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491B1 -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491B1
KR101889491B1 KR1020180051158A KR20180051158A KR101889491B1 KR 101889491 B1 KR101889491 B1 KR 101889491B1 KR 1020180051158 A KR1020180051158 A KR 1020180051158A KR 20180051158 A KR20180051158 A KR 20180051158A KR 101889491 B1 KR101889491 B1 KR 10188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slim bezel
infrared
character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8005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91B1/ko
Priority to PCT/KR2018/012586 priority patent/WO20192121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8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sensing at the edges of the touch surface the interruption of optical paths, e.g. an illumination plane,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may be virtu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6K9/004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K2209/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물리적으로 터치패널과 근접하도록 낮게 구성하여 전자칠판을 얇게 구현할 수 있고, 작은 글씨로 판서를 하는 경우에도 인식률을 높힐 수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전자칠판의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에어 터치층을 줄여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터치를 하여 판서를 하는 경우에 이웃하는 글자간의 글자의 형태를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Electronic board reducing air touching layer with slim bezel}
본 발명은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 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칠판에 판서되는 글자가 서로 이웃하는 글자간에 이어져 표시되어 인식이 불명확한 경우에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에어 터치층의 높이를 줄여서 작은 글자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 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은 터치센서가 장착이 되어 있고 화면을 구성하는 장치로 프로젝트 투사 및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 하는데 최근 점차적으로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림하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구현하기 위해 테두리(이하 베젤) 부분을 좁고 얇게 설계 하려고 한다.
전자칠판은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터치지점을 계산하는 터치센서를 채용한 전자칠판의 경우 LCD디스플레이 패널의 베젤에 터치 센서가 위치하기 때문에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자칠판인 경우, 매우 큰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하는데, 베젤이 커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면, 디자인적인 둔탁하고 설치나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능면에서 일반적인 구조의 적외선 센서의 가장 큰 단점인 작은 글씨를 쓸 경우 에어터치층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터치펜이나 손가락이 터치패널에 접촉하기 전에 글자가 표시되어 글자의 크기가 커지며 이로 인해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져서 표시되는 현상으로 판서 내용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전자칠판 및 에어터치층을 줄일 수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전자칠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75723호(터치 어셈블리 일체형 표시 장치의 터치 감도 보상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물리적으로 터치패널과 근접하도록 낮게 구성하여 전자칠판을 얇게 구현할 수 있고, 작은 글씨로 판서를 하는 경우에도 인식률을 높힐 수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칠판의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는 경우에 이어지는 현상을 개선하여 판서 인식률을 높이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에어터치층을 조절할 수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에어 터치층을 줄여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터치를 하여 판서를 하는 경우에 이웃하는 글자간의 글자의 형태를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에 있어서, 터치패널에 터치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적외선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일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제1 슬림 베젤;과 상기 적외선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림 베젤이 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터치패널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터치패널의 타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제2 슬림 베젤;과 글자의 형태 및 판서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B; 및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 및 판서 패턴을 분석하고 이웃하는 글자의 글자 형태를 분석하여 이웃하는 글자간의 인식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상기 DB에 저장된 글자의 형태 및 상기 판서 패턴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의 굵기를 조절하고 이웃하는 글자간의 불필요하게 이어져서 표시되는 판서 표시를 삭제하여 이웃하는 각각의 글자를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터치층을 줄여서 상기 이웃하는 글자가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슬림 베젤 및 상기 제2 슬림 베젤은 상기 터치패널의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림 베젤 및 상기 제2 슬림 베젤의 일부는 상기 터치패널 보다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림 베젤은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PCB기판이 상기 제1차측 슬림 베젤의 세로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는 상기 PCB기판이 상기 터치패널 보다 상측으로 올라온 부분에 상기 터치패널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슬림 베젤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가 실장되는 PCB기판이 상기 제2차측 슬림 베젤의 세로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는 상기 PCB기판이 상기 터치패널 보다 상측으로 올라온 부분에 상기 터치패널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B는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를 분석하여 하나의 글자를 상기 DB에 저장된 글자와 비교하여 해당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를 참고하여 해당 글자의 굵기를 줄여서 상기 글자가 이웃하는 글자와 겹쳐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판서를 분석하여 서로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어 해당 글자가 어떠한 글자인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의 광량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칠판의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전자칠판을 디자인적으로 고급스러운 형상을 가지며 에어터치층을 줄임으로서 작은 글씨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들이 서로 이어져서 인식이 어려운 경우에 이웃하는 글자들의 이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글자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를 판단하여 글자의 굵기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쉬운 굵기로 변환하여 글자의 인식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자칠판의 터치패널의 상하좌우 측면에 슬림베젤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에어터치층을 줄인 슬림베젤의 구성 및 터치패널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웃하는 글자가 서로 이어지는 경우에 글자간에 이어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글자의 인식률을 높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자칠판의 터치패널의 상하좌우 측면에 슬림베젤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전자칠판을 디자인적으로 고급스러운 형상을 가지도록하고 에어터치층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에어터치층은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터치펜이나 손가락으로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적외선 광량에 상응하여 터치패널의 표면에서부터 판서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층의 높이를 의미한다.
적외선 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이 적게 차단되어도 판서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에어터치층의 높이는 높게 되고, 적외선 발광소자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이 많이 차단되어야 판서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에어터치층의 높이는 낮게 된다.
본 발명의 베젤은 터치패널(30)에 터치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적외선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발광소자(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전송부(100)를 포함하고 터치패널(30)의 일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제1 슬림 베젤(10)과, 적외선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감지센서(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수신부(200)를 포함하고 제1 슬림 베젤(10)이 접하여 형성되는 터치패널(30)의 위치와 대응되는 터치패널(30)의 타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제2 슬림 베젤(20)로 구성된다.
제1 슬림베젤(10)은 적외선을 조사하는 베젤이고, 제2 슬림베젤(20)은 제1 슬림베젤(1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베젤부분이다.
제1 슬림 베젤(10)과 제2 슬림베젤(20)은 터치패널(30)의 반대편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림베젤(10)은 터치패널(30)의 좌측 및 터치패널(30)의 하측에 배치되면, 제2 슬림베젤(20)은 터치패널(30)의 우측 및 상측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30)의 특정 부분(P)을 터치펜이나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제1 슬림베젤(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차단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 판서를 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슬림베젤(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적외선 전송부(100)와 제2 슬림베젤(20)의 내부에 구성되는 적외선 수신부(200)는 슬림베젤에 수직하게 구성되어 종래의 전자칠판의 베젤보다 넓이를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슬림베젤(10)에 구성되는 적외선 전송부(100)와 제2 슬림베젤(20)에 구성되는 적외선 수신부(200)의 구조적인 특징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1000)은 적외선 전송부(100), 적외선 수신부(200), 터치패널(30), DB(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외선 전송부(100)는 적외선 발광소자(110) 및 적외선 발광소자(110)가 실장되는 적외선 전송부 PCB(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적외선 전송부 PCB(15)는 제1 슬림베젤(10)의 내부에서 수직축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 슬림베젤(10)은 터치패널(30)의 측면에 접하여 배치되되, 일부분이 터치패널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적외선 발광소자(110)는 적외선 전송부 PCB(15) 중에서 터치패널(30)보다 더높게 위치하는 부분에 터치패널(30)과 수평이되도록 부착된다.
적외선 수신부(200)는 적외선 감지센서(210) 및 적외선 감지지센서(210)가 실장되는 적외선 수신부 PCB(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적외선 수신부 PCB(25)는 제2 슬림베젤(20)의 내부에서 수직축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 슬림베젤(20)은 터치패널(30)의 측면에 접하여 배치되되, 일부분이 터치패널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적외선 감지센서(210)는 적외선 수신부 PCB(25) 중에서 터치패널(30)보다 더높게 위치하는 부분에 터치패널(30)과 수평이되도록 부착된다.
터치패널(30)은 판서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32)와 표시부(32)를 보호하는 유리막 등으로 구성된 보호층(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B(300)는 글자의 형태 및 판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한글과 알파벳을 포함하는 여러 언어의 각 글자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글자가 써지는 순서(판서 패턴)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DB(300)에는 한글의 경우에 글자 '가'에 대한 형태적인 특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글자 '가'가 써지는 순서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여 저장한다.
제어부(400)는 터치패널(30)의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글자의 형태 및 글자가 써지는 순서(판서 패턴)을 분석하여 판서되는 글자가 어떠한 글자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글자 중에서 이웃하는 글자의 글자 형태를 분석하여 이웃하는 글자간의 인식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DB(300)에 저장된 글자의 형태 및 판서 패턴을 참조하여 터치패널(30)의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글자의 굵기를 조절하고 이웃하는 글자간의 불필요하게 이어져서 표시되는 판서 표시를 삭제하여 이웃하는 각각의 글자를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00)는 터치패널(30)에 표시되는 글자를 분석하여 하나의 글자를 DB(300)에 저장된 글자와 비교하여 해당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를 참고하여 해당 글자의 굵기를 줄여서 이웃하는 글자와 겹쳐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터치패널(30)에 표시되는 판서를 분석하여 서로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어 해당 글자가 어떠한 글자인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판서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을 제어하여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되는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에어터치층을 줄여서 이웃하는 글자가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30)에 특정의 제스쳐를 표시하는 경우에 해당 제스쳐를 인식하여 해당 제스쳐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터치패널(30)에 특정의 제스쳐를 표시하는 경우에 해당 제스쳐에 따라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되는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터치패널(30)에 시계방향으로 동그라미를 연속적으로 그리는 경우에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판서 위치를 판단하는 적외선 광량의 크기 설정을 작게 하여 터치펜(1)이나 손가락이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이 적게 차단되는 경우에도 판서위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글자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임)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터치패널(30)에 반시계방향으로 동그라미를 연속적으로 그리는 경우에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판서 위치를 판단하는 적외선 광량의 크기를 크게 하여 터치펜(1)이나 손가락이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광량이 크게 차단되는 경우에만 판서위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글자의 크기를 작고 세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에어터치층을 줄인 슬림베젤의 구성 및 터치패널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슬림베젤(10) 및 제2 슬림베젤(20)은 각각 터치패널(30)의 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된다.
제1 슬림베젤(10)은 터치패널(30)에 터치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적외선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발광소자(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전송부(100)를 포함한다.
제2 슬림 베젤(20)은 적외선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감지센서(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수신부(200)를 포함하고, 제1 슬림 베젤(10)이 접하여 형성되는 터치패널(30)의 위치와 대응되어 마주보는 터치패널(30)의 타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된다.
즉, 제1 슬림 베젤(10) 및 제2 슬림 베젤(20)은 터치패널(30)의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슬림 베젤(10) 및 제2 슬림 베젤(20)의 일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30) 보다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림 베젤(10)은 적외선 발광소자(110)가 실장되는 PCB기판(15)이 제1차측 슬림 베젤(10)의 세로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외선 발광소자(110)는 적외선 발광소자(110)가 실장되는 PCB기판(15)이 터치패널(30) 보다 상측으로 올라온 부분에 터치패널(30)과 평행하도록 실장된다.
제2 슬림 베젤(20)은 적외선 감지센서(210)가 실장되는 PCB기판(25)이 제2차측 슬림 베젤(20)의 세로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적외선 감지센서(210)는 적외선 감지센서(210)가 실장되는 PCB기판(25)이 터치패널(30) 보다 상측으로 올라온 부분에 터치패널(30)과 평행하도록 실장된다.
상기의 배치 및 구성으로 인해서 본 발명의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은 에어터치 층(d)의 높이가 적외선 발광소자(110) 및 적외선 감지센서(210)가 배치되는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종래의 전자칠판의 에어터치층보다 더 낮도록 형성되어 보다 세밀하고 작은 글씨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웃하는 글자가 서로 이어지는 경우에 글자간에 이어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글자의 인식률을 높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에어터치층이 높이가 높은 경우에 터치펜이나 손가락으로 판서를 하는 경우에 터치패널(30)에 판서되는 글자의 크기라 커지게 표시되고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어 글자의 인식률이 낮게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낮추어 터치펜이나 손가락으로 판서를 하는 경우에 터치패널(30)에 판서되는 글자의 크기를 작게하고 이웃하는 글자간에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글자의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가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글자 중에서 이웃하는 글자의 글자 형태를 분석하여 이웃하는 글자간의 인식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DB(300)에 저장된 글자의 형태 및 판서 패턴을 참조하여 터치패널(30)의 표시부(32)에 표시되는 글자의 굵기를 조절하고 이웃하는 글자간의 불필요하게 이어져서 표시되는 판서 표시를 삭제하여 이웃하는 각각의 글자를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30)에 표시되는 글자를 분석하여 하나의 글자를 DB(300)에 저장된 글자와 비교하여 해당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를 참고하여 해당 글자의 굵기를 줄여서 이웃하는 글자와 겹쳐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전자칠판'이라는 판서 내용중에 '칠'이라는 글자가 명확하게 표시되지 못하고 이웃하는 글자간의 이어지는 현상으로 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에 '칠'이라는 글자를 쓰는 순서(또는 사용자가 쓴 순서)에 따라 글자의 굵기를 작게 하여'칠'이라는 글자가 보다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웃하는 글자간의 불필요하게 이어지는 표시를 제거하여 도 4(b)와 같이 '전자칠판'이 명확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적외선을 이용하여 판서위치를 판단하는 경우에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하는 광량에 따라 글자의 크기나 글자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터치펜(1)을 통해 터치패널(30)에 판서를 하는 경우에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터치펜(1)으로 인해 차단되어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가 안되게 된다.
이렇게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적외선 발광소자(110)의 위치와 적외선 감지센서(210)의 위치를 이용하여 판서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외선 전송부(100)의 적외선 발광소자(110) 및 적외선 수신부(200)의 적외선 감지센서(210)의 위치를 이용하여 판서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되는 적외선의 광량에 따라 판서의 크기와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광량의 20%가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광량의 40%가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 광량의 60%가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d1은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총 광량에서 적외선 광량의 20%가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의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고, d2는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총 광량에서 적외선 광량의 40%가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의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고, d3는 적외선 발광소자(11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의 총 광량에서 적외선 광량의 60%가 차단되는 경우에 판서위치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경우의 에어터치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 에어터치층의 높이가 d1의 경우에는 표시부의 ①영역에서부터 판서위치가 표시되고 터치펜(1)이 보호층(31)에 닿는 동안 판서위치가 표시된다. 따라서, d1의 경우에는 ①, ②, ③ 영역에서 모두 판서가 표시된다.
에어터치층의 높이가 d2의 경우에는 표시부(32)의 ②영역에서부터 판서위치가 표시되고 터치펜(1)이 보호층(31)에 닿는 동안 판서위치가 표시된다. 따라서, d2의 경우에는 ②, ③ 영역에서 모두 판서가 표시된다.
에어터치층의 높이가 d3의 경우에는 표시부(32)의 ③영역에서부터 판서위치가 표시되고 터치펜(1)이 보호층(31)에 닿는 동안 판서위치가 표시된다. 따라서, B의 경우에는 ③ 영역에서만 판서가 표시된다.
따라서, 적외선 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되는 적외선의 광량을 조절하면 판서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판서의 크기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 에어터치층의 높이가 d1의 경우에서 판서의 크기 및 굵기가 가장 크며 이러한 경우에서는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어 이웃하는 글자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 에어터치층의 높이가 d3의 경우에서 판서의 크기가 가장 작고 굵기가 얇게 표시되며 이러한 경우에서는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지 않아 이웃하는 글자의 구분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1 : 터치펜
10 : 제1 슬림베젤
20 : 제2 슬리베젤
30 : 터치패널
31 : 보호층
32 : 표시부
100 : 적외선 전송부
110 : 적외선 발광소자
200 : 적외선 수신부
210 : 적외선 감지센서
300 : DB
400 : 제어부
1000 :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Claims (4)

  1. 전자칠판의 베젤을 슬림하게 구성하여 에어 터치층을 줄여서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터치를 하여 판서를 하는 경우에 이웃하는 글자간의 글자의 형태를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하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에 있어서,
    터치패널에 터치부위를 인식하기 위한 적외선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일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제1 슬림 베젤;
    상기 적외선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림 베젤이 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터치패널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터치패널의 타측단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제2 슬림 베젤;
    글자의 형태 및 판서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DB; 및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 및 판서 패턴을 분석하여 이웃하는 글자의 글자 형태를 분석하고, 이웃하는 글자간의 인식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상기 DB에 저장된 글자의 형태 및 상기 판서 패턴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의 굵기를 조절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판서를 분석하여 서로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어 해당 글자가 어떠한 글자인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이웃하는 글자간의 불필요하게 이어져서 표시되는 판서 표시를 삭제하여 이웃하는 각각의 글자를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판서를 분석하여 서로 이웃하는 글자가 이어지게 표시되어 해당 글자가 어떠한 글자인지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터치층을 줄여서 상기 이웃하는 글자가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제스쳐에 따라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적외선 광량을 조절하여 상기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슬림 베젤 및 상기 제2 슬림 베젤은 상기 터치패널의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림 베젤 및 상기 제2 슬림 베젤의 일부는 상기 터치패널 보다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림 베젤은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PCB기판이 상기 제1 슬림 베젤의 세로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는 상기 PCB기판이 상기 터치패널 보다 상측으로 올라온 부분에 상기 터치패널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슬림 베젤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가 실장되는 PCB기판이 상기 제2 슬림 베젤의 세로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는 상기 PCB기판이 상기 터치패널 보다 상측으로 올라온 부분에 상기 터치패널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패널에 시계방향으로 동그라미를 연속적으로 그리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판서위치를 판단하는 적외선 광량의 크기 설정을 작게하여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높여서 판서되는 글자의 크기를 크게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패널에 반시계방향으로 동그라미를 연속적으로 그리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서 판서위치를 판단하는 적외선 광량의 크기 설정을 크게하여 에어터치층의 높이를 낮추어 판서되는 글자의 크기를 작고 세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B는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글자를 분석하여 하나의 글자를 상기 DB에 저장된 글자와 비교하여 해당 글자가 쓰여지는 순서를 참고하여 해당 글자의 굵기를 줄여서 상기 글자가 이웃하는 글자와 겹쳐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4. 삭제
KR1020180051158A 2018-05-03 2018-05-03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KR10188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58A KR101889491B1 (ko) 2018-05-03 2018-05-03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PCT/KR2018/012586 WO2019212108A1 (ko) 2018-05-03 2018-10-23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158A KR101889491B1 (ko) 2018-05-03 2018-05-03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91B1 true KR101889491B1 (ko) 2018-08-17

Family

ID=6340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158A KR101889491B1 (ko) 2018-05-03 2018-05-03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9491B1 (ko)
WO (1) WO20192121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79B1 (ko) * 2022-05-12 2022-09-26 (주) 아하 적외선 터치패널의 판서인식을 개선한 전자칠판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3767B1 (ko) * 2022-08-24 2023-01-03 (주)오맥스 친환경 공법을 적용하여 패널과 커버글라스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된 전자칠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106A (ja) * 1999-09-10 2001-03-30 Ricoh Co Ltd 座標入力/検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1147776A (ja) * 1999-09-10 2001-05-29 Ricoh Co Ltd 座標入力/検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7052174A (ja) * 2005-08-17 2007-03-01 Fujifilm Corp 文字出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75723A (ko) 2009-12-28 201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어셈블리 일체형 표시 장치의 터치 감도 보상 방법
JP2015158831A (ja) * 2014-02-25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960A (ja) * 1998-07-21 2000-02-08 Brother Ind Ltd 文字認識装置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106A (ja) * 1999-09-10 2001-03-30 Ricoh Co Ltd 座標入力/検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1147776A (ja) * 1999-09-10 2001-05-29 Ricoh Co Ltd 座標入力/検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7052174A (ja) * 2005-08-17 2007-03-01 Fujifilm Corp 文字出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75723A (ko) 2009-12-28 201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어셈블리 일체형 표시 장치의 터치 감도 보상 방법
JP2015158831A (ja) * 2014-02-25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679B1 (ko) * 2022-05-12 2022-09-26 (주) 아하 적외선 터치패널의 판서인식을 개선한 전자칠판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3767B1 (ko) * 2022-08-24 2023-01-03 (주)오맥스 친환경 공법을 적용하여 패널과 커버글라스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된 전자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108A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9812B1 (en)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reflected light
US20060017709A1 (en) Touch panel apparatus, method of detecting touch area, and computer product
JP5323987B2 (ja) ユーザ入力オブジェクトのサイズ及び/又は方位角を検出し且つそれに応答する電子デバイス用ディスプレイ
US9213443B2 (en)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reflected light
US8514190B2 (en) Displays for electronic devices that detect and respond to the contour and/or height profile of user input objects
EP2506125A2 (en) Electronic pen, inpu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nd display device for electronic pen input
US20120212440A1 (en) Input motion analysis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00238139A1 (en)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wide light beams
US20100207910A1 (en) Optical Sensing Screen and Panel Sensing Method
US20060164387A1 (en) Input apparatus and touch-reading character/symbol input method
KR20110038120A (ko) 펜 추적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터치스크린
KR101889491B1 (ko) 슬림 베젤을 가지는 에어터치층을 줄인 전자칠판
US20120044143A1 (en) Optical imaging secondary input means
US20150193076A1 (en) Touch Sensing Method and Device
US816941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apable of adjusting position of image associated with application program by specifying commands indicative of screen size and display position
US20170170826A1 (en) Optical sensor based mechanical keyboard input system and method
KR101890695B1 (ko) 판서 인식을 개선한 적외선 터치센서 장치
KR102446679B1 (ko) 적외선 터치패널의 판서인식을 개선한 전자칠판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0247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panel
KR10116224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US20160364039A1 (en) Optical film,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969496B1 (ko) 터치스크린 입력장치용 조명 구조
KR102667160B1 (ko) 판서 인식 기반 에너지 절감형 전자칠판
KR101472741B1 (ko) 적외선 터치스크린 장치에서의 가상 터치 오류 방지용 터치 펜
TWI773353B (zh) 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