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851B1 -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851B1
KR101889851B1 KR1020120001983A KR20120001983A KR101889851B1 KR 101889851 B1 KR101889851 B1 KR 101889851B1 KR 1020120001983 A KR1020120001983 A KR 1020120001983A KR 20120001983 A KR20120001983 A KR 20120001983A KR 101889851 B1 KR101889851 B1 KR 10188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output
output
apparatuses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848A (ko
Inventor
정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8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콘텐츠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는 출력부;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를 조합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outputting device and contents supplying server}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및 출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전송측에서는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여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콘텐츠 출력 장치측에서는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및 출력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로 디지털 사이지니 장치의 보급이 활발해 지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티케이션 툴(Communicaiton tool)로 공항, 호텔, 병원, 지하철역 등의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로서, 기존의 상업용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에 주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관리 플랫폼(platform)까지 종합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도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의 일정한 장소 혹은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 등의 장치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다양한 콘텐츠와 상업 광고 등을 표출하는 매체로서 현재 아파트 엘리베이터, 지하철 역내, 지하철 내, 버스 내, 대학교, 은행, 편의점, 할인점, 쇼핑몰 등 대중이 움직이는 모든 동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초기 형태는 단순한 대형 전광판, 지하철이나 버스 내의 LCD 동영상, 역사 내 PDP 광고 및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한 정보의 제공 및 광고의 노출 기능을 넘어서, 터치패드 기술과 초고속 인터펫 기술 등에 힘입어 일반 대중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interactive communication)을 가능케 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와 같은 콘텐츠 출력 장치와 관련하여 콘텐츠 출력 장치로의 효율적인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여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서로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여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서로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출력부;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를 조합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Peer to Peer)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와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는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 간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를 설정하는 장치 관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여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서로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는,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여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서로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일종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구현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블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새로이 포함된 콘텐츠 출력 장치에게 콘텐츠 제공 시스템 내에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과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에서 배포 콘텐츠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전달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일종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의 구현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멀티비젼(multivisi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는 하나의 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 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범위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는 PC나 노트북 등의 컴퓨팅 시스템일 수도 있고,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블락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콘텐츠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콘텐츠 제공 장치(200 내지 1100)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로 배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데이터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통신 모듈(110)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예컨대, 상기 통신 모듈(110)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각각으로부터 통신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중 특정 콘텐츠 출력 장치로는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에서 재생될 배포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장치 관리 모듈(132) 및 장치 관리 모듈(134)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관리 모듈(132)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간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중 제1 레벨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 그룹(200 및 300, 400 및 500)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 그룹(200 및 300)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중 대응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서로가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각각이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간의 복수의 부분 콘텐츠 공유 방식은 P2P(peer to peer)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배포 및 출력 과정은 다른 제1 콘텐츠 출력 장치 그룹(400 및 5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관리 모듈(132)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간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제1 레벨의 콘텐츠 출력 그룹들(200 및 300, 400 및 500)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들(200 내지 500) 각각에 대한 복수의 제2 출력 장치 그룹(600 및 700, 800 및 900, 1000 및 1100)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특정 제2 콘텐츠 출력 장치 그룹(600 및 700)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도록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중 대응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 서로가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 각각이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간의 복수의 부분 콘텐츠 공유 방식은 P2P(peer to peer)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배포 및 출력 과정은 다른 제2 콘텐츠 출력 장치 그룹들(800 및 900, 1000 및 11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동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간의 통신 속도를 획득한다(S10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장치 관리 모듈(132)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중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를 설정한다(S11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배포 콘텐츠를 각각이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에 대응되는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한다(S120).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중 대응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S130).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하여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300) 각각을 제어한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배포 콘텐츠 전체를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배포 콘텐츠를 여러 콘텐츠 출력 장치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배포 콘텐츠의 전송 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동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200 내지 1100) 간의 통신 속도를 획득한다(S20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장치 관리 모듈(132)은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를 설정하도록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제어한다(S21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배포 콘텐츠를 각각이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에 대응되는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도록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제어한다(S220).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 중 대응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제어한다(S230). 그런 다음,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하여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 각각을 제어한다(S240).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0)가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새로이 포함된 콘텐츠 출력 장치(C7)에게 콘텐츠 제공 시스템(10) 내에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콘텐츠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C1 내지 C6)가 포함된 상태에서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가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클라이언트 리스트(즉, 콘텐츠 출력 장치 리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출력 장치(C2 내지 C6)와의 통신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통신 속도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 보고한다.
측정된 통신 속도가 보고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를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제1 레벨의 콘텐츠 출력 장치(C1)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Child)로 할당하고 이를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로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제1 레벨의 콘텐츠 출력 장치(C1)에게는 상기 제1 레벨의 콘텐츠 출력 장치(C1)가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의 상위 콘텐츠 출력 장치(Parent)임을 통지할 수 있다.
측정된 통신 속도가 보고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를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제2 레벨의 콘텐츠 출력 장치(C3)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Child)로 할당하고 이를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로 통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제2 레벨의 콘텐츠 출력 장치(C1)에게는 상기 제1 레벨의 콘텐츠 출력 장치(C1)가 상기 새로운 콘텐츠 출력 장치(C7)의 상위 콘텐츠 출력 장치(Parent)임을 통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복수의 콘텐츠 제공 서버(100'), 서로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C1 내지 C6)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의 관리자는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접속된 단말기들(140, 150, 및 160)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블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사용자 입력부(220), 출력 모듈(230), 데이터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통신 모듈(210)은 콘텐츠 출력 장치(200)를 다른 전자 기기와 연결시키거나,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210)은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10)은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배포 장치는 콘텐츠 제공 서버일 수도 있고,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상위 콘텐츠 출력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를 조합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상기 출력 모듈(2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은 P2P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모듈(23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232)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32)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모듈(230)에 포함된 음향 출력 모듈(234)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40)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250)는 수신되는 배포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통상적으로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들과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로의 부분 콘텐츠 전송도 P2P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블락도이다. 이하, 도 3,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동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다(S30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상기 배포 콘텐츠의 다른 일부를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S310). 그리고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32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를 조합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 모듈(230)을 통하여 출력한다(S330). 한편,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300) 역시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다른 일부를 조합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동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와의 통신 속도를 획득한다(S40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한다(S410).
그런 다음,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 중 대응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S420). 그런 다음,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공유하여 배포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600 및 700)를 제어한다(S430).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200)에서 배포 콘텐츠가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 향하는 화살표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 또는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며, 화살표 위에 표시된 문자는 상기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배포 콘텐츠는 복수의 영상 및 텍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배포 콘텐츠는 복수 개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되어 복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로 수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콘텐츠 출력 장치(200) 및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제어부(130) 또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 저장부(120) 또는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제어부(130) 또는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동 방법들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동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콘텐츠 제공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데이터 저장부
130: 제어부 132: 장치 관리 모듈
134: 데이터 관리 모듈 200: 콘텐츠 출력 장치
210: 통신 모듈 220: 사용자 입력부
230: 출력부 232: 디스플레이 모듈
234: 음향 출력 모듈 240: 데이터 저장부
250: 제어부 300 내지 1100: 콘텐츠 출력 장치

Claims (11)

  1. 출력 모듈;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는 상기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콘텐츠 배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조합하여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Peer to Peer)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 및 상기 배포 콘텐츠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텐츠 출력 장치와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며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 각각에 할당되는 하위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하위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출력 장치.
  7.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 간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를 설정하는 장치 관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전체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은,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 각각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모듈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와의 통신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출력 장치 간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콘텐츠 출력 장치 각각을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은,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 사이의 통신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배포 콘텐츠를 복수의 부분 콘텐츠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제2 콘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전체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배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은,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 각각을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 중 대응되는 제2 출력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 제1 콘텐츠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콘텐츠 출력 장치는,
    P2P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콘텐츠를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KR1020120001983A 2012-01-06 2012-01-06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KR10188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83A KR101889851B1 (ko) 2012-01-06 2012-01-06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83A KR101889851B1 (ko) 2012-01-06 2012-01-06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48A KR20130089848A (ko) 2013-08-13
KR101889851B1 true KR101889851B1 (ko) 2018-08-20

Family

ID=4921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83A KR101889851B1 (ko) 2012-01-06 2012-01-06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8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934A (ja) 2000-01-31 2001-08-10 Canon Inc 映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844485B2 (ja) * 2005-02-22 2006-11-15 株式会社Para.TV 携帯電話向けインターネットライブ放送システム、携帯電話向けインターネットライブ放送方法、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作成配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123280A (ja) 2009-12-10 2011-06-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分割再生方法、映像分割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991B1 (ko) * 2007-04-16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통신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90125498A (ko) * 2008-06-02 2009-12-07 에스큐아이소프트(주) 다중 광고 표시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045321B1 (ko) * 2009-09-17 2011-06-29 주식회사 디지털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5934A (ja) 2000-01-31 2001-08-10 Canon Inc 映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844485B2 (ja) * 2005-02-22 2006-11-15 株式会社Para.TV 携帯電話向けインターネットライブ放送システム、携帯電話向けインターネットライブ放送方法、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作成配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123280A (ja) 2009-12-10 2011-06-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分割再生方法、映像分割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48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5058B2 (en) Increasing the relevancy of media content
KR20140031457A (ko) 광고 서비스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US11443340B2 (en) Method and digital signage player for managing distributed digital signage content
US20140308932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signage contents
US983250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for customizing advertisement messages displayed on signage device
US9600152B2 (en) Providing feedback for screen sharing
US20190080514A1 (en) Interactive vehicle window system including augmented reality overlays
KR20130064953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0091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700759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134623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WO2007050918A8 (en) Interactive entertainment device
KR20130100830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이와 연동된 광고 효과 측정 서버
KR20160080567A (ko) 근거리 영역에서의 광고 푸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147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ignage service reflecting user&#39;s preference
KR101889851B1 (ko) 콘텐츠 출력 장치 및 콘텐츠 제공 서버
Bangui et al. Smart mobile technologies for the city of the future
US9594494B2 (en) Interactive messa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73742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326990A (zh) 一种综合数字媒体信息多终端服务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2843B1 (ko) 다중 did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7872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30090484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41833B1 (ko) 독립된 브라우저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