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159B1 -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159B1
KR101890159B1 KR1020160173324A KR20160173324A KR101890159B1 KR 101890159 B1 KR101890159 B1 KR 101890159B1 KR 1020160173324 A KR1020160173324 A KR 1020160173324A KR 20160173324 A KR20160173324 A KR 20160173324A KR 101890159 B1 KR101890159 B1 KR 10189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ilm
panel
reference mark
atta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845A (ko
Inventor
최성원
장영철
성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17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1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8Determining the joining area by using markings on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14Electr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는,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 및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되어 패널의 표면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되 패널에 대한 기능성 필름의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가 마련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functional film}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및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기능성 필름 부착위치에서 얼라인시켜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이고,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역시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평판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특히, OLED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인 PMOLED와, 능동형인 AMOLED로 나뉜다.
AMOLED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감도 자연스럽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AMOLED는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이 아닌 얇고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패널(flexible panel) 등에 적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OLED를 제조하는 공정에는 패턴(Pattern) 형성 공정, 유기박막 증착 공정, 봉지 공정, 유기박막이 증착된 기판과 봉지 공정을 거친 기판을 붙이는 합착 공정,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 등 다양한 공정이 있다.
한편,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은 소위,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은 유리 재질로 된 비교적 두꺼운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일 수도 있고, 얇고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패널(flexible panel)일 수도 있다.
글라스 패널은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이러한 글라스 패널을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할 때는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공정 없이 예컨대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곧바로 글라스 패널에 부착시킬 수 있다.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지만 부착 롤러(roller)를 이용한 방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부착 롤러를 이용한 방식은, 부착 롤러가 기능성 필름의 표면 전 영역에 접촉된 후에 구름 이동되면서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이 들뜨지 않고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기 전에 우선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얼라인(align)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얼라인 작업이 진행된 후에 부착 롤러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부착 공정이 진행되어야 정확한 자리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패널은 패널 테이블의 스테이지에 진공으로 흡착되기 때문에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얼라인 작업은 스테이지 상에서 위치 고정된 패널에 대하여 기능성 필름을 이동시켜 가면서 진행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에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얼라인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특히,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 기능성 필름을 구동시키는 기구물과 패널을 구동시키는 기구물이 각각 존재하며, 각각의 기구물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각각 상부 및 하부에 비젼카메라를 마련하고 상부 및 하부의 각 비젼카메라에 기초하여 기능성 필름과 패널을 별도로 얼라인시킴으로써 얼라인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작업시간이 늘어나며,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36793호 (엘지전자 주식회사), 2014.12.0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능성 필름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고, 패널 및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부착위치의 기준에 맞게 얼라인시켜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 및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과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표면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되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기능성 필름의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가 마련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부착위치 기준마크를 감지하는 기준마크 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마크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의 감지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과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마크 감지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에 접촉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패널에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 및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을 지지하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는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에 형성되되,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은 소정의 세팅용 지그에 의해 부착각도가 세팅될 수 있다.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는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은, 상기 패널이 로딩되는 스테이지가 마련되는 패널 테이블; 및 상기 패널이 상기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패널 테이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진공압으로 흡착되는 필름 흡착 스테이지;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이 상기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 흡착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이동부는, 상기 필름 흡착 스테이지를 수직축선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인 부착각도만큼 틸팅(tilting)시키는 스테이지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이며, 상기 기능성 필름은 상기 패널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패널 상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를 상기 패널 상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에 마련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 마련 단계;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으로 상기 패널을 얼라인시키는 패널 얼라인 단계;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 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상기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으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시키는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 및 상기 부착위치에서 상기 패널 상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에서는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패널에 대해 얼라인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기준마크 감지유닛으로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를 감지하는 기준마크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에 접촉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패널에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 및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을 지지하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은 상기 기준마크 감지유닛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는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에 형성되며,
소정의 세팅용 지그에 의해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의 부착각도가 세팅되는 부착각도 세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필름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고, 패널 및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부착위치의 기준에 맞게 얼라인시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기능성 필름의 부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세팅용 지그의 작용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기능성 필름부착장치의 세팅용 지그 결합 해제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필름이란, 빛을 최적의 조건으로 투과, 편광시키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름(혹은 시트(sheet)), 예컨대 EMI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이형 필름,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이 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OLED용 글래스 패널(glass panel)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글라스 패널(Glass panel)으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패널은 글라스 패널 외에 다른 제품을 의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세팅용 지그의 작용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B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기능성 필름부착장치의 세팅용 지그 결합 해제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과, 기준마크 감지유닛(120)과,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과,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에는,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에 대한 기능성 필름의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가 마련되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은,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과,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을 포함한다.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은,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의 일측에 마련된다.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은 기능성 필름에 접촉해서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부착시킨다.
즉,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은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에 이웃하게 마련되며,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 접촉 가압되어 패널 상으로 구름 이동되면서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처럼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을 이용하는 경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이 기능성 필름의 표면 전 영역에 접촉된 후에 구름 이동 되면서 기능성 필름을 패널의 표면에 부착시킬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이 들뜨지 않고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부착시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및 오류를 최소화하는 각도인 최적의 부착각도가 존재하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을 최적의 부착각도로 세팅하여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 시 발생하는 기포 및 오류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최적의 부착각도 세팅을 위한 세팅용 지그(150)가 마련되며, 이에 대하여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은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33)을 지지한다.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에 형성되며,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한다.
즉,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에 형성되고,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보다 돌출되게 마련되므로, 기능성 필름을 패널상에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에서 패널 및 기능성 필름과 부착위치 기준마크(111)가 접촉되지 않게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위치인 부착위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기준으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얼라인의 기준을 일정하게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기준으로 기능성 필름의 부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은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에 의해 부착각도가 세팅된다.
세팅용 지그(150)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151)와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부착각도를 가이드하는 부착각도 세팅부(152)를 포함한다.
세팅용 지그(150)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의 일측에 결합하여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 즉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의 부착각도를 세팅시키며,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기준으로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이 얼라인된 후 결합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이 얼라인되기 전에 결합 해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부착시키는 부착공정을 수행할 때에는 세팅용 지그(150)를 결합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결합부(151)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과 결합하여 고정되므로 부착각도 세팅시 안정성을 높인다.
부착각도 세팅부(152)는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부착각도를 미리 설정하여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부착각도가 미리 세팅된 부착각도 세팅부(152)를 포함하는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를 선택하고,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을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부착각도로 세팅하므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의 부착시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및 오류를 최소화하여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밀도 및 부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에 홈 형태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112)은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보다 돌출되게 마련되므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홈 형태로 마련하여 별도의 기준마크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 형성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을 수행함에 안정성이 유지된다.
한편,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의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다.
즉,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는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데,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하고,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에 의하여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 결과값은 패널 및 기능성 필름 얼라인의 기초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수평형으로 배치되는 패널에 대응되게 마련되므로,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 상에 형성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다.
다만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수직형으로 배치되는 패널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서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패널의 판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되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하며,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이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 결과값을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이 얼라인이 되도록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 및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은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널이 로딩되는 스테이지가 마련되는 패널 테이블(131)과, 패널 테이블 이동부(132)를 포함한다.
패널 테이블 이동부(132)는 패널이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패널 테이블을 이동시킨다.
제어부(미도시)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패널 테이블 이동부(132)를 제어하여 패널이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패널 테이블(131)을 이동시킨다.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은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의 일측에 마련되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고,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와, 스테이지 이동부(142)와, 스테이지 틸팅부(143)를 포함한다.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는 기능성 필름이 진공압으로 흡착되는 장소를 이룬다.
스테이지 이동부(142)는 기능성 필름이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를 이동시킨다.
제어부(미도시)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이동부(142)를 제어하여 기능성 필름이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를 이동시킨다.
스테이지 틸팅부(143)는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를 수직축선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인 부착각도만큼 필름 흡착 스테이지(141)를 경사지게 틸팅(tilting)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이와 별도로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정도도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 결과값에 기초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기능성 필름의 부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정도 또한 감지할 수 있어,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효율 및 얼라인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에 의해 감지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의 감지 결과값에 기초하여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1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으로부터 부착위치 기준마크(111) 감지 결과값의 정보를 받아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10)과 필름 얼라인 지지 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에 의해 감지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의 감지 결과값에 기초하여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얼라인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기능성 필름 부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기능성 필름 부착방법은, 부착위치 기준마크 마련 단계(S10)와, 부착각도 세팅 단계(S20)와,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와, 패널 얼라인 단계(S40)와,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S50)와, 기능성 필름 부착 단계(S60)를 포함한다.
부착위치 기준마크 마련 단계(S10)는, 패널 상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패널 상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에 마련함으로써 수행된다.
부착위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기준으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얼라인 기준을 일정하게 마련하므로 기능성 필름의 부착 공정이 일정한 위치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부착각도 세팅 단계(S20)가 수행된다.
부착각도 세팅 단계(S20)는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에 의해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의 부착각도가 세팅되는 단계이다.
즉, 부착각도 세팅 단계(S20)에서는, 기능성 필름의 부착시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및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부착각도가 미리 세팅된 세팅용 지그(150)에 의해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의 부착각도가 세팅되는 단계이다.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에서는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으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다.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에서는, 부착위치의 기준을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기준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의 결과값은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기준이 된다.
즉,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에서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 결과값이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을 일정하게 얼라인시키는 기준이 되므로 얼라인 기준이 일정해지며, 따라서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수평형으로 배치되는 패널에 대응되게 마련되므로,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 상에 형성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수직형으로 배치되는 패널에 대응되게 마련될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서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은 패널의 판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되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반대편에 마련된다.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은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에 의해 부착각도가 세팅된다.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은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에 의해 부착각도가 세팅되므로,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을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최적의 부착각도로 세팅시킬 수 있다.
세팅용 지그(150)에 의한 부착각도 세팅은 기능성 필름 및 패널의 종류에 따라 부착시 발생 가능한 기포를 최소화하는 부착각도로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을 세팅하여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를 향상시키며,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른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를 선택하여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에 결합함으로써 부착위치의 기준 및 부착각도를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종류에 따라 세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의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113)에 형성되고,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110)은 소정의 세팅용 지그(150)에 의해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 발생하는 기포 및 오류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부착각도로 세팅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기능성 필름의 부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패널 얼라인 단계(S40)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으로 패널을 얼라인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S50)는 패널 얼라인 지지 유닛(110)의 일측에 마련되되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으로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 시킴으로써 수행되며,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S50)에서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대해 얼라인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얼라인 단계(S40)와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S50)를 수행하여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부착 위치에 얼라인 시킴으로써,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효율 및 얼라인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방법에 있어서,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는,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패널 얼라인 단계(S40)와 필름 얼라인 단계(S50)에서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감지하는 단계이며, 따라서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는 본 실시예의 각 과정의 사이에서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즉, 기준마크 감지 단계(S30)는 부착위치 기준마크 마련 단계(S10) 후에 부착위치 기준마크(111)를 감지하며,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제어부(미도시)에 보낸다.
그러면 제어부(미도시)는, 기준마크 감지유닛(120)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기초하여 얼라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패널 얼라인 단계(S40)와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S50)에서 얼라인 오차 발생시 보정값을 산출하여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130)과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140)의 재 얼라인 동작을 제어한다.
기능성 필름 부착 단계(S60)는 부착위치에서 패널 상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부착위치 기준마크(111)에 기초하여 일정한 얼라인 기준위치로 얼라인 시킨뒤 부착위치에서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킨다.
기능성 필름 부착위치는 기준마크(111)를 기준으로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얼라인의 기준을 일정하게 마련할 수 있고, 따라서 얼라인의 기준으로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시킨 후,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밀도가 높아지며, 기능성 필름 부착시 발생하는 기포 및 오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필름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고, 패널 및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부착위치의 기준에 맞게 얼라인시켜,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기능성 필름의 부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패널 및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능성 필름의 부착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110 :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
111 : 부착위치 기준마크 112 :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
113 :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 120 : 기준마크 감지유닛
130 :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 131 : 패널 테이블
132 : 패널 테이블 이동부 140 :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
141 : 필름 흡착 스테이지 142 : 스테이지 이동부
143 : 스테이지 틸팅부 150 : 세팅용 지그

Claims (15)

  1.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과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표면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되 상기 패널에 대한 상기 기능성 필름의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가 마련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 및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를 감지하는 기준마크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에 접촉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패널에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 및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을 지지하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는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에 형성되되,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은 소정의 세팅용 지그에 의해 부착각도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마크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의 감지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과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마크 감지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는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은,
    상기 패널이 로딩되는 스테이지가 마련되는 패널 테이블; 및
    상기 패널이 상기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패널 테이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진공압으로 흡착되는 필름 흡착 스테이지;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이 상기 부착위치에 얼라인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 흡착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은,
    상기 필름 흡착 스테이지를 수직축선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인 부착각도만큼 틸팅(tilting)시키는 스테이지 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이며,
    상기 기능성 필름은 상기 패널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11. 패널 상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부착위치의 기준을 형성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를 상기 패널 상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에 마련하는 부착위치 기준마크 마련 단계;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패널 얼라인 지지유닛으로 상기 패널을 얼라인시키는 패널 얼라인 단계;
    상기 패널 얼라인 지지 유닛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될 상기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align)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얼라인 지지유닛으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얼라인시키는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
    상기 부착위치에서 상기 패널 상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단계;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기준마크 감지유닛으로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를 감지하는 기준마크 감지 단계; 및
    소정의 세팅용 지그에 의해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의 부착각도가 세팅되는 부착각도 세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는, 상기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필름 얼라인 단계에서는 상기 부착위치 기준마크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패널에 대해 얼라인시키며,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유닛은, 상기 기준마크 감지유닛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성 필름에 접촉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패널에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 및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용 롤을 지지하는 기준마크 형성용 롤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73324A 2016-12-19 2016-12-19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189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24A KR101890159B1 (ko) 2016-12-19 2016-12-19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24A KR101890159B1 (ko) 2016-12-19 2016-12-19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45A KR20180070845A (ko) 2018-06-27
KR101890159B1 true KR101890159B1 (ko) 2018-09-28

Family

ID=6279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24A KR101890159B1 (ko) 2016-12-19 2016-12-19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989B1 (ko) * 2023-12-21 2024-03-27 주식회사 금화솔루션 필름 접합 자동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6315A (ja) * 2012-03-08 2013-09-19 Suntec Inc 平坦物品の貼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370B1 (ko) 2013-05-21 201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름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6315A (ja) * 2012-03-08 2013-09-19 Suntec Inc 平坦物品の貼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45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975B1 (ko) 얼라이너 구조 및 얼라인 방법
US20180095265A1 (en) Curved display panel adhering device
KR20140131429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용 용접기
JP6070968B2 (ja) 剥離起点作成装置及び方法
KR101479943B1 (ko) 기판과 마스크의 얼라인 시스템 및 얼라인 방법
CN101298204B (zh) 将保护膜从偏光片撕离的设备
KR101947805B1 (ko) 라미네이팅 장치
US10773505B2 (en) Method of attaching substrate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ubstrate
KR10209201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010247B1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890159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20140137873A (ko) 글라스와 마스크의 정렬장치
TWI447841B (zh) 對準基板的方法
KR20190053373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863242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90121556A (ko)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KR20190053371A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101972781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060653B1 (ko) 기판 이송 장치, 기판 이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합착장치
KR101372518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KR101787977B1 (ko) 릴리스 장치
TWI386704B (zh) 用以將偏光片貼合在液晶顯示面板的設備
US9557592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anel
US10775919B2 (en) Display device
KR101430670B1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