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118B1 -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118B1
KR101579118B1 KR1020150072114A KR20150072114A KR101579118B1 KR 101579118 B1 KR101579118 B1 KR 101579118B1 KR 1020150072114 A KR1020150072114 A KR 1020150072114A KR 20150072114 A KR20150072114 A KR 20150072114A KR 101579118 B1 KR101579118 B1 KR 10157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data
bluetooth
signal
bluetoo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원
장정태
Original Assignee
이제원
장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원, 장정태 filed Critical 이제원
Priority to KR102015007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제1블루투스모듈; 제2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며, 이동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블루투스모듈;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 및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상기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는 결제기능 승인데이터를 포함하여 결제유효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에 비해 신호도달거리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은 기존의 판매점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간단하게 소형으로 제작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를 연결하여, 고객이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PAYMENT INFORMATION SEND/RECEIVE DEVICE BY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FOR PAYMENT BT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이동단말기에 의한 결제 수행 기반을 형성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결제수단들이 등장하고 있다. 여러 장의 카드정보를 한 장의 카드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멀티카드가 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 내에 기존의 카드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앱카드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에 활용하는 방식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은 기존의 클래식 블루투스와 패킷의 구성 방식을 달리하고, 연결 절차의 간소화로 보다 빠르게 통신이 가능해진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말한다. 상기 BLE는 간단한 센서들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보다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프로토콜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물품에 손쉽게 응용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BLE(블루투스 4. 0)는 장치가 대략 5m~70m내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전력이어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여 블루투스를 항상 켤 수 있다.
최근에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 및 이동단말기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등장한 결제방식들은 기존의 판매점단말기(Point of Sale; POS)를 교체하거나 추가적인 고가의 장치를 결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새로운 결제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판매점단말기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판매점단말기 내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수정 또는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결제방식(예를 들어, NFC결제 방식)에 필요한 고가의 추가 장치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블루투스와 같은 이격된 거리에서 결제가 가능한 방식의 경우, 결제를 진행하는 고객을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정한 판매점단말기에 대해 결제를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판매점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 수행 시에 블루투스 신호의 도달거리에 의한 오류를 줄이며, 사용자에게 간편한 결제 환경을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제1블루투스모듈; 제2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며, 이동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블루투스모듈;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 및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상기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는 결제기능 승인데이터를 포함하여 결제유효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에 비해 신호도달거리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며, 이동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일블루투스모듈;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상기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데이터 및 결제유효거리 조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유효거리 조건은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제1블루투스모듈; 이동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블루투스모듈;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상기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데이터, 결제유효거리 조건에 상응하는 데이터, 및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의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유효거리 조건은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이며, 상기 식별데이터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연결할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을 식별하기 위해 수신하는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단일블루투스모듈 또는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이 복수의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복수의 상기 결제요청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결제상대방이 송신하는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점단말기연결부는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설정정보는 매장정보, 신호세기, 상기 결제유효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은,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를 생성하는 단계; 결제기능승인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결제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유효거리는 특정한 신호세기를 가지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의 최대도달거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은,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통해 결제유효거리를 인식하고, 상기 이동단말기가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면 결제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 및 결제유효거리데이터를 포함하여 발신되는 신호이며, 상기 결제유효거리는 상기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에 상응하는 거리이다.
또한,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는,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한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상기 판매점단말기와 연결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와의 연결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는,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식별하여 결제 수행할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상기 판매점단말기의 매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보조도구 생성단계는, 상기 매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매장에 부합하는 결제수단을 선별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결제보조도구 조작 시, 상기 선별된 결제수단의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보조도구 생성 후 특정시간 경과,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수신범위 이탈, 다른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결제보조도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는 상기 복수의 판매점단말기에 선택요청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매점단말기로부터 선택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 또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데이터의 수신시점 또는 각각의 상기 판매점단말기에서의 상기 선택데이터 전송시점의 선후를 판단하여 특정한 판매점단말기를 결제상대방으로 결정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데이터 전송단계는, 외부서버에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제1데이터는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는 상기 외부서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제2데이터로 분할된 후, 상기 판매점단말기에 의해 결합되어 복호화가 수행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수행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결제수행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기존 판매점단말기를 사용하는 각 매장은 판매점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간단하게 소형으로 제작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를 연결하여, 고객이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은 내부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를 물리적으로 긁는 방식(즉, 카드의 스와이핑)과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어서, 판매점단말기 내의 프로그램 또한 변경 또는 수정하지 않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블루투스신호에 의해 결제기능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영역 내에 이동단말기가 진입하는 경우에만 결제진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결제를 진행하는 고객을 점원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고객에게 물품이 인도되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블루투스신호를 통해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결제보조도구(예를 들어, 팝업 알림창 또는 팝업 퀵메뉴 등)를 제공할 수 있어, 결제수단(예를 들어, 특정매장용 포인트카드)을 직접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진입한 매장에 부합하는 결제수단만을 식별하여 제공할 수 있어, 결제수단별 혜택을 기억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결제보조도구를 제공하는 영역을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미리 결제수단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결제 준비를 할 수 있어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섯째, 복수의 판매점단말기에 대해 중복 결제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신호세기를 통해 인접한 고객을 인식할 수 있어, 고객의 대기순서에 맞지 않게 결제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루투스모듈 및 제2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루투스신호 및 제2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블루투스신호에 의해 결제보조도구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판매점단말기(Point of Sale; POS)는 판매점에서 결제 또는 포인트 적립을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에 해당한다. 판매점단말기는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형 판매점단말기 형태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된 이동형 판매점단말기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이동단말기(Mobile Device)가 판매점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단말기도 판매점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즉, 이동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는 자체적으로는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으나 무선통신 칩을 포함한 메모리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는 판매점단말기와 수행되는 전반적인 작업을 포괄한다. 즉, 결제는 물품대금 지불을 위한 작업(예를 들어, 현금카드, 체크카드, 신용카드, 기프트카드등에 의한 대금 결제 작업), 포인트카드 내 포인트 적립을 위한 작업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즉, 결제수단은 물품 대금 지급을 위한 체크카드, 신용카드, 쿠폰, 상품권, 기프트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포인트 적립을 위한 다양한 포인트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데이터는 상기 결제수단에 관한 데이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결제데이터는 카드번호 또는 카드번호를 암호화한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보조도구는, 결제 수행을 위해 이동단말기의 화면 상에 특정한 시기에 팝업되어 표시되는 알림창 또는 아이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결제보조도구는 특정한 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면 이동단말기의 화면상에 팝업되어 사용자가 결제 수행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결제보조도구가 팝업되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에 부합하는 이미지 또는 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매장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포함하여 이동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루투스모듈 및 제2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루투스신호 및 제2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블루투스신호에 의해 결제보조도구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 이동단말기(20); 결제보조도구(21); 판매점단말기(30); 제1블루투스모듈(100); 제2블루투스모듈(200); 제어부(300);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 및 단일블루투스모듈(500)가 도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루투스모듈 및 제2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는, 제1블루투스모듈(100); 제2블루투스모듈(200); 제어부(300); 및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제1블루투스모듈(100)은 제1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21)의 상기 이동단말기(20)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블루투스신호에 해당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는 제1블루투스모듈(100)을 통해 결제보조도구(21)의 화면 내 생성요청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하고, 제1블루투스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진입한 이동단말기(20)는 결제보조도구(21)를 화면상에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블루투스모듈(100)에 의해 결제보조도구(21)가 활성된 이동단말기(20)의 사용자는 이동단말기(20)를 이용하여 미리 주문정보를 생성하거나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블루투스신호는 매장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기(20)가 제1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한 매장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한 결제수단정보, 구입 가능한 물품정보 등을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제 진행 전에 주문정보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결제수단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어 결제 진행을 위한 준비가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제1블루투스신호는 광고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가 제1블루투스신호 내에 광고데이터를 포함하여 송신하여, 이동단말기(20)가 팝업되는 결제보조도구(21)와 함께 광고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마케팅이 아닌 실제 결제를 수행할 후보군에만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블루투스모듈(200)은 제2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블루투스신호는 결제유효거리를 설정하는 블루투스신호에 해당한다. 결제유효거리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가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신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승인되는 최대거리에 해당한다. 즉, 이동단말기(20)는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형성된 결제유효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범위 내에 진입하여야 결제 수행이 가능하도록 승인될 수 있다. 제2블루투스신호는 결제유효거리로 설정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도달 가능한 특정한 신호 세기를 포함하며, 결제기능 승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결제 기능은 결제유효거리까지만 도달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은 제1블루투스신호를 획득하면 결제보조도구(21)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결제를 위한 이전동작(예를 들어, 구입할 물품 선택 또는 결제 진행할 결제수단 선택)은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블루투스신호 내의 결제기능승인데이터가 수신되기 전에는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블루투스신호의 발신 신호세기가 제1블루투스신호의 발신 신호세기에 비해 작아서 신호도달거리가 짧으면, 제1블루투스신호의 수신 후 제2블루투스신호가 수신되기 전의 영역에서는 결제수행은 수행할 수 없이 결제를 위한 이전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블루투스 신호의 송수신거리가 긴 특징에 의해 결제상대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제2블루투스모듈(200)이 결제유효거리를 설정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2블루투스신호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결제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것으로 승인하는 데이터를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제2블루투스모듈(200)은 이동단말기(20)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이 승인된 경우, 제2블루투스모듈(200)은 이동단말기(20)로부터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요청신호는 제2블루투스모듈(200)에 부합하는 형식으로 생성되거나 제2블루투스모듈(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어 전송되므로 제2블루투스모듈(200)이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00)는 제1블루투스신호 및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설정정보에 상응하는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제2블루투스신호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제2블루투스신호의 조건에 부합하는 신호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가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제2블루투스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거리에 부합하는 신호세기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1블루투스모듈(100) 또는 제2블루투스모듈(200)에 특정한 세기의 신호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매장에 부합하는 제1블루투스신호 도달영역 또는 제2블루투스신호 도달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이동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30)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은 결제데이터를 기존의 카드 긁는 방식과 동일한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할 수 있다. 마그네틱카드를 판매점단말기에 물리적으로 긁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와 동일하게 생성하여 후술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를 통해 판매점단말기(30)로 제공하여, 기존의 판매점단말기(30) 내에 구비된 HID (Human Interface Device)방식 또는 CDC (Communicaions Device Class)방식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매장은 판매점단말기 내의 프로그램을 변경 또는 수정하지 않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복수의 이동단말기(20)로부터 복수의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 진행할 결제요청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수신되는 복수의 결제요청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결제요청신호를 결제상대방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단말기(20)가 동일한 세기의 결제요청신호를 발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블루투스모듈(200)이 수신하는 결제요청신호의 세기가 강할수록 가까이에 위치한 이동단말기(20)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최대 신호 세기를 갖는 결제요청신호를 판매점단말기(30)에 가장 인접한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에서 발신한 신호로 인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이동단말기(20) 사용자가 결제를 대기하고 있는 경우, 차례대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어 후순위 대기자가 먼저 결제하게 되는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에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의 USB포트, 시리얼 포트 등의 외부연결포트와 연결되는 외부연결단자가 해당될 수 있고, 기존의 판매점단말기(30) 내부에 직접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매장정보, 신호세기, 결제유효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설정정보에 부합하는 제1블루투스신호 또는 제2블루투스신호의 생성을 제1블루투스모듈(100) 및 제2블루투스모듈(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제1블루투스모듈(100), 제2블루투스모듈(200), 제어부(300)에 제공할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제1블루투스모듈(100); 제2블루투스모듈(200); 제어부(300); 및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이하, 기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블루투스모듈(100)은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 결제유효거리데이터, 및 제2블루투스모듈(200)의 식별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즉, 이동단말기(20)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진입하면,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된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를 인식하여 결제보조도구(21)를 화면상에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결제유효거리데이터는 결제유효거리 조건에 상응하는 데이터이다. 상기 결제유효거리 조건은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를 의미한다. 즉, 단일블루투스신호는 이동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조건(예를 들어, 특정한 신호세기 이상인 조건)을 포함하고, 이동단말기(20)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세기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신호세기 조건을 만족하면 결제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2블루투스모듈(200)의 식별데이터는, 이동단말기가 연결할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을 식별하기 위해 수신하는 데이터이다. 즉, 결제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이동단말기(20)는 후술하는 제2블루투스모듈(200)로 결제요청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특정한 제2블루투스모듈(200)을 식별할 데이터를 단일블루투스신호를 통해 수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일블루투스신호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한 제1블루투스모듈(100)과 동일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에 포함된 제2블루투스모듈(200)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블루투스신호는 매장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기(20)가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한 매장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한 결제수단정보, 구입 가능한 물품정보 등을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제 진행 전에 주문정보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결제수단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어 결제 진행을 위한 준비가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광고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블루투스모듈(200)은 이동단말기(20)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설정된 최소 신호 세기 조건을 만족되어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이 승인된 경우, 제2블루투스모듈(200)은 이동단말기(20)로부터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정보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설정정보에 상응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조건에 부합하는 신호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복수의 이동단말기(20)로부터 복수의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 진행할 결제요청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수신되는 복수의 결제요청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결제요청신호를 결제 진행할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제1블루투스모듈(100), 제2블루투스모듈(200), 제어부(300)에 제공할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블루투스모듈(500)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는, 단일블루투스모듈(500); 제어부(300);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이하, 기설명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일블루투스모듈(500)은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21)의 이동단말기(20)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데이터 및 결제유효거리 조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유효거리 조건은,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단일블루투스모듈(500)은 특정한 세기의 단일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하고, 이동단말기(20)는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보조도구(21)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의 접근에 따라 결제유효거리 조건에 상응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세기를 넘어서면, 결제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단일블루투스모듈(500)은 이동단말기(20)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설정된 최소 신호 세기 조건을 만족되어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이 승인된 경우, 단일블루투스모듈(500)은 이동단말기(20)로부터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정보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설정정보에 상응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조건에 부합하는 신호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복수의 이동단말기(20)로부터 복수의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 진행할 결제요청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수신되는 복수의 결제요청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결제요청신호를 결제 진행할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매점단말기연결부(40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단일블루투스모듈(500), 제어부(300)에 제공할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블루투스신호 및 제2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은, 상기 결제보조도구(21)생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21)를 생성하는 단계(S100); 결제기능승인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유효거리를 식별하는 단계(S110); 상기 이동단말기(20)가 상기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결제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120);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30);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상기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은 판매점단말기(3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행된다. 판매점단말기(30)는 블루투스신호(예를 들어, 결제보조도구(21)생성데이터 또는 결제기능승인데이터를 포함하는 블루투스신호)를 이동단말기(20)로 송신하고 결제요청신호를 이동단말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판매점단말기(30)는 내부에 블루투스신호 송수신(즉,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이동단말기(20)와의 결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연결단자에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모듈을 포함하는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10)를 연결하여 이동단말기(20)의 결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이동단말기(20) 결제 수행방법은 상기 판매점단말기(30)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이동단말기(20)는 결제보조도구(21)생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21)를 생성한다(S100). 결제보조도구(21)생성데이터는 결제수단정보 또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매장 물품(또는 메뉴)정보에 연결할 수 있는 결제보조도구(21)를 이동단말기(20)의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1블루투스신호 내 데이터에 해당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판매점단말기(30)에서 발신하는 제1블루투스신호가 도달하는 특정한 영역이 형성되고, 이동단말기(20)가 상기 특정한 영역 내에 진입하면 이동단말기(20)가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고 제1블루투스신호 내 결제보조도구(21)생성데이터에 의해 결제보조도구(21)를 화면상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블루투스신호가 이동단말기(20)가 진입한 매장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이동단말기(20)는 매장정보에 부합하는 결제수단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20) 내에 복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이동단말기(20)는 제1블루투스신호 내의 매장정보를 바탕으로 할인 받을 수 있는 카드 또는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 카드를 추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이동단말기(20)의 메모리 내에 저장한 매장별 결제수단 리스트를 바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외부서버에 수신한 매장정보에 부합하는 사용 가능한 결제수단 리스트의 탐색을 요청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결제기능승인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탐색한다(S110). 결제기능승인데이터는 이동단말기(20) 내 결제수행 어플리케이션의 결제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이터로,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되어 수신된다. 제2블루투스신호는 특정한 신호세기를 가져 신호도달범위(즉, 제2블루투스신호의 최대 도달거리)를 통해 결제 수행이 가능한 결제유효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2블루투스신호의 발신 신호 세기가 제1블루투스신호의 발신신호 세기보다 약하여, 이동단말기(20)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인식한 후 제2블루투스신호의 수신 여부를 계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가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단말기(20)는 결제기능을 활성화한다(S120). 즉, 도 6에서와 같이, 이동단말기(20)는, 결제유효거리 내(즉, 제2블루투스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인 결제유효영역 내)에 진입하여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면, 제2블루투스신호 내 결제기능승인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의 결제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결제유효영역 내에 진입여부(즉, 제2블루투스신호의 수신 여부)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20)는 결제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제2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판매점단말기(30)(또는 제2블루투스모듈(200))과 페어링(즉, 일대일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단말기(20)와 연결된 판매점단말기(30)가 다른 이동단말기(20)와 중복된 결제진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한다(S130). 즉, 사용자는 결제보조도구(21)의 조작에 의해 제시된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결제수단으로 결제 진행을 이동단말기(2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2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이동단말기(2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상에 표시된 결제진행 버튼에 대한 터치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판매점단말기(30)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신호를 전송한다(S140). 또한, 결제요청신호는 결제수단의 카드정보 이동단말기(20)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20)의 사용자가 선택한 주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20)는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제2블루투스신호를 통해 결제수행결과데이터를 수신하고,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20)는 특정한 조건을 해당하면 화면 상에서 결제보조도구(21)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보조도구(21) 생성 후 특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제1블루투스신호의 수신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다른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예를 들어, 매장이 인접하게 위치하여 이미 수신한 제1블루투스신호의 세기보다 다른 매장의 판매점단말기(30)에서 발신하는 제1블루투스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게 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화면 상에 표시된 결제보조도구(21)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단말기(20)는 사용자가 결제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만 결제보조도구(21)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어, 평상시의 이동단말기(20) 사용에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제데이터 전송단계(S140)는, 외부서버에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전송하되, 상기 제1데이터는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제데이터 전송과정에서 결제데이터 스키밍(skimming)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보안성을 높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동단말기(20)는 외부서버에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기(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외부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이동단말기(20)는 외부서버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외부서버는 선택된 결제수단의 결제데이터에 대해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고,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로 분할할 수 있다. 제1데이터는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로, 외부서버로부터 이동단말기(20)가 수신하여 판매점단말기(30)에 전달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제2데이터는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로, 외부서버가 판매점단말기(30)로 직접 전달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는 판매점단말기(30)에서 결합된 후 복호화가 수행되어 원상태의 결제데이터로 복원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0)에 의해 요청된 결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 요청단계에서, 이동단말기(20)가 제2블루투스신호를 통해 파악된 판매점단말기(30) 식별정보를 외부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외부서버가 판매점단말기(30)로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인 제2데이터를 직접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송상대방인 판매점단말기(30)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20)가 제2블루투스신호를 통해 인식한 판매점단말기(30) 식별정보를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부합하는 판매점단말기(30)로 제2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매장에 복수의 판매점단말기(30)가 존재하는 경우, 이동단말기(20)는 각각의 판매점단말기(30)가 발신하는 복수의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이동단말기(20)는 결제를 수행할 판매점단말기(30)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20)는,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S120)에서, 각각의 제2블루투스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최대 신호 세기의 제2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판매점단말기(30)를 결제상대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단말기(20)는 선택되지 않은 제2블루투스신호와의 연결을 단절하고(즉, 페어링을 끊고) 선택된 최대신호의 제2블루투스신호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20)는,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S120)에서, 각각의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된 상호 구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제2블루투스신호와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20)는,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S120)에서, 복수의 판매점단말기(30)에 선택요청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매점단말기(30)에 선택요청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매점단말기(30)로부터 선택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데이터의 수신시점 또는 각각의 상기 판매점단말기(30)에서의 상기 선택데이터 전송시점의 선후를 판단하여 특정한 판매점단말기(30)를 결제상대방으로 결정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30)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기(20)는 복수의 판매점단말기(30) 중에서 어떠한 판매점단말기(30)에 대한 결제기능 활성화를 진행할 지 결정할 필요가 있어, 판매점단말기(30)로 선택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판매점단말기(30)가 결제 수행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자동으로 선택데이터를 포함한 제2블루투스신호를 이동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고, 판매점단말기(30)에 표시된 선택요청신호 알림에 대해 점원이 선택데이터 전송을 요청하여 선택데이터를 포함한 제2블루투스신호를 이동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데이터는 판매점단말기(30)에서 전송시점, 판매점단말기(30)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이동단말기(20)는 선택데이터의 수신시점 또는 각각의 판매점단말기(30)에서의 선택데이터 전송시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특정기준을 적용하여 특정한 판매점단말기(30)를 선택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30)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기(20)는 선택데이터가 먼저 전송된 판매점단말기(30) 또는 이동단말기(20)에 의해 먼저 수신된 선택데이터를 전송한 판매점단말기(30)를 결제상대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이용한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은,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21)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통해 결제유효거리를 인식하고, 상기 이동단말기(20)가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면 결제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S210);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20); 및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상기 판매점단말기(30)로 전송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이하, 기설명된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단말기(20)는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21)를 생성한다(S200).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 및 결제유효거리데이터를 포함하여 발신되는 신호이다. 즉, 이동단말기(20)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수신범위 내에 진입하면, 수신한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의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를 인식하여 결제보조도구(21)를 화면 상에 생성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통해 결제유효거리를 인식하고, 이동단말기가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면 결제기능을 활성화한다(S210). 상기 결제유효거리는 상기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에 상응하는 거리이다. 즉, 이동단말기(20)는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의 결제유효거리데이터를 획득하여 결제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세기를 인식한다. 그 후, 이동단말기(20)는 이동하여 결제유효거리 내에 진입하면(즉, 이동단말기(20)가 인식한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세기가 상기 최소세기 이상에 해당하면), 이동단말기(20)는 결제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220; S130과 동일).
이동단말기(20)는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한다(S230; S140과 동일).
또한,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S210)는,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한 단일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판매점단말기와 연결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와의 연결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S210)는, 복수의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식별하여 결제 수행할 판매점단말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일블루투스신호는,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판매점단말기의 매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보조도구 생성단계(S200)는, 상기 매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매장에 부합하는 결제수단을 선별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결제보조도구 조작 시, 상기 선별된 결제수단의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보조도구 생성 후 특정시간 경과,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수신범위 이탈, 다른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결제보조도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S210)는 복수의 판매점단말기에 선택요청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복수의 판매점단말기로부터 선택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데이터의 수신시점 또는 각각의 상기 판매점단말기에서의 상기 선택데이터 전송시점의 선후를 판단하여 특정한 판매점단말기를 결제상대방으로 결정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데이터 전송단계(S230)는, 외부서버에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제1데이터는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는 상기 외부서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제2데이터로 분할된 후, 상기 판매점단말기에 의해 결합되어 복호화가 수행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20)의 결제수행방법은, 하드웨어인 단말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기존 판매점단말기를 사용하는 각 매장은 판매점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간단하게 소형으로 제작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를 연결하여, 고객이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은 내부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를 물리적으로 긁는 방식(즉, 카드의 스와이핑)과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어서, 판매점단말기 내의 프로그램 또한 변경 또는 수정하지 않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블루투스신호에 의해 결제기능 활성화 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영역 내에 이동단말기가 진입하는 경우에만 결제진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결제를 진행하는 고객을 점원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고객에게 물품이 인도되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블루투스신호를 통해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결제보조도구(예를 들어, 팝업 알림창 또는 팝업 퀵메뉴 등)를 제공할 수 있어, 결제수단(예를 들어, 특정매장용 포인트카드)을 직접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진입한 매장에 부합하는 결제수단만을 식별하여 제공할 수 있어, 결제수단별 혜택을 기억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결제보조도구를 제공하는 영역을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미리 결제수단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결제 준비를 할 수 있어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섯째, 복수의 판매점단말기에 대해 중복 결제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는 신호세기를 통해 인접한 고객을 인식할 수 있어, 고객의 대기순서에 맞지 않게 결제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20 : 이동단말기
21 : 결제보조도구 30 : 판매점단말기
100 :제1블루투스모듈 200 : 제2블루투스모듈
300 : 제어부 400 : 판매점단말기연결부
500 : 단일블루투스모듈

Claims (14)

  1. 제1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제1블루투스모듈;
    제2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며, 이동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블루투스모듈;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 및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상기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는,
    결제기능 승인데이터를 포함하여 결제유효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에 비해 신호도달거리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2. 삭제
  3. 단일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제1블루투스모듈;
    이동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제2블루투스모듈;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 내에 포함될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신호 내의 결제데이터를 판매점단말기에 부합하는 데이터형식으로 정보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상기 정보처리된 결제데이터를 전달하는 판매점단말기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블루투스신호는,
    결제 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의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내 생성을 요청하는 데이터, 결제유효거리 조건에 상응하는 데이터, 및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의 식별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유효거리 조건은,
    결제기능이 활성화되는 단일블루투스신호의 최소 세기이며,
    상기 식별데이터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연결할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을 식별하기 위해 수신하는 데이터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루투스모듈이 복수의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복수의 상기 결제요청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결제상대방이 송신하는 신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점단말기연결부는,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설정정보는,
    매장정보, 신호세기, 상기 결제유효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6. 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고 결제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판매점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결제보조도구생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행을 위한 결제보조도구를 생성하는 단계;
    결제기능승인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결제유효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결제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제요청신호를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유효거리는,
    특정한 신호세기를 가지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의 최대도달거리인,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는,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한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상기 판매점단말기와 연결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와의 연결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는,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최대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를 식별하여 결제 수행할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는,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를 발신한 상기 판매점단말기의 매장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보조도구 생성단계는,
    상기 매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매장에 부합하는 결제수단을 선별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결제보조도구 조작 시, 상기 선별된 결제수단의 리스트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보조도구 생성 후 특정시간 경과, 상기 제1블루투스신호의 수신범위 이탈, 다른 제1블루투스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결제보조도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판매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결제기능 활성화단계는,
    상기 복수의 판매점단말기에 선택요청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매점단말기로부터 선택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데이터의 수신시점 또는 각각의 상기 판매점단말기에서의 상기 선택데이터 전송시점의 선후를 판단하여 특정한 판매점단말기를 결제상대방으로 결정하고, 이외의 판매점단말기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결제데이터 전송단계는,
    외부서버에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제1데이터는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의 일부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결제데이터는,
    상기 외부서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판매점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제2데이터로 분할된 후, 상기 판매점단말기에 의해 결합되어 복호화가 수행되는 데이터인,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14. 하드웨어인 이동단말기와 결합되어, 제6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결제 수행 어플리케이션.
KR1020150072114A 2015-05-22 2015-05-22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KR10157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14A KR101579118B1 (ko) 2015-05-22 2015-05-22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114A KR101579118B1 (ko) 2015-05-22 2015-05-22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881A Division KR20160137331A (ko) 2015-12-15 2015-12-15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118B1 true KR101579118B1 (ko) 2015-12-21

Family

ID=5508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114A KR101579118B1 (ko) 2015-05-22 2015-05-22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11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79A1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91875B1 (ko) * 2016-02-04 2018-08-24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WO2018199352A1 (ko) * 2017-04-26 2018-11-01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10531974A (zh) * 2019-08-29 2019-12-03 厦门市思芯微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玩具运动轨迹编程控制系统及方法
CN112116342A (zh) * 2019-06-21 2020-12-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支付设备通信方法和装置
KR20210025408A (ko) * 2019-08-27 2021-03-09 최영옥 블루투스 결제유효거리 정보 제어에 기초한 결제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34769A (ko) 2019-09-21 2021-03-31 이영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시스템
KR102457348B1 (ko) * 2022-08-08 2022-10-21 (주)커넥 부대 시설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정맥 인증 결제 시스템
RU2817064C1 (ru) * 2023-11-10 2024-04-09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Барано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962A (ko) * 2012-10-25 2014-05-09 박기업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083639A (ko) * 2012-12-26 2014-07-04 정혜진 카드 결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962A (ko) * 2012-10-25 2014-05-09 박기업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083639A (ko) * 2012-12-26 2014-07-04 정혜진 카드 결제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79A1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8701297A (zh) * 2016-01-19 2018-10-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执行支付的电子装置和方法
KR101891875B1 (ko) * 2016-02-04 2018-08-24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WO2018199352A1 (ko) * 2017-04-26 2018-11-01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결제 데이터 송신방법, 이를 이용한 결제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결제 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12116342A (zh) * 2019-06-21 2020-12-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支付设备通信方法和装置
CN112116342B (zh) * 2019-06-21 2023-10-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支付设备通信方法和装置
KR20210025408A (ko) * 2019-08-27 2021-03-09 최영옥 블루투스 결제유효거리 정보 제어에 기초한 결제방법 및 그 장치
KR102270060B1 (ko) 2019-08-27 2021-06-28 최영옥 블루투스 결제유효거리 정보 제어에 기초한 결제방법 및 그 장치
CN110531974A (zh) * 2019-08-29 2019-12-03 厦门市思芯微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玩具运动轨迹编程控制系统及方法
KR20210034769A (ko) 2019-09-21 2021-03-31 이영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시스템
KR102457348B1 (ko) * 2022-08-08 2022-10-21 (주)커넥 부대 시설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정맥 인증 결제 시스템
RU2817064C1 (ru) * 2023-11-10 2024-04-09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Барано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11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US9892354B2 (en) Suspending and resuming transactions through wireless beacon communications
CN108604342B (zh) 基于nfc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移动设备
TWI610256B (zh) 在非接觸式銷售據點終端機的行動錢包偵測技術
US10600049B2 (en) Digital wallet-based transa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U2012308186B2 (en) One-click offline buying
EP372484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matic wi-fi connection with enhanced security method when making electronic wallet payment
US20210287204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Based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CN107615320A (zh) 一种交易应用的选择方法和终端
KR102366744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9232329A1 (en) Beacon-triggered activation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US20200202362A1 (en) Nfc-based options selection
WO2013056169A1 (en) Interactive consumer self-service shopping system
WO2016016655A1 (en) Payment system with mobile device which determines the payment vehicles that are supported by the point of sale
KR102315675B1 (ko) 근접 기반 컴퓨팅 장치 간 협상 기법
US201802683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item in data associated with web
KR20160103728A (ko) 포인트 적립 방법 및 장치
KR2017003384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KR2016013733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결제데이터송수신장치, 이동단말기의 결제수행방법 및 결제수행어플리케이션
KR20170052859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포인트 처리방법
EP3026624A1 (en) Smart shopping method and smart shopping management server
KR20170019761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20102327A1 (e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authorization rate prediction
KR101658196B1 (ko) 모바일 결제 지원 서버장치
KR20170040558A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모션 패턴을 이용한 2차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