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875B1 -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875B1
KR101891875B1 KR1020160014177A KR20160014177A KR101891875B1 KR 101891875 B1 KR101891875 B1 KR 101891875B1 KR 1020160014177 A KR1020160014177 A KR 1020160014177A KR 20160014177 A KR20160014177 A KR 20160014177A KR 101891875 B1 KR101891875 B1 KR 10189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e
payment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909A (ko
Inventor
김종각
박진수
한근석
신용재
김재연
권용태
Original Assignee
김종각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각, 박진수 filed Critical 김종각
Priority to KR102016001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8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7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 G06Q20/40975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using encryption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으로,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라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 상기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할 BLE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 상기 생성된 BLE 전송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하는 BLE 신호 전송 단계(S400);을 포함하여, 상기 BLE 전송 데이터는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상기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는 상기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생성하고,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Method for processing payment data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ssion and receiving payment data and system for processing payment data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의 보급에 따라, 모바일 신용카드/신용카드 기능, 포인트 카드 기능 등 다양한 결제와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 기능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에 소요되는 결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등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에는 NFC 기반의 결제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RFID 기술이 적용되어 초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사용자 단말과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장착된 NFC 리더를 통해 수신 처리하는 NFC 리더를 내장한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NFC 리더를 내장한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의 경우 리더에 접촉해야만 정보 교환이 이루어져 보안이 강화되는 측면이 있지만, 반대로 리더에 접촉해야만 하는 것은 사용성 측면에서는 약점이 되고 있다.
특히,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에 사용되는 카드 정보 등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결제 시스템에서 해당 결제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관련 데이터를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할 것이 요구되는 다양한 모바일 결제에 대응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갖는다.
한편,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반 기술은 위와 같은 거의 모든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모듈 내지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장점이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관련 데이터를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여 다양한 모바일 결제 방식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반 기술로 최근 비콘(Beacon) 기술을 포함한 저전력 블루투스 (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이 활용되어, BLE 기술을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도모되고 있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장착한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등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처리하는 새로운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결제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BLE 기술의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비콘(Beacon)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브로드캐스팅 프로세스(Broadcasting Process)로 인하여 기존처럼 페어링(Pairing)없이 간단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는 비콘(Beacon) 신호의 특성상 데이터의 보안이 확보되지 않으며, 비콘을 송출한 장치가 수신할 특정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거나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중요한 결제 데이터의 송신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검색, 검색응답, 연결요청 및 연결요청응답, 연결 및 데이터 통신으로 진행되는 일반 BLE 통신의 경우 비밀키(숫자로 이루어진 고유번호)를 공유하여 공유된 비밀키를 통해 양 단말 간의 통신채널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기본적으로는 암호화기술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커들의 스니핑 공격에 취약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데이터의 전송에 위와 같은 연결 및 데이터 통신과정 후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연결 및 재연결 등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의 반복적인 시도로 최초 데이터의 전송에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술한 바와 같은 최초 데이터의 전송에 지연의 문제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1 회적인 결제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후속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는, 예컨대 모바일 결제를 위한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결제 처리의 지연을 유발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과 결제 처리에 대한 신뢰성의 하락이 발생한다. 특히, 결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의 제한이 있는 경우 즉, 사용자 단말이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에 근접한 근거리에서만 결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경우에는, 연결 및 재연결 과정에서 한번 사용자 단말을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에 근접시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인식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다시 원래 위치로 가져오는 행동이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을 재차 근접시킬 것을 요청이 필요하므로, 상기 사용자의 불편함의 초래와 결제 처리에 대한 신뢰성의 하락과 더불어, 이러한 반복 행동과 데이터 전송으로 인하여, 결제 데이터 전송에 오류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BLE 기술의 비콘(Beacon) 및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및 데이터 통신으로 진행되는 일반 BLE 통신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BLE 통신은 모든 사용자 단말이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보급 및 확산이 용이하다는 큰 장점을 가짐에도,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 이외에 중요한 결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보안의 취약성의 문제 및 연결 및 재연결로 인한 지연의 문제와 데이터 오류 발생의 해결하여 중요한 데이터의 지연 없는 전송과 신속한 후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BLE 기술의 비콘(Beacon) 및 BLE 통신의 연결 및 재연결로 인한 지연의 문제를 해결하여, 결제 데이터의 전송에 지연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후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특정동작이 인식된 경우로 제한하여 데이터에 대한 송신을 수행하거나, 최소한의 암호화를 통해, 보안성이 강화시키면서도 결제 데이터의 전송에 지연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후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데이터 송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위 새로운 방식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데이터 송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보안성을 강화시키고 데이터 전송의 지연 및 데이터 오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으로,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라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 상기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할 BLE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 상기 생성된 BLE 전송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하는 BLE 신호 전송 단계(S400);을 포함하여, 상기 BLE 전송 데이터는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상기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는 상기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생성하고,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는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의 일부를 암호화하여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암호화되는 정보는 상기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장치 식별자 및 거래 일시 중 하나 이상으로, 오티피(OTP, One time password)방식으로 암호화된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상기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로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의 BLE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Protocol Data Unit)는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 )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전 설정된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BLE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이다.
아울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 단계(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은 스캔 요청(scan request) 또는 연결 요청(connect reques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사전 설정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를 사전 설정된 영역에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기능 활성화 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거래송신 및 결과수신 단계(S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BLE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BLE 전송 데이터가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사전 설정된 영역에 송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은 단축조절된 거리로 설정되어 상기 단축조절된 거리에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을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한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근조도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근조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전 설정된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생성된 정보의 BLE 신호를 송신하고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른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BLE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BLE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BLE 전송 데이터가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BLE 통신의 연결 이전의 에드버타이징 과정에서, 결제 데이터에 대한 BLE 전송 데이터를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BLE 통신의 연결 및 재연결로 인한 지연의 문제를 해결하여, 결제 데이터의 전송에 지연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후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결 및 재연결 과정에서 한번 사용자 단말을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에 근접시켜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인식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다시 원래 위치로 가져오는 행동에 의해 발생하는 결제 데이터 전송에 오류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보안성이 강화시키면서도 결제 데이터의 전송에 지연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후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데이터 송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에 대한 BLE 전송 데이터를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근조도 센서 제어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이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세부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을 이용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장치 예컨대,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등 결제와 관련된 정보에 관한 결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시스템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단말 또는 장치로서 구현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전송하여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생성된 정보의 BLE 신호를 송신하고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맹점의 사용자로부터 결제 관련 정보로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을 입력받거나 포인트 사용 및 정립액 등 포인트 관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가맹점 사용자의 정보의 입력에 따라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결제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의 결제에 대하여 결제사/금융사 시스템에 승인요청/결과 수신 등 물품구매에 따른 대금 결제의 완료를 위한 일련의 정보의 데이터 처리 과정인 결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는 "결제 데이터" 및 "결제 정보"가 포함되며, 이는 결제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정보나 데이터 또는 이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에는 각 장치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정보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결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물품구매에 따른 대금 결제의 완료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 예컨대 결제방법 및 결제금액과 포인트의 사용/적립 등의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 예컨대 포인트 사용/포인트 적립 정보, 쿠폰 정보 등이 결제 데이터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특히,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물품구매의 대금 결제의 완료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을 이용하거나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정의되어 설명되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서로 분리된 구성으로 예시되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기능적으로 통합되어,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단독으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을 기능을 포함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독립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소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에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Beacon 신호의 송출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능을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각각이 독립적으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능을 포함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적용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BT"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블루투스 통신의 약자로 사용되며, "BLE"는 Bluetooth Low Energy 규격의 블루투스 신호, 데이터, 또는 장치의 의미로 사용되며, "BT" 및 "블루투스(Bluetooth)" "BLE"는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혼용된다.
"BLE 신호"는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가 상기 블루투스 방식의 신호로 처리된 신호를 의미하여, "BLE 신호"에는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 즉, 결제 데이터가 포함된다.
"Beacon" 또는 "비콘"은 이동통신 분야에서 기지국 반경의 무선 단말에 주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Beacon 신호" 또는 비콘 신호는 "BT" 또는 "BLE" 기술에서 사용하는 발생 신호 또는 신호 발생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BLE 신호"는 상기 "Beacon 신호" 또는 비콘 신호 이외의 "BT" 또는 "BLE" 기술에서 사용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BLE 통신" 또는 "일반 BLE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기간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에서의 패킷 내지 데이터의 송수신과 대비하여, 기기 간 연결 상태(Connection State)에서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 상태나 방식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을 이용하거나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영역은 사용자 단말(300)이 수신 거리가 사전 설정된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감지영역과 결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송출되는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근접영역인 결제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근접영역인 결제영역의 설정을 위해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예컨대 도 1의 제1 BT모듈은 신호송출거리가 사전 결정된 근거리로 제한되어 설정된다.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와 사용자 단말(300)의 기본적 기능적 특징을 먼저 설명한다.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2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300)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300)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BLE 신호의 송수신 및 비콘 신호의 송출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명령에 따라 제어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2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본 실시예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되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2 개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모듈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은 후술하는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 즉 결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BLE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다른 하나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은 후술하는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영역인 결제영역의 설정을 위해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도 1의 제1 BT모듈(111a)는 신호송출거리가 사전 결정된 근거리로 제한되어 설정되며,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은 신호송출거리가 사전 결정된 거리 예컨대 매장 내부 영역을 커버하는 거리로 제한 설정된다.
결제 데이터의 송신에 있어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BLE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BLE 전송 데이터가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특징적인 방식으로 BLE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때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에 있어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에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전 설정된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 이상의 근조도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으로 설정되어 상기 근조도센서에 의하여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한하여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순하게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의 근접 여부만을 판단하여, 근접된 경우에 한하여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근조도센서 또는 단순한 조도센서로 구현이 가능하다.
여기서, 결제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소요되는 정보는 결제 관련 정보이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가맹점의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BLE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전송한 것이 사용된다.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로 포함된다.
BLE 신호의 송출은 현행 BLE 표준 예컨대 BLUETOOTH SPECIFICATION Version 4.2 에 따라,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에서 이루어지며,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에서는 링크 레이어(Link Layer)가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에서는 스캔 리퀘스트(Scan Request)에 대하여 스캔응답(Scan Response)으로 응답할 수 있다.
에드버타이징(Advertising)을 멈추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로 돌아갈 수 있고, 이니시에이트 상태(Initiate State)에 있던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Connect Request)을 받는 경우 연결 상태(Connect State)로 진입할 수도 있다.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는 다음의 타입 중 하나이다.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
-연결가능한 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Directed Event)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에서의 이벤트는 하기와 [표 1]과 같이 규정된다.
Advertising Event Type Related PDU Allowable response PDU
SCAN_REQ CONNECT_REQ
Connectable Undirected Event ADV_IND Yes Yes
Connectable Directed Event ADV_DIRECT_IND No Yes
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 ADV_NONCONN_IND No No
Scannable Undirected Event ADV_SCAN_IND Yes No
본 발명의 경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이 특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이벤트 중 연결가능한 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Directed Event)를 제외한,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 또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 중 선택된 하나의 이벤트로 BLE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는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또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 중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의 AdvData 필트에 기록된다.
각각은 하기와 같은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ADV_IND)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에게 스캐너(scanner) 또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스캔 요청(scan request)(SCAN_REQ)이나 연결 요청(Connect request)(CONNECT_REQ)을 응답하게 한다.
상기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일반적인 BLE 통신과는 달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300)은 연결 상태(Connection State)로 진입하지 않고,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한다.
한편,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2 실시예의 경우,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ADV_NONCONN_IND)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에게 응답을 요구하거나 수신하지 않으므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사전 설정된 횟수와 주기로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를 수행하여,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고,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본 제3 실시예의 경우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ADV_SCAN_IND)는 스케너인 사용자 단말에게 에드버타이저인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부터 추가가적인 정보를 얻도록 하기 위해 스캔 요청(SCAN_REQ)을 보내도록 한다.
따라서, ADV_SCAN_IND를 보낸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ADV_SCAN_IND를 보낸 에드버타이징 채널(advertising channel)에서 스캔 요청(SCAN_REQ)을 기다리며, 통상의 BLE 통신과는 달리 스캔 요청(SCAN_REQ)의 응답을 받으면 추가적인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에드버타이징에 대한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일반적인 BLE 통신과는 달리 연결 상태(Connection State)로 진입하지 않고,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차별화된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2 실시예의 경우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를 수행하여, 응답의 수신과 관련 없이 사전설정된 횟수와 주기로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고,사전설정된 시간이 종료하는 경우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차별화된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결제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 BLE 통신의 연결 및 재연결로 인한 지연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결제 데이터가 타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될 가능성을 낮춰 이로 인한 결제 데이터 처리의 오류를 방지한다.
상기 비콘 신호에는 매장 내 등 사전 설정된 신호감지영역 내 진입한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특정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송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거나, 특정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비콘 신호에는 매장 내 등 사전 설정된 영역 내 사용자에게 광고 또는 쿠폰 전송 등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에 전송하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명령에 따라 필요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 전송하여 상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생성된 정보의 BLE 신호를 송신하고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의 일부를 암호화하여 결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암호화되는 정보는 상기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장치 식별자 및 거래 일시 중 하나 이상으로, 오티피(OTP, One time password)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보안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통상의 BLE 통신 연결에 의하여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른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BLE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제어 명령을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함께 전송하여 이를 수신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이 제어 명령에 따라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 즉, 모튤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BLE 전송 데이터가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상술한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의 와이파이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에는 매장 내 등 사전 설정된 신호감지영역 내 진입한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특정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송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거나, 특정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에서 상기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의 수신 가능 영역이 서전 설정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영역은 도 1에서와 같이 신호감지영역으로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설치되는 매장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사전 설정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상기 사전 설정된 영역에 송출되는 사전 설정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로는 수신거리가 상술한 신호감지영역으로 조절된 상술한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 신호 모두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의 블루투스 기능 또는 와이파이 기능 중 하나가 온 된 상태이면 상기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어 송출되는 결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매장 내 설정된 신호감지영역에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가 동시에 송출되는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온 되어 있는 경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오프되어 있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모두 온 상태인 경우에는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와이파이 신호의 수신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온 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 활성화한 뒤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이 모두 온 상태로 두 신호를 모두를 수신한 경우 비콘 신호에 우선 순위를 두어 전술한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수신하도록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기능을 제어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BLE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을 송출하며, 수신된 BLE 신호에 포함된 결제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은 스캐너(scanner) 또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스캔 요청(scan request)(SCAN_REQ)이나 연결 요청(Connect request)(CONNECT_REQ)으로 응답하고, 수신된 BLE 신호에 포함된 결제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제3 실시예의 경우, 이를 수신한 사용 단말은 에드버타이저인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부터 추가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스캔 요청(SCAN_REQ)으로 응답하고, 수신된 BLE 신호에 포함된 결제 데이터를 추출한다.
한편,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2 실시예의 경우,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ADV_NONCONN_IND)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에게 응답을 요구하거나 수신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200)은 아무런 응답을 보내지 않고, 수신된 BLE 신호에 포함된 결제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에는 결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추출된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거나 처리하며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결제를 위한 비밀번호 등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요청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결제사로 카드사 또는 금융사 등의 서버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성 부분은 결제 처리부(310)으로 정의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성 부분은 BT 제어부(320)으로 정의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제 처리부(310) 및 BT 제어부(32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제 처리부(310)만이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고, BT 제어부(320)는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추출된 결제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중 소요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추출된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BT 제어부(320)는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사전 설정된 신호감지영역에 송출되는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감지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중 소요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만을 활성화시키고 결제 데이터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통합제어 방식의 BT 제어부(320)를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하여, 기존 복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활성화 및 필요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상시 운영체계의 Background 영역에서 블루투스 신호에 대한 스캔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300)의 전원관리를 위해 스캔(Scaning) 주기를 길게 조정하여 전원 소모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밖에 없고, 스캔 주기의 연장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정확도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에 대한 BLE 전송 데이터를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에 대한 BLE 전송 데이터를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은 현행 BLE 표준 예컨대 BLUETOOTH SPECIFICATION Version 4.2 에 따른 일반적인 애드버타이징 패킷으로, Preamble, Access Address, Packet payload 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으로 구성되고, 상기 순서로 전송된다.
Packet payload는 Header와 Advertising PDU(AdvA+AdvData)가 기록되는 Payload의 구조를 가지며, Advertising PDU의 AdvData 영역에 본 발명이 일실시예의 결제 데이터(10)가 기록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10)는 ① 결제구분, ②전문구분, ③전문버전, ④DEVICE ID, ⑤거래일시 / RANDOM NUM, ⑥승인요청금액 / 할부정보, ⑦포인트/쿠폰정보, ⑧ CRC의 구조를 가진다.
① 결제구분은 각 카드사를 식별하는 코드로 1byte의 데이터 영역이 할당된다. ② 전문구분은 승인/취소를 식별하는 코드로 1byte의 데이터 영역이 할당되며, ③ 전문버전에 1byte, ④ DEVICE ID에 4byte, ⑤거래일시 / RANDOM NUM에 8 byte ⑥ 승인요청금액 / 할부정보에 5byte, ⑦포인트/쿠폰정보에 6byte, ⑧ CRC에 1byte가 할당되어 총 29byte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되며, 이는 상기 결제 데이터가 기록될 각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의 AdvData 영역의 크기 가0~31 byte의 범위로 제한됨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의 크기를 AdvData 영역의 최대 크기 31byte 보다 작은 전체 크기 29 byte를 가지는 구조를 가진다. ④ DEVICE ID에 4byte, ⑤거래일시 / RANDOM NUM에 8 byte의 총 12byte의 데이터는 오티피(OTP, One time password) 방식으로 암호화된다.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2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부(110), 제어 어플리케이션 및 이와 연관된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데이터 통신 및 처리를 제어하는 MCU(120),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와의 통신을 위한 장치 본체 I/F(130), 각종 설정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근조도센서(112), MST Reader(113), NFC Reader(1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MST Reader(113) 및 NFC Reader(114)를 통해 상술한 특징적인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를 통한 송신 기능에 다양한 종래의 NFC 방식, MST방식 등을 통한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한 결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 경우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으로 개시되는 물품구매에 따른 대금 결제의 완료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의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구현된 경우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BLE 신호의 송신에 의한 결제 데이터의 처리 이외에도, 종래의 NFC 방식의 결제, MST방식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 결제 디바이스로 구현되며, 각 결제방식의 선택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판매자인 사용자의 결제방식의 선택 즉, BLE 결제, NFC 방식의 결제, MST방식의 결제의 선택에 따라, NFC 방식의 결제 또는 MST방식의 결제가 선택된 경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는 소요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제어명령를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 단말 (10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종래의 방식으로 소요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모듈을 활성화시켜, 사용자 단말 또는 신용카드 등으로부터 소요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메모리부(140) 또는 MCU(120)의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MCU(120)에 의하여 호출되어 실행되며,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제어하고 이들부터 수신되는 BLE 신호를 처리하는 Beacon/BLE 제어부, 하나 이상의 근조도센서을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근조도센서 제어부, MST Reader를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MST 제어부, NFC Reader를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NFC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제어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 111b), 하나 이상의 근조도센서(112), MST Reader(113), NFC Reader(114)의 모듈에 포함되어 데이터 송수신 단말 (100)의 MPU(110b)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용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구성일 수 있으며, MPU(110b)에 의하여 구동되는 독자적 운영 체제(미도시)(예를 들어,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를 포함하여,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는 사용자 단말(300)에 BLE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은 상술한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과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이 분리되고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이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결제 데이터 처리시, 소요되는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더라도,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은 비콘 신호의 송출을 상기 BLE 신호의 생성 및 송출 진행 여부와 관련 없이 지속적으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모듈 간의 신호간섭으로 인한 정보처리의 오류 내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은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의하여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 송출시 BLE 통신가능영역을 사전 설정된 근거리로 단축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의 통신가능영역이 상기 단축조절된 근거리로 설정되어 단축조절된 근거리 예컨대 20Cm 이내에서만 송출되는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가 상기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으로 개시되는 결제 요청시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의 통신가능영역을 사전 설정된 근거리인 결제영역으로 단축조절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제1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을 상기 단축조절된 거리로 설정하여 상기 단축 조절된 거리로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통신가능영역을 사전 설정되어 고정되어 소요되는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의 송출 전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결제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출이 사전 설정된 근거리인 결제영역으로 고정된 방식을 채택한다.
장치 본체 I/F(130)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로부터 상술한 소요되는 결제 관련 정보의 데이터 즉, BLE 전송 데이터 및 비콘 신호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와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Beacon/BLE 제어부는 이에 따라 필요한 설정을 변경한다.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 모듈로 근조도 센서(들)(112)을 통해 상기 단축조절된 거리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인식하거나 이와는 무관하게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이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로 전달하고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술한 BLE 신호의 송출을 포함한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예컨대 상기 단축조절된 근거리 인 20Cm보다 더 근접한 거리 예컨대 초 근접거리인 10Cm이내의 지점으로 진입하는 동작으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단축조절된 근거리보다 근접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진입하는 동작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근조도 센서(112)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의 거리와 시간, 방향, 및 속도 중 하나 이상을 연산하여, 실제 동작을 인식하여, 사전 설정된 동작인식의 범위 값, 동작 인식의 내용 값 등의 각 설정 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 처리하고, 인식된 결과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순하게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의 근접 여부만을 판단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이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 근접된 경우에 한하여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근조도센서 또는 단순한 조도센서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이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BLE 신호의 송출을 진행할 수도 있다.
초 근접거리 내로의 진입동작 또는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경우로 제한하여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본 발명의 상술한 BLE 신호의 송출을 포함한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확보하고 데이터 처리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Beacon/BLE 제어부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의 통신가능영역의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의 비콘 신호의 수신 가능영역을 사전 설정된 거리 예컨대 매장 내 범위로 설정하며, 결제 진행시 판매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 및 설정 값에 따라,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의 통신가능영역을 단축조절된 근거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신호의 수신 가능영역 및 BLE 신호의 송수신 가능영역이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의 설정 값은 Beacon/BLE 설정 제어부에 사전 설정 값 또는 수신된 값으로 저장되어 이를 식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설정변경될 수 있다.
Beacon/BLE 제어부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되는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 및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의 BLE 통신 기능 또는 비콘 신호 송출을 활성화하거나 BLE 통신 기능 또는 Beacon 신호 송출을 비활성화하여, 각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BLE 통신을 개시 또는 종료하거나 비콘 신호의 발송을 개시 또는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은 판매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에 따라 결제데이터의 처리가 개시되는 경우에 ON 하여 에드버타이징에 의하여 결제 데이터를 송출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은 ON 되어 활성화된 상태로 제어 명령에 따라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결제 진행 시 즉, 판매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에 따라 결제데이터의 처리가 개시되면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을 ON 하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를 OFF하여 비콘 신호 특히, 결제 관련 APP을 활성화 시키는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결제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면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111a)을 OFF 하고,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111b)를 ON하여 비콘 신호의 송출을 재개하는 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근조도 센서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근조도센서(112)을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근조도센서 제어부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근조도 센서의 동작인식의 범위 값, 동작 인식의 내용 값을 설정 또는 설정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근조도 센서 제어부는 판매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에 따라 근조도 센서의 동작인식기능을 활성화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근조도 센서를 활성화하여 동작인식을 개시하고,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동작인식이 완료되는 경우 등에 따른 명령에 의하여 근조도 센서를 활성화하여 동작인식을 종료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동작인식의 범위 값, 동작 인식의 내용 값에 따라 근조도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사전 설정된 결제영역 내 예컨대 20Cm 이내 에서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이 초 근접 거리 예컨대 10Cm 이내로의 진입동작이거나 결제영역 내에서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순하게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의 근접 여부만을 판단하여, 근접된 경우에 한하여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의 근조도센서 또는 단순한 조도센서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근조도 센서 제어부의 구성도로,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근조도 센서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근조도 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 내지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움직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 상기 움직임의 방향, 시간, 또는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산출부와 이들에서 산출된 움직임, 거리, 방향, 시간, 속도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연산하여 결제영역 내에서의 동작이 사전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초 근접 거리 내로의 진입여부만을 판단하는 경우 설정 영역 즉 동작인식 범위 값인 거리에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가 진입한 정보만으로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움직임 감지부만으로 위 동작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MST 제어부는 MST Reader(113)을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NFC 제어부 NFC Reader를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NFC 제어부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NFC 모듈을 활성화하여 본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또는 포인트 데이터 처리 장치(미도시)에서 포인트 데이터 처리나 출입 통제장치의 인증 데이터 처리 장치(미도시)에서 포인트 데이터 처리 시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으로 개시되는 물품구매에 따른 대금 결제의 완료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의 결제 정보의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로 구현된 경우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POS 시스템의 형태로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 내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수증 등의 출력을 위한 인쇄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통신 I/F를 통해 연결되어, 판매자가 입력한 결제금액 및 방법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기본적인 결제 디바이스의 결제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과 결제 요청으로 개시되는 본 발명의 결제 데이터의 BLE 전송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 중 하나를 활성화하여 제어하는 명령을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2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독립적인 제어하여,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으로 개시되는 결제처리시에만 상기 2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모듈 중 결제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여 제어하는 명령을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결제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결제 APP을 활성화하는 비콘 신호 또는 사전 설정된 영역 내 사용자에게 광고 또는 쿠폰 전송의 기능을 수행하는 비콘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모듈은 상시적으로 활성화되어 주기적으로 사전 설정된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거나, 사전 설정된 영역 내 사용자에게 광고 또는 쿠폰 전송의 기능을 수행하는 비콘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나 상기 결제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결제 APP을 활성화하는 비콘 신호는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으로 개시되는 결제처리시에만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 내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수증 등의 출력을 위한 인쇄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통신 I/F를 통해 연결되어, 판매자가 입력한 결제금액 및 방법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기본적인 결제 디바이스의 결제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제 전용장치뿐만 아니라 기존의 결제장치 즉, 범용 컴퓨터나 POS 시스템의 형태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결제데이터 처리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 결제정보만을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에서의 추가적인 인증절차에 따라 해당 결제정보를 결제사/금융사 시스템에 승인요청하여 승인되는 경우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 경우 상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100)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결제데이터를 BLE 신호로 송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상기 가맹점의 사용자의 결제금액 및 결제방법의 입력으로 개시되는 결제처리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을 사전 설정된 근거리로 단축조절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120)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12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을 상기 단축조절된 근거리로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결제데이터를 BLE 신호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을 사전 설정되어 고정되어 결제데이터의 BLE 신호로 송수신 전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상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단축조절된 근거리에서 상기 동작을 인식하는 센서 모듈 예컨대 하나 이상의 근조도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이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로 전달하고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사전 설정된 동작과 일치하는 경우 결제데이터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이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세부 흐름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으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라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 상기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할 BLE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 상기 생성된 BLE 전송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하는 BLE 신호 전송 단계(S400)을 포함하여 수행되며, 앞서 살핀 바와 같은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 및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에 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BLE 전송 데이터는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상기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는 상기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생성하고,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는 사전 설정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를 사전 설정된 영역에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기능 활성화 단계(S100)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로 상기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에는 매장 내 등 사전 설정된 신호감지영역 내 진입한 사용자 단말이 수신 가능하도록 그 송출범위가 사전 제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특정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송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거나, 특정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게 된다.
또한,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 단계(S500)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은 스캐너(scanner) 또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스캔 요청(scan request)(SCAN_REQ)이나 연결 요청(Connect request)(CONNECT_REQ)으로 응답하고,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제3 실시예의 경우, 이를 수신한 사용 단말은 에드버타이저인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스캔 요청(SCAN_REQ)으로 응답하므로, 이에 따라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 단계(S50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2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아무런 응답을 보내지 않으므로, 사전 결정된 주기와 시간 동안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고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 단계(S5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가맹점의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으며, 이때 별도의 결제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정보 중 포인트의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포인트 적립 정보는 결제 정보의 입력에 따라 사전 설정된 방법으로 자동으로 계산되어 결제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는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의 일부를 암호화하여 결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보안성과 함께 효율성이 고려되어, 상기 암호화되는 정보는 상기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장치 식별자 및 거래 일시 중 하나 이상으로, 오티피(OTP, One time password) 방식으로 암호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가 생성되며 도 2a의 결제 데이터의 경우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장치 식별자(Device ID)와 거래 일시와 랜덤번호를 암호화한 경우이다.
또한, 상기 결제 데이터가 기록될 각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의 AdvData 영역의 크기 (0~31 byte)가 고려되어 본 실시예이 결제 데이터의 크기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의 AdvData 영역의 크기 보다 작은 전체 크기 (29 byte)를 가지는 구조로 생성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의 일부가 암호화되어 생성된 결제 데이터 전체는 공지의 암호화 알고리듬을 통해 재차 암호화되어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BLE 통신이 단순히 비밀키(숫자로 이루어진 고유번호)를 공유하여 공유된 비밀키를 통해 양 단말 간의 통신채널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기본적으로는 암호화기술이 적용되지 않아 스니핑 공격 등 보안에 취약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는 상기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에서 사전 설정된 에드버타이징 상태(Advertising State)와 연관된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에 적합한 형태로 생성한다.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은 도 2a와 같은 일반적인 현행 BLE 표준 예컨대 BLUETOOTH SPECIFICATION Version 4.2의 에드버타이징 패킷의 구조를 가지며, 각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의 AdvData 영역에 결제 데이터가 기록된다.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상기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로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의 BLE 신호를 송출한다.
상술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설정되어,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로 상기 BLE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ADV_IND)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에게 스캐너(scanner) 또는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스캔 요청(scan request)(SCAN_REQ)이나 연결 요청(Connect request)(CONNECT_REQ)을 응답하게 하므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BLE 신호를 송출 후 사용자 단말(300)로 부터의 응답을 대기하고 일정시간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의 BLE 신호의 송출을 사전 설정된 횟수와 주기로 반복하거나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를 종료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에드버타이징에 대한 응답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일반적인 BLE 통신과는 달리 연결 상태(Connection State)로 진입하지 않고,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제2 실시예의 경우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를 수행하여, 응답의 수신과 관련 없이 사전설정된 횟수와 주기로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고,사전설정된 시간이 종료하는 경우 에드버타이징 이벤트 및 BLE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차별화된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결제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 BLE 통신의 연결 및 재연결로 인한 지연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결제 데이터가 타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될 가능성을 낮춰 이로 인한 결제 데이터 처리의 오류를 방지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설정하여,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ADV_NONCONN_IND)는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에게 응답을 요구하거나 수신하지 않으므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사전 설정된 주기와 시간 동안 즉, 사전 결정된 횟수와 주기로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고,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를 종료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설정되어,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ADV_SCAN_IND)는 스케너인 사용자 단말에게 에드버타이저인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로부터 추가가적인 정보를 얻도록 하기 위해 스캔 요청(SCAN_REQ)을 보내도록 하므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BLE 신호를 송출 후 사용자 단말(300)로 부터의 응답을 대기하고 일정시간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의 BLE 신호의 송출을 사전 결정된 주기와 회수로 반복하거나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를 종료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전 설정된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BLE 신호를 송출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 즉, 초근접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으로 구현된다.
상기 동작의 인식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의 근조도 센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근조도 센서의 동작인식 기능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거래송신 및 결과수신 단계(S600)을 더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서버는 결제사 서버로 금융사 서버 또는 카드사 서버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서버로 송신된 거래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추출된 결제 데이터와 입력된 모바일 결제를 위한 비밀번호 등 사용자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결제사 서버로 전송한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요청의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결과는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여부로 결제사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순히 해당 매장의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어 거래 내역을 관리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세부 흐름은 도 5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과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과 사용자 단말(300)로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성 부분은 결제 처리부(310)로 정의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성 부분은 BT 제어부(320)로 정의되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제 처리부(310) 및 BT 제어부(32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고, 결제 처리부(310)만이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고, BT 제어부(320)는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추출된 결제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중 소요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추출된 결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BT 제어부(320)는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사전 설정된 신호감지영역에 송출되는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감지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중 소요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만을 활성화시키고 결제 데이터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통합제어 방식의 BT 제어부(320)를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한 경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콘 신호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의 제2 블루투스 모듈(111b)에 의해 송출되고, 와이파이 신호는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와이파이 모듈(미도시)에서 송출되는 구성으로 상술한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가 매장 내 등 사전 설정된 신호감지영역 내 송출(S100)되고, 상기 신호감지영역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 내지 이에 탑재된 BT 제어부(320)가 상기 특정 기능의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캐닝(Scaning)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BT On/Scaning 과정(S110)을 수행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가맹점의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고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와 상기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할 BLE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를 수행한다.
이어,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 제1 블루투스 통신 모듈(111a)과 근조도 센서(112)를 활성화하는 제어 명령(BT On/근조도 센서 On)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은 제1 블루투스 통신 모듈(111a)을 활성화하고, 근조도 센서(112)를 활성화하여 동작인식을 개시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결제영역으로의 접근 또는 사전 설정된 초 근접영역으로의 접근을 인식하면 생성된 BLE 전송 데이터인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에드버타이징 방식으로 BLE 신호로 전송하는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를 수행하여,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사전 설정된 결제영역에 송출한다,
BT 제어부(320)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수신하고,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을 전송하고(S410), 수신된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에서 결제 데이터를 추출하여 식별된 결제 어플리케이션인 결제 처리부(310)를 활성화하는 명령을 결제 처리부(310)에 전송하고, 추출된 결제 데이터를 활성화된 결제 처리부(310)에 전송한다(S430).
상기 결제 데이터를 수신한 결제 처리부(310)는 이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거나 처리하며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결제를 위한 비밀번호 등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거래에 대한 승인요청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S440)하여, 해당 결제사로 카드사 또는 금융사 등의 서버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S610)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에서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1 실시예 또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제3 실시예가 적용된 경우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100)이 상기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면 에드버타이징에 의한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고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 단계(S500)를 수행한다.
한편,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로 BLE 신호가 송출되는 제2 실시예의 경우 사전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에드버타이징에 의한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고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할 수 있다.
이어,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200)는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거래송신 및 결과수신 단계(S600)를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또는 단계의 특별한 조합들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 및 단계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200 :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
300 : 사용자 단말

Claims (21)

  1.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라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
    상기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할 BLE 전송 데이터로 생성하는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
    상기 생성된 BLE 전송 데이터를 BLE 신호로 전송하는 BLE 신호 전송 단계(S400);을 포함하여,
    상기 BLE 전송 데이터는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상기 BLE 전송 데이터 생성 단계(S300)는 상기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여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생성하고,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며,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BLE 종료 단계(S50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는 사용자로부터 물품구매에 따른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와 포인트의 사용 및 적립 처리에 소요되는 정보인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결제 데이터 생성단계(S200)는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의 일부를 암호화하여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되는 정보는 상기 결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장치 식별자 및 거래 일시 중 하나 이상으로, 오티피(OTP, One time password) 방식으로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상기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로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Connect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연결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Scann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스캔가능한 무지향성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Non-connectable Undirected Event)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연결가능하지 않은 무지향성 에드버타이징 이벤트로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LE 신호 전송 단계(S4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전 설정된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은 스캔 요청(scan request) 또는 연결 요청(connect reque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13. 제2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사전 설정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를 사전 설정된 영역에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기능 활성화 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는 블루투스 비콘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1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결제 정보 및 포인트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그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거래송신 및 결과수신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신방법.
  16.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생성된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BLE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BLE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BLE 전송 데이터가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17. 제16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사전 설정된 영역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통신가능영역은 단축조절된 거리로 설정되어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상기 단축조절된 거리로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을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19. 제1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근조도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근조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의 사전 설정된 동작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BLE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동작은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21.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의 BLE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생성된 정보의 BLE 신호를 송신하고 소요되는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를 포함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에 따른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BLE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데이터 처리 장치 본체로부터 BLE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BLE 전송 데이터가 BLE 통신의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로 포함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에드버타이징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포함하는 에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BLE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BLE 신호의 전송을 종료하거나 BLE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0160014177A 2016-02-04 2016-02-04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89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77A KR101891875B1 (ko) 2016-02-04 2016-02-04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77A KR101891875B1 (ko) 2016-02-04 2016-02-04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09A KR20170092909A (ko) 2017-08-14
KR101891875B1 true KR101891875B1 (ko) 2018-08-24

Family

ID=6014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77A KR101891875B1 (ko) 2016-02-04 2016-02-04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41B1 (ko) * 2020-12-31 2022-01-14 주식회사 비코닉스 저전력 블루투스 그물망 네트워크 기반 결제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52A1 (ko) * 2017-04-26 2018-11-01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330466B1 (ko) * 2019-11-06 2021-11-24 (주)에이텍티앤 고정밀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 암호화를 이용한 차량 탑승 관리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118B1 (ko) * 2015-05-22 2015-12-21 이제원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118B1 (ko) * 2015-05-22 2015-12-21 이제원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41B1 (ko) * 2020-12-31 2022-01-14 주식회사 비코닉스 저전력 블루투스 그물망 네트워크 기반 결제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09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26845A1 (en) Method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transactions between an hybrid wireless terminal and a service terminal over an interface for short-range wireless access and corresponding service terminal
US20190087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using beacon
CN105844468A (zh) 一种移动终端超低功耗和高安全性的通信方法
KR101027651B1 (ko) 개인 영역 네트워크
KR101891875B1 (ko)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JP7223753B2 (ja) 支払処理
US11445337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pplying an intermediate
EP2725736B1 (en) Methods and terminals for secur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US20220180353A1 (en) Location-based control of a function
CN207352619U (zh) 一种卡key接入计算机的系统和一种卡key
KR20170134884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JP666705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93197A (ko)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WO2016030893A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an auxiliary device to emulate a smart-card
KR20150101016A (ko) 엔에프씨 기반 종단 간 상호 인증을 이용한 거래수단 제어 방법
KR101542653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시간 검증 기반 오티피 생성 방법
KR20160093194A (ko)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KR101498793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 방법
KR101445001B1 (ko) Nfc를 이용한 종단간 보안 결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7019A (ko) 엔에프씨 기반 종단 간 상호 인증을 이용한 인증서 제어 방법
KR20170034973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KR101491425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 방법
KR20150101015A (ko) 엔에프씨 기반 카드 인증을 이용한 거래수단 제어 방법
JP2016096452A (ja) 移動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70134852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