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593B1 -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593B1
KR101889593B1 KR1020150047167A KR20150047167A KR101889593B1 KR 101889593 B1 KR101889593 B1 KR 101889593B1 KR 1020150047167 A KR1020150047167 A KR 1020150047167A KR 20150047167 A KR20150047167 A KR 20150047167A KR 101889593 B1 KR101889593 B1 KR 10188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outermost
safety memb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8684A (en
Inventor
이정우
윤형구
김정민
정이헌
김기웅
김동명
류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4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593B1/en
Publication of KR2016011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08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셀들 및 상기 단위셀들을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는, 최외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가 하나 이상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separation film for continuously winding up the unit cells, wherein at least one outermost electrod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And at least one safety member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which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 is add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Description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afety member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afety member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have increased,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exhibit high energy density and operational potential, long cycle life, Batterie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리튬 이차 전지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However, since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problem in safet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it.

구체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가 과충전되면 양극으로부터 과잉의 리튬이 나오고 음극으로 과잉의 리튬이 삽입되면서 음극 표면에 반응성이 매우 큰 리튬 금속이 석출되고 양극 또한 열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며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유기 용매의 분해반응으로 인한 급격한 발열반응으로 전지가 발화, 폭발하는 등의 안전성 문제가 생긴다.Specifically, 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overcharged, excess lithium comes out from the anode and excess lithium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so that lithium metal having a very high reactivity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and the anode also becomes thermally unstable. The explosion reaction of the battery causes a sudden exothermic reaction, resulting in safety problems such as ignition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또한, 못과 같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침상체가 전지를 관통할 경우 전지내부의 전기화학적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급격한 발열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수반되는 열에 의해 양극 또는 음극 물질이 화학반응을 하게 되어 급격한 발열 반응을 일으켜서 전지가 발화, 폭발하는 등의 안전성 문제가 생긴다.Also, when a needle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passes through a cell such as a nail, the electrochemical energy inside the cell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rapid heat generation occurs. As a result, the anode or the cathode material undergoes a chemical reaction, Causing a safety problem such as ignition or explosion of the battery.

이러한, 침상 관통, 압착, 충격 등의 경우 전지 내부의 양극과 음극은 내부에서 국부적으로 단락이 생긴다. 이때 국부적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로 인해 발열이 생긴다. 국부적인 단락으로 인한 단락 전류의 크기는 저항에 반비례하므로 단락 전류는 저항이 낮은 쪽으로 많이 흐르게 되는데 주로 집전체로 사용되는 금속 호일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의 발열을 계산해 보면 가운데 침상체가 관통된 부분을 중심으로 국부적으로 매우 높은 발열이 생기게 된다.In case of needle penetration, squeezing, shock, etc., the anode and the cathode inside the battery are internally short-circuited. At this time, an excessive current flows locally and a heat is generated by this current. Since the magnitude of the short-circuit current due to the local short circui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sistance, the short-circuit current flows through the metal foil, which is mainly used as a current collector. A very high heat is locally generated around the portion.

전지 내부에 발열이 생길 경우, 분리막은 수축되어 다시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유발하고, 반복되는 열발생과 분리막의 수축에 의해 단락구간이 늘어나 열폭주가 발생하거나 전지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양극, 음극 및 전해액이 서로 반응하거나 연소하게 되는데 이 반응은 매우 큰 발열 반응이므로 결국 전지가 발화되거나 폭발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성은 특히, 리튬 이차전지가 고용량화되면서 에너지 밀도가 증가할수록 더 중요한 문제가 된다.If a heat is generated in the battery, the separator shrinks and short-circuits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gain, and repeated heat generation and shrinkage of the separator shrinks the short-circuit section, resulting in thermal runaway,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react with each other or burn, which is a very large exothermic reaction, which eventually causes the battery to ignite or explode. This risk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the energy density increases as the capac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reas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 공개 특허 10-2011-0024114는 연신율이 높은 분리막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분리막의 연신율을 더 높이기 위해 더 좋은 소재를 사용해야 하는 등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improve the safety of the battery,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24114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by using a separator having a high elongation.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process cost is increased, for example, a better material must be use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longation of the separator.

따라서, 더 좋은 소재 사용이나,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 없이도 효과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secondary battery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safety of a battery effectively without using a better material or requiring additional proces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셀들 및 상기 단위셀들을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에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를 하나 이상 부가시키는 경우, 소망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nd, as described later, in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separation film for continuously winding up the unit cells, It is confirmed that a desired effect can be achieved when at least one safety member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 have come to comple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복수의 단위셀들 및 상기 단위셀들을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로서, Accordingly,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separation film for continuously winding the unit cells,

상기 전극조립체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는, 최외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가 하나 이상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safety member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which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based o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이러한 안전부재는 최외곽에 부가되어 있음으로써 전극조립체 외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바, 그 자체로서 외력에 의한 물리적 충격에서 전극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순히 금속 호일의 안전부재를 최외각 전극의 외면에 부가시키는 것만으로도, 침상 관통, 압착, 충격 등의 물리적 힘이 가해졌을 시,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아 저항이 낮고 따라서 단락에 의한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안전부재가 우선적으로 접촉, 단락을 유발하여 내부를 보호하고, 그 단락열을 흡수하며, 침상 관통시에는 침상체에 의해 안전부재가 내부 전극과 통전을 이룸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safety member is attached to the outermost periphery, the streng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impro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a physical impact due to an external force, When a physical force such as needle-piercing, pressing, impact or the like is applied, the safety member having a low resistance due to the absenc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having a relatively low caloric value due to short-circuit is preferentially contacted, Short circuit is induced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battery, to absorb the short circuit heat, and when the battery is penetrated through the needle, the safety member is energized with the internal electrode by the syringe, so that the safety of the batter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안전부재는 단위셀 제조시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므로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고, 본원발명의 전극조립체는 복수의 단위셀들을 분리필름으로 권취하는 구조를 가지는 바, 안전부재가 전극조립체 외부에 부가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필름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안전부재는 분리필름에 의해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 적절히 고정될 수 있어, 전지의 움직임 및 충격 등에 따른 움직임이 적은 바, 전지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afety member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unit cell, no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wound into a separation film, Since the safety member can be appropriat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by the separation film and the movement due to the movement and impact of the battery is small,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내부 단락시 그 단락열을 흡수하며, 침상 관통시에는 침상체에 의해 안전부재가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을 이룸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보다 효과적으로 발열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안전부재를 이루는 금속 호일이 저항이 크지 않아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세하게는 Cu, Al, Ni, Fe, 및 P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과 음극의 집전체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인 Al 또는 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집전체로 다른 금속이 쓰이는 경우에는 그 금속과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circuit heat is absorbed during the internal short-circuit, and the safety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by the needle-like member when passing through the needl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foil constituting the safety member is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 resistance and a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In detail, the metal foil is made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Ni, Fe, and Pb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made of Al or Cu, which is a material generally used as a current collector for an anode and a cathode. Of course, when another metal is used for the current collector, it is preferable to use a safety member made of the same metal as the metal.

한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최외곽 전극들 중 한쪽의 최외곽 전극에만 부가될 수도 있고, 양쪽의 최외곽 전극들 외면에 각각 부가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최외곽 전극들 외면에 안전부재가 하나 이상 부가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ne specific example, it may be added only to the outermost electrode of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or may be added to the outer surface of both outermost electrodes, and a safety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outermost electrode Or more.

다만, 최외곽 전극들 중 한쪽의 최외곽 전극에만 안전부재가 하나 이상 부가되는 경우, 반대쪽에서의 침상 관통, 압착, 충격 등의 물리적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단락에 의한 통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전지의 안전성을 충분히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바, 양쪽의 최외곽 전극들에 안전부재가 각각 부가됨이 더욱 바람직하다.However, when one or more safety members are added only to the outermost electrodes of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if a physical force such as needle penetration, compression, shock, or the like is applied on the opposit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the battery can 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afety members are attached to the outermost electrodes on both sides.

또한, 안전부재의 부가 개수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여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가 같은 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야 되는 문제가 있는 바, 전극조립체의 용량 및 부피 증가 등을 고려하여 최외곽 전극들 외면에 각각 하나의 안전부재가 부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lso, sin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afety member, the total volum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must be increased to obtain the same capacity. In view of the capacity and volume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one safety member is added to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 electrodes.

하나의 예에서,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 하나의 안전부재만이 부가되는 경우, 상기 안전부재는 한정되지 아니하고, 최외곽 전극과 동일한 극성 또는 반대되는 극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외곽 전극들은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일 수 있고, 이에 부가되는 안전부재는 상기 금속 소재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only one safety material is ad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the safety member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foil having the same polarity or the opposite polarity as the outermost electrode. For example, the outermost electrodes may each be an anode or a cathode, and a safety member added thereto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metal material.

또 하나의 예에서,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 둘 이상의 안전부재가 부가되는 경우, 상기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는 최외곽 전극과 대면하는 제 1 안전부재부터 외면의 제 n 안전부재까지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안전부재가 상호 전기 절연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대면하는 안전부재들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졌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졌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전부재가 두개 부가되어 있는 경우, 최외곽 전극과 대면하는 제 1 안전부재는 상기 금속 소재에서 선택된 하나일수 있고, 상기 제 1 안전부재와 대면하는 제 2 안전부재는 제 1 안전부재의 금속 소재 또는 이를 제외한 상기 금속 소재 중 하나일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wo or more safety members are ad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may be provided with n (n) pieces from the first safety member facing the outermost electrode to the nth safety member on the outer surface, May be stacked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fronting safety members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or may be made of different metals. For example, when two safety members are provided, the first safety member facing the outermost electrode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metal material, and the second safety member facing the first safety member may be a first safety member, Or a metal material other than the metal material.

여기서, 상호 대면하는 안전부재들의 전기적 절연은 안전부재들 사이에 절연체가 부가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외곽 전극과 최외곽 전극에 대면하는 안전부재 역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바, 이 또한 상기와 같은 절연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electrical insulation of the mutually facing safety members can be achieved by adding an insulator between the safety members.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most electrode and the safety member facing the outermost electrode are also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the insulator can also be formed.

상기 절연체는 절연성을 가지며 박막의 형태로 제조되는 다공성 분리막 또는 비다공성 절연필름일 수도 있고, 절연성 접착제일 수도 있다. 상기 절연체를 이루는 소재는 절연성을 갖는 소재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일반적인 범용 수지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등일 수 있다. The insulator may be a porous separator, a non-porous insulation film, or an insulating adhesive, which has insulation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nsul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resin such as a polyethylene resin, a polypropylene resin, or a polymer resin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이러한 상기 절연체는 대면하는 최외곽 전극 또는 안전부재들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or is configured to be somewha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or safety members facing each other.

한편, 상기 안전부재는 그 형태에 있어서는,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안전부재의 크기는 최외곽 전극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 바, 상세하게는, 최외곽 전극의 평면 크기의 50 내지 99%, 더욱 상세하게는, 최외곽 전극의 평면 크기의 50 내지 90%일 수 있다.However, the size of the safety member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plane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safety memb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most electrode, To 50% to 99% of the planar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 and more specifically, 50% to 90% of the planar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

상기 범위를 벗어나, 안전부재의 크기가 최외곽 전극의 평면 크기와 같거나, 이보다 큰 경우에는 안전부재에 의해 전극조립체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뿐 아니라,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의 모서리에 의해 권취하는 분리필름이 손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속적인 손상이 이뤄져 전지의 안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안전부재는 전극의 크기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size of the safety member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lane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 the overall siz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increased by the safety member, and when the safety member is wound out by the edge of the safety member made of metal foil The separation film may be damaged, and continuous damage may be caused thereby adversely affect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memb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lectrode.

상기 안전부재의 두께는, 내충격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안전부재가 그 자체로서도 소정의 강도를 가져 전극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상세하게는 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afety membe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safety member itself may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5 micrometers to 100 micrometers, May be between 5 micrometers and 50 micrometers.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안전부재들은 처음부터 각각 전극조립체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력의 부가시 외부에서 단락이 발생하면서 전극조립체 전체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통전을 이룰 수 있다.Meanwhile, the at least one safety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electrode assembly from the beginning.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hort-circuiting occurs outside and the entire electrode assembly is energized, so that energization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기타 성분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Other components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단위셀들은,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각각 하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모노셀, 동일 극성의 전극이 단위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구조의 바이셀, 또는 다른 극성의 전극이 단위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구조의 풀셀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unit cells are monocells each having one electrode, a bi-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of the same polarity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nit cell, or electrodes of different polarity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nit cell It can be a full cell of structure.

구체적으로, 단위셀로서의 모노셀은 양극 또는 음극이고, 풀셀은 양극/분리막/음극의 단위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셀로서, 셀의 양측에 각각 양극과 음극이 위치하는 셀이다. 이러한 풀셀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의 양극/분리막/음극 셀과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의 모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단위셀로서의 바이셀은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의 단위 구조(A형 바이셀) 및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의 단위구조(C형 바이셀)와 같이 셀의 양측에 동일한 전극이 위치하는 셀이다. 그 중,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구조의 바이셀의 모식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바이셀의 모식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Specifically, a mono cell as a unit cell is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and a pull cell is a cell having a unit structure of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ell. Such a pull cell may include a cathode / separator / cathode cell and an an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 separator / cathode cell having the most basic structure. Among them, a schematic diagram of a pull cell having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is shown in FIG. Also, the bi-cell as a unit cell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unit structure (A-type bi-cell) of a cath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and a unit structure (C-type bi-cell) of a cathode / separator / anode / In which the same electrode is located. A schematic diagram of a bipolar cell having a cath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cathode structure is shown in FIG. 2, and a schematic diagram of a bipolar cell having a cathode / separator / anode / separator / cathode structure is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은 하나의 예시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더 많은 적층 수의 바이셀들도 가능한 바, 그러한 예로서, 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 구조의 바이셀, 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분리막/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바이셀 등도 가능하다.2 and 3 illustrate one example and, in some cases, more bipolar cells of the stack number are possible, such as an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 separator / cathode / separator / anode structure Cathode, separator, anode, separator, cathode, separator, anode, separator, and bipolar cell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이러한 모노셀, 바이셀, 풀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한 종류만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층방향으로 양극과 음극이 교대로 나타나는 구조라면 단위셀로서 어떠한 종류의 단위셀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ch a mono cell, a bi-cell, and a pull cell, and may include only one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That is, i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lternate in the stacking direction, any type of unit cell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또한, 이러한 단위셀들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에 존재하는 전극은 서로 같은 전극일 수도 있고, 다른 전극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s at the outermost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ies manufactured using such unit cells may be the same electrode or different electrodes.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가 비수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together with a non-aqueous electrolyte.

여기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내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열융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 및 상기 외부 피복층과 내부 실란트 층의 사이에 개재되는 베리어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베리어층이 Al인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일 수 있다.Here, the battery case is a pouch-shaped battery case mad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n outer coating layer made of a weatherproof polymer, an inner sealant layer made of a heat-sealable polymer, and a barrie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oating layer and the inner sealant layer Specifically, a pouch-shaped battery case mad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having a barrier layer of Al.

그 밖의 단위셀들의 기본 구성이 되는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상기 비수 전해액과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node, the cathode, the separator, and the non-aqueous electrolyte, which are the basic constituent elements of other unit cell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고, 상기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and the battery module, and provides the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이러한 상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컴퓨터, 휴대폰, 웨어러블 전자기기, 파워 툴(power tool) 등의 소형 디바이스와,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devices include small devices such as a computer, a mobile phon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wer tool,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n electric motorcycle including an electric bike (E-bike) and an electric scooter (E-scooter); An electric golf cart; Power storage system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단위셀들 및 상기 단위셀들을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가 하나 이상 부가됨으로써, 단락시 안전부재가 우선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아 저항이 낮은 상기 안전부재로 통전을 이루도록 하여 단락열을 흡수하므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paration film for continuously winding up the unit cell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based o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t least one safety member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of the outermost electrode so that the safety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first in a short circuit and th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It absorbs heat, so that the safety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상기 과정은 전극 적층 공정시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바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 없이도 효과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process can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the electrode stacking process, and the safety of the batter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셀의 한 형태로서 풀셀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셀의 한 형태로서 A형 바이셀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셀의 한 형태로서 C형 바이셀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전부재가 부가된 최외곽 전극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안전부재가 부가된 최외곽 전극들 중 하나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ull cell as one form of a uni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type bi-cell as one type of uni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type bicycle as one type of uni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an outermost electrode to which the safety member of FIG. 4 is attached;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of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to which the safety member of Fig. 7 is added;
9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도 6, 도 7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들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도 7 및 도 9에는 5개의 단위셀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위셀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외곽 전극이 양쪽 모두 음극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한정되지 아니하고, 양쪽의 최외곽 전극이 모두 양극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전극일 수도 있다.FIGS. 4, 6, 7,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of electrode assembli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6, 7 and 9 schematically show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five unit cells are stacked. However, the number of unit cells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both outermost electrodes may be both positive electrodes or may be different electrodes.

또한, 도 4, 도 6, 도 7 및 도 9는 단위셀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이셀만을 사용하고 있지만, 도 1 의 풀셀만을 사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거나, 또한 이들에 하나의 전극만으로 구성된 모노셀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4, 6, 7, and 9 use only the bi-cells shown in Figs. 2 and 3 as unit cells. However, only the pull cells of Fig. 1 are used, or they are combin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ono cell including only a mono cell.

본원발명 전극조립체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다수의 바이셀들(111, 112, 113, 114, 115)이 분리필름(120)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4,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i-cells 111, 112, and 113 hav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114, and 115 are wound by a separating film 120. [0064]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100)는 5개의 바이셀들(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전극조립체(100)은 분리필름(120)이 중앙의 제 1 바이셀(111)의 외면을 한 차례 감싸고, 제 1 바이셀(111)의 상부와 하부에 제 2 바이셀(112)과 제 3 바이셀(113)이 위치된 상태에서 그것들의 외면을 분리필름(120)이 한차례 감싸고, 제 2 바이셀(112)의 하부와 제 3 바이셀(113)의 상부에 제 4 바이셀(114)과 제 5 바이셀(115)가 위치된 상태에서, 그것들의 외면이 분리필름(120)으로 한차례 감싸여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Specifically,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five bi-cells 111, 112, 113, 114, and 115,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formed such that the separation film 1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i- 111 and the second bi-cell 112 and the third bi-cell 113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bi-cell 111,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i- And the fourth and sixth biscelles 114 and 115 are position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icell 11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icell 113, And is wrapped around the film 120 once.

그리고, 제 4 바이셀(114)과 제 5 바이셀(115)의 최외곽 전극들(116, 117) 중 제 5 바이셀(115)의 최외곽 전극(117)의 외면에는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130)가 절연체(140)에 의해 최외곽 전극(117)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로 부가되어 있다. 도 5에는 이러한 최외곽 전극(117)에 절연체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안전부재(130)가 부가되어 있는 제 5 바이셀(115)의 확대도를 도시하였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117 of the fifth bi-cell 115 among the outermost electrodes 116 and 117 of the fourth and sixth bi-cells 114 and 115, The insulator 140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safety member 13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 117. FIG. 5 shows an enlarged view of a fifth bi-cell 115 in which the safety member 130 is attached to the outermost electrode 117 in an insulated state by an insulator.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도 4의 전극조립체(100)와 동일하게, 5개의 바이셀들(211, 212, 213, 214, 215)이 분리필름(220)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6, five bi-cells 211, 212, 213, 214 and 215 are wound by a separation film 220 in the same manner as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FIG. 4 have.

다만, 도 4의 전극조립체(100)와 비교하여, 도 6의 전극조립체(200)는 양 쪽 모두의 최외곽 전극들(216, 217)의 외면에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들(230, 250)이 절연체들(240, 260)에 의해 최외곽 전극들(216, 217)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로 부가되어 있다. Compar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FIG. 4, the electrode assembly 200 of FIG. 6 includes safety members (not shown)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216, 230, and 250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s 216 and 217 by the insulators 240 and 260, respectively.

도 6에서와 같이 양쪽 최외곽 전극들(216, 217)에 각각 안전부재들(230, 250)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최외곽 전극들 중 한쪽의 최외곽 전극에만 안전부재가 부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어느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단락에 의한 통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전지의 안전성을 담보하는데 보다 효율적이다.When the safety members 230 and 250 are added to the outermost electrodes 216 and 217,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6, only the outermost electrod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as shown in FIG. 4,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ny direction, short-circuit current can be easily conducted,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battery.

또 하나의 예로서, 최외곽 전극에 둘 이상의 안전부재가 부가된 전극조립체(300)를 도 7에 도시하였다. As another example, an electrode assembly 300 having two or more safety members added to the outermost electrode is shown in Fig.

도 7의 전극조립체(300) 역시 5개의 바이셀들(311, 312, 313, 314, 315)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바이셀들(311, 312, 313, 314, 315)이 분리필름(120)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300 of FIG. 7 also includes five bi-cells 311, 312, 313, 314 and 315 and the bi-cells 311, 312, 313, 314, And is wound by a coil spring (not shown).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의 전극조립체(300)는 도 4의 전극조립체(100)와 비교하여, 제 5 바이셀(315)의 최외곽 전극(317)의 외면에 둘 이상의 안전부재들(330, 331)이 부가되어 있고, 최외곽 전극(317)과 안전부재들(330, 331)은 각각 절연체(34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8에는 이러한 최외곽 전극(317)에 둘 이상의 안전부재들(330, 331)가 부가되어 있는 제 5 바이셀(315)의 확대도를 도시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assembly 300 shown in FIG. 7 is different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0 shown in FIG. 4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317 of the fifth bi-cell 315 has two or more safety members And the outermost electrodes 317 and the safety members 330 and 331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an insulator 340. [ 8 shows an enlarged view of a fifth bi-cell 315 to which more than two safety members 330 and 331 are attached to the outermost electrode 317. FIG.

안전부재(330)에 대면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안전부재(331)는 최외곽 전극(317)과 대면하는 안전부재(330)와 동일한 소재, 또는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afety member 331 stacked to face the safety member 3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afety member 330 facing the outermost electrode 317 or a different material.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도 6의 전극조립체(200)와 동일하게, 5개의 바이셀들(411, 412, 413, 414, 415)이 분리필름(420)에 의해 권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9, five bipolar cells 411, 412, 413, 414 and 415 are wound by a separation film 420 in the same manner as the electrode assembly 200 of FIG. 6 have.

다만, 도 6의 전극조립체(300)와 비교하여, 도 9의 전극조립체(400)는 제 5 바이셀(415)의 최외곽 전극(417)의 외면에는 둘 이상의 안전부재들(330, 331)이 각각 절연체들(44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로 부가되어 있고, 제 4 바이셀(414)의 최외곽 전극(416)의 외면에는 하나의 안전부재(450)가 절연체(460)에 의해 최외곽 전극(416)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로 부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외곽 전극들의 외면에 각각 안전부재들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각 면에 부가된 안전부재의 부가 개수가 상이하여도 상관 없다.
The electrode assembly 400 of FIG. 9 has two or more safety members 330 and 33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417 of the fifth bi-cell 415 as compar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300 of FIG. One safety member 45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 416 of the fourth bi-cell 414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or 46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sulators 440, And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 416 by the insulating layer 416. [ In this way, when the safety members are add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the number of safety members added to each surface may be different.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Lt; Example 1 >

도 6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된 안전부재가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 전극들의 외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최외곽 단위셀에 부가하고 분리필름을 권취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한 뒤, 이를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장착한 다음, 전해액을 주입하고 전지케이스를 밀봉하는 것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As shown in FIG. 6, a safety member composed of an aluminum foil was added to the outermost unit cell so that the safety member was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direction, a separator film was wound thereon to manufacture an electrode assembly, The battery was mounted on a case, and then an electrolyte solution was injected and the battery case was sealed.

<실시예 2>&Lt; Example 2 >

도 4에서와 같이, 안전부재를 한 쪽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만 부가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As shown in FIG. 4, a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adding the safety member to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one electrode.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안전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A battery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afety member was not used.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전지들을 대상으로, 임팩트(impact) 실험과 침상체의 관통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는 각각 20 개의 전지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였고, 임팩트(impact) 실험dms 60cm의 높이에서 셀 중심에 9.1kgf의 힘을 가해 셀 중앙부분을 부딪히는 방향으로 자유 낙하시켜 수행하였으며, 침상체 관통 실험은 직경 2.5 mm 및 속도 12 m/분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Impact tests and penetration tests of the sludge bodies were conducted on the batteries manufactu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In this experiment, 20 cells were repeatedly performed. At the height of 60 cm of the impact test, a force of 9.1 kgf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cell, and the cell was freely dropped in the direction of bumping against the center of the cel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conditions of a diameter of 2.5 mm and a speed of 12 m / min.

임팩트 발화 전지 수
(안전부재 있는 방향/
안전부재 없는 방향)
Number of impact ignition batteries
(Safety-absent direction /
Safety-free direction)
침상관통시 발화 전지 수
(안전부재 있는 방향/
안전부재 없는 방향)
Number of ignition cells when passing through bed
(Safety-absent direction /
Safety-free direction)
실시예 1 Example 1 0/-0/- 0/-0/- 실시예 2Example 2 0/50/5 0/40/4

임팩트 발화 전지 수Number of impact ignition batteries 침상관통시 발화 전지 수Number of ignition cells when passing through bed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1212 1515

상기 표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지들은 임팩트 실험 및 침상관통 실험에서 20 개 전지 모두에서 발화가 유발되지 않았다. 즉, 양쪽 최외곽 전극들의 외면에 안전부재가 위치함으로써 큰 충격 또는 침상 관통에도 불구하고 안전부재가 우선적으로 접촉하고 단락을 유발하여 통전을 이루고 전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20개 전지 모두에서 발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이다.As shown in Tables 1 and 2, the batteries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cause ignition in all 20 batteries in the impact test and the needle penetration test. In other words, since the safety member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both outermost electrodes, the safety member first contacts and short-circuiting in spite of a large impact or needle penetration, thereby energizing and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battery. It has not happened.

한편, 실시예 2의 전지는 한쪽에만 안전부재를 부가하여, 안전부재가 있는 방향으로의 실험시에는 발화가 유발되지 않았으나, 안전부재가 부가되지 않은 쪽으로의 실험시에는 발화가 다소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부재가 자체가 강도를 높이고, 단락이 유발된 경우 단락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안전부재를 부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전지와 비교하면 발화 가능성이 매우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attery of Example 2, the safety member was added to only one side, and no ignition was caused in the tes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fety member was present, but the ignition was somewhat confirmed in the test in which the safety member was not attached. Nevertheless, since the safety member itself enhances the strength and absorbs short-circuit heat when a short circuit is caus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possibility of ignition i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battery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safety member is not added have.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복수의 단위셀들 및 상기 단위셀들을 연속적으로 권취하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로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는, 최외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전기전도성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안전부재가 하나 이상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전극과 대면하는 안전부재는 최외곽 전극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절연체에 의해 최외곽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상기 단위셀들은 각각 하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모노셀, 동일 극성의 전극이 단위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구조의 바이셀, 또는 다른 극성의 전극이 단위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구조의 풀셀이며,
침상 관통시에는 침상체에 의해 안전부재가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and a separation film for continuously winding up the unit cells,
At least one safety member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foil, which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outermost electrode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based o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afety member facing the outermost electrode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outermost electrode by an insulato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most electrode and the safety member,
The unit cells are a full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ono cell composed of one electrode, a bi-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of the same polarity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nit cell,
And the safety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electrode by the needle-shaped member when the needle-shaped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needle-shaped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호일은 Cu, Al, Ni, Fe, 및 P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foil is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 Al, Ni, Fe, and P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호일은 Cu 또는 A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metal foil is made of Cu or 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전극들은 각각 양극 또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outermost electrodes are each an anode or a cath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전극의 외면에는 최외곽 전극과 대면하는 제 1 안전부재부터 외면의 제 n 안전부재까지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안전부재가 상호 전기 절연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n outermost electrodes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from the first safety member facing the outermost electrode to the nth safety member on the outer surface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lamina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호 대면하는 안전부재들은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6. 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facing members are made of different meta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면하는 안전부재들 사이에는 절연체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6. 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5, wherein an insulator is added between the facing members.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다공성 분리막, 절연성 접착제, 또는 비다공성 절연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insulator is a porous separator, an insulating adhesive, or a non-porous insulating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크기는 최외곽 전극의 평면 크기의 50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safety member is 50 to 99% of the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크기는 최외곽 전극의 평면 크기의 5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11. 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0, wherein the size of the safety member is 50 to 90% of the size of the outermost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두께는 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afety member is between 5 micrometers and 100 micromet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비수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the battery case together with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제 15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셀로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5 as a unit cell. 제 16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6. 제 17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device compris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휴대폰, 웨어러블 전자기기,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9. The device of claim 18, wherein the device is a computer, a mobile phon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power tool,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 , Or a system for power storage.
KR1020150047167A 2015-04-03 2015-04-03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889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67A KR101889593B1 (en) 2015-04-03 2015-04-03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67A KR101889593B1 (en) 2015-04-03 2015-04-03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4A KR20160118684A (en) 2016-10-12
KR101889593B1 true KR101889593B1 (en) 2018-08-17

Family

ID=5717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67A KR101889593B1 (en) 2015-04-03 2015-04-03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5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123B1 (en) * 2018-10-05 2021-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156A (en) * 1999-08-24 2001-03-16 Hitachi Maxell Ltd Stacked polymer electrolyte battery
JP2002110170A (en) * 2000-09-29 2002-04-12 Mitsubishi Chemicals Corp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47B1 (en) * 2013-09-06 2016-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Assembly Having Insulating Material Added on Outermost Surfac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156A (en) * 1999-08-24 2001-03-16 Hitachi Maxell Ltd Stacked polymer electrolyte battery
JP2002110170A (en) * 2000-09-29 2002-04-12 Mitsubishi Chemicals Corp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4A (en)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847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pouch type exterior member with folded sealing part
US10651441B2 (en) Battery cell of venting structure using taping
US9627677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9788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thereby
CN111108622B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KR20180058370A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eparator Having Insulation-enhancing Part Formed on Edge Portion of Electrode
US8304105B2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n improved safety
KR101539584B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KR101841306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dfferent kind of separator comprising taping part for improving safet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KR20140050182A (e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and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31076A (en) Electrode unit with porous structures and second battery using the same
KR101889593B1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fety Membe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263470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Hot-melting Adhesive Part
KR101619422B1 (e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and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108208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Circular Electrode
KR102197360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One-sided Coating Electrode of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KR101763626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Conductive Member Having Structure for Improved Safety
KR101459405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KR101637896B1 (en) Electrode Assembly with Liquid Materials Receiver for Insulation
KR101699861B1 (en) Secondary Battery with Electrode Tab Having Low Resistance
CN113707841A (en) Electrode assembly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236579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20140146936A (en) Battery cell with improved safe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86048A (en)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KR20130025679A (en) Pouch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