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751B1 - 꼬임방지 호스 - Google Patents

꼬임방지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751B1
KR101891751B1 KR1020160126047A KR20160126047A KR101891751B1 KR 101891751 B1 KR101891751 B1 KR 101891751B1 KR 1020160126047 A KR1020160126047 A KR 1020160126047A KR 20160126047 A KR20160126047 A KR 20160126047A KR 101891751 B1 KR101891751 B1 KR 10189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yarn
endothelium
twisted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025A (ko
Inventor
노승용
Original Assignee
홍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16L11/08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comprising one or more braided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0Double-walled hoses, i.e. two concentric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횡사와 종사로 이루어진 보강사가 구비되되 비틀림 응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횡사와 종사의 매듭코가 나선방향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권취된 상태의 호스가 권출될 시에 꼬임이 방지될 수 있고, 꼬임 방지를 위해서 호스의 권취와 권출에 사용되는 릴, 그리고 사용중인 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등 추가적인 기자재의 구매 및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꼬임방지 호스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임방지 호스는 유체가 유동 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내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사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사가 그물눈 형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겹쳐지는 지점마다 상기 횡사 및 종사가 매듭코로 엮여지되 상기 횡사는 상기 매듭코들이 상기 내피부의 중심축 방향과 수평선상이 아닌 경사선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나선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사와, 상기 보강사가 구비된 내피부 상에 융착되는 외피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꼬임방지 호스{TWISTED PREVENTION HOSE}
개시된 내용은 유체가 이동 및 공급되는 호스가 꼬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꼬임방지 호스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호스는 물이나 가스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통로로 사용되는 관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호스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합성수지 호스와 금속으로 제조된 금속 호스가 주로 사용된다.
합성수지 호스는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으로 제조되며 유연한 재질로 인해서 배치 및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강도가 약한 단점을 갖는다. 보통 살수의 목적으로 일반 가정, 농장, 작업장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금속 호스는 강철, 구리합금,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제조되며 금속재질 특성상 배치 및 가공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나 강도가 강한 장점을 갖는다. 보통 열, 가스, 증기를 유동시키는 기계 및 공장설비 등에서 사용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호스도 금속으로 제조된 호스만큼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어 합성수지로 제조된 호스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도 2에 도시된 내압호스인데, 종래에는 한 겹으로만 제조되던 호스를 다수의 겹으로 제조하고 그 사이에 보강사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내압호스는 합성수지로 제조됨에 따라 유연성이 확보되어 합성수지 호스의 장점을 갖고, 동시에 보강사가 구비됨에 따라 강도가 확보되어 금속 호스의 장점도 갖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내압호스는 보통 귄취 상태로 보관되는데, 사용을 위해서는 권취 된 내압호스 일단을 잡아당겨 순차적으로 권출 해내야 한다. 그런데 장기간 일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던 호스가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권출 될 경우 꼬임이 발생 될 수 있다. 꼬임이 발생 되면 꼬여진 부분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풀어줘야 함은 물론 사용중에 꼬임이 발생 될 경우 유체의 유동 및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압호스를 릴에 권취시켜 보관하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해 사용중 내압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릴이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매해야 해 추가비용이 발생되고, 사용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9977호(2014.01.03)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10473호(2013.10.10)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33457호(2010.03.30)
호스의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횡사와 종사로 이루어진 보강사가 구비되되 비틀림 응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횡사와 종사의 매듭코가 나선방향으로 배치된 꼬임방지 호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유체가 유동 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내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사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사가 그물눈 형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겹쳐지는 지점마다 상기 횡사 및 종사가 매듭코로 엮여지되 상기 횡사는 상기 매듭코들이 상기 내피부의 중심축 방향과 수평선상이 아닌 경사선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나선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사와, 상기 보강사가 구비된 내피부 상에 융착되는 외피부가 포함되는 꼬임방지 호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꼬임방지 호스는 내피부와 외피부 사이에 횡사와 종사로 이루어진 보강사가 구비되되 비틀림 응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횡사와 종사의 매듭코가 나선방향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권취 된 상태의 호스가 권출 될 시에 꼬임이 방지될 수 있고, 꼬임 방지를 위해서 호스의 권취와 권출에 사용되는 릴, 그리고 사용중인 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등 추가적인 기자재의 구매 및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임방지 호스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내압호스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임방지 호스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도 3 및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은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내압호스의 부분절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는 도 1 및 더 2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임방지 호스(1)의 구성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내피부(10)는 그 내부로 유체가 유동되고 외주연에는 추후에 설명될 보강사(20)가 구비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피부(10)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휘어짐과 구부러짐이 가능한 유연한 성질을 갖도록 용융상태의 염화비닐 수지가 압출 성형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내피부(10)는 종래기술에 따른 호스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내피부(10)의 외주연에는 보강사(20)가 구비된다. 이 보강사(20)는 폴리에스터사로 제조되며, 전술한 내피부(10)와 추후에 설명될 외피부(30)에 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피부(10) 내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내압을 견딜 수 있도록 내피부(10)와 외피부(30)의 강도를 보강해 주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보강사(20)는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사(21)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사(22)가 그물눈 형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횡사(21)와 종사(22)가 겹쳐지는 지점마다 횡사(21) 및 종사(22)가 매듭코(23)로 엮여지되 횡사(21)는 매듭코(23)들이 내피부(10)의 중심축 방향과 수평선상이 아닌 경사선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나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내압호스(100)의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횡사(110)와 종사(120)가 개시된 내용과 마찬가지로 그물눈 형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횡사(110)와 종사(120)가 겹쳐지는 지점마다 엮여지는 매듭코(130)가 내피부의 중심축 방향과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호스에 비틀림 응력이 부여되지 않아 귄취 된 상태의 호스가 순차적으로 권출 될 때 꼬임현상이 발생된다.
하지만, 개시된 내용은 내피부(10) 외주연에 나선방향으로 위치된 매듭코(23)에 의해 꼬임방지 호스(1)에는 비틀림 응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꼬임방지 호스(1)가 권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풀어지면서 꼬임 현상이 발생 될 때 부여된 비틀림 응력에 의해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원상복귀되면서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보강사(20)가 구비된 내피부(10) 상에는 외피부(30)가 융착 고정된다. 이러한 외피부(30)는 보강사(2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고, 내피부(10) 및 보강사(20)가 외력으로부터 보호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피부(30)는 보강사(20)가 구비된 내피부(10) 상에 도포되는 용융상태의 염화비닐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외피부(30)는 전술한 내피부(10)와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호스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꼬임방지 호스(1)의 구성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권취 된 상태의 꼬임방지 호스(1)가 순차적으로 권출 될 때 매듭코(23)가 배치된 나선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꼬이면, 매듭코(23)에 의해 부여된 비틀림 응력에 의해서 꼬임방지 호스(1)가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원상복귀되면서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권취 된 상태의 꼬임방지 호스(1)가 순차적으로 권출 될 때 매듭코(23)가 배치된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꼬이면, 마찬가지로 매듭코(23)에 의해 부여된 비틀림 응력에 의해서 꼬임방지 호스(1)가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원상복귀 되면서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꼬임방지 호스(1)에 의하면 내피부(10)와 외피부(30) 사이에 횡사(21)와 종사(22)로 이루어진 보강사(20)가 구비되되 비틀림 응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횡사(21)와 종사(22)의 매듭코(23)가 나선방향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권취된 상태의 호스가 권출 될 시에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꼬임 방지를 위해서 호스의 권취와 권출에 사용되는 릴, 그리고 사용중인 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등 추가적인 기자재의 구매 및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꼬임방지 호스
10 : 내피부
20 : 보강사
21 : 횡사
22 : 종사
23 : 매듭코
30 : 외피부
100 : 종래기술에 따른 내압호스
110 : 횡사
120 : 종사
130 : 매듭코

Claims (3)

  1. 유체가 유동 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내피부;
    상기 내피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사와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종사가 그물눈 형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겹쳐지는 지점마다 상기 횡사 및 종사가 매듭코로 엮여지되 상기 횡사는 상기 매듭코들이 상기 내피부의 중심축 방향과 수평선상이 아닌 경사선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나선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사; 및
    상기 보강사가 구비된 내피부 상에 융착되는 외피부;가 포함되며,
    상기 내피부의 외주연에 나선방향으로 위치된 상기 매듭코에 의해 비틀림 응력이 부여되며, 권취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풀어지면서 꼬임 현상이 발생 될 때 상기 매듭코에 의해 부여된 비틀림 응력에 의해 꼬임의 반대방향으로 원상복귀되면서 꼬임 현상이 방지되는 꼬임방지 호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와 외피부는 연질의 염화비닐 수지로 제조되고, 상기 보강사는 폴리에스터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방지 호스.
KR1020160126047A 2016-09-30 2016-09-30 꼬임방지 호스 KR10189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47A KR101891751B1 (ko) 2016-09-30 2016-09-30 꼬임방지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47A KR101891751B1 (ko) 2016-09-30 2016-09-30 꼬임방지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25A KR20180036025A (ko) 2018-04-09
KR101891751B1 true KR101891751B1 (ko) 2018-08-24

Family

ID=6197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47A KR101891751B1 (ko) 2016-09-30 2016-09-30 꼬임방지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580A (ko) 2019-10-04 2021-04-14 노승용 내압력이 보강된 꼬임방지 호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424A (ja) 2004-09-24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多層ホース
US20110303317A1 (en) * 2010-06-10 2011-12-15 Veyance Technologies, Inc. Kink, crush, and burst resistant flexible ho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424A (ja) 2004-09-24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多層ホース
US20110303317A1 (en) * 2010-06-10 2011-12-15 Veyance Technologies, Inc. Kink, crush, and burst resistant flexible h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580A (ko) 2019-10-04 2021-04-14 노승용 내압력이 보강된 꼬임방지 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25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560B2 (en) Multi-layer pressure actuated extendable hose
US20170105487A1 (en) Tethered anchor point for footwear lace element
US8356377B2 (en) Reinforced cup for use with a pig or other downhole tool
ES2684777T3 (es) Un cuerpo de tubería flexible y método de fabricación
CN105143535A (zh) 非扭结的自身卷包的编织的套筒及其构造方法
KR101891751B1 (ko) 꼬임방지 호스
AU2015100607A4 (en) Water Hose
BR112019007391B1 (pt) Montagem de mangueira e sistema de mangueira
KR102277415B1 (ko) 내압력이 보강된 꼬임방지 호스
US7546852B1 (en) Flexible insert for tubing
JP2013104511A5 (ko)
JP6049264B2 (ja) 高圧ホース
CN100432513C (zh) 一种特殊的多层柔性管及其制造方法
KR20180091006A (ko) 편조된 반사성 직물 슬리브 및 그의 구성 방법
US20140239629A1 (en) Garden hose kink mender apparatus
JP6005351B2 (ja) プロテクター、複合筒状体、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車両用ホースおよびプロテクターの製造方法
KR101119039B1 (ko) 비틀림 방지 호스
WO2010095569A1 (ja) 多層耐圧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4129B2 (ja) ホース
ES2933965T3 (es) Disposiciones de manguera
KR200274794Y1 (ko) 내굴절 내압 가든 호스
KR101345115B1 (ko) 꼬임방지기능을 구비한 호스의 제조방법
WO2014184907A1 (ja) プロテクター、複合筒状体、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車両用ホース、プロテク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筒状体の製造方法
JP6954590B2 (ja) 合成樹脂製管とその製造方法
CA3008762C (en) Gimbal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