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590B1 -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590B1
KR101890590B1 KR1020160088717A KR20160088717A KR101890590B1 KR 101890590 B1 KR101890590 B1 KR 101890590B1 KR 1020160088717 A KR1020160088717 A KR 1020160088717A KR 20160088717 A KR20160088717 A KR 20160088717A KR 101890590 B1 KR101890590 B1 KR 10189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mosquito
ophiopl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731A (ko
Inventor
이선령
문상욱
유행수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삼다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5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파리 또는 모기에 대해 기피 활성을 나타내는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Composition for Repelling Insects Using an Extract of Ophioplocus japonicus}
본 발명은 거미불가사리(Ophioplocus japonicus)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수면 방해, 야회 활동 등에 큰 제약을 주는 모기는 사람에게 질병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해충으로, 지구상에 약 3,500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9속 55종이 알려져 있다. 모기는 일반적으로 교미 후 암컷 성충의 난을 성숙시키기 위해서 동물의 단백질을 얻기 위한 흡혈 활동을 하게 되며, 흡혈 부위에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된 타액을 분비하게 된다. 이러한 타액을 통하여 모기는 말라리아(malaria), 뇌염(encephalitis), 황열병(yellow fever), 댕기열병(dengue fever), 그리고 사상충증(filariasis) 등의 질병을 매개하는데(Science, 257:37-38, 1992), 특히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하는 일본 뇌염은 사망률이 높고 치료가 되더라도 정신박약 등 심한 후유증을 남긴다고 알려져 있다.
모기 방제를 위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와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은 diethyltoluamide(DEET)이다. DEET는 1946년 미군에 의해서 처음 개발되어 현재까지 모기를 비롯한 파리, 벼룩, 진드기 등의 다양한 해충들을 제어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Int. J. Pharm. 163:167-176, 1998). 그러나 피부 침투력이 높아 경피독성을 야기할 수 있고(Drug Metab. Dispos. 22:106-112, 1994) 뇌병증(encephalopathy), 급성조병형정신병(acute manic psychosis), 순환기 질환(cardiovascular) 등의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Am. Mosq. Control Assoc. 11: 274-278, 1995). 따라서 어린이, 임산부, 저혈압 환자,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 등에 대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20% 이상 농도의 DEET를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를 제조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최근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모기 기피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정향유(Clove Oil) 등(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4536호), 황벽나무 추출물 등(한국 등록특허 제10-1470477호), 시트로넬라 정유 등(한국 공개특허 제공개특허 10-2014-0042008호), 석창포 추출물(Korean J Environ Agric, 30(1): 76-81, 2011) 등 천연물 유래의 모기 기피제가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도 모기 등 해충에 대해 기피 활성을 갖는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거미불가사리 에탄올 추출물이 초파리에 대한 기피 효과와 모기에 대한 기피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명세서에서, "거리불가사리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거미불가사리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해충"은 초파리 또는 모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해충 기피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해충 기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모기 기피 활성의 상승 보강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모기 기피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물 유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물 유래 물질은 앞서 예시한 DEET, 정향유(Clove Oil) 등(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14536호), 황벽나무 추출물 등(한국 등록특허 제10-1470477호), 시트로넬라 정유 등(한국 공개특허 제공개특허 10-2014-0042008호), 석창포 추출물(Korean J Environ Agric, 30(1): 76-81, 2011)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오일류는 해충 기피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살충 활성까지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Biores. Technol. 99:2507-2515, 2008), 상기 예시한 오일류 이외에 임의의 식물 오일류도 그것이 해충 기피 활성을 가지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그 적용 방법에 따라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외용제 또는 스프레이제로 제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오일, 분말, 현탁액, 훈증제, 전기 매트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비누, 스프레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관련해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을 참조할 수 있으며, 위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한국에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한국 약사법에 따라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참고로 한국 약사법은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살균·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를 의약외품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한국 약사법에 따른 식약처 고시인 "의약외품 범위 지정"은 살충제, 살서제 등을 의약외품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부형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액체 또는 고체 담체(희석제), 전착제, 유화제, 보습제, 분산제, 점착제, 붕해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부형제로서 적합한 성분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성분 중 임의의 성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충 기피 방법은 본 발명의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해충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해충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본 발명의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해충의 서식하거나 분포하는 장소나 위치에 분무·살포하거나 해충과 접근하는 인체 피부 등에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충 기피제 조성물은 초파리와 모기에 대해서 기피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의 모기 기피 활성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거미불가사리 추출물 스프레이 제조
거미불가사리(Ophioplocus japonicus)의 에탄올 추출물 0.2g을 정제수 100ml에 녹인 후 스프레이 용기에 넣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거미불가사리 에탄올 추출물은, 제주 서귀포시 신풍리 근해에서 2015년 8월에 채집한 불가사리의 건조 분말에 5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고 그 여과액을 감압농축,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얻은 것이다.
< 실험예 > 모기 등 해충 기피 효능 실험
< 실험예 1> 초파리 기피 효능 실험
초파리에 대한 기피 효능 실험을 아래와 같이 수행하였다. 초파리 기피 효능 평가는 모기에 대한 기피 효능 평가를 위해서도 이용되므로 초파리를 이용한 기피 효능 평가는 예비적인 모기 기피 효능 평가로도 활용될 수 있다.
먼저 두 개의 10L의 플라스틱 사각용기 바닥에 신문지를 4~5겹으로 깔고, 그 신문지 위에 바나나 생과 1개로부터 얻은 바나나껍질을 각각 올려놓았다. 수시간 후부터 초파리 무리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1일 후에는 상당량의 초파리 무리가 발생함이 관찰되었다. 상당량의 초파리 무리가 발생한 1일 후 신문지가 깔려있는 플라스틱 바닥 주위에 상기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분사하여 초파리 무리의 이동을 관찰하였다. 스프레이 분사 30분 후 초파리 무리가 완전히 이동하여 소멸하였으며 이러한 기피 효과는 1일간 지속되었다.
< 실험예 2> 모기 기피 효능 실험
< 실험예 2-1> 1차 모기 기피 효능 실험
남녀 각 1인 총 2명을 대상으로 모기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서 한쪽 팔에는 상기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살포하고, 다른 쪽 팔에는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살포하지 않은 후 모기의 접근을 관찰하였다. 1시간 후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 전부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살포한 팔에서는 전혀 모기에 물리지 않았으나,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살포하지 않은 팔에서는 모기에 물린 흔적이 각 대상사 모두에서 4-5곳 정도 나타났다(도 1 참조). 참고로 실시예의 스프레이 살포 부위는 수시간이 경과하여도 발적, 가려움, 따가움 등의 피부자극은 일체 나타나지 않았다.
< 실험예 2-2> 2차 모기 기피 효능 실험
모기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서, 남성 3인을 대상으로, 남성 2인에 대해서는 한쪽 팔에 상기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살포하였고, 다른 쪽 팔에는 약국에서 판매중인 이카리딘 성분을 7% 함유한 모기 기피제를 살포하였으며, 실험 대상자 남성 1인에 대해서는, 한쪽 팔에는 상기 실시예의 스프레이를, 다른 쪽 팔에는 아무것도 살포하지 않았다. 50-60분 경과 후 실시예의 스프레이와 시판 중인 모기 기피제를 살포한 팔에서는 실험 대상자 2인 모두 전혀 모기에 물리지 않았으나, 나머지 1인의 경우 아무것도 살포하지 않은 한쪽 팔에서만 3-4회 모기에 물린 흔적이 관찰되었다. 여기서도 실시예의 살포 부위는 수시간이 경과하여도 발적, 가려움, 따가움 등의 피부자극은 일체 나타나지 않았다.

Claims (4)

  1. 거미불가사리(Ophioploc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파리 또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은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088717A 2016-07-13 2016-07-13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KR10189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17A KR101890590B1 (ko) 2016-07-13 2016-07-13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17A KR101890590B1 (ko) 2016-07-13 2016-07-13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31A KR20180007731A (ko) 2018-01-24
KR101890590B1 true KR101890590B1 (ko) 2018-08-24

Family

ID=6102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17A KR101890590B1 (ko) 2016-07-13 2016-07-13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5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899A (ja) * 2008-02-19 2009-09-03 Mikami Doken Kogyo:Kk ヒトデからの液状防虫剤の抽出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899A (ja) * 2008-02-19 2009-09-03 Mikami Doken Kogyo:Kk ヒトデからの液状防虫剤の抽出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31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onwera et al. Efficacy of Thai herbal essential oils as green repellent against mosquito vectors
US20100092398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therefore
US8397427B2 (en) Wasp, hornet, and yellowjacket spray repellant and nest pesticide
US20230174457A1 (en) Insect repell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20160198706A1 (en) Extract of euodia suaveolens scheff, repelle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KR20180021417A (ko) 천연물을 이용한 닭진드기(와구모) 구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4042B1 (ko)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890590B1 (ko) 거미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해충 기피제 조성물
US7988985B2 (en) Pest repellent compositions and methods
JP6326382B2 (ja) 飛翔害虫忌避剤
US841493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rachnid control
EP1558087A1 (en) Insect repellent based on a mixture of essential oils
KR20130026742A (ko) 모기 등 해충의 퇴치를 위해 은행나무에서 추출하는 천연살충성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400960A1 (e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EP3861857A1 (en) Antiparasitic compositions
KR102297598B1 (ko) 금잔화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방제용 조성물 및 그 방제 방법
KR102662090B1 (ko) 오약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방제용 조성물 및 그 방제 방법
KR100955344B1 (ko) 잔톡실럼속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EP2161990A1 (en) Mosquito repellent
JPH10279413A (ja) 植物抽出物
US20170135349A1 (en) Composition with pest resistant properties
ES2678493A1 (es) Repelente natural de mosquitos
KR102644589B1 (ko) 은행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조성물
KR20240010066A (ko) 향부자 추출물을 이용한 모기 방제용 조성물 및 그 방제 방법
JPH072611B2 (ja) 有害生物忌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