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644B1 - 구강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644B1
KR101891644B1 KR1020160086624A KR20160086624A KR101891644B1 KR 101891644 B1 KR101891644 B1 KR 101891644B1 KR 1020160086624 A KR1020160086624 A KR 1020160086624A KR 20160086624 A KR20160086624 A KR 20160086624A KR 101891644 B1 KR101891644 B1 KR 10189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unit
light source
oral cav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555A (ko
Inventor
유제현
최민용
최다솜
소태철
이경순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6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6
    • H04N5/225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구강 진단 장치는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단말기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구강을 촬영할 때 상기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진단 장치{DENTAL DIAGNOSTIC DEVICE}
본 발명은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구강을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안면의 하부 중앙에 있는 소화기의 입구기관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저작, 소화, 미각, 어음의 구성, 호흡 등에 관여하는 구열(口裂)에서부터 인두와 이어지는 구협(口峽)까지의 조직 구조를 총칭한다.
구강에 발생하는 구강 질환은 임의로 토순, 구개열 등의 선천적 기형, 부식, 골절 등의 외상, 치아우식증, 치주병 등의 치과질환, 치육종, 피상낭종, 에나멜 상피종, 치아종, 설암, 구개암 등의 종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구강은 치아, 골 및 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과 기능의 다양성을 보이는 동시에 소화기의 입구로서 외부로 노출되어 각종 질병의 발병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들 구강질환의 조기발견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편, 최근 들어 컴퓨터의 성능향상, 방사선 영상의 소프트카피화와 형식의 통일, 의학영상처리용 네트워크 기술발전 등에 힘입어 의료영상에 대한 컴퓨터의 정량분석결과를 통해 의료진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컴퓨터 보조 진단(computer-aided diagnosis,CAD)기술이 소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컴퓨터 보조진단기술은 컴퓨터의 정량분석결과를 통해 영상판독자의 과다한 판독업무를 줄일 수 있고, 컴퓨터의 정량분석결과를 참고로 하여 의료진이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하지만, 일반적인 컴퓨터 보조진단기술은 대형의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컴퓨터 보조진단기술은 구강과 같이 치아, 골 및 연조직이 복합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다양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높은 구강질병의 검출 및 진단에 활용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807호에는 이전 촬영 영상과 현재 촬영 영상을 비교해서 구강의 이상을 판별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서 구강을 진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는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단말기에 착탈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착탈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는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구강의 이미지를 분석해서 상기 구강 내에 플라그(plaque)가 존재하는 플라그(plaque) 영역을 추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플라그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구강의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는 착탈부를 통해 단말기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진단이 필요한 때에만 단말기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본래 기능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착탈부에는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마련되므로, 주변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구강을 단말기를 이용해서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광원부는 단말기가 구강을 진단하는 모드로 동작되면 비로소 구동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광원부는 단말기의 전력을 이용해서 구동될 수 있으므로 크기와 무게 증가를 유발하는 배터리 등이 배제될 수 있다.
광원부는 LED 등의 일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구강을 향해 집중되도록 집광부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강 진단 장치는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해서 플라그 영역을 추출하고, 구강의 이미지 상에 플라그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구강의 이미지를 통해 플라그가 존재하는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광원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강 진단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구강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구강 진단 장치는 착탈부(110), 광원부(130), 커넥터(150), 광 필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110)는 구강(90)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1)이 설치된 단말기(10)에 착탈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카메라 모듈(11)이 설치된 일반 카메라, 스마트폰, PDA,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는 단말기(10)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이 나타나고 있다.
단말기(10)에는 구강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1)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기(10)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11)은 구강을 전문적으로 촬영하는 용도가 아니라 다양한 주변 사물을 촬영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단말기(10)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11)은 특성적 한계로 인해 주변과 비교해서 어두운 구강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단말기(10)의 카메라 모듈(11)을 이용해서 구강을 확실하게 촬영하기 위해 광원부(130)가 이용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착탈부(110)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카메라 모듈(11)이 구강을 촬영할 때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이 구강이 촬영할 때 광원부(130)가 구강을 비추지 못하고 다른 곳을 비추면 구강의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하기 어렵다. 카메라 모듈(11)이 구강을 촬영할 때 구강을 향해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부(130)는 도 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광원부(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구강을 촬영할 때,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가 구강의 중심을 지향하도록 단말기(10)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가 구강의 중심을 통과할 때, 착탈부(110)를 통해 단말기(10)에 장착된 광원부(130)의 광축 i가 구강을 통과하는 것이 좋다.
구강과 카메라 모듈(11)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광원부(130)의 빛이 구강을 비추도록, 광원부(130)의 광축 i는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광축 i와 광축 o의 거리는 광원부(130)와 카메라 모듈(11) 간의 거리 d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이 구강을 촬영할 때 광원부(130)의 빛이 구강을 비추도록 거리 d는 최대한 작은 것이 좋다. 구강의 반경이 R인 경우 적어도 거리 d는 R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부(130)와 카메라 모듈(11)의 광축이 평행하고, 둘 사이의 거리 d가 구강의 반경 R보다 작다면, 카메라 모듈(11)과 구강 간의 거리에 상관없이 카메라 모듈(11)이 구강을 촬영할 때, 광원부(130)는 구강을 확실하게 비출 수 있다.
광원부(130)는 전방위로 방사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일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0)에서 생성된 빛이 전방위로 방사되면 정작 구강 내부를 밝게 비추지 못할 수 있다. 전방위로 방사되는 빛이 구강을 향해 집광되도록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는 집광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집광부(139)는 구강을 향해 광원부(130)의 빛을 집광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집광부(139)는 입구가 넓고 속이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30)가 집광부(139)의 속에 배치되면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된 빛은 집광부(139)에 의해 구강을 향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집광부(139)에 따르면, 광원부(130)는 홈 속에 배치된 상태가 되므로, 외부 충격 또는 긁힘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광원부(130)를 키거나 끌 수 있는 스위치(119)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착탈부(110) 및 광원부(130)에 따르면, 사용자는 구강을 진단하고자 할 경우 구강 진단 장치를 단말기(10)에 장착하고 광원부(130)를 온(on)시키는 것에 의해 구강을 확실하게 촬영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착탈부(110)는 단말기(10)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부(110)는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 판부(111)와 제2 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0)에는 제1 판부(111)의 일단부와 제2 판부(112)의 일단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제1 판부(111)의 일단부와 제2 판부(112)의 일단부가 벌어지면 단말기(10)를 제1 판부(111)와 제2 판부(112)의 사이로 끼워넣을 수 있다.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판부(111)의 일단부와 제2 판부(112)의 일단부가 단말기(10)를 그랩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판부(111)의 일단부와 제2 판부(112)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도록 회전축(113)은 제1 판부(111)와 제2 판부(112)의 가운데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113)이 가운데에 설치되므로, 제1 판부(111)의 일단부와 제2 판부(112)의 일단부는 회전축(113)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판부(111)의 타단부와 제2 판부(112)의 타단부는 회전축(113)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회전축(113)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위치한 제1 판부(111)의 타단부와 제2 판부(112)의 타단부를 조작해서 제1 판부(111)의 일단부와 제2 판부(112)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다.
광원부(130)와 광 필터부(170)는 제1 판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착탈부(110)의 착탈 위치 등에 따라 광원부(130)와 카메라 모듈(11) 간의 거리 d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거리 d가 구강의 반경 R보다 작도록 광원부(130)를 정렬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착탈부(110)가 단말기(10)에 장착될 때 광원부(130)의 정렬을 위해 광 필터부(170)가 이용될 수 있다.
광 필터부(170)는 광 필터부(170)의 광축과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가 일치되게 단말기(10)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 필터부(170)는 카메라 모듈(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필터부(170)의 광축과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가 일치하게 광 필터부(170)가 배치되므로, 카메라 모듈(11)의 중심과 광원부(130)의 중심 간의 거리 d는 광 필터부(170)의 중심과 광원부(130) 중심 간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필터부(170)와 광원부(130) 간의 거리가 구강의 반경 R보다 작게 형성되면, 광 필터부(170)가 카메라 모듈(11) 상에 배치될 때 거리 d 역시 자연스럽게 구강의 반경 R보다 작게 정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광 필터부(170)가 카메라 모듈(11)의 광축에 배치되면, 광원부(130)는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 상에 배치되는 광 필터부(170)는 빛이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 필터부(170)는 카메라 모듈(11)로 입력되는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에서 촬영된 구강의 이미지는 사람의 눈으로 바라보는 이미지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전문가에 해당하는 일반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만으로는 구강의 상태가 어떤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단말기(10)에 탑재된 구강 진단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분석될 수 있는데,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석이 용이하도록 변환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에 일치되게 배치되는 광 필터부(170)는 구강에 존재하는 이상 징후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광학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필터에 의하면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이 확연하게 구분될 수 있다.
광학 필터는 일정한 파장의 대역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투과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배경광 등 필요 없는 방사를 제거하기 위해 다층 증착막을 사용해서 파장 폭이 좁은 스펙트럼만을 통과시키는 간섭 필터와 특정 파장의 빛 또는 특정 범위 파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색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치아에 플라그(plaque)가 존재하는 경우, 플라그의 색과 일반 치아의 색은 서로 다르다. 이때, 일반 치아의 색만 투과시키거나 플라그의 색만 투과시키는 색 필터 등이 카메라 모듈(11) 상에 배치되면, 플라그가 존재하는 플라그 영역 p와 다른 영역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이미지가 카메라 모듈(11)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30)는 착탈부(110)에 마련된 스위치(119)의 수동 조작이 아니라 자동 조작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10)는 구강을 진단하는 모드로 동작되면 광원부(13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기설치된 구강 진단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해당 스마트폰은 구강을 진단하는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될 수 있다.
단말기(10)의 제어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커넥터(150)가 이용될 수 있다. 커넥터(150)는 착탈부(110) 또는 광원부(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광원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50)가 단말기(10)에 장착되면, 광원부(130)와 단말기(10)는 커넥터(150)를 통한 유선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의 유선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가 광원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광원부(130)의 구동을 위해 구강 진단 장치에는 배터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가 마련된 경우 광원부(130)의 이용을 위해 사전에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단말기(10)에 연결되는 커넥터(150)가 마련된 경우, 광원부(130)는 커넥터(150)를 통해 단말기(10)의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될 수 있다.
광원부(130)가 단말기(10)의 전력을 이용해서 구동되면, 별도의 배터리가 불필요하므로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로 인한 무게의 증가 및 전체 크기의 증가가 방지되므로, 경량화 및 소형화에 유리하다.
단말기(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커넥터(150)는 스마트폰에 마련된 이어폰 단자 또는 마이그로 USB 단자에 착탈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30)와 광 필터부(170)를 이용해서 촬영된 구강의 이미지는 단말기(10)에서 처리될 수 있다.
구강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다른 구강 진단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강 진단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강 진단 장치는 표시부(210) 및 분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카메라 모듈(11)에서 촬영된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에서 촬영된 구강의 이미지는 광원부(130)에 의해 선명하고 밝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카메라 모듈(11)에서 촬영된 구강의 이미지는 광 필터부(170)에 의해 구강 내에 이상 징후가 존재하는 영역과 나머지 영역이 구분된 상태일 수 있다.
분석부(230)는 카메라 모듈(11)로부터 전달받은 구강의 이미지를 분석해서 구강 내에 플라그(plaque)가 존재하는 플라그(plaque)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광 필터부(170)에 의해 플라그 영역 p가 나머지 영역과 구분되는 경우, 분석부(230)는 용이하게 플라그 영역 p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기(10)가 스마트폰인 경우 표시부(210) 또는 분석부(230)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 진단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사용자는 광 필터부(170)가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에 일치되게 착탈부(110)를 단말기(10)에 장착할 수 있다. 광 필터부(170)가 카메라 모듈(11)의 광축 o에 일치되면 광원부(130)는 자연스럽게 구강을 비출 수 있게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10) 모듈의 단자에 커넥터(150)를 꽂은 후 구강 진단용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표시부(210)와 분석부(230)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동작이 개시되면 분석부(230)는 카메라 모듈(11)을 동작시키고, 카메라 모듈(11)의 촬영 대상이 되는 구강을 비추는 광원부(130)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제어 신호는 커넥터(150)를 통해 광원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광원부(130)의 구동 전력이 커넥터(150)를 통해 단말기(10)로부터 광원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광 필터부(170)를 거치지 않은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부(21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플라그 영역 p와 정상 영역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광 필터부(170)를 거친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부(21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플라그 영역 p가 제거된 구강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플라그 영역 p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치아의 군데군데가 떨어져나간 이미지로 인해 현실과 동떨어진 심한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아울러, 실제의 치아와 표시부(210)의 이미지를 매칭시켜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플라그 영역 p와 정상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실제의 치아와 표시부(210)의 이미지가 매칭되도록, 분석부(230)는 플라그 영역 p를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230)는 플라그 영역 p를 원본 이미지와 다르게 편집하며, 편집된 플라그 영역 p를 구강의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22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분석부(230)는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220)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0)에는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과 각종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220)에는 선택 가능한 제1 메뉴(221), 제2 메뉴(222), 제3 메뉴(223), 제4 메뉴(224), 제5 메뉴(22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메뉴(221)는 구강의 이미지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제2 메뉴(222)는 구강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구강의 이미지는 선택에 따라 한 장씩 촬영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될 수 있다.
제3 메뉴(223)는 구강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메뉴(224)는 구강의 이미지와 분석 결과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4 메뉴(224)는 연령대별 칫졸질을 학습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 메뉴(224)는 스케일링, 구강 관리 용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5 메뉴(225)는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구강의 이미지를 설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22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2 메뉴(222)가 선택될 때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분석부(230)는 구강 진단의 대상이 되는 요소 외의 나머지는 검은 색과 같은 단색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치아의 상태를 진단하는 경우, 분석부(230)는 구강의 이미지 중 치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검은 색으로 처리해서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분석부(230)는 구강의 다른 부위와 플라그 영역 p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플라그 영역 p를 원래의 색깔과 다른 색깔로 편집할 수 있다. 일 예로 편집부는 도 5와 같이 플라그 영역 p를 원래의 색깔과 다른 핑크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편집된 플라그 영역 p를 구강의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구강의 이미지에는 분홍색의 플라그 영역 p가 표시될 수 있다.
분석부(230)는 플라그 영역 p의 분석을 통해 평소 사용자의 칫솔질을 예측하고, 칫솔질의 상태를 점수화할 수 있다. 해당 점수는 구강의 이미지 상에 직접 표시되거나 제3 메뉴(223) 또는 제4 메뉴(224) 선택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플라그 영역 p와 정상 영역의 비율이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일부 플라그 영역 p의 면적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케일링을 권고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동영상 촬영과 타이머를 통해 사용자의 칫솔질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구강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22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제3 메뉴(223)가 선택될 때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구강의 진단 대상은 치아, 혀, 입 내벽면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각 진단 대상은 서로 다른 색깔로 그래프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XY 그래프에 표시된 주황색 동그라미는 치아의 진단 점수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진단 대상이 치아인 경우 분석부(230)는 플라그 영역 p와 정상 영역의 비율을 이용해서 구강의 이미지를 점수화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30)는 치아 진단에 필요한 각종 설문을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210)에 표시된 설문에 응답하면, 응답 결과를 점수화할 수 있다.
분석부(230)는 응답 결과의 점수, 구강 이미지의 점수, 칫솔질의 점수를 설정 비율로 계산한 후 요일별 그래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응답 결과의 점수는 전체 100% 중 50% 반영되고, 구강 이미지의 점수는 전체 100% 중 15% 반영되며, 칫솔질의 점수는 100% 중 나머지 35% 반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단말기 11...카메라 모듈
90...구강 110...착탈부
111...제1 판부 112...제2 판부
113...회전축 119...스위치
130...광원부 139...집광부
150...커넥터 170...광 필터부
210...표시부 220...인터페이스
221...제1 메뉴 222...제2 메뉴
223...제3 메뉴 224...제4 메뉴
225...제5 메뉴 230...분석부

Claims (8)

  1. 구강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단말기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구강을 촬영할 때 상기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유선 통신하고,
    상기 단말기는 기설치된 구강 진단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광원부를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광원부로 전달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전달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 표시부,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분석부는 상기 구강 진단용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동작이 개시되며,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구강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구강의 이미지를 분석해서 상기 구강 내에 플라그(plaque)가 존재하는 플라그(plaque)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플라그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구강의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구강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포함하고,
    착탈부에는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일단부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가 마련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일단부가 벌어지면 상기 단말기를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사이로 끼워넣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를 그랩한 상태가 유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판부의 가운데와 상기 제2 판부의 가운데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를 그랩하는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판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한 상기 제1 판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타단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1 판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판부의 일단부가 벌어지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판부에 설치되는 구강 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구강 진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을 향해 상기 광원부의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광부는 입구가 넓고 속이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집광부의 속에 배치되며, 상기 집광부의 입구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구강 진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 설치되는 광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필터부는 상기 광 필터부의 광축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이 일치되게 상기 단말기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입력되는 이미지를 변환하고,
    상기 광 필터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광축에 배치되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구강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되는 구강 진단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6624A 2016-07-08 2016-07-08 구강 진단 장치 KR10189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624A KR101891644B1 (ko) 2016-07-08 2016-07-08 구강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624A KR101891644B1 (ko) 2016-07-08 2016-07-08 구강 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55A KR20180006555A (ko) 2018-01-18
KR101891644B1 true KR101891644B1 (ko) 2018-10-01

Family

ID=6102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624A KR101891644B1 (ko) 2016-07-08 2016-07-08 구강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9743B2 (en) 2017-02-13 2023-02-28 Align Technology, Inc. Cheek retractor and mobile device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87B1 (ko) * 2018-03-05 2020-03-11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영상분석을 이용한 구강 상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7422B1 (ko) * 2018-11-29 2020-12-3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형광 영상 기반 치아 우식증 조기 진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1051132A1 (en) * 2019-09-11 2021-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ofilm reveal device
KR20210103812A (ko) 2020-02-14 2021-08-24 (주)링크옵틱스 침샘 종양 진단을 위한 휴대용 형광신호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샘 종양 진단장치
KR102267739B1 (ko) * 2020-02-24 2021-06-22 주식회사 딥덴탈스 치아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583A (ja) * 2003-12-26 2005-07-21 Koichi Nariyama 携帯端末用スコープユニット
WO2015016377A1 (ja) * 2013-08-02 2015-02-05 Kanbara Masaki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583A (ja) * 2003-12-26 2005-07-21 Koichi Nariyama 携帯端末用スコープユニット
WO2015016377A1 (ja) * 2013-08-02 2015-02-05 Kanbara Masaki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9743B2 (en) 2017-02-13 2023-02-28 Align Technology, Inc. Cheek retractor and mobile devic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555A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44B1 (ko) 구강 진단 장치
CN109922754B (zh) 用于牙齿图像的方法和装置
JP5810248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4493491B2 (ja) 多目的画像化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アダプター
US5527261A (en) Remote hand-held diagnostic instrument with video imaging
US5662586A (en) Hand held diagnostic instrument with video imaging
JP6126224B2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US5527262A (en) Hand-held diagnostic dental probe with video imaging
US9241616B1 (en) Spectral illumination attachment for dental camera
KR101994522B1 (ko)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1676020B1 (ko) 의료 영상 기기 및 이에 포함되는 갠트리의 동작 정보 제공 방법
US201402727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imaging, magnification, fluorescence, and reflectance
JP2018134418A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JP2002355263A (ja) 歯科用カメラ
CN113365545A (zh) 图像记录装置、图像记录方法和图像记录程序
US20240049955A1 (en) Tissue detec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TWM503883U (zh) 具攝像功能之牙齒檢測裝置
TW201027984A (en) Optical inspection apparatus, related light guide, and method for enhancing optical image sensing
WO2021149050A1 (en) Systems, devices, subsystems and methods for oral cavity inspection
US20230233162A1 (en) Two-way mirror display for dental treatment system
CN106419809B (zh) 口腔检测装置
US20210241457A1 (en) Endoscope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ed in endoscope system
KR102197422B1 (ko) 모바일 형광 영상 기반 치아 우식증 조기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2824A (ko) 치아 진단 시스템
JP2020103485A (ja) 口腔検診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