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50B1 -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50B1
KR101890850B1 KR1020110029022A KR20110029022A KR101890850B1 KR 101890850 B1 KR101890850 B1 KR 101890850B1 KR 1020110029022 A KR1020110029022 A KR 1020110029022A KR 20110029022 A KR20110029022 A KR 20110029022A KR 101890850 B1 KR101890850 B1 KR 10189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electronic device
tag
view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861A (ko
Inventor
박영진
강은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50B1/ko
Priority to EP12158577A priority patent/EP2506133A1/en
Priority to CN201210083698.9A priority patent/CN102750080B/zh
Priority to US13/432,241 priority patent/US20120249542A1/en
Publication of KR2012011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하다. 본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의 3D 뷰 및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3D 뷰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3D 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3D 뷰에서 보여지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A GUIDE WITH 3D VIEW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뷰를 구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불과 수년 전까지도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타입 및 새로운 기능의 신규 제품들의 출시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들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들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 이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매뉴얼을 책자 형태로 제작하여 전자 장치 판매시에 함께 제공하거나, 전자 장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해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인터넷 서버 등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매뉴얼, 즉, 가이드들은 제품에 대한 설명을 기능 별로 또는 컨텐츠 별로 정리하여, 그에 대한 예시 그림과 텍스트를 함께 기재하는 식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많은 시간을 들여서 전자 장치의 기능을 공부하여야만 해당 장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기능에 대해서만 알아보고 싶은 경우, 가이드 초반부에 나타나는 설명 목차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 위치를 찾은 후, 해당 위치까지 직접 페이지를 넘겨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또한, 전자 장치의 기능에 대해서도 일괄적인 설명만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기능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고자 할 때에도 그 기능 설명을 전체적으로 다 읽어 봐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또한, 전자 제품의 설치, 주변 기기와의 연동, 사용 환경 설정 등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효과적인 솔루션이 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이드 제공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3D 뷰를 구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3D 뷰에서 보여지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하면, 상기 하나의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단순 설명 창을 상기 하나의 태그 일 측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순 설명 창은, 상기 커서가 위치한 태그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소개하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한 후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 패드의 각 부분의 기능을 단계 별로 표현하는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적용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적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핫키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핫키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각 핫키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을 포함하는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핫키가 선택되면 핫키 선택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변경을 상기 화면 상에 나타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네비게이션 메뉴를 상기 3D 뷰의 일측에 함께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 기능을 텍스트로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 및 상기 하드웨어 구성과 비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인트로 화면은 스킵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가이드 표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3D 뷰에서 보여지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단순 설명 창을 태그 일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순 설명 창은, 상기 커서가 위치한 태그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소개하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한 후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 패드의 각 부분의 기능을 단계 별로 표현하는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적용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적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핫키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각 핫키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을 포함하는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핫키가 선택되면 핫키 선택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변경을 상기 화면 상에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메뉴를 상기 3D 뷰의 일측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 기능을 텍스트로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 및 상기 하드웨어 구성과 비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는 상기 인트로 화면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인트로 화면은 스킵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이드를 통해서 전자 장치의 각 구성의 명칭 및 기능을 편리하고 적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가이드 화면 중 인트로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3D 뷰 및 태그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3D 뷰가 회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상세 설명 화면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네비게이션 메뉴 선택 시에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7은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가이드 화면 상에서의 기능 설정 상태를 전자 장치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가이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가이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전자 장치(100)는 컴퓨터, TV, 휴대폰,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책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양한 유형의 제품이 될 수 있다.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전자 장치(100)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40)는 RAM, ROM, HDD,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카드,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 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전자 장치(100) 제조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기본 데이터 및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저장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로그램은 제조 업체로부터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에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가이드 프로그램이란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의 명칭이나 기능, 소프트웨어 등의 사용과 관련된 설명이나, 전자 장치(100)의 설치, 기능 설정, 주변 기기와의 연결 등과 같은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 등을 전자 장치(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작된 프로그램이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가이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0)의 3D 뷰 및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한다.
3D 뷰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실제로 촬영한 실사 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이미지에 대해 음영 등을 부여하여 입체감을 부여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또는, 3D 뷰는 양안식 카메라나 멀티뷰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작된 3D 입체 영상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는 형태로 구동되거나, 또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기술 또는 렌티큘러(Lenticular)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태그란, 3D 뷰에 나타난 하드웨어 구성을 지정하면서 명칭을 표시한 부분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 할 조건이 충족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3D 뷰와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부(130)의 초기 화면 상에 표시된 가이드 프로그램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가 판매된 후 최초로 턴-온되었을 때, 또는 턴 온될 때마다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리셋조건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20)는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한편, 3D 뷰와 태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3D 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3D 뷰를 선택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방향으로 드래깅하면, 3D 뷰는 그 회전 방향 및 드래깅 거리에 따라 상하좌우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화면 상에 보여지는 전자 장치의 외관이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현재 보여지는 3D 뷰의 외관에 보여지지 않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는 사라지고, 새로이 보이게 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가 자동적으로 새로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싶은 측면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명칭 등을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기능들에 대하여 단계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커서를 태그 상에 위치시키게 되면, 제어부(120)는 해당 태그의 일 측에 단순 설명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단순 설명 창이란 해당 태그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간단한 텍스트 설명,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영역이다. 단순 설명 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커서를 태그 상에 위치시키기만 해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커서를 태그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태그가 선택되면, 선택된 태그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상세 설명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이전 3D 뷰 및 태그 표시 화면의 다음 페이지로 상세 설명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고, 별도의 확대 표시 창으로 상세 설명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3D 뷰 및 태그가 표시된 화면 내의 일 영역에 상세 설명 화면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세 설명 화면은, 선택된 태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설명 부분에서 기재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하기만 하더라도 단순 설명 창이 표시되고, 태그 선택 시에 상세 설명 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예에서는 이와 상이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커서를 이용하여 태그를 직접 선택하였을 때 단순 설명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순 설명 창 자체에 상세 설명 화면으로 가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기능이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시나리오 베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네비게이션 메뉴를 3D 뷰 및 태그 표시 화면의 일측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메뉴란 전자 장치(100)의 전체 기능이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텍스트 형태로 정렬시켜 둔 네비게이션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메뉴를 의미한다. 네비게이션 메뉴는 3D 뷰 및 태그 표시 화면의 일측에 작게 표시되어 제공되며,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일부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및 상태에 대해서 미리보기 영상으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미리 보기 영상은 상세 설명 화면 자체에 표시될 수도 있고 별도의 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일부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변경된 설정 상태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 코맨드를 입력하면, 그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전자 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전자 장치(100)의 동작 또는 상태가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이드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가이드 화면을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명칭이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능의 변경으로 인해 달라지는 동작을 미리 확인할 수도 있고, 그 기능 변경 상태를 실제 전자 장치(100)에 동일하게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 설명 창, 상세 설명 화면 등과 같이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해 단계적으로 구분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명칭만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초기 화면에서 3D 뷰를 회전시키면서 태그를 확인하여 바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해당 구성 또는 기능의 동작을 간단히 확인하고 하는 사용자는 단순 설명 창만을 확인하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반면, 상세하게 알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세 설명 화면을 확인하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2는 가이드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자 장치(100)가, 키보드(112) 및 터치 패드(111)를 포함하는 노트북 PC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지만, 노트북 PC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전자 장치(100)가 턴-온되면 초기 화면 또는 바탕 화면(10) 상에 다양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러한 아이콘들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프로그램 및 컨텐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가이드 프로그램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전자 장치(100)에 실행 파일이 설치된 경우라면, 가이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11) 역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면,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도 2의 우측과 같이 3D 뷰 및 태그 표시 화면, 즉, 가이드 화면(20)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화면(20) 내에는 전자 장치(100)의 외관에 대응되는 3D 뷰(30)와, 현재의 3D 뷰(30)에 표시된 각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31 내지 35)가 표시된다.
한편,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가이드 화면(20)으로 전환되기 이전에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 내지 10초 정도)동안 인트로 화면을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3은 인트로 화면(15a, 15b)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인트로 화면(15a, 15b)는 전자 장치(100)에 대해 선전할 수 있을 만한 문구를 포함하는 동영상 이미지를 캡쳐한 화면이다. 인트로 화면은 동영상 이미지 이외에 다양한 그래픽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인트로 화면 재생이 완료되면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가이드 화면(20)으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인트로 화면은 스킵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인트로 화면 재생 중에 특정 키(예를 들어, Esc 키 등) 또는 임의의 키를 선택하면 바로 가이드 화면(20)으로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가이드 화면(20)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전자 장치 자체의 외관을 그대로 나타내는 3D 뷰(30)의 각 부분을 그대로 지칭하는 태그(31 내지 35)를 나타낸다. 태그(31 내지 35)들은 3D 뷰 내의 하드웨어 구성과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하드웨어 구성의 명칭을 표시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용자가 커서를 이동시켜 태그 상에 위치시키면, 태그의 일 측에는 단순 설명 창(42, 45)이 표시된다. 도 4에서는 터치 패드 태그(32), 디자인 태그(35) 각각에 대해 단순 설명 창(42, 45)이 표시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커서가 하나이면, 하나의 단순 설명 창(42 또는 45)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태그(35) 등에는 고정적으로 항상 표시되는 단순 설명 창을 부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순 설명 창은, 태그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기 위한 부분으로,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커서는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커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 키 조작에 따라 각 태그(31 내지 35)들을 하이라이트 상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도 단순 설명 창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화면(20)에는 네비게이션 메뉴(5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네비게이션 메뉴(50)가 화면 하단 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네비게이션 메뉴(50)의 표시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3D 뷰(30)의 주변에는 회전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나 기타 이미지 등을 함께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3D 뷰(30)를 커서를 이용하여 선택한 후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하여 3D 뷰(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 화면(20) 내에 상하좌우 방향 및 기타 방향에 대한 화살표 메뉴를 함께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서를 이용하여 화살표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화살표 메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3D 뷰(30)가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3D 뷰(30)는 터치패드(111) 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고, 키보드(112)에 구비된 방향키의 조작으로 인해 회전될 수도 있다.
도 5는 가이드 화면(20) 내에서 3D 뷰(3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3D 뷰(30)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이드면에 마련된 각종 하드웨어 구성들이 3D 뷰(30) 상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회전이 이루어지면 새로이 드러나게 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들(36 내지 38)들이 화면상에 새로이 추가되고, 이전 태그들(31 내지 36)들은 사라진다. 새로이 추가된 태그들(36 내지 38)에 대해서는 커서의 위치에 따라 단순 설명 창(46, 48)이 표시된다.
한편, 외관에 나타나지 않는 하드웨어 구성이나, 소프트웨어 등에 관련된 태그들은 가이드 화면(20)의 일 측에 임의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무선 랜 연결 기능에 대한 태그(37)는 3D 뷰(30)와 연결시킬 수 없어서, 화면 상에 별도의 이미지(39)를 표시하여 그와 연결시키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상세 설명 화면(60a)의 일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입력부(110)에 포함된 터치 패드에 대한 태그(32)가 선택되었을 때의 상세 설명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터치 패드의 각 부분의 기능을 단계 별로 표현하는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드(111)의 왼쪽 버튼, 오른쪽 버튼, 스크롤 영역, 터치 영역 등을 순서대로 하나씩 표시하면서, 각각에 대한 태그 및 간단한 설명(32a 내지 32d)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태그를 선택하면, 해당 태그에 대응되는 하위 상세 설명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하위 상세 설명 화면으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도 7은 하위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화면(60b)에서는 터치 패드(111)가 가지고 있는 각종 기능들(60-1, 60-2, 60-3, 60-4)이 제1 영역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의 활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7의 화면(60b)에서는 터치 패드의 조작 예를 나타내는 제2 영역(61), 터치 패드의 조작 예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영역(62) 및 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제4 영역(6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회전 기능(60-3)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페이지 이동 기능(60-4)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2 영역(61)에는 페이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 패드 조작 예가 표시되고, 제3 영역(62)에는 이에 따른 페이지 이동 동작이 표시되며, 제4 영역(63)에는 페이지 이동과 관련된 설명이 표시된다.
도 9는 입력부(110) 내에 구비된 핫 키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었을 때의 상세 설명 화면(70)을 나타낸다. 상세 설명 화면(70)에는 입력부(110)에 실제 마련된 핫 키에 대한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71), 핫 키 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제2 영역(72)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영역(71)에 표시된 핫 키를 선택하여 이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를 제2 영역(7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72)에는 미리 보기 영상이 나타난다. 도 9에서는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기 위한 핫 키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미리 보기 영상을 나타낸다. 핫 키에는 이밖에도 클론 기능, 명암 조절, 음량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매칭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된 핫 키에 대응되는 미리 보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나타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메뉴(50)가 화면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메뉴(50)가 선택되면, 네비게이션 메뉴(50)가 위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에 네비게이션 화면 영역이 오픈된다.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복수의 그룹(50a 내지 50f)으로 구분되어 배치된다. 이 중에는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 및 하드웨어 구성과 비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까지 포함된다. 여기서,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란 제품 그 자체에 대해 설명하는 제품소개 그룹(50a), 키보드/터치패드 그룹(50c)에 포함된 기능들, 연결 그룹(50d)에 포함된 기능들이 될 수 있다. 나머지 그룹들(50b, 50e, 50f)에 포함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구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가이드 화면(20)에는 이에 대한 태그가 직접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드웨어와 직접 관련이 없는 기능들에 대한 태그는 3D 뷰와 연관지어 표시하기 힘드므로,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지 않는 일부 기능들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뷰(30)와 별도로 표시된 이미지(39)와 연결되는 태그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이용이나 설치, 주변 기기와의 연결 등에 대해서는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11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즉, 도 10의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연결 그룹(50d)의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면, 도 11과 같은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먼저, 도 11의 (a)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시키는 환경을 나타내는 상세 설명 화면에서, VGA 어댑터 연결을 지시하는 텍스트(80a), VGA 어댑터와 연결하기 위한 포트의 위치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이미지(80b)를 먼저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조작하면, 도 11의 (b)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프로젝터에 모니터 케이블을 연결할 것을 지시하는 텍스트(80c) 및 그 연결 방법을 표현하는 이미지(80d)를 상세 설명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도 11의 (c)와 같이, 핫키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이미지(80e)를 표시하고, 최종적으로 도 11의 (d)와 같이 연결 완료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1의 (a) 내지 (d)는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스틸 이미지를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특히, 도 11의 (b)에서 프로젝터에 모니터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은, 실제로 모니터 케이블이 이동되어 프로젝터에 연결되는 과정을 그래픽으로 도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12는 HDMI TV와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a)에 따르면, HDMI 포트를 연결하라는 안내 텍스트(81a), 그 포트 위치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이미지(81b), 포트에 연결되는 케이블에 대한 설명 텍스트(81c)를 상세 설명 화면 상에 나타낸다. 이후, 도 1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HDMI 입력 포트에 연결하라는 안내 텍스트(81d)와 그 연결 방법을 표현하는 이미지(81e)를 함께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도 12의 (c)와 같이, 모니터 설정 변경을 유도하는 이미지(81f)를 표시한 후, 도 12의 (d)와 같이 연결 완료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3은 와이파이(Wi-Fi)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a)에 따르면, 와이파이 중계기가 설치된 영역 내에서 무선 랜 기능을 턴온 시키도록 안내하는 이미지(82a)가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도 13의 (b)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선택을 안내하는 텍스트(82b)와 와이파이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이미지(82c)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의 (a)에서는 인트로 영상을 통해 간단하게 데이터 이동 기능의 용도를 소개한다. 즉,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캐리어에 담아서 타 전자 장치로 옮기는 이미지(83a)를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현하는 인트로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 도 14의 (b)에서는 데이터 이동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텍스트(83b)를 표시하고, 도 14의 (c)에서는 데이터 이동을 위한 화면(83c)을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도 14의 (d)에서는 전자 장치 간에 데이터가 이동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그래픽 이미지(83d)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이동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15는 두 대의 전자 장치 간에 파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의 (a)에 따르면, 파일 공유를 위한 기능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텍스트(84a)를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도 15의 (b)와 같이 접속 성공을 알리는 텍스트(84b)를 표시하여, 파일 공유 상태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16은 모바일 폰과 전자 장치를 연결하여 소프트웨어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의 (a)에 따르면 폰 쉐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기능을 안내하는 텍스트(85a)를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도 16의 (b)와 같이 이에 대한 안내 텍스트들(85b, 85c)을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도 16의 (c)와 같이 모바일 폰과 전자 장치 간의 연결이 완료되어 애플리케이션 공유가 이루어진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17은 문제 발생 시에 해결하기 위한 복원 솔루션의 사용 용도를 소개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7의 (a)에 따르면, 시스템 오류 발생(86a)이 일어나면, 도 17의 (b)와 같이, 각종 복원 솔루션들(86a, 86b, 86c)의 개념을 소개하고 주요 기능 사용법에 대해 단계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 18은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기능을 선택하여 가상으로 동작해보도록 하고, 또한, 그 선택된 기능을 실제로 전자 장치에 적용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상세 설명 화면(90)은 전자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중 컨트롤 센터 기능이 선택되었을 때의 상세 설명 화면을 나타낸다. 상세 설명 화면(90)에는 기능 표시 영역(91), 선택된 기능의 설정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 영역(92), 기능 표시 영역(91) 내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 태그(93), 선택된 기능 및 그 설정 상태 조정에 대한 미리 보기 영역(94), 그리고 적용 코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 적용 메뉴(9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기능 표시 영역(91)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한 후, 조정 영역(92)에서 그 기능을 조정한다. 그리고 나서, 미리 보기 영역(94)을 통해 자신이 조정한 기능에 따른 변화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그 조정된 기능을 실제로 적용하고자 하면, 기능 적용 메뉴(95)를 선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이나 상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이드란 전자 가이드, 전자 매뉴얼, 제품 사용 설명서 등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가이드 화면 및 상세 설명 화면들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전자 장치에서는 가이드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동작과 관련된 구성들만을 도시하였으므로, 다양한 변형 실시 예에 따라 일부 구성이 더 추가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가이드 화면이나 상세 설명 화면, 단순 설명 창 등의 형태나 크기, 표시 위치 등도 다양한 변형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가이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따르면,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1910), 3D 뷰 및 태그를 디스플레이한다(S1920). 본 명세서에서는 3D 뷰 및 태그를 포함하는 화면을 가이드 화면으로 명명한다.
가이드 화면 상에서 3D 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 가능한 실사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커서 등을 이용하여 3D 뷰를 선택한 후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S1930), 3D 뷰는 그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정면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이미지가 가이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태그는 가이드 화면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측면에 보여지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만이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3D 뷰가 회전되면 그 회전에 따라, 가이드 화면에 표시되는 태그도 변경될 수 있다(S1940).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가이드 표시 방법을 함께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에 따르면,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2010), 인트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020). 가이드 프로그램은 화면 상에 설치된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실행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가 턴 온 또는 리셋되었거나, 기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전자 장치의 등록된 사용자가 변경되었을 때 등에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인트로 화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재생되며, 스킵 가능하다.
인트로 화면 재생이 종료되면 3D 뷰 및 태그를 포함하는 가이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2030).
사용자는 가이드 화면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이드 화면 상에 표시된 태그에 커서를 위치시키면(S2040), 커서 일 측에 단순 설명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2050).
한편, 사용자가 태그를 선택하게 되면(S2060), 상세 설명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2070).
사용자는 단순 설명 창을 통해서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간략화된 설명만을 얻을 수 있고, 상세 설명 화면을 통해서는 그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얻을 수 있다. 즉, 단계적인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수준이나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가이딩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세 설명 화면에 포함된 기능을 선택하여 기능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S2080). 이 경우, 그 기능 설정 상태의 변경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이나 상태를 미리 보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S2090, S2100). 미리 보기 영상은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보기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에만 수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적용 코맨드를 선택하면(S2110),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전자 장치에 적용한다(S2120).
한편, 상세 설명 화면을 이용하던 사용자가 가이드 화면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면(S2130), 다시 가이드 화면으로 복귀한다(S214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3D 뷰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면(S2150), 그 상태에 따라 3D 뷰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태그 표시를 변경한다(S2160).
한편, 가이드 화면 상에서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S2170),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한다(S2180). 네비게이션 메뉴 및 화면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이드 프로그램을 이용한 후, 더 이상 이용을 원하지 않으면 가이드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S2190).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단계적인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3D 뷰를 이리저리 회전시키면서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명칭 및 이용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 대해서는 시나리오 기반 상세 설명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전자 장치의 이용 방법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순 사용 설명에 그치지 않고 미리 보기를 통해 해당 기능의 용도 등을 미리 확인해 볼 수도 있고, 실제 제품에 바로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가이드 표시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전자 장치에 구비된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가이드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고, 네비게이션 메뉴를 상기 3D 뷰의 일측에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3D 뷰에서 보여지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하면, 상기 하나의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단순 설명 창을 상기 하나의 태그 일 측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한 후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 기능을 텍스트로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및 상기 하드웨어 구성과 비연동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 모두 표시되고,
    상기 단순 설명 창은,
    상기 커서가 위치한 태그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소개하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 패드의 각 부분의 기능을 단계 별로 표현하는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적용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적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핫키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핫키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각 핫키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을 포함하는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핫키가 선택되면 핫키 선택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변경을 상기 화면 상에 나타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인트로 화면은 스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가이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네비게이션 메뉴를 상기 3D 뷰의 일측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3D 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3D 뷰에서 보여지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하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단순 설명 창을 태그 일 측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태그 상에 커서가 위치한 후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각 기능을 텍스트로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과 연동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및 상기 하드웨어 구성과 비연동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 모두 포함되고,
    상기 단순 설명 창은,
    상기 커서가 위치한 태그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소개하는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 패드의 각 부분의 기능을 단계 별로 표현하는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 표시된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능 설정 상태가 변경된 후, 적용 코맨드가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적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핫키에 대응되는 태그가 선택되면, 각 핫키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을 포함하는 상세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핫키가 선택되면 핫키 선택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또는 상태 변경을 상기 화면 상에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명 화면 상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에 표시된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기반 설명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인트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3D 뷰 및 상기 3D 뷰 상에 나타나는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태그는 상기 인트로 화면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인트로 화면은 스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표시 방법.
KR1020110029022A 2011-03-30 2011-03-30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KR10189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022A KR101890850B1 (ko) 2011-03-30 2011-03-30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EP12158577A EP2506133A1 (en) 2011-03-30 2012-03-08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a guide with 3D view and method thereof
CN201210083698.9A CN102750080B (zh) 2011-03-30 2012-03-27 显示具有3d视图的指南的电子设备及其方法
US13/432,241 US20120249542A1 (en) 2011-03-30 2012-03-28 Electronic apparatus to display a guide with 3d view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022A KR101890850B1 (ko) 2011-03-30 2011-03-30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861A KR20120110861A (ko) 2012-10-10
KR101890850B1 true KR101890850B1 (ko) 2018-10-01

Family

ID=4584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022A KR101890850B1 (ko) 2011-03-30 2011-03-30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49542A1 (ko)
EP (1) EP2506133A1 (ko)
KR (1) KR101890850B1 (ko)
CN (1) CN1027500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671A (ko) * 2013-01-18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5025345A1 (ja) * 2013-08-21 2015-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2084633B1 (ko) * 2013-09-17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CN104066002A (zh) * 2014-07-07 2014-09-24 四川金网通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用户使用指南的数字电视机顶盒及实现方法
CN104166498B (zh) * 2014-07-08 2018-02-2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用户说明书的方法及移动终端
US10713699B1 (en) * 2014-11-14 2020-07-14 Andersen Corporation Generation of guide materials
US11006095B2 (en) 2015-07-15 2021-05-11 Fyusion, Inc. Drone based capture of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US10222932B2 (en) 2015-07-15 2019-03-05 Fyusion, In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242474B2 (en) 2015-07-15 2019-03-26 Fyusion, Inc. Artificially rendering images using viewpoint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11095869B2 (en) 2015-09-22 2021-08-17 Fyu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bined embedd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1783864B2 (en) 2015-09-22 2023-10-10 Fyusion, Inc. Integration of audio into a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US10437879B2 (en) 2017-01-18 2019-10-08 Fyusion, Inc. Visual search using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313651B2 (en) 2017-05-22 2019-06-04 Fyusion, Inc. Snapshots at predefined intervals or angles
US11069147B2 (en) 2017-06-26 2021-07-20 Fyusion, Inc. Modification of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
CN107562337B (zh) * 2017-08-22 2020-03-27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站场元素翻转处理方法及装置
CN108628654A (zh) * 2018-03-30 2018-10-09 周瑞佳 基于增强现实和物联网的电子手册系统
USD916767S1 (en) 2018-04-20 2021-04-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test platform
US10592747B2 (en) 2018-04-26 2020-03-17 Fyu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3-D auto tagging
US10382739B1 (en) * 2018-04-26 2019-08-13 Fyusion, Inc. Visual annotation using tagging sessions
USD997975S1 (en) * 2021-07-27 2023-09-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954A (ja) 1999-03-01 2000-09-14 Fujitsu Ltd 物体断面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056090A (ja) 2003-08-01 2005-03-03 Tsunehiko Arai 整備マニュアル用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および整備マニュアル用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80102899A1 (en) 2006-10-25 2008-05-01 Bo Zhang Setting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5909B2 (en) * 2001-11-29 2005-12-13 Critical Reach, Ag Electronic product/service manual
US7752301B1 (en) * 2003-01-23 2010-07-06 Gomez Acquisition Corporation System and interface for monitoring information technology assets
US20040230916A1 (en) * 2003-05-14 2004-11-18 Salvatori Phillip H. Method for menu navigation
GB2402587B (en) * 2003-06-02 2006-09-13 Yisia Young Suk Lee A hand held display device and method
TW200734911A (en) * 2006-03-08 2007-09-16 Wistron Corp Multifunction touchpad
JP2010055166A (ja) * 2008-08-26 2010-03-11 Tokai Rika Co Ltd 情報選択装置
US8392828B2 (en) * 2009-05-20 2013-03-05 Yahoo! Inc. Open theme builder and API
WO2012125990A2 (en) * 2011-03-17 2012-09-20 Laubach Kevin Input device user interface enhancem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954A (ja) 1999-03-01 2000-09-14 Fujitsu Ltd 物体断面表示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056090A (ja) 2003-08-01 2005-03-03 Tsunehiko Arai 整備マニュアル用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および整備マニュアル用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80102899A1 (en) 2006-10-25 2008-05-01 Bo Zhang Setting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9542A1 (en) 2012-10-04
KR20120110861A (ko) 2012-10-10
CN102750080B (zh) 2017-05-03
EP2506133A1 (en) 2012-10-03
CN102750080A (zh)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50B1 (ko) 3d 뷰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가이드 표시 방법
US1163586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93764B1 (ko)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635549B2 (en) Directly assigning desktop backgrounds
US11899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383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작업 공간 관리
AU2014296339B2 (en) Multi-monitor full screen mode in a windowing environment
US10013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limited multi-user computer desktop environment
TW201246073A (en) Manag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CN108694012B (zh) 在屏幕上显示对象的方法和系统
CN102609188A (zh) 基于插入点的用户界面交互行为
BR102013007275A2 (pt) Fila de ícone de interface de usuário giratório virtual com múltiplos lados virtuais
KR20190125565A (ko) 가상현실 투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A2870806C (en) System and method for unlimited multi-user computer desktop environment
US10025485B2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program and display device
JP2013109775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1093155A (ja) 複数のディスプレイを含むユーザ端末を使用してサイドバーと関連する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216296B1 (ko) 이미지 프리뷰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6120907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4123402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Schooley et al. Windows 8 Platform Considerations
KR20160071907A (ko) 임베디드 컨텐츠를 포함한 전자 책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13175222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4229188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