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158B1 -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158B1
KR101891158B1 KR1020170114207A KR20170114207A KR101891158B1 KR 101891158 B1 KR101891158 B1 KR 101891158B1 KR 1020170114207 A KR1020170114207 A KR 1020170114207A KR 20170114207 A KR20170114207 A KR 20170114207A KR 101891158 B1 KR101891158 B1 KR 10189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ion facility
event
fabric produc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열
Original Assignee
김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열 filed Critical 김일열
Priority to KR102017011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물 생산설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감지 신호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정보관리부; 상기 생성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EVENT DETECTION DEVICE OF FABRIC PRODUCTION FACILITY}
본 발명은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생산설비 이벤트 검출 장치가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직물 생산설비에 사용되는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들은, 직물 생산설비 관리를 위해 기능별 감지 센서를 부착하고, 검출된 감지 신호를 시그널 램프로 유선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는 문제점이 있다.
우선,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는 감지 신호를 유선으로만 전송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는 단순한 조명 신호(예컨대, 적색 및 녹색 점등 등) 기능에 그쳐, 다양한 상황에 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는 결함이 발생한 부품에 대한 정보 파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결함이 발생될 때마다 사용자가 직물 생산설비의 결함 발생 부품을 파악하고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해 결함 부품을 찾아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종래의 기능별 감지 센서의 단점을 해소하고, 종래의 감지 센서 보다 편리한 직물 생산설비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물 생산설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감지 신호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정보관리부; 상기 생성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상기 생성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 관리 중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 하여,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해 움직이는 사용자의 동선을 줄여줄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의 예시적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이벤트를 감지하는 상세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상세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은 경사 절단, 위사 절단 및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생산물의 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물의 결점은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오작동이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동작정보'는 '이상적인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동작정보'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판단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등의 이벤트를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물이 생산되는 위치에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물 생산설비에 구비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생산물을 모니터링하고,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생산물의 불량생산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사전 저장된 표준생산물정보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이 생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의 특정 부위 및/또는 전체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이상적인 생산물의 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상기 생산물의 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생산물의 정상 및 불량을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전술한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이벤트감지정보는 사용자에게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이벤트감지정보는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되는 알림패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시그널 램프(2000)에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점등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점등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휴대용 단말기(3000)에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되는 이벤트감지정보는 복수 개의 직물 생산설비 중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를 식별 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200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이벤트'는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알림패턴정보는 점등 패턴 정보 및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점등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시그널 램프(2000)가 점등되는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턴과 같은 패턴으로 점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점등 패턴 정보와 같은 패턴을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제 1 화면에 적색 표시'가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점등 패턴 정보는 '제 1 램프에 적색 점등'이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일 실시예이며,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순서 및/또는 색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색상, 순서 및 텍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3000)는 손목 밴드형 휴대용 단말기, 벨트 착용형 휴대용 단말기 및 사용자가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전송하는 이벤트감지정보에 포함된 알림패턴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휴대용 장치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상기 생성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 관리 중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 하여,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해 움직이는 사용자의 동선을 줄여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의 예시적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제어부(1100), 통신부(1200) 및 저장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0)는 감지센서부(1110) 및 감지정보관리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센서부(1110)는 생산물감지부(1111), 생산설비감지부(1112) 및 작업완료감지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1110)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부(1110)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은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생산물의 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물의 결점은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오작동이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특정 시간(예컨대, 3분, 5분, 10분, 30분 및 실시간 등)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 온도 범위가 50℃-70℃이고, 생산설비감지부(1112)가 획득한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온도 수치가 75℃인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적정 온도 범위(50℃-70℃)와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온도 수치(75℃)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난 온도 수치에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동작정보'는 '이상적인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동작정보'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판단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등의 이벤트를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물이 생산되는 위치에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생산물감지부(1111)는 생산물을 모니터링하고,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생산물의 불량생산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산물감지부(1111)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생산물정보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이 생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직물(생산물)의 적정 무게 범위가 10oz-11.5oz이고, 생산물감지부(1111)가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의 무게 수치가 13oz인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적정 무게 범위(10oz-11.5oz)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무게 수치(13oz)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적정 무게 범위를 벗어난 무게 수치에 따라서 불량생산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의 특정 부위 및/또는 전체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이상적인 생산물의 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상기 생산물의 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생산물의 정상 및 불량을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불량생산물 중 적어도 하나(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킨 부품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감지된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직물의 구멍(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의 부품(예컨대, 경사 및 위사 등을 제공하는 부품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수리 및/또는 교체 해야할 부품(예컨대, 실패 꽂이 축 등)에 대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상기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작동분석부(1122)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이 감지된 경우,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작동분석부(1122)는 감지된 오작동에 기초하여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상기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이 감지된 경우, 오작동분석부(1122)는 결함이 발생한 부품(예컨대, 직물 생산설비의 모터에 들어가는 전력 공급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할 부품(예컨대, 새 전력 공급선)에 대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상기 결함부품정보를 포함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알림패턴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탐색된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시그널 램프(2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그널 램프(2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결함부품정보 및 점등 패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복수 개의 직물 생산설비 중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를 식별 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결함부품정보,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 및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200)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0)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200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결함부품정보는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을 발생시킨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함부품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발생시킨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이벤트'는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알림패턴정보는 점등 패턴 정보 및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점등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시그널 램프(2000)가 점등되는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턴과 같은 패턴으로 점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점등 패턴 정보와 같은 패턴을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제 1 화면에 적색 표시'가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점등 패턴 정보는 '제 1 램프에 적색 점등'이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일 실시예이며,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순서 및/또는 색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색상, 순서 및 텍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3000)는 손목 밴드형 휴대용 단말기, 벨트 착용형 휴대용 단말기 및 사용자가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전송하는 이벤트감지정보에 포함된 알림패턴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휴대용 장치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감지(S100)단계,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0)단계 및 이벤트감지정보 전송(S30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감지(S100)단계에서, 감지센서부(1110)는 생산물감지부(1111), 생산설비감지부(1112) 및 작업완료감지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1110)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부(1110)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은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생산물의 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물의 결점은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오작동이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특정 시간(예컨대, 3분, 5분, 10분, 30분 및 실시간 등)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 온도 범위가 50℃-70℃이고, 생산설비감지부(1112)가 획득한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온도 수치가 75℃인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적정 온도 범위(50℃-70℃)와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온도 수치(75℃)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난 온도 수치에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동작정보'는 '이상적인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동작정보'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판단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등의 이벤트를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물이 생산되는 위치에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생산물감지부(1111)는 생산물을 모니터링하고,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생산물의 불량생산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산물감지부(1111)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생산물정보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이 생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직물(생산물)의 적정 무게 범위가 10oz-11.5oz이고, 생산물감지부(1111)가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의 무게 수치가 13oz인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적정 무게 범위(10oz-11.5oz)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무게 수치(13oz)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적정 무게 범위를 벗어난 무게 수치에 따라서 불량생산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의 특정 부위 및/또는 전체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이상적인 생산물의 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상기 생산물의 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생산물의 정상 및 불량을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0)단계에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불량생산물 중 적어도 하나(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킨 부품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감지된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직물의 구멍(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의 부품(예컨대, 경사 및 위사 등을 제공하는 부품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수리 및/또는 교체 해야할 부품(예컨대, 실패 꽂이 축 등)에 대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상기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작동분석부(1122)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이 감지된 경우,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작동분석부(1122)는 감지된 오작동에 기초하여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상기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이 감지된 경우, 오작동분석부(1122)는 결함이 발생한 부품(예컨대, 직물 생산설비의 모터에 들어가는 전력 공급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할 부품(예컨대, 새 전력 공급선)에 대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상기 결함부품정보를 포함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알림패턴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탐색된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시그널 램프(2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그널 램프(2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결함부품정보 및 점등 패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복수 개의 직물 생산설비 중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를 식별 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결함부품정보,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 및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감지정보 전송(S300)단계에서, 통신부(1200)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0)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200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0)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200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결함부품정보는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을 발생시킨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함부품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발생시킨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이벤트'는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알림패턴정보는 점등 패턴 정보 및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점등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시그널 램프(2000)가 점등되는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턴과 같은 패턴으로 점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점등 패턴 정보와 같은 패턴을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제 1 화면에 적색 표시'가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점등 패턴 정보는 '제 1 램프에 적색 점등'이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일 실시예이며,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순서 및/또는 색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색상, 순서 및 텍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3000)는 손목 밴드형 휴대용 단말기, 벨트 착용형 휴대용 단말기 및 사용자가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전송하는 이벤트감지정보에 포함된 알림패턴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휴대용 장치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이벤트를 감지하는 상세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감지(S100)단계는 생산물의 상태정보 획득(S101-1)단계,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와 표준생산물정보 비교(S101-2)단계 및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 획득(S102-1)단계,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와 표준동작정보 비교(S102-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00 단계는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감지(S10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산물의 상태정보 획득(S101-1)단계 및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와 표준생산물정보 비교(S101-2)단계에서, 감지센서부(1110)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부(1110)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불량생산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은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생산물의 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물의 결점은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물이 생산되는 위치에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생산물감지부(1111)는 생산물을 모니터링하고,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생산물의 불량생산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산물감지부(1111)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생산물정보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이 생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직물(생산물)의 적정 무게 범위가 10oz-11.5oz이고, 생산물감지부(1111)가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의 무게 수치가 13oz인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적정 무게 범위(10oz-11.5oz)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무게 수치(13oz)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적정 무게 범위를 벗어난 무게 수치에 따라서 불량생산물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자세한 예를 들면,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직물의 구멍 위치의 특정 좌표'가 'A, B'이고, 생산물감지부(1111)가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직물의 구멍 위치의 특정 좌표'가 'C, B'인 경우, 생산물감지부(1111)는 상기 표준생산물정보에 포함된 좌표 'A, B'와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좌표 'C, B'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감지부(1111)는 X축이 'A' 와 'C'로 상이한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이한 비교 결과에 따라서 불량생산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생산물의 특정 부위 및/또는 전체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이상적인 생산물의 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생산물정보'는 상기 생산물의 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생산물의 정상 및 불량을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 획득(S102-1)단계,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와 표준동작정보 비교(S102-2)단계에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오작동이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특정 시간(예컨대, 3분, 5분, 10분, 30분 및 실시간 등)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 온도 범위가 50℃-70℃이고, 생산설비감지부(1112)가 획득한 동작상태정보의 온도 수치가 75℃인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적정 온도 범위(50℃-70℃)와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온도 수치(75℃)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난 온도 수치에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자세한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 운용 시간은 3시간이고, 생산설비감지부(1112)가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운용 시간이 2시간30분인 경우,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상기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적정 운용 시간(3시간)과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2시간30분)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설비감지부(1112)는 적정 운용 시간에 부합하지 않는 운용 시간에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표준동작정보'는 '이상적인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로서 사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표준동작정보'는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판단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등의 이벤트를 결정하는데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 감지(S103)단계에서,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시간은 5시간이고, 작업완료감지부(1113)가 획득한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에 포함된 직물 생산설비의 운용 시간이 5시간인 경우,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상기 표준동작정보에 포함된 작업완료 시간(5시간)과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5시간)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작업완료감지부(1113)는 작업완료 시간에 부합한 운용 시간에 따라서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상세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0)단계는,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 탐색(S201-1)단계, 점등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1-2)단계,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 탐색(S202-1)단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2-2)단계,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 생성(S203-1)단계 및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 생성(S203-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알림패턴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탐색된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 탐색(S201-1)단계 및 점등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1-2)단계에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시그널 램프(2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그널 램프(2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결함부품정보 및 점등 패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 탐색(S202-1)단계 및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 생성(S202-2)단계에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저장부(1300)에 사전 저장된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전술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가 생성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에 알림패턴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복수 개의 직물 생산설비 중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를 식별 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0)에 전송될 이벤트감지정보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결함부품정보,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 및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 이벤트 검출 장치(1000)가 복수 개의 직물 생산설비를 관리하는 경우, 각각의 직물 생산설비 별로 식별 번호(예컨대, 1 내지 10)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의 식별 번호(예컨대, 3)가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도록 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불량생산물분석부(1121) 및 오작동분석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불량생산물 중 적어도 하나(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를 발생시킨 부품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관리부(1120)는 상기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 생성(S203-1)단계에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감지된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직물의 찢어짐(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결함이 발생한 직물 생산설비의 부품(예컨대, 경사 및 위사 등을 제공하는 부품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수리 및/또는 교체 해야할 부품(예컨대, 실패 꽂이 축 등)에 대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불량생산물분석부(1121)는 상기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 생성(S203-2)단계에서, 오작동분석부(1122)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이 감지된 경우,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작동분석부(1122)는 감지된 오작동에 기초하여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하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상기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이 감지된 경우, 오작동분석부(1122)는 결함이 발생한 부품(예컨대, 직물 생산설비의 모터에 들어가는 전력 공급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수리 및/또는 교체해야 할 부품(예컨대, 새 전력 공급선)에 대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오작동분석부(1122)는 상기 결함부품정보를 포함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감지정보 전송(S300)단계에서, 도 3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200)는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0)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200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0)가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그널 램프(2000) 및 휴대용 단말기(3000)로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100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된 시그널 램프(2000)와 통신 선로를 통하여 이벤트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전술한 결함부품정보는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을 발생시킨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함부품정보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발생시킨 부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은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및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생산물의 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물의 결점은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이벤트'는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직물의 구멍, 직물의 찢어짐 및 직물의 무게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알림패턴정보는 점등 패턴 정보 및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점등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시그널 램프(2000)가 점등되는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턴과 같은 패턴으로 점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생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 별로 사전 저장되며,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서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점등 패턴 정보와 같은 패턴을 휴대용 단말기(3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제 1 화면에 적색 표시'가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생산설비 정지'와 관련된 이벤트에 매칭된 점등 패턴 정보는 '제 1 램프에 적색 점등'이 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일 실시예이며,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시그널 램프(2000)에 점등되는 순서 및/또는 색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등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0)에 디스플레이 되는 색상, 순서 및 텍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생산물에서 발생한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떤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3000)는 손목 밴드형 휴대용 단말기, 벨트 착용형 휴대용 단말기 및 사용자가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가 전송하는 이벤트감지정보에 포함된 알림패턴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떤 휴대용 장치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의 단계는 필요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 및/또는 구성이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계 및/또는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로서,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정보관리부;
    상기 생성된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정보관리부는,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된 경우, 감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전 저장된 알림패턴정보를 포함한 이벤트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전 저장된 알림패턴정보는,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 및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알림패턴정보가 포함된 이벤트감지정보는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어 표시되며,
    상기 이벤트 별 점등 패턴 정보 및 이벤트 별 디스플레이 패턴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 중 각각의 이벤트 별로 사전 매칭되며, 하나의 이벤트에 대하여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에 동일한 패턴을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물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직물 찢어짐, 직물 구멍 및 직물 무게 이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위사 절단, 경사 절단, 전기적 이상으로 인한 직물 생산설비 정지, 직물 생산설비의 적정온도 초과, 직물 생산설비의 생산속도 이상 및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직물 생산설비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생산설비감지부는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특정 시간 간격으로 획득하며,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정보관리부는:
    상기 감지된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하는 작동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 생산설비의 오작동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는 이벤트감지정보에 포함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불량생산물을 감지하는 생산물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물감지부는 직물 생산설비에서 생산되는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며, 사전 저장된 표준생산물정보와 상기 획득한 생산물의 상태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불량생산물을 감지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불량생산물이 감지된 경우,
    상기 감지정보관리부는:
    상기 감지된 불량생산물에 기초하여, 상기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를 생성하는 생산물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불량생산물과 관련된 결함부품정보는 이벤트감지정보에 포함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전송 및 무선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상기 이벤트감지정보를 시그널 램프 및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작업완료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완료감지부는 직물 생산설비의 동작상태정보를 특정 시간 간격으로 획득하며, 사전 저장된 표준동작정보와 상기 획득한 동작상태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직물 생산설비의 작업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10. 삭제
KR1020170114207A 2017-09-07 2017-09-07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KR10189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07A KR101891158B1 (ko) 2017-09-07 2017-09-07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07A KR101891158B1 (ko) 2017-09-07 2017-09-07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158B1 true KR101891158B1 (ko) 2018-08-23

Family

ID=6345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07A KR101891158B1 (ko) 2017-09-07 2017-09-07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1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6739A1 (en) * 2014-07-31 2016-02-04 MARZOLI MACHINES TEXTILE S.r.l.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parameters of textile machinery and method of predictive mainten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6739A1 (en) * 2014-07-31 2016-02-04 MARZOLI MACHINES TEXTILE S.r.l. System for monitoring physical parameters of textile machinery and method of predictive mainte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86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n industrial installation
US20070297557A1 (en) Pla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la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105047A (zh) 一种运维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7159501A1 (ja) 表示装置及びプラント機器状態収集システム
CN108983709A (zh) 制造装置监视系统和制造装置
JP2023079230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プラント
KR101891158B1 (ko) 직물 생산설비의 이벤트 검출 장치
JP2013117812A (ja) プラント監視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監視情報表示装置、プラント監視情報表示方法
JP2017167761A (ja) 表示装置及びプラント機器状態収集システム
KR101354854B1 (ko) 시스템의 알람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JP2019209426A (ja) ロボット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状態監視方法
CN107305359B (zh) 用于测定设施的干扰的诊断工具和诊断方法
US10955829B2 (en) System and a method to enable zero defect production
KR102436479B1 (ko) 공작설비 이상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3075477A (zh) 一种显示面板的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检测系统
JP2017098834A (ja) 集中管理装置および通信障害要因解析方法
JP2011154607A (ja) 誤動作を防止する機能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CN111739185A (zh) 一种无感定位的巡检方法及装置
JP2020096511A (ja) 盤装置
EP3461102B1 (en) Notification control device, notification control system,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182738B1 (ja) 工場内監視装置及び工場内監視方法
US11783683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390457B1 (ja) 照明制御・状態監視システム
WO201605258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