부재(210)가 상단측에만 구성되므로 전술한 것과 같이, 측면플레이트(40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향 경사지며 배치 고정되고, 측면플레이트(400)의 전후단으로 각각 마감플레이트(410)를 구비하여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게 된다.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 타설체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5의 단면도에서 보듯이 철골보(200)를 이루는 I-빔(H-빔과 동일)에 스터드볼트(202)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을 관통하며 상기 철골보(200)의 각 양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빔브라켓거더(500)를 구비한다.
상기 빔브라켓거더(500)는 철골보(2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데크(DECK) 시공시 데크부재를 지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빔브라켓거더(5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철골보(200)의 양측면으로 각각 구비되는 측면플레이트(400)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빔브라켓거더(500)의 일단부는 철골보(200)의 외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부는 측면플레이트(400)를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브라켓거더(500)의 측면플레이트(400) 관통 돌출을 위해 측면플레이트(400) 상단측에는 빔브라켓거더(5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관통공(4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구조는 주로 SC(Structure colum)인 철골구조물을 적용하여 보와 기둥간의 결합에 의한 내진 구조를 설명한 것이나, 이와 달리 도 7에서와 같이 SRC (steel-reinforced concrete)인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보와 기둥간의 결합에 의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SRC 구조에서는 전술한 SC 구조에서의 연결부재(300)를 요구하지 않으며, 철골보(200)와 철골기둥부재(100)가 직접 맞닿는 상태에서 도면에서 보듯이, 연결플레이트(320)를 이용하여 철골보(200)의 양단측과 철골기둥부재(100)간을 연결하게 된다.
연결방식은, 연결플레이트(320)의 일측단과 철골기둥부재(100)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20) 양단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결합공(321)과, 철골보(200) 단부측의 결합공(201)간을 볼트 또는 핀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속하여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철골보(200)의 양측단 상단면과 철골기둥부재(100)간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평플레이트(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평플레이트(230)와 철골보(200) 하단측을 지지하는 티(T)형강부재(220)에 의해 철골보(200)를 위 아래에서 지지하게 되는데, 지진 발생시 철골보(200)에 제공될 수 있는 굽힘응력이나 비틀림응력 및 전단응력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될 수 있는 응력 및 하중을 용이하게 분포, 분산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경우, SRC 또는 SC 구조에 모두 적용 가능하게 되며 철골보와 철골기둥부재간 결합에서 지진 등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진동시 발생하게 되는 굽힘응력, 허용응력 및 처짐 현상등을 완충, 완화할 수 있게 되어 용이한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철골기둥부재 200; 철골보
201; 결합공 202; 스터드볼트
210; 간격유지부재 220; 티(T)형강부재
230; 평플레이트 300; 연결부재
310; 연결빔 311; 결합공
320; 연결플레이트 321; 결합공
400; 측면플레이트 410; 마감플레이트
420; 삽입관통공 500; 빔브라켓거더

Claims (8)

  1. 철골기둥부재(100)에 철골보(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철골 구조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200) 양단과 상기 철골기둥부재(100)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0);
    상기 철골보(200)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되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플레이트(40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전후단을 각각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41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을 관통하며 상기 철골보(200)의 각 양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빔브라켓거더(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2. 철골기둥부재(100)에 철골보(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철골 구조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200)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경사지되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플레이트(40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전후단을 각각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410);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을 관통하며 상기 철골보(200)의 각 양측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빔브라켓거더(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철골기둥부재(100)의 측면과 일단측이 용접 고정하되고 타측은 철골보(200)와 연결플레이트(320)를 이용하여 볼트 또는 핀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연결빔(31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와 그 측면플레이트의 전후단을 마감하게 되는 마감플레이트(410)와, 상기 철골보(200)의 상단 양외측면으로부터 수평상태로 연결되는 간격유지부재(210)를 등간격 이격 되는 위치상으로 고정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상단 내측면과 고정되고 상기 철골보(200)의 하단 양외측면으로 상기 측면플레이트(400)의 하단 내측면이 고정되어 단면상 역마름모꼴 형태의 타설 공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타설 공간 영역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400) 상단측에는 빔브라켓거더(5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관통공(42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200)의 양측단 보강을 위해 하단에 티(T)형강부재(220)를 철골기둥부재(100)와 접하며 고정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200)의 양측단 상단면과 철골기둥부재(100)간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평플레이트(230)를 고정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구조.
  8.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플레이트(320)의 일측단과 철골기둥부재(100)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20) 양단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결합공(321)과, 철골보(200) 단부측의 결합공(201)간을 볼트 또는 핀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속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구조.
KR1020180059379A 2018-05-25 2018-05-25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KR10189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79A KR101892032B1 (ko) 2018-05-25 2018-05-25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79A KR101892032B1 (ko) 2018-05-25 2018-05-25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032B1 true KR101892032B1 (ko) 2018-09-28

Family

ID=6372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79A KR101892032B1 (ko) 2018-05-25 2018-05-25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9617A (zh) * 2021-12-08 2022-01-25 亿厦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节能建筑装配式钢结构用抗震结构
CN114427270A (zh) * 2022-02-08 2022-05-03 湖南中富杭萧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结构建筑的抗震钢骨架及抗震墙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81B1 (ko) 2013-11-27 2014-04-30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약축 반강접 접합부를 활용한 철골구조물의 바닥골조 시공방법
KR101548608B1 (ko) 2014-04-07 2015-08-31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557380B1 (ko) 2014-08-01 2015-10-08 강도안 내진 보강 구조 및 내진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81B1 (ko) 2013-11-27 2014-04-30 (주)에스엠구조안전진단 약축 반강접 접합부를 활용한 철골구조물의 바닥골조 시공방법
KR101548608B1 (ko) 2014-04-07 2015-08-31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557380B1 (ko) 2014-08-01 2015-10-08 강도안 내진 보강 구조 및 내진 보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9617A (zh) * 2021-12-08 2022-01-25 亿厦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节能建筑装配式钢结构用抗震结构
CN114427270A (zh) * 2022-02-08 2022-05-03 湖南中富杭萧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结构建筑的抗震钢骨架及抗震墙体
CN114427270B (zh) * 2022-02-08 2023-07-07 湖南中富杭萧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结构建筑的抗震钢骨架及抗震墙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255B1 (ko) Pc 압착(壓着) 관절 공법에 의한 내진 설계법
US6012256A (en) Moment-resistant structure, sustainer and method of resisting episodic loads
US5271197A (en) Earthquake resistant multi-story building
US10934734B1 (en) Damped reinforced joint for beam-column connection
CN109113189B (zh) 一种腹板带耗能件的自复位圆钢管混凝土框架梁柱节点
JP3678709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CN211816916U (zh) 一种由铰接柱与弹性复位梁组合的免预应力韧性钢结构
KR101892032B1 (ko) 내진성을 갖는 보와 기둥부재간 결합 구조
JP4957295B2 (ja) 制震橋脚構造
JP4192225B2 (ja) せん断パネル型制震ストッパー
JP3755886B1 (ja) 橋梁における固定支承部の支承構造及び既設橋梁の耐震補強方法
KR102083066B1 (ko) 고감쇠 고무 및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복합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CN107859208B (zh) 一种自复位的高强混凝土剪力墙及其制作方法
Arzoumanidis et al. Performance‐based seismic analysis and design of suspension bridges
Astawa et al. Ductile Structure Framework of Earthquake Resistant of Highrise Building on Exterior Beam-Column Joint with the Partial Prestressed Concrete Beam-Column Reinforced Concrete
Zhao et al. Cyclic behavior of an innovative steel shear wall system
Paulay Seismic design in reinforced concrete: The state of the art in New Zealand
CN210887654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阻尼装置
JP5491070B2 (ja) 耐震補強部材及び耐震建築物
Arzoumanidis et al. The new Tacoma Narrows suspension bridge: critical issues in seismic analysis and design
KR20170023572A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JP2012117364A (ja) 制震橋脚構造
TW200840916A (en) Vibration-control and energy dissipation apparatus in form of secondary beams
CN211007060U (zh) 一种直接扩翼型节点型钢混凝土组合框架结构
JP7417213B2 (ja) 落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