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643B1 -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643B1
KR101890643B1 KR1020180050802A KR20180050802A KR101890643B1 KR 101890643 B1 KR101890643 B1 KR 101890643B1 KR 1020180050802 A KR1020180050802 A KR 1020180050802A KR 20180050802 A KR20180050802 A KR 20180050802A KR 101890643 B1 KR101890643 B1 KR 10189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ust collecting
dust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왕수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102018005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의 극으로 대전되는 방전부; 및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 상기 방전전극부와 연결되는 방전플레이트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가 상기 집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와 상기 집진부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부는,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집진되며 상기 집진 공간을 제공하는 집진전극부 및 상기 집진전극부가 배치되는 집진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AL PRECIPIT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기 상에 부유되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 장치는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분진 및 액체미립자(mist) 등의 입자들을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시켜, 전계에 의해서 집진전극 표면으로 이동 포진하는 장치이다. 정기 집진 장치는 정전기력에 의해 포집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집진 장치에 비해 입경이 10 ~ 20㎛보다 작은 입자의 집진에 효과적이다. 또한, 정기 집진 장치의 입자의 분리 이동속도는 1 Micron 이하의 미세한 범위에서도 중력 또는 원심력에 의해 급격히 저하되지 않으므로, 전기 집진 장치는 초미립자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집진 장치는 중유연소 보일러를 비롯하여 발전소, 시멘트 소성로, 유리 용해로, 제철 제강로 등 주로 다량의 분진이 배출되는 곳에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 장치는 코로나(CORONA)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극과 방전극에서 방출된 음전하에 의해 음이온화된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극으로 구성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에 고전압을 공급하면, 방전극 주위에 전리현상이 발생하여 음전하가 방전극으로부터 집진 공간을 통하여 집진극으로 전달된다. 이 때,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은 음전하를 흡수하여 음이온으로 된다. 음으로 하전된 분진은 전계의 작용에 의한 쿨롱의 힘에 의하여, 양으로 대전된 집진극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방전극은 전기 집진 장치가 사용될수록 점점 닿아 소멸된다.
여기서, 기존의 전기 집진 장치는 전기 집진 장치의 사용에 의해 방전극의 소멸 정도가 일정 범위가 넘을 경우, 방전극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교체 비용 및 교체 시간을 많이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도 야기시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방전극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의 극으로 대전되는 방전부; 및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 상기 방전전극부와 연결되는 방전플레이트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가 상기 집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와 상기 집진부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부는,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집진되며 상기 집진 공간을 제공하는 집진전극부 및 상기 집진전극부가 배치되는 집진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 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방전전극부가 연결될 수 있는 방전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 공간 상의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상기 유로형성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으로 상기 집진전극부의 개구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집진지지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하나의 방전연결부 주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로 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부는, 제1 방전전극부 및 상기 제1 방전전극부와 이격되어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방전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전연결부는, 상기 제1 방전전극부가 연결되는 제1 방전연결부 및 상기 제2 방전전극부가 연결되는 제2 방전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와 상기 제2 방전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의 중심과 상기 제2 방전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상기 제1 유로형성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 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방전전극부가 연결될 수 있는 방전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방전플레이트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포함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중심유로형성부, 상기 중심유로형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일측유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유로형성부는, 상기 일측유로형성부와 형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일측유로형성부 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부는,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방전중심부 및 상기 집진 공간에 유동되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하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방전중심부로 외삽되는 방전둘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둘레부는, 상기 방전중심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부는, 상기 집진 공간에 유동되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전달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가 상기 집진 공간에 배치된 상기 방전중심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방전둘레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에 연결되는 방전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지지부는, 상기 집진전극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일측집진플레이트 및 상기 집진전극부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타측집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집진전극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여, 상기 집진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는, 상기 집진전극부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측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상기 집진전극부의 일단부가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집진전극부가 상기 일측삽입홀에 삽입된 후, 가공 수단에 의해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집진전극부의 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집진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집진 필터; 및 상기 집진 필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안착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유입부 및 상기 안착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에 따르면, 방전극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집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집진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집진부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의 결합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중심부와 방전둘레부가 상기 집진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전극부가 상기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100)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100)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의 극으로 대전되는 방전부(110) 및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110)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되는 집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방전부(110) 및 상기 집진부(120)에 고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상기 방전부(110)는 (-)극으로 대전되고, 상기 집진부(120)는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전부(110)와 상기 집진부(120)는 코로나 방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오염 물질은 공기 중의 먼지, 음식 조리 중에 발생되는 기름이 함유된 연기(유증) 및/또는 공장 가동 시 발생되는 매연 등 모든 유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방전부(110) 및 집진부(120)의 구조 및 기능에 의해 발현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집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진부(120)는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집진되며 상기 집진 공간(S10)을 제공하는 집진전극부(121) 및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배치되는 집진지지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120)는 집진지지부(122)가 구비하는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와 타측집진플레이트(122b)를 서로 연결하는 집진연결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집진전극부(121)는 후술하는 방전전극부(11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집진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제공하는 공간인 상기 집진 공간(S10)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 공간(S10) 상의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되어, 상기 집진 공간(S10)과 외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집진 공간(S10)에서 유동되는 공기 상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은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얇을 플레이트의 양 단부를 되접어(말아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집진부(120)는 복수개의 집진전극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집진지지부(122)는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일측집진플레이트(122a) 및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타측집진플레이트(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는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측삽입홀(h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일측삽입홀(h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에는 복수개의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결합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일측삽입홀(h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측삽입홀(h10)은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단면적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원 기둥 영상이라면, 상기 일측삽입홀(h10)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삽입홀(h1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는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타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타측삽입홀(h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의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타측삽입홀(h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에는 복수개의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결합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타측삽입홀(h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홀(h20)은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단면적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원 기둥 영상이라면, 상기 타측삽입홀(h20)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타측삽입홀(h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집진연결부(123)는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와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를 기준으로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집진연결부(123)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집진연결부(123)는 'ㄱ'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집진연결부(123)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집진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와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는 소정의 거리를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삽입홀(h10)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삽입홀(h10)에 연결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삽입홀(h20, 도 2 참조)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삽입홀(h20)에 연결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상기 일측삽입홀(h10) 및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일단부의 개구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의 상기 타측삽입홀(h20) 및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타단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집진 공간(S10)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집진연결부(123)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와 체결 수단(일례로,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집진연결부(123)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와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 및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일 경우에는 상기 집진연결부(123)는 4 개로서,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 및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의 각각의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집진연결부(123)는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 및/또는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의 둘레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둘레면은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 및/또는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 및/또는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122b)에는 상기 일측삽입홀(h10) 및/또는 상기 타측삽입홀(h20)이 최대한 많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단위 시간 당 집진 장치가 집진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전부(110)는 상기 집진부(120)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S10)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111), 상기 방전전극부(111)와 연결되는 방전플레이트(112)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112)가 상기 집진부(120)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와 상기 집진부(120)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전플레이트(112)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 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형성부(h30) 및 상기 방전전극부(111)가 연결될 수 있는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방전플레이트(112)는 상기 방전전극부(111)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일측방전플레이트(112a) 및 상기 방전전극부(111)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타측방전플레이트(112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 및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 각각에는 상기 유로형성부(h30) 및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 및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 및/또는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일측방전플레이트(112a)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나, 이는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에도 적용 가능하고,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해 방전플레이트(112)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나, 이는 일측방전플레이트(112a) 및/또는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에 적용 가능하고,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에는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형성부(h30) 및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h30)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방전연결부(h40)에는 방전전극부(111)가 결합 및/또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h30)의 크기는 상기 방전연결부(h4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h30)와 상기 방전연결부(h40)와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에는 상기 유로형성부(h30) 및/또는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방전전극부(111)는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결합되는 방전중심부(111a) 및 상기 집진 공간(S10)에 유동되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하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방전중심부(111a)로 외삽되는 방전둘레부(11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부(111)는 상기 집진 공간(S10)에 유동되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전달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111b)가 상기 집진 공간(S10)에 배치된 상기 방전중심부(111a)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연결되는 방전핵(111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방전중심부(111a)는 막대 형상의 로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는 상기 방전중심부(111a)가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110)에 고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전부(110)에서 방출되는 음 전하는 상기 집진 공간(S10)에 유동되는 공기 내의 오염 물질로 음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집진 공간(S10)에 유동되는 공기 내의 오염 물질은 음 전하를 띌 수 있다.
음 전하로 전하된 상기 오염물질은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극으로 대전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집진 장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의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가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의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가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삽입된 후, 별도의 체결 구성(일례로, 너트)이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와 결합될 수 있다.
방전중심부(111a)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타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되는 방식의 자세한 서술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전극부(1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진 공간(S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상기 집진 공간(S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은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에서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 방향으로 상기 집진 공간(S10)의 중심 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상기 집진 공간(S10)의 어느 위치에도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는 복수개의 상기 방전중심부(111a)가 연결될 수도 있다.
방전둘레부(111b)는 막대 형상의 로드 일 수 있다.
방전둘레부(111b)는 상기 방전중심부(11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가 원 기둥 형상일 경우,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내면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외면은 원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상기 방전중심부(111a)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내면과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전중심부(111a)에 전달되는 고압의 전류는 상기 방전둘레부(111b)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상기 방전중심부(111a)가 삽입되어, 상기 집진 공간(S10)에서 유동되는 공기 상에 오염물질로 음 전하를 전달할 수 있는 전하 전달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하 전달 면적은 상기 집진 공간(S10)에서 유동되는 공기 상에 오염물질로 음 전하를 전달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진 공간(S10) 내에 배치되는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외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전하 전달 면적의 확장으로 인해, 상기 집진 공간(S10)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공기가 함유하는 오염 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음 전하를 띄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진 필터(100)는 복 수개의 상기 방전둘레부(111b)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둘레부(111b)는 각각의 상기 방전중심부(111a)에 외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개수는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방전핵(111c)은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전핵(111c)은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외주 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핵(111c)은 용접에 의해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전핵(111c)이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고정되는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방전핵(111c)은 접착 물질에 의해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 및 상기 집진부(120)에 고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방전핵(111c)은 (-)극으로 대전될 수 있으며, 상기 방전핵(111c)으로 인해 상기 방전전극부(111)에서의 전자 방출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전핵(111c)은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외주 면에서부터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는 돌기부(111c-a, 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전핵(111c)은 복 수의 돌기부(111c-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111c-a)로 인해, 상기 방전전극부(111)에서 상기 오염 물질로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는 복 수개의 상기 방전핵(111c)이 연결, 결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는 하나의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는 세 개의 상기 방전핵(111c)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 연결되는 상기 방전핵(111c)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하나의 상기 방전둘레부(111b)에는 다섯 개의 상기 방전핵(111c)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장치가 사용되는 횟수가 증가될수록, 상기 방전핵(111c)은 조금씩 소멸될 수 있다.
상기 방전둘레부(111b)는 상기 방전중심부(111a)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임의의 방전중심부(111a)에 대해서, 상기 임의의 방전중심부(111a)에 외삽되어 있는 상기 방전둘레부(111b)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복 수개의 상기 방전핵(111c)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방전중심부(111a)와 상기 방전둘레부(111b)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둘레부(111b)와 상기 방전핵(111c)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전중심부(111a)는 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방전둘레부(111b)와 상기 방전핵(111c)은 상기 오염물질로 용이하게 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방전핵(111c)을 교체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방전둘레부(111b) 만을 교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방전중심부(111a), 상기 방전둘레부(111b) 및/또는 상기 방전핵(111c)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의 결합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전플레이트(112)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하나의 방전연결부(h40) 주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로 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방전전극부(111)는 제1 방전전극부(111-1) 및 상기 제1 방전전극부(111-1)와 이격되어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연결되는 제2 방전전극부(1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연결부(h40)는 상기 제1 방전전극부(111-1)가 연결되는 제1 방전연결부(h40-1) 및 상기 제2 방전전극부(111-2)가 연결되는 제2 방전연결부(h4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의 주위에 제1 유로형성부(h30-1), 제2 유로형성부(h30-2), 제3 유로형성부(h30-3) 및 제4 유로형성부(h3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유로형성부(h30-3)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형성부(h30-2)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를 기준으로 상기 제4 유로형성부(h30-4)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유로형성부(h30-2)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의 중심과 상기 제2 유로형성부(h30-2)의 중심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와 상기 제2 유로형성부(h30-2)의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와 대칭되게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가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는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의 주위에 제1 유로형성부(h30-1), 제5 유로형성부(h30-5), 제6 유로형성부(h30-6) 및 제7 유로형성부(h30-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는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를 기준으로 상기 제6 유로형성부(h30-6)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로형성부(h30-5)는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를 기준으로 상기 제7 유로형성부(h30-7)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는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를 기준으로 상기 제5 유로형성부(h30-5)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의 중심과 상기 제5 유로형성부(h30-5)의 중심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와 상기 제5 유로형성부(h30-5)의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방전플레이트(112)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상기 유로형성부(h30)의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으로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개구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집진지지부(12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서 상기 집진지지부(122)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상기 제1 방전전극부(111-1)가 배치되는 제1 집진전극부(121-1) 및 상기 제2 방전전극부(111-2)가 배치되는 제2 집진전극부(1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전극부(111-1)는 상기 제1 집진전극부(121-1)의 상기 집진 공간(S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 상기 제2 유로형성부(h30-2), 상기 제3 유로형성부(h30-3) 및 상기 제4 유로형성부(h30-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집진전극부(121-1)가 개구된 부분과 일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 상기 제2 유로형성부(h30-2), 상기 제3 유로형성부(h30-3) 및 상기 제4 유로형성부(h30-4)가 상기 제1 집진전극부(121-1)의 개구된 부분과 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은 서로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집진전극부(121-1)의 상기 집진 공간(S10) 상으로 공기가 균일하고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방전전극부(111-2)는 상기 제2 집진전극부(121-2)의 상기 집진 공간(S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 상기 제5 유로형성부(h30-5), 상기 제6 유로형성부(h30-6) 및 상기 제7 유로형성부(h30-7)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집진전극부(121-2)가 개구된 부분과 일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 상기 제5 유로형성부(h30-5), 상기 제6 유로형성부(h30-6) 및 상기 제7 유로형성부(h30-7)가 상기 제2 집진전극부(121-2)의 개구된 부분과 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은 서로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집진전극부(121-2)의 상기 집진 공간(S10) 상으로 공기가 균일하고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h30)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와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형성부(h30-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의 중심과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G)이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의 중심을 지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이와 같이 상기 제1 유로형성부(h30-1)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제1 유로형성부(h30-1)를 제외한 다른 유로형성부들이 각각의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개구된 부분과 일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집진전극부(121)에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균일하고 원활하게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중심부와 방전둘레부가 상기 집진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는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가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삽입된 후,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방전중심부(111a)의 일단부에 별도의 체결 수단(일례로,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일단부는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방전둘레부(111b)는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와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최소 이격 거리를 규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의 타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둘레부(111b)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타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의 사용 목적 또는 사용 장소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와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방전둘레부(111b)로 인해, 상기 일측방전플레이트(112a)와 상기 타측방전플레이트(112b)의 최소 이격 거리가 규정되므로, 사용자의 설치 미숙으로 인해, 상기 방전플레이트(112)가 상기 집진플레이트에 너무 가까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형성부를 통해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전극부가 상기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여, 상기 집진지지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전극부(121)는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일단부가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상기 일측삽입홀(h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전극부(121)가 상기 일측삽입홀(h10)에 삽입된 후, 가공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집진지지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일측집진플레이트(122a)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법에 의해, 별도의 접착 물질 혹은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상기 집진전극부(121)를 상기 집진지지부(1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공 수단은 프레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공 수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특징은, 상기 타측집진플레이트와 상기 집진전극부(121)의 타단부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플레이트(1112)에 형성되는 유로형성부(h30)는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 선(H)이 포함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형성되는 중심유로형성부(h1031), 상기 중심유로형성부(h1031)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h1031)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에 형성되는 일측유로형성부(h10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h1031)는 상기 일측유로형성부(h1032)와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h1031)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일측유로형성부(h1032)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 선(H)은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의 상측 변의 중앙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112)의 하측 변의 중앙을 지날 수도 있다.
상기 집진 장치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방전플레이트(1112)의 중앙 부분에 가장 많은 공기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h1031)는 상기 일측유로형성부(h1032)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S10) 내로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중심유로형성부(h1031)와 상기 일측유로형성부(h1032)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면, 상기 방전플레이트의 중앙부분으로 유동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상기 집진 공간(S10) 내로 유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방전플레이트의 일면 부근에서 난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집진 공간 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하여, 집진 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지지부에 일측삽입홀 및/또는 타측삽입홀이 형성되는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의 일 기술적 특징인 중심유로형성부가 일측유로형성부보다 큰 특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 상기 방전전극부와 연결되는 방전지지부(2112) 및 상기 방전지지부(2112)가 상기 집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지지부(2112)와 상기 집진부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전전극부와 상기 연결부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방전지지부(2112)는 상기 방전전극부가 연결되는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되는 가로로드부(211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지지부(2112)는 복수의 상기 가로로드부(2112a) 각각과 연결되는 일측로드부(2112b) 및 타측로드부(211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지지부(2112)는 복수의 상기 가로로드부(2112a)의 강성을 보완하는 강성보완부(2112d)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로로드부(2112a)에는 상기 연결부(113)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가로로드부(2112a)에는 복수 개의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로드부(2112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로드부(2112a)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각각 이격되어 상기 가로로드부(2112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지지부(2112)는 복 수개의 가로로드부(211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각의 가로로드부(2112a)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각 각의 가로로드부(2112a)의 일단부는 일측로드부(2112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각의 가로로드부(2112a)의 타단부는 타측로드부(2112c)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로드부(2112b) 및/또는 상기 타측로드부(2112c)에도 복수개의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하나의 가로로드부(2112a)에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된 부분과 다른 임의의 하나의 가로로드부(2112a)에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된 부분은 강성보완부(2112d)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강성보완부(2112d)의 일단부는 임의의 하나의 가로로드부(2112a)에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된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강성보완부(2112d)의 타단부는 다른 임의의 하나의 가로로드부(2112a)에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가로로드부(2112a)는 제1 가로로드부(2112a-1) 및 제2 가로로드부(2112a-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로로드부(2112a)에는 제1 방전연결부(h40-1) 및 제2 방전연결부(h4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로로드부(2112a)와 이격된 상기 제2 가로로드부(2112a)에는 제3 방전연결부(h40-3) 및 제4 방전연결부(h4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전연결부(h40-1)가 형성된 상기 제1 가로로드부(2112a-1)의 부분과 상기 제3 방전연결부(h40-3)가 형성된 상기 제2 가로로드부(2112a-2)의 부분은 제1 강성보완부(2112d-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방전연결부(h40-2)가 형성된 상기 제1 가로로드부(2112a-1)의 부분과 상기 제4 방전연결부(h40-4)가 형성된 상기 제2 가로로드부(2112a-2)의 부분은 제2 강성보완부(2112d-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2112d)로 인해, 상기 방전연결부(h4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강성보완부(2112d)가 없을 경우, 상기 방전연결부(h40)에 상기 방전전극부(111)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로로드부(2112a)는 상기 방전전극부(111)의 무게 및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부(111)의 무게로 인해(일례로, 방전핵(111c) 다수 배치)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로로드부(2112a)가 피로 파괴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2112d)는 상기 가로로드부(2112a)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방전연결부(h4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로로드부(2112a)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구비하는 방전부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지지부에 일측삽입홀 및/또는 타측삽입홀이 형성되는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상술한 내용의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는 집진 필터 및 상기 집진 필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안착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유입부(미도시) 및 상기 안착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집진 필터 110 : 방전부
111 : 방전전극부 112 : 방전플레이트
113 : 연결부 120 : 집진부
121 : 집진전극부 122 : 집진지지부
123 : 집진연결부

Claims (12)

  1.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의 극으로 대전되는 방전부; 및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 상기 방전전극부와 연결되는 방전플레이트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가 상기 집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와 상기 집진부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부는,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집진되며 상기 집진 공간을 제공하는 집진전극부 및 상기 집진전극부가 배치되는 집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 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방전전극부가 연결될 수 있는 방전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전극부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 공간 상의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상기 유로형성부의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으로 상기 집진전극부의 개구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상기 집진지지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기 위하여, 하나의 방전연결부 주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로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전전극부는,
    제1 방전전극부 및 상기 제1 방전전극부와 이격되어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방전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전연결부는,
    상기 제1 방전전극부가 연결되는 제1 방전연결부 및 상기 제2 방전전극부가 연결되는 제2 방전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와 상기 제2 방전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 방전연결부의 중심과 상기 제2 방전연결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상기 제1 유로형성부의 중심을 지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형성된,
    집진 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의 극으로 대전되는 방전부; 및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 상기 방전전극부와 연결되는 방전플레이트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가 상기 집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와 상기 집진부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부는,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집진되며 상기 집진 공간을 제공하는 집진전극부 및 상기 집진전극부가 배치되는 집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플레이트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 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방전전극부가 연결될 수 있는 방전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방전플레이트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포함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중심유로형성부, 상기 중심유로형성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일측유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유로형성부는,
    상기 일측유로형성부와 형상이 상이한,
    집진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유로형성부는,
    공기가 상기 집진 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일측유로형성부 보다 크기가 큰,
    집진 필터.
  7.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이용되는 집진 필터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의 극으로 대전되는 방전부; 및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방전부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집진 공간에 배치되는 방전전극부, 상기 방전전극부와 연결되는 방전플레이트 및 상기 방전플레이트가 상기 집진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방전플레이트와 상기 집진부를 서로 매개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부는,
    소정의 전류가 유동되는 경우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집진되며 상기 집진 공간을 제공하는 집진전극부 및 상기 집진전극부가 배치되는 집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방전전극부는,
    상기 방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방전중심부 및 상기 집진 공간에 유동되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하 전달 면적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방전중심부로 외삽되는 방전둘레부를 구비하는,
    집진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둘레부는,
    상기 방전중심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집진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부는,
    상기 집진 공간에 유동되는 공기 상에 부유되는 오염 물질에 효과적으로 전하를 전달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가 상기 집진 공간에 배치된 상기 방전중심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방전둘레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방전둘레부에 연결되는 방전핵을 더 구비하는,
    집진 필터.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집진 필터; 및
    상기 집진 필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안착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유입부 및 상기 안착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20180050802A 2018-05-02 2018-05-02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189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02A KR101890643B1 (ko) 2018-05-02 2018-05-02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02A KR101890643B1 (ko) 2018-05-02 2018-05-02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643B1 true KR101890643B1 (ko) 2018-08-22

Family

ID=6345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02A KR101890643B1 (ko) 2018-05-02 2018-05-02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99A1 (ko) * 2019-11-28 2021-06-03 (주)선재하이테크 흡입형 집진 장치
KR102287037B1 (ko) * 2021-04-01 2021-08-0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응축기형 백연 및 미세먼지 저감용 전기집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513A (ko) * 2013-03-08 2014-09-17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KR101669391B1 (ko) * 2016-02-04 2016-10-25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필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집진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513A (ko) * 2013-03-08 2014-09-17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KR101669391B1 (ko) * 2016-02-04 2016-10-25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필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집진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99A1 (ko) * 2019-11-28 2021-06-03 (주)선재하이테크 흡입형 집진 장치
KR102287037B1 (ko) * 2021-04-01 2021-08-0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응축기형 백연 및 미세먼지 저감용 전기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693A (en) Electrostatic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from a gas stream
KR101890643B1 (ko) 집진 필터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집진 장치
US7641718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105041B2 (en) Grid type electrostatic separator/coll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678237B1 (ko) 공기 정화 장치
US6962620B2 (en) Adjustable eddy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1180131A (zh) 静电分离装置中的湿式静电电离级
CN104841559B (zh) 箱式错位多孔除尘极板及使用箱式错位多孔除尘极板的静电除尘器
KR20110135900A (ko)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KR20150045068A (ko) 사이클론 구조를 갖는 전기집진 장치
US20140352535A1 (en) Electronic fine dust separator
KR100308333B1 (ko) 마찰 정전기 집진장치
KR20180058922A (ko) 선회류형 유니플로 전기집진기
KR20230076304A (ko) 내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전분무 사이클론
KR101721925B1 (ko) 전기 쇼트 발생 방지용 전기 집진기 애자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집진기
JPH0910625A (ja) 電気集じん装置
KR20170092294A (ko) 전기 집진장치
EP0995494A2 (en) An electrostatic air filtering device
KR20100096830A (ko) 집진장치
JP6114914B2 (ja) 集塵装置
KR20200062587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
WO2012077887A1 (ko) 무동력 사이클론 방식과 전기 집진 방식을 채택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645847B1 (ko) 이중채널 전기집진장치
KR200410985Y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JP3235014B2 (ja) 電気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