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38B1 - 발열기기 - Google Patents

발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38B1
KR101891238B1 KR1020170006188A KR20170006188A KR101891238B1 KR 101891238 B1 KR101891238 B1 KR 101891238B1 KR 1020170006188 A KR1020170006188 A KR 1020170006188A KR 20170006188 A KR20170006188 A KR 20170006188A KR 101891238 B1 KR101891238 B1 KR 10189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plate
heat generating
collec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642A (ko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심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훈 filed Critical 심재훈
Priority to KR102017000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9Heating devices using lamps heat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원연결 홀더>, <전원연결 홀더에 결합된 발열체>, <전원연결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발열체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의 전면으로 집열시킬 수 있는 집열 케이스>, <집열 케이스의 최 전면에 배치되면서, 발열체의 전면에 집열된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고온의 발열상태를 즉석에서 이룰 수 있는 발열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각종 제품에 범용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열선의 집중에 의한 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최소공급 상황(예컨대, DC 12V 30W~55W 공급상황 등) 하에서도, 고온(예컨대, 600℃~1200℃)의 순간 발열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발열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발열수단을 채용한 다양한 제품들 측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본연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제품의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기기{The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발열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연결 홀더>, <전원연결 홀더에 결합된 발열체(예컨대, 램프, 히팅코일)>, <전원연결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발열체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의 전면으로 집열시킬 수 있는 집열 케이스>, <집열 케이스의 최 전면에 배치되면서, 발열체의 전면에 집열된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고온의 발열상태를 즉석에서 이룰 수 있는 발열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각종 제품에 범용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열선(Heat rays)의 집중에 의한 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최소공급 상황(예컨대, DC 12V 30W~55W 공급상황 등) 하에서도, 고온(예컨대, 600℃~1200℃)의 순간 발열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발열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발열수단을 채용한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 측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식물 조리, 냉수 가열, 의류 구김 제거, 열풍 출력, 커피 가열, 납땜 대상물 가열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제품의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발열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 기술이 급격한 기술을 이루면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발열체 및 이를 응용한 제품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1-35352호(명칭: 즉석 가열식 식품용 발열 조성체)(2001.5.7.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6-67859호(명칭: 순간 가열 방식의 다리미 발열장치)(2006.6.20.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0-130297호(명칭: 즉석 발열 용기)(2010.12.13.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5-89190호(명칭: 기둥형 발열유닛이 구비되는 순간온수기)(2015.8.5.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열체 및 이를 응용한 제품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기/전자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 역시, 폭 넓은 개발/보급 패턴을 보이고 있다.
물론, 상기 제품들은 전기를 주 에너지원으로 하는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기능(예컨대, 음식물 조리, 냉수 가열, 의류 구김 제거, 열풍 출력, 커피 가열, 납땜 대상물 가열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 제품의 전기소비를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해당 제품(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의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은 전기소비가 극심한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해당 제품의 전기소비를 최소화시키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상기 발열체를 각 제품에 채용하여, 해당 제품의 전기소비 최소화를 막연하게 나마 기대할 수도 있겠지만, 종래의 각 발열체 역시, 적지 않은 에너지 소비를 이룰 뿐만 아니라, 각 발열체는 여러 제품에 범용으로 적용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특성을 제한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의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키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1-35352호(명칭: 즉석 가열식 식품용 발열 조성체)(2001.5.7.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6-67859호(명칭: 순간 가열 방식의 다리미 발열장치)(2006.6.20.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0-130297호(명칭: 즉석 발열 용기)(2010.12.13.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5-89190호(명칭: 기둥형 발열유닛이 구비되는 순간온수기)(2015.8.5.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연결 홀더>, <전원연결 홀더에 결합된 발열체(예컨대, 램프, 히팅코일)>, <전원연결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발열체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의 전면으로 집열시킬 수 있는 집열 케이스>, <집열 케이스의 최 전면에 배치되면서, 발열체의 전면에 집열된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고온의 발열상태를 즉석에서 이룰 수 있는 발열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각종 제품에 범용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열선의 집중에 의한 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최소공급 상황(예컨대, DC 12V 30W~55W 공급상황 등) 하에서도, 고온(예컨대, 600℃~1200℃)의 순간 발열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발열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발열수단을 채용한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 측에서,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식물 조리, 냉수 가열, 의류 구김 제거, 열풍 출력, 커피 가열, 납땜 대상물 가열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제품의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원연결 홀더와; 상기 전원연결 홀더에 결합된 발열체와; 상기 전원연결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며, 상기 발열체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의 전면으로 집열시키는 집열 케이스와; 상기 집열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전면에 집열된 상기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 플레이트는 기저 플레이트와; 상기 기저 플레이트의 양면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 레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저 플레이트는 황동, 알루미늄, 또는, 석영유리 재질을 가지며, 상기 전도성 물질 레이어는 그래핀(Graphene) 재질, 금속성 수소화물(Metallic hydrides) 재질, 또는,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연결 홀더>, <전원연결 홀더에 결합된 발열체(예컨대, 램프, 히팅코일)>, <전원연결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발열체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의 전면으로 집열시킬 수 있는 집열 케이스>, <집열 케이스의 최 전면에 배치되면서, 발열체의 전면에 집열된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고온의 발열상태를 즉석에서 이룰 수 있는 발열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져, 각종 제품에 범용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열선의 집중에 의한 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최소공급 상황(예컨대, DC 12V 30W~55W 공급상황 등) 하에서도, 고온(예컨대, 600℃~1200℃)의 순간 발열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발열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이 발열수단을 채용한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 측에서는,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식물 조리, 냉수 가열, 의류 구김 제거, 열풍 출력, 커피 가열, 납땜 대상물 가열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제품의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기의 집열기능 수행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기의 활용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기(1)는 전원연결 홀더(2), 발열체(8), 집열 케이스(3), 발열 플레이트(5)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전기연결 홀더(2)는 전기연결 라인(2a)을 매개로 전원과 연결되면서, 발열체(8)를 홀딩(Holding)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전기연결 홀더(2)는 금속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재질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만약, 상기 전기연결 홀더(2)와 연결되는 전원을 휴대형 배터리로 운용할 경우,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본 발명의 발열기기(1) 또는 이 발열기기(1)를 채용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을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열체(8)는 전기연결 홀더(2)에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취하면서, 전기연결 라인(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신속한 발광상태를 이루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체(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램프(8a)(예컨대, 할로겐 램프)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팅코일(8b)일 수도 있다.
이 상황 하에서, 집열 케이스(3)는 전기연결 홀더(2)와 결합된 상태로, 발열체(8)를 수용하면서, 발열체(8)로부터 출력되는 열선(Heat rays)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집열 케이스(3)는 금속재질, 예컨대, 황동재질을 가지게 되며, 이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는 발열체(8)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재질의 보호 플레이트(3a)가 추가 배치된다.
이때, 집열 케이스(3)의 내 측에는 둥글게 굽은 종 형상(Bell shape)을 이루면서, 발열체(8) 측 열선의 전면 집열 반사를 유도하는 집열 반사 유도패턴(6)이 추가 배치되어 있고, 이 집열 반사 유도패턴(6)의 표면에는 열선의 반사를 촉발시키기 위한 반사 레이어(7)가 추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발열체(8) 측으로부터 열선이 출력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반사 레이어(7)로는 은 또는 금이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집열 상황 하에서, 상기 집열 케이스(3) 측에서는 자신의 사이즈 조절을 통해, 발열체(8) 및 발열 플레이트(5) 사이에 형성되는 열선초점거리를 최적으로 조절/정의함으로써, 일련의 집열효과를 최대한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제품 생산주체, 제품 운영주체 측에서는 본 발명의 발열기기(1)가 채용되는 제품의 특성(예컨대, 사이즈, 디자인 등)에 따라, 집열 케이스(3)의 사이즈(예컨대, 폭, 길이 등)를 변형시키고, 이를 통해, 열선의 초점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발열기기(1)의 발열특성을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제품 생산주체, 제품 운영주체 측에서는 별도의 초점거리 커넥터의 배치를 손쉽게 생략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컨대,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 제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이점, 제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이점 등)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집열 케이스(3)의 일부에는 발열 플레이트(5)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3b)이 추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집열 케이스(3)의 최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발열 플레이트(5)는 기저 플레이트(5b)와, 이 기저 플레이트(5b)의 양면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 레이어(5a)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기저 플레이트(5b)의 재질로는 황동, 알루미늄, 석영유리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물질 레이어(5a)의 재질로는 그 열 전도성이 매우 우수한 그래핀(Graphene), 금속성 수소화물(Metallic hydrides),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상기 발열 플레이트(5)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 발열체(8) 측 열선은 발열 플레이트(5)의 일부에 모여 일련의 열선초점을 형성하면서, 해당 지역과 집중적인 접촉을 이룸으로써, 상기 발열 플레이트(5)를 급속하게 순간 가열시키는 급속 가열 메커니즘을 보이게 된다.
물론, 이러한 급속 광 과열 메커니즘 하에서, 열선과의 접촉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의 고온에 갑작스럽게 이르는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집중적인 가열 메커니즘을 통해,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이루는 상황 하에서, 본 발명의 발열기기(1)가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에 채용되는 경우, 해당 제품들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식물 조리, 냉수 가열, 의류 구김 제거, 열풍 출력, 커피 가열, 납땜 대상물 가열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열선의 집중에 의한 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최소공급 상황(예컨대, DC 12V 30W~55W 공급상황 등) 하에서도, 고온(예컨대, 600℃~1200℃)의 순간 발열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발열기기(1)가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등)에 채용되는 경우, 결국,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제품의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전원연결 홀더(2), 발열체(8), 집열 케이스(3), 발열 플레이트(5) 등이 일체로 결합된 매우 심플한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를 여러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에 범용으로 채용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기기(1)의 구조적 제한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 고유의 발열기기(1)가 다양한 제품들에 실제 채용되는 활용 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음식 조리히터(10)에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음식 조리히터(10)의 히팅 플레이트(11)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음식 조리히터(1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 조리히터(10)의 히팅 플레이트(11)는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히팅 플레이트(11)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히팅 플레이트(11)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음식 조리히터(1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히팅 플레이트(11)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음식용기(12) 내의 음식이 안정적으로 조리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온수의 공급을 위한 온수기(2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온수기(20)의 발열 전도튜브(2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온수기(2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기(20)의 발열 전도튜브(2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도튜브(2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도튜브(2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온수기(2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도튜브(2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용수 공급 관(21)을 흐르던 냉수가 발열 전도튜브(22)를 거치면서 온수로 변환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온수의 공급을 위한 보일러(3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보일러(30)의 발열 전도튜브(3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보일러(3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일러(30)의 발열 전도튜브(3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도튜브(3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도튜브(3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보일러(3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도튜브(3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용수 공급 관(31)을 흐르던 냉수가 발열 전도튜브(32)를 거치면서 온수로 변환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온수의 공급을 위한 난방히터(4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난방히터(40)의 발열전달 반사 판(41)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난방히터(4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난방히터(40)의 발열전달 반사 판(41)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전달 반사 판(41)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전달 반사 판(41)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난방히터(4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전달 반사 판(41)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뜨거운 공기가 발열전달 반사 판(41)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효과(물론, 이러한 뜨거운 공기의 출력효과는 발열 플레이트(5)에 의해서도 수행됨)>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의류를 다리기 위한 다리미(5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본체(51)의 발열 전달 판(5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다리미(5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리미(50)의 발열 전달 판(5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5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5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다리미(5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5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드라이어(60)(예컨대, 헤어 드라이어, 해동용 드라이어, 건조용 드라이어 등)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드라이어 본체(61)의 내부에 고정되어 모터(64)의 전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드라이어(6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팬(62) 및 모터(64)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공기(63)는 발열 플레이트(5)를 거치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전환/출력되는 변화를 겪게 되며, 그 결과, 드라이어(60)(예컨대, 헤어 드라이어, 해동용 드라이어, 건조용 드라이어 등)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플레이트(5)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열풍에 의한 헤어 건조 효과, 열풍에 의한 동결된 대상 체의 해동 효과, 열풍에 의한 젖어 있는 대상 체의 건조 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온열 장판(70), 온실용 바닥 체(71) 등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용수 순환 탱크(72) 측 발열 전달 판(74)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온열 장판(70), 온실용 바닥 체(71)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수 순환 탱크(72) 측 발열 전달 판(74)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74)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74)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온열 장판(70), 온실용 바닥 체(71) 등을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74)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용수 순환 관(73)을 흐르는 용수가 가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찜질 방(8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벽체(81) 내부의 발열 전달 판(8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찜질 방(8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8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8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8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찜질 방(80)을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8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뜨거운 가열 공기가 찜질 방(80)의 벽체(81) 내부를 채우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커피포트(9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받침대(91) 내부의 발열 전달 판(9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커피포트(9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9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9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9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커피포트(9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9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본체(93) 내부의 내용물이 신속하게 가열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전기오븐(10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본체(101) 내부의 발열 전달 판(10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전기오븐(10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10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10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10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전기오븐(100)을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10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조리 판(103)에 얹혀진 음식이 신속하게 조리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정수기(11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용수 저장탱크(111)의 발열 전달 판(11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정수기(11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11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11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11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정수기(11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11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용수 저장탱크(111)에 저장되어 있던 용수가 신속하게 가열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튀김 조리기기(12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본체(121)의 발열 전달 판(12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튀김 조리기기(12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12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12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12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튀김 조리기기(12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12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본체(121) 내에 저장되어 있던 식용 기름이 가열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찜통 기기(13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본체(131)의 발열 전달 판(13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찜통 기기(13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13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13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13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찜통 기기(13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13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본체(131) 내에 위치하고 있던 음식(또는, 음식의 원 재료)이 신속하게 쪄지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납땜기(14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본체(141)의 발열 전달 판(142)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납땜기(14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142)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142)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142)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납땜기(140)를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142)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납땜 대상물을 타겟으로 하는 납땜진행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다양한 유형의 발전기 시스템(15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증기 발생모듈(152)에 구비된 발열 전달 판(151)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발전기 시스템(150)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 전달 판(151) 역시,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발열 전달 판(151)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전달 판(151)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발열 전달 판(151)이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이루게 되면, 증기 발생모듈(152)에 채워져 있던 액체는 발열 전달 판(151)의 가열작용에 의해 증기로 변환된 후, 증기출력포트(153)를 통해 발전 팬(154) 측으로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보이게 되며, 결국, 발전 팬(154)이 증기출력포트(153) 측 출력증기와의 충돌을 통해 빠른 회전을 이루게 되면, 이와 연결된 발전기(155)는 그에 상응하는 전력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발전기 시스템(150)을 사용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발열 전달 판(151)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일련의 전력 생산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빵의 조리를 위한 토스트기(160)에도 융통성 있게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발열기기(1)는 예컨대, 토스트기(160)의 본체(161) 내에 배치된 히팅 플레이트(163,164,165)를 공용으로 연결하는 열 전달체(166)에 자신의 발열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토스트기(160)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스트기(160)의 히팅 플레이트(163,164,165), 열 전달체(166) 등은 상황에 따라, 기저 플레이트(예컨대, 황동 플레이트)에 전도성 물질 레이어(예컨대, 그래핀 레이어, 금속성 수소화물 레이어, 탄소 나노튜브 레이어 등)가 코팅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발열기기(1) 측으로 전원(예컨대, DC 12V 30W, DC 12V 50W 등)이 공급되면, 발열체(8)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은 집열 케이스(3) 측 집열 반사 유도 패턴(6) 및 반사 레이어(7)의 작용에 따라, 그 확산 폭에 제한을 받으면서, 신속한 반사 반응을 일으켜, 발열체(8) 및 집열 케이스(3)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던 발열 플레이트(5) 측에 집중적으로 모여드는 일련의 집열절차를 겪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집열절차 하에서, 발열 플레이트(5) 측 기저 플레이트(5b), 전도성 물질 레이어(5a) 등을 구성하고 있던 원자들은 열선과의 집중적인 충돌에 의해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 플레이트(5) 측에서는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가열 메커니즘에 따라, 발열 플레이트(5)가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루게 되는 경우, 발열 플레이트(5)와 접촉되어 있던 열 전달체(166) 측 구성원자들, 나아가, 히팅 플레이트(163,164,165) 측 구성원자들 역시,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발열 플레이트(5) 측 발열상황에 상응하는 대규모의 불규칙한 진동을 격렬하게 일으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열 전달체(166), 히팅 플레이트(163,164,165) 측 역시, 600℃~1200℃에 이르는 고온의 순간적 발열상태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빵 투입구(162)를 통해 빵을 조리하는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열 전달체(166), 히팅 플레이트(163,164,165)의 가열상태를 기반으로 하면서, <빵이 안정적으로 조리되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원연결 홀더(2)>, <전원연결 홀더(2)에 결합된 발열체(8)>, <전원연결 홀더(2)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8)를 수용하면서, 상기 발열체(8)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8)의 전면으로 집열시킬 수 있는 집열 케이스(3)>, <집열 케이스(3)의 최 전면에 배치되면서, 발열체(8)의 전면에 집열된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고온의 발열상태를 즉석에서 이룰 수 있는 발열 플레이트(5)> 등으로 이루어져, 각종 제품에 범용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열선의 집중에 의한 열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최소공급 상황(예컨대, DC 12V 30W~55W 공급상황 등) 하에서도, 고온(예컨대, 600℃~1200℃)의 순간 발열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발열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이 발열수단을 채용한 다양한 제품들(예컨대, 음식 조리히터, 온수기, 보일러, 난방히터, 다리미, 드라이어, 커피포트, 정수기, 납땜기, 토스트기 등) 측에서는,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발열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식물 조리, 냉수 가열, 의류 구김 제거, 열풍 출력, 커피 가열, 납땜 대상물 가열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제품 생산주체, 제품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제품의 소비전력 증가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전기에너지/열에너지/열 에너지 등의 효율적 활용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발열기기
2: 전기연결 홀더
3: 집열 케이스
3b: 열 방출 홀
5: 발열 플레이트
6: 집열 반사 유도패턴
7: 반사 레이어
8: 발열체
8a: 램프
8b: 히팅코일

Claims (7)

  1. 전원연결 홀더와;
    상기 전원연결 홀더에 결합된 발열체와;
    상기 전원연결 홀더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를 수용하며, 상기 발열체로부터 출력되는 열선을 반사시켜, 상기 발열체의 전면으로 집열시키는 집열 케이스와;
    상기 집열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전면에 집열된 상기 열선과의 접촉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 플레이트는 기저 플레이트와;
    상기 기저 플레이트의 양면에 코팅된 전도성 물질 레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저 플레이트는 황동, 알루미늄, 또는, 석영유리 재질을 가지며, 상기 전도성 물질 레이어는 그래핀(Graphene) 재질, 금속성 수소화물(Metallic hydrides) 재질, 또는,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 케이스는 사이즈의 조절을 통해, 상기 발열체 및 발열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열선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 케이스의 일부에는 상기 발열 플레이트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 케이스의 내 측에는 종 형상(Bell shape)을 이루면서, 상기 열선의 전면 집열 반사를 유도하는 집열 반사 유도패턴이 추가 배치되며, 상기 집열 반사 유도패턴의 표면에는 열선의 반사를 촉발시키기 위한 반사 레이어가 추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램프 또는 히팅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기.
KR1020170006188A 2017-01-13 2017-01-13 발열기기 KR10189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88A KR101891238B1 (ko) 2017-01-13 2017-01-13 발열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88A KR101891238B1 (ko) 2017-01-13 2017-01-13 발열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642A KR20180083642A (ko) 2018-07-23
KR101891238B1 true KR101891238B1 (ko) 2018-08-24

Family

ID=6310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188A KR101891238B1 (ko) 2017-01-13 2017-01-13 발열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60B1 (ko) 2001-02-06 2004-07-30 유웅상 즉석 가열식 식품용 발열 조성체
KR100674704B1 (ko) 2004-12-14 2007-01-25 김형우 순간 가열 방식의 다리미 발열 장치
KR101188229B1 (ko) 2009-06-03 2012-10-05 송병율 즉석 발열 용기
KR20150089190A (ko) 2014-01-27 2015-08-05 이장우 기둥형 발열유닛이 구비되는 순간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642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949B2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US7610701B2 (en) Iron with actively cooled soleplate
EP3634087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CN209863297U (zh) 一种立体加热多功能烹调锅
KR101626303B1 (ko) 조리기기
EP3911896A1 (en) A water guiding apparatus
US8242415B2 (en) Product warming apparatus
KR101891238B1 (ko) 발열기기
JP2008241062A (ja) 加熱調理装置
JP2008241062A5 (ko)
KR101774407B1 (ko) 발열기기
JP2008281302A (ja) 加熱調理装置
TWI519266B (zh) An energy-saving electric vaporization method apparatus and an electric heating sheet used therefor
CN205939061U (zh) 一种石英管即时过热蒸汽发生器
CN208113006U (zh) 多士炉及易清洁的安全发热装置
CN207492651U (zh) 一种带高频加热产生蒸汽的蒸烤炉
CN207555663U (zh) 一种发热盘电炉
CN207461924U (zh) 烹饪器具
CN201093572Y (zh) 一种微波炉
KR100735697B1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CN205514049U (zh) 内锅及烹饪器具
JP2000041852A (ja) 加熱調理装置
CN212346216U (zh) 厨房电器组合及烹饪器具
CN108449816A (zh) 多士炉及易清洁的安全发热装置
CN106473611A (zh) 电磁加热隔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