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79B1 - 의료기기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79B1
KR101890879B1 KR1020170012198A KR20170012198A KR101890879B1 KR 101890879 B1 KR101890879 B1 KR 101890879B1 KR 1020170012198 A KR1020170012198 A KR 1020170012198A KR 20170012198 A KR20170012198 A KR 20170012198A KR 101890879 B1 KR101890879 B1 KR 10189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upply
flow path
cleaning means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750A (ko
Inventor
이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노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노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노셈
Priority to KR102017001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79B1/ko
Priority to PCT/KR2018/000964 priority patent/WO2018139821A1/ko
Publication of KR2018008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세척기본체 및 상기 세척기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되, 일단에는 외부에서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단이 상기 공간부에 공급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급챔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챔버부의 공급구에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제 1 공급관, 제 2 공급관 및 제 3 공급관이 구비되되, 상기 공급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공급관 내지 제 3 공급관과 연계되는 제 1 유로,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1 공급관과 연계되고, 상기 제 1 유로 내지 제 3 유로를 유동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상기 공급챔버부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분하기 위한 경계부에 유도되어 상기 경계부의 상부에서 동시에 혼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토출구에 유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기기용 세척기에 공급챔버부, 가열수조부 및 임펠라부가 구비됨으로써, 세척대상 의료기기를 살균 및 세척하기 때문에 병균을 박멸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 원인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세척기{The Washing device for medical appliances}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기기를 효율적으로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의료기기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의원에서 진단 및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환자 진료 후에 각종 병원균 및 타액 등이 묻으므로, 다음에 진료받는 환자에게 2차 감염의 위험이 있다.
특히, 의료기기에 남아있는 혈액은 진료하는 의사 및 간호사 등의 치료진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환자를 치료한 이후에 반드시 사용한 의료기기를 세척하여 멸균을 해야 한다.
종래에는 의료기기를 세척하기 위해 고압 및 고온을 이용한 멸균기를 사용했으며, 이러한 고압 및 고온 멸균기는 살균을 위한 시간이 30분 이상으로 오래 걸리고 살균작업과는 별도의 세척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걸림과 동시에 번거로웠다.
더욱이, 고압 및 고온의 멸균기를 사용하지 않는 곳에서는 알코올 솜을 이용해서 살균을 하기도 하지만, 알코올의 경우 살균력이 고압 및 고온 멸균기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아서 실제로 살균력이 미미했기 때문에 병의원에서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살균작업을 진행하는 멸균 세척기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433962호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 실용신안의 세척장치는, 선택모드를 통해 각 모듈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세척대상을 세척하게 되지만, 공급수와 더불어 세척제 또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각 모듈 동작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많으며 그에 따른 전체 설비의 공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다.
또한, 열선이 직선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열선 공간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기기를 효율적으로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의료기기용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세척기본체 및 상기 세척기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되, 일단에는 외부에서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단이 상기 공간부에 공급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급챔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챔버부의 공급구에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제 1 공급관, 제 2 공급관 및 제 3 공급관이 구비되되, 상기 공급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공급관 내지 제 3 공급관과 연계되는 제 1 유로,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1 공급관과 연계되고, 상기 제 1 유로 내지 제 3 유로를 유동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상기 공급챔버부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분하기 위한 경계부에 유도되어 상기 경계부의 상부에서 동시에 혼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토출구에 유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챔버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단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열수조부는, 내부에서 상호 연통되는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부에 결합되는 메인커버 및 상기 제 2 개구부에 결합되는 서브커버를 갖는 수조탱크 및 상기 수조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단에 열을 전달하도록 권취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메인커버에는 각각 구동축이 더 마련되며, 상기 서브커버의 양단이 상기 히터부재의 양 끝단에 결합되되, 상기 서브커버의 일측에는 과열 방지를 위한 바이메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수조부를 통해 가열된 세척수단을 상기 공간부에 분사하기 위한 임펠라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임펠라부는, 상기 메인커버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 임펠라 및 상기 제 1 임펠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임펠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임펠라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커버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특정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펠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 임펠라의 일단에는 상기 공간부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특정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라 및 제 2 임펠라의 양 끝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캡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탈착가능하도록 클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챔버부의 공급구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공급수, 세척제 및 첨가제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기기용 세척기에 공급챔버부, 가열수조부 및 임펠라부가 구비됨으로써, 세척대상 의료기기를 살균 및 세척하기 때문에 병균을 박멸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 원인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기기용 세척기는 공급챔버부를 통해 공급수, 첨가제 및 세척제의 세척수단을 동시에 혼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혼합설비의 역할을 제공함으로써, 공급챔버부의 공간 및 그 구성품이 최적화를 이루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경제적이다.
또한, 의료기기용 세척기는 가열수조부를 통해 세척수단을 항상 상온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세척수단을 통한 소독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열전도율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과열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기용 세척기는 임펠라부를 통해 세척대상 의료기기의 모든 면에 세척수단을 분사함으로써, 효율적인 의료기기의 소독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세척기본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세척제 및 첨가제를 세척하여 다른 세척대상 의료기기의 소독을 위한 세척제 및 첨가제와의 희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결합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에서 케이스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공급챔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챔버부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가열수조부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가열수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임펠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펠라부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선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가 세척대상 의료기기를 살균 및 세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결합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에서 케이스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이하 세척기, 100)는 의료기기(미도시)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설비로써, 세척기본체(110), 공급챔버부(120), 가열수조부(130) 임펠라부(14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세척기본체(110)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으로 구현되어 그 내부에 공간부(111)를 갖되, 세척기본체(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케이스(100a)가 더 포함된다.
세척기본체(110)의 일면은 외부에서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서 이루어지는 구동을 관찰가능하도록 개구된다.
이때, 세척기본체(110)의 일면에는 세척기(100)가 구동되는 동안에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된 세척수단이 외부로 토출됨이 방지되도록 투명커버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챔버부(120)는 세척기본체(110)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을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토출함이 용이하도록 세척기본체(110)의 외부 일측에 배치된다.
공급챔버부(120)의 일단에는 외부에서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121)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급구(121)에 서로 다른 세척수단이 공급되도록 제 1 공급관(121a) 내지 제 3 공급관(121c)이 구비된다.
공급챔버부(120)의 공급구(121)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공급수, 세척제 및 첨가제이며, 특히, 첨가제에는 중화제, 윤활제 및 소독제 등의 세척수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공급챔버부(120)의 타단에는 공급구(121)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단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되기 위한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공급챔버부(120)는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세척수단을 공급하도록 세척기본체(110)에 배치되되, 가열수조부(130)를 통한 열 전달효율이 세척수단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가 가열수조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를 통해 세척수단 및 외부에서 세척수단과 함께 불필요하게 공급된 일부 공기가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토출되므로,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는 세척수단 및 일부 공기의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선반부(150)보다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열수조부(130)는 좁은 공간에서도 열 전달효율이 최대화되도록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 하단에 배치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임펠라부(140)는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서 의료기기의 전체 표면에 가열수조부(130)를 통해 특정 온도로 가열된 세척수단이 분사되도록 가열수조부(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임펠라부(140)는 가열수조부(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로 이루어진다.
즉, 임펠라부(140)의 제 1 임펠라(141)는 가열수조부(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구동되면서 세척수단을 상방으로 분사한다.
임펠라부(140)의 제 2 임펠라(142)는 가열수조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되,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 상단에 형성된 구동축(112)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세척수단을 하방으로 분사한다.
이때, 임펠라부(140)의 제 2 임펠라(142)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단은, 세척기본체(110)에 구비된 연결관(미도시)을 유동하여 제 2 임펠라(142)에 공급된다.
선반부(150)는 의료기기가 안착되어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단이 의료기기의 전체 표면에 분사되도록 구비된다.
선반부(150)는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의 양단에 슬라이드식으로 안착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160)는 조작패널이 형성된 채, 세척기본체(110)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세척기본체(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전술한 공급챔버부(120), 가열수조부(130) 및 임펠라부(140)의 각 구동이 제어되도록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계된다.
즉, 제어부(160)는 공급챔버부(12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다른 세척수단이 각각 일정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며, 특히, 동작시간을 제어하여 세척수단이 특정 시간에 일정량을 바탕으로 하여 공급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제어부(160)는 가열수조부(13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가열수조부(130)를 통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저장된 세척수단이 특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온도 제어를 한다.
제어부(160)는 임펠라부(14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되, 임펠라부(140)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세척수단을 상방 및 하방으로 분사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세척기본체(110)에는 세척수단의 일정한 양이 유동되도록 구비된 도징펌프 및 세척수단이 올바르게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펌프가 더 마련된다.
세척기본체(110)에는 세척수단을 통해 세척 및 소독 작업이 완료된 의료기기의 완전 건조를 위한 건조수단이 마련되되, 이러한 건조수단은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건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 공기 순환시스템으로 구현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공급챔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챔버부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공급챔버부(120)는 전체 구조가 일체화를 이룬 형상으로 구현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에 공급구(121)가 형성된 제 1 본체(미도시) 및 타단에 토출구(122)가 형성된 제 2 본체(미도시)로 이분화되어 하나의 결합체를 이룰 수 있다.
공급챔버부(120)의 공급구(121)에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제 1 공급관(121a) 내지 제 3 공급관(121c)이 구비된다.
이때, 공급챔버부(120)의 공급구(121)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공급수, 세척제 및 첨가제이며, 특히, 첨가제에는 중화제, 윤활제 및 소독제 등의 세척수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공급챔버부(120)의 내부에는 제 1 공급관(121a) 내지 제 3 공급관(121c)과 연계되는 제 1 유로(123a) 내지 제 3 유로(123c)가 형성된다.
제 1 유로(123a) 내지 제 3 유로(123c)를 유동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공급챔버부(120)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분하도록 형성된 경계부(124)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서 동시에 혼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토출구(122)에 유동된다.
이때, 세척수단과 함께 섞인 일부 공기가 토출구(122)를 통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배출된다.
세척수단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단, 제 1 공급관(121a) 내지 제 3 공급관(121c)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의 각 순서가 후술될 공급수, 첨가제 및 세척제로 한정하진 않는다.
예컨대, 공급구(121)의 제 1 공급관(121a)에 서로 다른 세척수단 중 하나인 공급수가 공급된 경우, 공급수는 제 1 공급관(121a)에서 연장형성되어 공급챔버부(120)의 내부에 특정 경로로 마련된 제 1 유로(123a)를 따라 경계부(124)의 상부까지 유동된다.
공급수는 경계부(124)의 상부까지 유동된 후 토출되어 경계부(124)의 유도를 통해 토출구(122)에 유동되며, 이를 통해, 공급수가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공급된다.
공급구(121)의 제 2 공급관(121b)에 서로 다른 세척수단 중 하나인 첨가제가 공급된 경우, 첨가제는 제 2 공급관(121b)에서 연장형성되어 공급챔버부(120)의 내부에 특정 경로로 마련된 제 2 유로(123b)를 따라 경계부(124)의 상부까지 유동된다.
첨가제는 경계부(124)의 상부까지 유동된 후 토출되어 경계부(124)의 유도를 통해 토출구(122)로 유동되며, 이를 통해, 첨가제가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공급된다.
공급구(121)의 제 3 공급관(121c)에 서로 다른 세척수단 중 하나인 세척제가 공급된 경우, 세척제는 제 3 공급관(121c)에서 연장형성되어 공급챔버부(120)의 내부에 특정 경로로 마련된 제 3 유로(123c)를 따라 경계부(124)의 상부까지 유동된다.
세척제는 경계부(124)의 상부까지 유동된 후 토출되어 경계부(124)를 통해 토출구(122)로 유동되며, 이를 통해, 세척제가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 공급된다.
한편, 제 1 공급관(121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는, 순수한 물로 이루어진 세척수단으로써, 제 2 공급관(121b) 및 제 3 공급관(121c)에 공급되는 다른 세척수단과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유로(123a)를 통해 유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가열수조부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가열수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가열수조부(130)는 세척수단에 열을 전도하여 공간 사용률이 최대화되도록 수조탱크(131) 및 히터부재(136)를 포함한다.
수조탱크(131)는 그 내부에서 상호 연통되는 제 1 개구부(132) 및 제 2 개구부(133)가 형성되되, 제 1 개구부(132)의 둘레에 결합되는 메인커버(134) 및 제 2 개구부(133)의 둘레에 결합되는 서브커버(135)를 갖는다.
이때, 제 1 개구부(132)와 메인커버(134) 및 제 2 개구부(133)와 서브커버(135)가 상호 결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130a, 13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메인커버(134)에는 구동축(134a)이 마련되며, 구동축(134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 임펠라(141)가 구현된다.
서브커버(135)는 그 양단이 히터부재(136)의 양 끝단에 결합되되, 서브커버(135)의 일측에는 세척수단에 전해지는 열전도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메탈부재(137)가 구비된다.
즉, 가열수조부(130)에 바이메탈부재(137)가 구비됨으로써,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저장된 세척수단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열 전달효율을 최대화시킴과 동시에 세척수단의 과열이 방지되기 때문에 고온에서 세척 및 소독 작업을 갖는 의료기기의 소재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히터부재(136)는 수조탱크(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된 세척수단에 열을 전달하도록 권취된다.
히터부재(136)는 수조탱크(131)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된 채,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되는 세척수단의 열 전도효율이 최대화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임펠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라부의 또다른 실시예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펠라부(140)는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로 이루어진다.
제 1 임펠라(141)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는 메인커버(134)의 구동축(134a)과 결합되는 중앙홀(141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41b)이 특정 패턴으로 돌출형성된다.
제 1 임펠라(141)는 중앙홀(141a)을 따라 그 내부로 유동된 세척수단이 다수개의 분사노즐(141b)을 통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 상에서 상방으로 분사되도록 구동축(134a)을 매개로 회전구동된다.
제 2 임펠라(14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는 공간부(111)의 구동축(112)과 결합되는 중앙홀(142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42b)이 특정 패턴으로 돌출형성된다.
제 2 임펠라(142)는 그 내부에 유동된 세척수단이 다수개의 분사노즐(142b)을 통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 상에서 하방으로 분사되도록 구동축(112)을 매개로 회전구동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임펠라부(240)는 제 1 임펠라(241) 및 제 2 임펠라(242)의 양 끝단에 관통홀(241c, 242c)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241c, 242c)에 탈착가능하도록 클립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캡부재(241d, 242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캡부재(241d, 242d)의 양단에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클립부재(미도시)가 연장형성되며, 클립부재의 일단에서 구현되는 탄성을 통해 제 1 임펠라(241) 및 제 2 임펠라(242)의 각 양 끝단이 클립부재에 끼움삽입된다.
제 1 임펠라(241) 및 제 2 임펠라(242)의 양 끝단에는 캡부재(241d, 242d)가 구비됨으로써, 세척수단을 분사하는 임펠라부(240)의 회전구동에 따라 발생가능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의 선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선반부(150)는 임펠라부(140)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단이 의료기기에 분사되도록 의료기기가 안착된다.
선반부(150)는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슬라이드식으로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부(150)의 양단에 이동부재가 형성되고 공간부(111)의 내측에 레일부재가 형성되어 이동부재 및 레일부재의 상호 슬라이딩이 되고, 이로 인해, 선반부(150)가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로부터 수납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구현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선반부(150)는 제 1 임펠라(14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단이 의료기기의 표면을 전반적으로 세척 및 소독하도록 다수개의 개방구로 형성된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선반부(150)는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임펠라(141)를 통해 상방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단이 선반부(150)에 안착된 의료기기의 표면을 전반적으로 세척 및 소독하기 용이하며, 제 1 임펠라(14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단의 분사압에 의해 의료기기가 선반부(15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이하,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100)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여 세척기(100)의 세척 및 소독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세척기(100)의 구성은 전술하였기에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세척기가 세척대상 의료기기를 살균 및 세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100)는 의료기기의 세척 및 소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설비로써, 세척 및 소독을 위한 의료기기가 선반부(150)에 안착된다.
공급챔버부(120)의 공급구(121)에는 세척 및 소독 대상인 의료기기의 재질 및 사용 환경 등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성분의 세척수단인 공급수, 세척제 및 첨가제가 공급된다.
이때, 공급수는 순수한 물이고, 세척제는 세척 성분의 세제류이며, 첨가제는 중화제, 윤활제 및 소독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공급구(121)의 제 1 공급관(121a)은 제 2 공급관(121b) 및 제 3 공급관(121c)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1 유로(123a)와 연계되며, 제 1 공급관(121a)을 통해 공급된 공급수가 제 1 유로(123a)에 유동되어 경계부(124)의 상부에 토출된다.
이때, 공급수는 공급챔버부(120)의 경계부(124)를 통해 유도되어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로 유동한다.
공급구(121)의 제 2 공급관(121b)은 제 3 공급관(121c)과 연계된 제 3 유로(123c)와 이웃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2 유로(123b)와 연계되며, 제 2 공급관(121b)을 통해 공급된 세척제가 제 2 유로(123b)에 유동되어 경계부(124)의 상부에 토출된다.
이때, 세척제는 공급챔버부(120)의 경계부(124)를 통해 유도되어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로 유동된다.
공급구(121)의 제 3 공급관(121c)은 제 2 공급관(121b)과 연계된 제 2 유로(123b)와 이웃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3 유로(123c)와 연계되며, 제 3 공급관(121c)을 통해 공급된 첨가제가 제 3 유로(123c)에 유동되어 경계부(124)의 상부에 토출된다.
이때, 첨가제는 공급챔버부(120)의 경계부(124)를 통해 유도되어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에 유동된다.
제어부(160)는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에 유동되는 공급수, 세척제 및 공급수를 경계부(124)의 상부에서 동시에 혼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토출구(122)에 유동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챔버부(120)의 제 1 공급관(121a), 제 2 공급관(121b) 및 제 3 공급관(121c)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을 공급수, 세척제 및 첨가제로 구현하였지만, 공급하는 순서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60)를 통한 세척수단의 공급 제어가 이루어지면, 세척수단은 공급챔버부(120)의 토출구(122)를 통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된다.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는 정해진 일정량의 세척수단이 채워지고, 공간부(111)의 하단에 위치한 가열수조부(130)를 통해 세척수단이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다.
세척수단은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 세척기본체(110)에 구비된 순환펌프를 통해 순환되어 임펠라부(140)의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에 공급된다.
공급된 세척수단은 제 1 임펠라(141)의 분사노즐(141a) 및 제 2 임펠라(142)의 분사노즐(142b)을 통해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 상에서 상하방으로 분사되며, 특히, 제 1 임펠라(141) 및 제 2 임펠라(142)의 회전 구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선반부(150)에 안착된 의료기기의 표면을 전반적으로 세척 및 소독한다.
의료기기를 세척 및 소독하는 작업이 끝난 이후에는 세척기본체(110)의 일단에 마련된 폐수 배출구를 통해 세척수단이 외부로 배출된다.
의료기기의 세척 및 소독의 작업이 끝난 경우, 선반부(150)를 비롯한 의료기기의 표면으로 수분이 남아있기 때문에 건조수단이 더 포함되어 의료기기의 완전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건조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건조 공기를 세척기본체(110)의 공간부(111)에 공급하여 의료기기가 완전 건조되도록 구현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의료기기용 세척기 100a: 케이스
110: 세척기본체 111: 공간부
112, 134a: 구동축 120: 공급챔버부
121: 공급구 121a: 제 1 공급관
121b: 제 2 공급관 121c: 제 3 공급관
122: 토출구 123: 유로
123a: 제 1 유로 123b: 제 2 유로
123c: 제 3 유로 130: 가열수조부
130a, 130b: 패킹부재 131: 수조탱크
132: 제 1 개구부 133: 제 2 개구부
134: 메인커버 135: 서브커버
136: 히터부재 137: 바이메탈부재
140: 임펠라부 141, 241: 제 1 임펠라
141a, 142a, 241a, 242a: 중앙홀
141b, 142b, 241b, 242b: 분사노즐
142, 242: 제 2 임펠라 150: 선반부
160: 제어부 241c, 242c: 관통홀
241d, 242d: 캡부재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세척기본체; 및
    상기 세척기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되, 일단에는 외부에서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단이 상기 공간부에 공급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급챔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챔버부의 공급구에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이 공급되기 위한 제 1 공급관, 제 2 공급관 및 제 3 공급관이 구비되되, 상기 공급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공급관 내지 제 3 공급관과 연계되는 제 1 유로,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는 상기 제 2 유로 및 제 3 유로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1 공급관과 연계되고,
    상기 제 1 유로 내지 제 3 유로를 유동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상기 공급챔버부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분하기 위한 경계부에 유도되어 상기 경계부의 상부에서 동시에 혼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토출구에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챔버부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단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열수조부는,
    내부에서 상호 연통되는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개구부에 결합되는 메인커버 및 상기 제 2 개구부에 결합되는 서브커버를 갖는 수조탱크; 및
    상기 수조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단에 열을 전달하도록 권취되는 히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메인커버에는 각각 구동축이 더 마련되며,
    상기 서브커버의 양단이 상기 히터부재의 양 끝단에 결합되되, 상기 서브커버의 일측에는 과열 방지를 위한 바이메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수조부를 통해 가열된 세척수단을 상기 공간부에 분사하기 위한 임펠라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임펠라부는, 상기 메인커버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 임펠라 및 상기 제 1 임펠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 임펠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임펠라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커버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특정 패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펠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 임펠라의 일단에는 상기 공간부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특정 패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펠라 및 제 2 임펠라의 양 끝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캡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탈착가능하도록 클립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챔버부의 공급구에 공급되는 서로 다른 세척수단은 공급수, 세척제 및 첨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세척기.
KR1020170012198A 2017-01-25 2017-01-25 의료기기용 세척기 KR10189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198A KR101890879B1 (ko) 2017-01-25 2017-01-25 의료기기용 세척기
PCT/KR2018/000964 WO2018139821A1 (ko) 2017-01-25 2018-01-23 의료기기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198A KR101890879B1 (ko) 2017-01-25 2017-01-25 의료기기용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50A KR20180087750A (ko) 2018-08-02
KR101890879B1 true KR101890879B1 (ko) 2018-08-22

Family

ID=6297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198A KR101890879B1 (ko) 2017-01-25 2017-01-25 의료기기용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0879B1 (ko)
WO (1) WO2018139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3403A (zh) * 2018-12-10 2019-03-12 青岛市城阳区人民医院 一种外科用手术消毒护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68A (ja) 2001-11-05 2003-05-13 Nichion:Kk 医療器具洗浄消毒装置
JP2005058916A (ja) 2003-08-13 2005-03-10 Reika Kogyo Kk 撹拌混合装置および殺菌装置および洗浄装置
JP2010149013A (ja) 2008-12-24 2010-07-08 Nihon Giken Kogyo Kk 洗浄装置
US20120167926A1 (en) 2010-06-18 2012-07-05 Shoichi Nakamura Cleaning steriliz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7438B2 (ja) * 2007-01-31 2012-01-18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洗浄滅菌装置
KR101003052B1 (ko) * 2008-05-21 2010-12-22 박준혁 의료기기 소독용 고압 세척장치
KR101311820B1 (ko) * 2011-11-30 2013-09-25 (주)조양메디칼인더스트리 순환식 와류분사 방식의 내시경 세척소독기 및 그 세척소독 공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68A (ja) 2001-11-05 2003-05-13 Nichion:Kk 医療器具洗浄消毒装置
JP2005058916A (ja) 2003-08-13 2005-03-10 Reika Kogyo Kk 撹拌混合装置および殺菌装置および洗浄装置
JP2010149013A (ja) 2008-12-24 2010-07-08 Nihon Giken Kogyo Kk 洗浄装置
US20120167926A1 (en) 2010-06-18 2012-07-05 Shoichi Nakamura Cleaning steriliz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821A1 (ko) 2018-08-02
KR20180087750A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8341A1 (en) Re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reprocessing a load in a reprocessing apparatus
KR101907353B1 (ko) 의료용 자동세척장치
CN108348312A (zh) 多个义齿消毒及清洁装置
CN108378935B (zh) 一种医用手术刀清洁仪
JP2002065606A (ja) 医療機器類の洗浄消毒装置
CN106729830A (zh) 内镜清洗消毒方法
JP3515123B2 (ja) 外科用器具を洗浄および/または殺菌するための装置
US200900006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medical instrument
KR101890879B1 (ko) 의료기기용 세척기
US20100294322A1 (en) Method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a re-usable medical product
EP0835665A2 (de) Desinfektionsautomat zur Reinigung, Desinfektion, Neutralisation und Trocknung von medizinischen Aufbereitungsgut
CN211884635U (zh) 一种兽医用消毒设备
KR20080101413A (ko) 자동 내시경 세척기
KR20070099358A (ko) 식기세척기
CN106607374B (zh) 清洗、杀菌、消毒一体化鼻镜循环全自动清洗设备
CN210096445U (zh) 一种用于医疗器械消毒的消毒装置
TWI276717B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010534B2 (ja) 内視鏡洗浄消毒方法、その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に用いる消毒液
CN210936154U (zh) 一种耳科用手术刀清洗消毒装置
CN213884323U (zh) 一种医疗用智能分区消毒装置
EP2802359B1 (en) Machine for cold sanitation treatment of medical devices
WO1999038539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dental equipment
KR20100127082A (ko) 인체용 프로브 세정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세정 물질 카트리지
JPH07116117A (ja) 内視鏡用洗浄消毒装置
KR20140005110U (ko) 내시경 소독, 보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