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335B1 -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335B1
KR101889335B1 KR1020130099803A KR20130099803A KR101889335B1 KR 101889335 B1 KR101889335 B1 KR 101889335B1 KR 1020130099803 A KR1020130099803 A KR 1020130099803A KR 20130099803 A KR20130099803 A KR 20130099803A KR 101889335 B1 KR101889335 B1 KR 10188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lexible
light
display
electrochro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2232A (en
Inventor
이화열
채기성
김진욱
엄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335B1/en
Publication of KR2015002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은 전체 화면에서 빛이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와 고상의 전해질을 이용하여 높은 투과 특성과 차광 특성을 가진 차광판을 제조하는 한편, 상기 차광판의 기판 배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시간 구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코팅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이 형성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여 차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ransparent transparent displa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ransparent display in which information is selectively displayed on all or a part of a region in a state in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A light shielding plate having high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nd light shielding characteristics is fabricated and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hading plat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moisture and oxygen penetrated from the outside, - preparing a 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Preparing a transparen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Form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Coating the dispersion of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to form an electrochromic layer; Coating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to form a polymer electrolyte layer; Forming a light shielding plate by attaching a first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chromic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formed; And attaching the shading plate to a back surface of a predetermined transparent panel.

Description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0002]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화면에서 빛이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in which information is selectively displayed on all or a part of a screen in a state in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In recent information society, display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a visual information delivery medium, and it is necessary to meet requirement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thinning, light weight, and high image quality in order to take a major position in the future.

상기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발광형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으로 나눌 수 있다.The display may include a cathode ray tube (CRT), an electroluminescence (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 A non-light emitting typ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ch as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Can be divided.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n apparatus which expresses an image using the optical anisotropy of liquid crystal, and is superior in visi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thode-ray tubes and has a smaller average power consumption than a cathode-ray tube of the same size, .

이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that supplies a data signal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to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controls a light transmittance of the pixels to display a desired image.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다.According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 driver for driving the pixels.

상기 액정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cell gap)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 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셀갭 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bonded to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uniform cell gap, and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in a cell gap between the array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액정패널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At this time, a common electrode and a pixel electrode are form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the array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are bonded together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따라서, 상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상기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oltage of the data signal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is controlled while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the liquid crystal of the liquid crystal layer is rotated by dielectric anisotropy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pixel electrode And a character or an image is displayed by transmitting or blocking light for each pixel.

최근 들어 후방의 객체가 보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응용 가능성은 폭발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냄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In recent years, a transparent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an object at the rear and being able to display is being actively studied,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expected to increase explosively. That is,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device that transmits desired information by display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ll or a part of a region in a state in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그러나, 전술한 액정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독립된 표시장치로만 개발되어 있을 뿐, 투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only as an independent display device itself, and can not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transparent display.

또한, 전체 화면에서 투과되는 빛과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 사이의 빛 간섭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이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한 차광판이 요구된다.Furth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visi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light interference between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and an area represen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order to improve this, a light shielding plate capable of varying the transmission or blocking of light is required.

상기 차광판으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디스플레이(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PDLC)를 사용하는 경우, 전계를 인가해야만 투명한 상태 표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투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압이 상당히 높고, 차광 상태 역시 효율이 낮아 투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using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PDLC) as the shading plate, a transparent state can be displayed only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The voltage for maintaining such a transparent state is very high, and the light- It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transparent display.

다음으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는 흑색 전기영동 입자를 사용하여 동일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투과 또는 차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계인가가 필요하고, 전기영동 입자의 분산 상태 유지 및 구동을 위해 유체가 필요한데, 상기 유체의 누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장기간 구동에 불리한 점이 있다.Next,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can achieve the same purpose by using black electrophoretic particles, but it is necessary to apply a constant electric field to maintain permeation or shielding state, and electrophoretic particles A fluid is required for maintaining and driving the dispersion st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kage of the fluid may occur, which is disadvantageous for long-term driving.

전기습윤 디스플레이(Electro-Wetting Display; EWD)는 흑색오일 내의 염료 또는 안료의 석출 가능성 및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같이 유체의 누수 문제 발생 가능성으로 인하여 상기 차광판 목적의 기기 구현에는 적합하지 않다.Electro-Wetting Display (EWD) is not suitable for the device implementation for the shading plate due to possibility of deposition of dye or pigment in black oil and possibility of leakage of fluid like electrophoretic displa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투과 특성과 차광 특성을 가지며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차광판을 적용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employing a light shielding plate having a high transmissivity and a light shielding property and capable of driving for a long time.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clai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패널; 및 상기 투명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판은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 패널로의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된 전해질; 및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보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comprising: a transparent panel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ll or a part of a region in a state where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And a light shielding plat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anel, wherein the light shielding plate comprises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n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nd variably controlling transmission or blocking of light to the transparent panel; An electrolyte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이때, 상기 투명 패널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의 표시와 관계없이 항상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로 구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par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transparent part capable of always transmitting light regardless of the display of information.

상기 투명 패널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편광을 전면으로 출사시켜 주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panel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 first polarizer for polariz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 light guide plate for emitting polariz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polarizer to the front; And a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by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polarizer.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패널의 표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formed only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t positions fac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코어는 빛에 대한 투과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일차입자 기준으로 10nm에서 200nm의 크기를 가지며, 쉘은 0.1nm에서 2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core of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may have a size of 10 nm to 200 nm on a primary particle basis and a shell of 0.1 nm to 20 nm 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transmittance to light.

상기 전해질은 경화된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may be composed of a cured polymer electrolyte.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of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 5, Al 2 O 3, HFO 2 or In 2 O 3.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되며, 끝단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so as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ends may be bonded using an epoxy res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코팅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이 형성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여 차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fabricat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Preparing a transparen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Form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Coating the dispersion of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to form an electrochromic layer; Coating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to form a polymer electrolyte layer; Forming a light shielding plate by attaching a first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chromic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formed; And attaching the shading plate to a back surface of a predetermined transparent panel.

이때,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한 후에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플라즈마 반응로에 넣고 보호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른 일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the transparent electrod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on which the transparent electrodes are formed, may be put into the plasma reaction furnace to expose another surface for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

이때, NH3 가스 500sccm, SiH4 가스 70sccm, 히팅 온도는 80℃, RF 파워는 80W 조건으로 90초간 수행하여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200nm 두께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0 nm can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by performing NH 3 gas at 500 sccm, SiH 4 gas at 70 sccm, heating temperature at 80 ° C. and RF power at 80 W for 90 seconds have.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형성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can be formed with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 5, Al 2 O 3, HFO 2 or In 2 O 3.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may be formed by spin-coating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t 500 rpm for 15 seconds and then drying at 90 ° C for 30 minutes.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110℃의 온도에서 10분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can be formed by spin coating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t 500 rpm for 15 seconds and then drying at 110 캜 for 10 minutes.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한 후에 1J/cm2의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을 경화시킨 후 끝단을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nd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re bonded together, UV light of 1 J / cm 2 is irradiated to cure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the ends can be bonded using an epoxy bo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은 전체 화면에서 빛이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와 고상의 전해질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투과 특성과 차광 특성을 가진 차광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ansparent displays in which information is selectively displayed on all or a part of a region in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 By using shell nanoparticles and a solid electrolyt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shading plate having high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light shielding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 차광판의 기판 배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차광판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shading plate, the influence of moisture and oxygen penetrated from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to enable driving for a long time. By applying a shading plate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to a transparent display,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있어, 차광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보호층의 형성 유무에 따른 차광판의 수분 투과율 및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
도 7은 구동횟수에 따른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
도 8a 및 도 8b는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FIGS.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in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ding plat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s a table showing the moisture transmittanc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hading plate according to whether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r not.
7 is a table show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hading pl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iving times.
8A and 8B are graphs show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hading plate when driven 1000 time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another element or " on " or " on ", it includes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in the middle, do. On the other hand, when a device is referred to as " directly on " or " directly above ", it does not intervene another device or layer in the middl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lower," "above," "upper,"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 below "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 " and / or " comprising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resence of stated elements, Or ad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패널(101)과 상기 투명 패널(101)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 패널(101)로의 빛의 투과 및 차단이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한 차광판(100)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panel 101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ll or a part of a region in a state where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And a light shielding plate 100 which is capable of varying the transmission and blocking of light to the transparent panel 101. [

상기 투명 패널(101)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D)와 정보의 표시와 관계없이 항상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T)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101)의 전체에 상기 표시부(D)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panel 101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portion 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transmissive portion T which can always transmit light regardless of display of information. D).

이때, 일 예로 상기 투명 패널(101)은 일측에 위치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편광을 전면으로 출사시켜 주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anel 101 may include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 first polarizer for polariz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 second polarizer for outputting the polariz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polarizer, A light guide plate, a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by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polarizer.

상기 제 2 편광판의 전면에는 터치 기능을 위한 터치패널(touch panel)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명 패널(101)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 위에 펜글씨 쓰기(pen writing)를 하게되면 전자 칠판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for a touch function. In this case, if pen writing is performed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anel 101, .

상기 터치패널은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 생산시스템, 게임기, 키오스크(kiosk), 판매시점 정보관리(Point of sale; POS) 또는 의료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는 입력장치로서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 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표시면을 눈으로 보면서 소정 위치를 직접 눌러 대화하는 식으로 여러 가지의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The touch panel is used in a computer aided design (CAD), a production system, a game machine, a kiosk, a point-of-sale (POS) Which is mounted on a display surface which is an output device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input operations by directly tou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viewing the display surface of a user by eyes.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es an upper substrate, a lowe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는 매트릭스 방식으로 나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배선 및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층을 구동하기 위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구비한다. 또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may include a common electrode and a pixel electrode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layer.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black matrix may be arranged in a matrix manner to define a pixel region.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lor filter for implementing color.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입광면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광원은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나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와 같은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레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이거나 다수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is arranged to face the light incidence surf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light source may be a lamp such a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or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array.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ode array may be a red light emitting diode,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a blue light emitting diode, or a plurality of white light emitting diodes.

이때, 본 발명의 광원으로는 도광판의 일측 방향에서 입사된 자연광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실내등에 의해 발광된 편광을 이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natural light incident from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olarized light emitted by the interior lamp may be used.

아울러, 상기 도광판의 하부 방향에서 입사된 자연광은 액정패널의 구동에 관계없이 제 2 편광판을 통해 투과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관계없이 도광판 하부의 객체를 볼 수 있게 된다. 즉, 도광판에 입사되기 전의 광을 편광 시킴으로써 이 편광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한편, 도광판의 하부 방향에서 입사된 자연광을 이용하여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atural light incident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polarizer regardless of the driving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user can see the object under the light guide plate regardless of the display. That is, by polarizing the light before entering the light guide plate, the display can be realized by the polarized light, while the transparent state can be maintained by using the natural light incident from the lower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투명 패널(101)의 배면에는 차광판(100)이 위치하는데,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판(100)은 투명 패널(101)로의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이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하여 상기 투명 패널(101)의 전체 화면에서 투과되는 빛과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의 빛 간섭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The light shielding plat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ying the transmission or blocking of light to the transparent panel 101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due to light interferenc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of the transparent panel 101 and an area represen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상기 차광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율 저하를 막기 위해 높은 투과 특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인성 향상을 위해 높은 차광 특성이 필요하다.The light shielding plate 100 needs a high transmittance characteristic in order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nd a high light shielding property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상기 차광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추가 장치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의 본래의 특성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차광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계를 인가하여 빛을 차단할 때 구동되어야 하며, 전계를 인가하지 않아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The shading plate 100 is an additional device for improving the cognitive performan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so tha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arent display should not be impaired. The light blocking plate 100 should be driven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display information on a transparent display to shut off the light, and the light blocking plate 100 must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in a state where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because no electric field is applied.

또한, 상기 차광판(100)은 구동전압이 낮을수록 소비전력측면에서 유리하며, 플라스틱 기판(105, 110)을 사용할 수 있어야 플렉서블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Also, the shielding plate 100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s the driving voltage is lower, and the plastic substrate 105 and 110 can be used, so that the shielding plate 100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광판(100)의 구성으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120)를 사용하는 한편, 고상의 전해질(125) 및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105, 110)을 사용함으로써 전계가 인가되지 않을 때 투명 상태를 유지하며 전계가 인가될 때 차광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전압(~ 5V 이하)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를 사용하지 않아 누수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105, 110)을 이용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구현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120 are used as the light shielding plate 100, while the solid electrolyte 125 and the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s 105 and 110 are used, (Not more than 5V) while maintaining a light-shielding state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Further, there is no fear of leakage due to no fluid, and flexible display of a transparent display is possible by using flexible substrates 105 and 110 such as plastic.

다만, 플라스틱 기판(105, 110)은 글라스 기판과는 다르게 외부에서 침투 가능한 습기 및 산소 등 다양한 기체에 대한 방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기판(105, 110)의 외면에 소정의 보호층(109, 11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unlike the glass substrate, the plastic substrates 105 and 110 are difficult to prevent from various gases such as moisture and oxygen that can permeate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determined protective layer (109, 119)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과도 및 차광도가 우수하며 장시간 구동에 유리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차광판(100)을 제공하며, 상기 차광판(100)은 빛의 투과 또는 차광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기변색 특성의 코어-쉘 구조를 지닌 나노입자(120), 고체 전해질(125) 및 보호층(109, 119)이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105, 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elding plate 100 of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which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shielding degree and which is advantageous for long-time driving, and the shielding plate 100 is made of a core having an electrochromic characteristic capable of variably controlling light transmission or shielding A plastic substrate 105, 110 on which nanoparticles 120 having a shell structure, a solid electrolyte 125, and protective layers 109, 119 are formed.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판(100)은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120)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 기판(105, 110)의 내면에 소정의 투명 전극(108, 1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eld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determined transparent electrodes 108 and 108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lastic substrates 105 and 110 to apply an electric field to the electrochromic core- 118).

상기 투명 전극(108, 118)은 상기 투명 패널(101)의 표시부(D)에 대향하는 위치의 플라스틱 기판(105, 110)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ransparent electrodes 108 and 118 may be formed only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lastic substrates 105 and 110 facing the display unit D of the transparent panel 10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3A and 3B are graph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in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때, 상기 도 3a는 투과 상태의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를 나타내며, 상기 도 3b는 전계가 인가되어 차광 상태의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를 나타내고 있다.FIG. 3A shows electrochemical conversion of core-shell nanoparticles in a light transmission state, and FIG. 3B shows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in a light shield state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120)는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도가 우수하면서 전자의 흐름이 용이하고, 비표면적이 커 많은 물질을 담지 혹은 흡착할 수 있는 결합 영역이 넓은 형태의 물질이며, 쉘(120a)은 전자에 의해 산화 또는 환원 작용을 하면서 투명에서 차광 또는 차광에서 투명으로 가변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120 have a wide coupling region capable of supporting or adsorbing a material having a high transmittance to visible light and an easy flow of electrons and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shell 120a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change from transparent to shade or from shade to transparent while being oxidized or reduced by electrons.

코어(120b)의 크기는 빛에 대한 투과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일차입자 기준으로 10nm에서 2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쉘(120a)은 0.1nm에서 20nm의 크기로 물질 구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The size of the core 120b may range from 10 nm to 200 nm on the basis of the primary partic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transmittance to light, and the shell 120a may have a size ranging from 0.1 nm to 20 nm.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제조방법은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method of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is only one 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있어, 차광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 제조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manufacturing

일 예로, 50ml 광구병(wide-mouth(ed) bottle)에 1차입경이 10nm에서 20nm의 크기를 가지는 산화티타늄 20그램, 에탄올 30그램 및 2-(2-(2-메톡시)에톡시)아세틱 엑시드 0.5그램, 그리고 0.5mm 크기의 지르코니아 비드 100그램을 넣고, 페인트쉐이커(paint shaker)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분산한다.For example, in a 50 ml wide-mouth (ed) bottle, 20 grams of titanium oxide having a diameter of 10 nm to 20 nm, 30 grams of ethanol and 2- (2- (2-methoxy) ethoxy) 0.5 g of Tic Acid, and 100 g of zirconia beads of 0.5 mm in size, and dispersed for 5 hours using a paint shaker.

이후, 지르코니아 비드를 제거하여 산화티타늄 나노 분산액을 제조한다.Thereafter, zirconia beads are removed to prepare a titanium oxide nanodispersion.

또한, 질소분위기의 3구 플라스크(flask)에 4,4-biprydine 15.6그램(100밀리몰), 브로모에틸포스포네이트 21.9그램(100밀리몰)과 아세토니트릴 100그램을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환류(reflux)시킨 후, 8.5그램(50밀리몰)의 브로모벤젠, 4-클로로벤조니트릴 4.1그램(30밀리몰), 클로로살리실릭산 3.4그램(20밀리몰), 아세토니트릴 100그램을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이후,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하고, 이소프로필알콜/에틸에테르가 2/1로 혼합된 용액에서 재결정하여 흰색의 물질을 얻는다.Further, 15.6 grams (100 millimoles) of 4,4-biprydine, 21.9 grams (100 millimoles) of bromoethylphosphonate and 100 grams of acetonitrile were added to a three-necked flask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48 After refluxing for a period of time, 4.1 grams (30 millimoles) of bromobenzene, 4-chlorobenzonitrile, 3.4 grams (20 millimoles) of chlorosalicylic acid and 100 grams of acetonitrile were added 85 C < / RTI > for 24 hours. Thereafter, it is washed with diethyl ether, and recrystallized in a solution in which 2/1 isopropyl alcohol / ethyl ether is mixed to obtain a white substance.

상기 흰색의 물질 2.0그램을 메탄올 50그램에 넣고 고온 및 초음파를 사용하여 용해시킨 후 앞에서 먼저 제조한 고형분 40 중량%의 산화티타늄 나노 분산액 50그램과 혼합 및 교반 후 초음파분산을 진행하면서 12시간 동안 65℃의 온도에서 환류 및 반응을 진행한다.2.0 grams of the above white substance was dissolved in 50 grams of methanol and dissolved using high temperature and ultrasonic waves. Then, 50 grams of a titanium oxide nanodispers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40% by weight prepared above was mixed and stirred. Lt; RTI ID = 0.0 > C, < / RTI >

이후, 미반응물을 정제하여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한다(S110).
Thereafter, the unreacted material is purified to prepare an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S110).

고분자 전해질 용액 제조Preparation of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교반기(agitator)가 부착된 플라스크에 아세토니트릴 300그램, 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자량 600K)10.0그램, 에틸렌옥사이드가 0.8몰 부가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그램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한 후, LiTFSi 1.77그램과 첨가제로 S104(Air product社) 0.5그램을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한다(S120).To the flask equipped with an agitator was added 300 grams of acetonitrile, 10.0 grams of polyethylene oxide (molecular weight 600K) and 10.0 grams of urethane acrylate having 0.8 mole of ethylene oxide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30 minutes. Then, 1.77 grams of LiTFSi and 1.77 grams of additive 0.5 g of S104 (Air product)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a temperature of 50 DEG C for 6 hours to prepare a transparen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S120).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 구조 안정성 및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로의 전자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체상의 전해질을 사용한다. 상기의 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우수해야 하며, 투명도가 높고, 헤이즈(haze)가 낮아야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lid electrolyte is used to facilitate device structure stability and electron transfer to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The electrolyte should have good ionic conductivity, high transparency, and low haze.

플렉서블 기판에 보호층 형성Formation of protective layer on flexible substrate

한 쌍의 플렉서블 기판, 일 예로 광학용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면저항이 40Ω/sq인 인듐-주석 산화물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을 형성한다(S130-1).A transparent electrode made of indium-tin oxide having a sheet resistance of 40? / Sq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pair of flexible substrates,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for optical use (S130-1).

다음으로,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플라즈마 반응로에 넣고 보호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른 일면을 노출시킨다. 이후, SiNx막을 형성하기 위해 NH3 가스 500sccm, SiH4 가스 70sccm, 히팅 온도는 80℃, RF 파워는 80W 조건으로 90초간 수행하여 200nm 두께의 보호층을 형성하여 차광판용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제조한다(S130-2, S130).Next,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on which the transparent electrodes are formed are put into a plasma reaction furnace to expose another surface for forming a protective layer. Then, in order to form the SiNx film, NH 3 gas, SiH 4 gas, 70 sccm, heating temperature of 80 ° C. and RF power of 80 W were applied for 90 seconds to form a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0 nm to form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S130-2, S130).

본 발명의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반드시 보호층으로 보호되어야 하며, 전술한 SiNx 외에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침투 가능한 수분 및 산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 is surely to be protected with a protective layer, the protective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iNx as TiN, TaN, WN, TiSiN, TaSiN, TiO 5, Al 2 O 3, HFO 2 or In 2 O 3 of the present invention Layer can b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moisture and oxygen permeable from the outside may be used.

이와 같이 상기의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를 최소화하여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 내부에 위치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그리고 고체상의 전해질과의 불필요한 반응을 억제하여 차광판의 장시간 구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minimize the moisture and oxygen penetrated from the outside to suppress unnecessary reaction with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nd the solid electroly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long tim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shading plate.

차광판 제조Shade plate manufacturing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한다(S140-1).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prepared above is spin-coat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t 500 rpm for 15 seconds and then dried at 90 ° C for 30 minutes to form an electrochromic layer (S140- One).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110℃의 온도에서 10분간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한다(S140-2).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prepared above is spin-coat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t 500 rpm for 15 seconds and then dried at 110 ° C for 10 minutes to form a polymer electrolyte layer (S140-2).

이후, 라미네이션(lamination)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 한다(S140-3).Thereafter,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nd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re bonded together through a lamination process (S140-3).

이후, 1J/cm2의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을 경화시킨 후 끝단을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한다(S140-4). 상기의 공정을 통하여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를 위한 차광판을 제조한다(S140).
Thereafter, UV light of 1 J / cm 2 is irradiated to cure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then the ends are bonded using an epoxy bond (S140-4). Through the above process, a light shielding plate for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is manufactured (S140).

투명 패널에 차광판 부착Shield plate attached to transparent panel

상기에서 제조된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S150).
The shading plate manufactured above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a predetermined transparent panel to complete the manufacture of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S150).

이하, 상기와 같이 제작된 차광판에 대한 수분 투과율 및 광투과율 비교예의 차광판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isture transmittance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 shielding plat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light shielding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이때, 상기의 차광판의 투명 전극에 +2.5 ~ +3.5V 및 -2 ~ -3V의 전압을 인가하여 투과 및 차광 상태에서의 550nm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At this time, a voltage of +2.5 to +3.5 V and a voltage of -2 to -3 V was appli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hading plate to measure the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550 nm in the transmission and shielding state.

비교예의 차광판 제조Shading plate manufacture of comparative exampl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의 차광판을 제작하였으나,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광학용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였다.
The shading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ut an optical flexible substrate without a protective layer was used.

도 6은 보호층의 형성 유무에 따른 차광판의 수분 투과율 및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다.6 is a chart showing the moisture transmittance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hading plate according to whether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r not.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수분 투과율이 5×100g/m2day인데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7.8×10-4g/m2day로 매우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광투과율은 각각 92% 및 90%로 측정되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water permeability is 5 × 10 0 g / m 2 day, where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7.8 × 10 -4 g / m 2 day, The light transmittance was measured at 92% and 90%, respectively.

이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광투과율의 변화 없이 수분 차단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formation of the protective layer on the flexible substrate improves the moisture barrier properties without changing the light transmittance.

도 7은 구동횟수에 따른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로써, 투과 시 투과율과 차광 시 투과율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7 is a table show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hading pl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iving times, and shows the transmittance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the transmittance at the time of light shielding.

그리고, 도 8a 및 도 8b는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8A and 8B are graphs show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hading plate when driven 1000 times.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보호층이 없는 비교예의 차광판의 경우에는 구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 및 차광 특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보호층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광판에서는 초기와 비슷한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In the case of the shield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ithout the protective layer, the transmission and shielding characteristics are decreased as the number of driving increases. However, in the shield plate of the embodiment having the protective layer, I could.

일 예로, 비교예의 경우 1회, 10회, 100회 및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 시 투과율은 각각 91.1%, 91.1%, 90.2% 및 86.3%으로 측정되었으며, 실시예의 경우 1회, 10회, 100회 및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 시 투과율은 각각 90.4%, 90.4%, 90.1% 및 89.7%으로 측정되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 transmittance at the time of one time, 10 times, 100 times and 1000 times of driving was 91.1%, 91.1%, 90.2% and 86.3% The transmittance at 100 times and 1000 times of transmissivity was measured as 90.4%, 90.4%, 90.1% and 89.7%, respectively.

이때,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율은 1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율에 비해 비교예 및 실시예의 경우 각각 5.26% 및 0.77%만큼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ttance when driven 1000 times decreased by 5.26% and 0.77% i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transmittance when driven on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와 고상의 전해질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투과 특성과 차단 특성을 가진 차광판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차광판의 기판 배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차광판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shielding plate having high penetration characteristics and barrier properties by using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and a solid electrolyte, while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substrate backside of the light-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oxygen, it is possible to drive for a long time. By applying a light shielding plate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to a transparent displ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with excellent performance.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While a great many are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an exampl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nd the claims.

100 : 차광판 101 : 투명 패널
105,110 : 플렉서블 기판 108,118 : 투명 전극
109,119 : 보호층 120 : 코어-쉘 나노입자
125 : 전해질
100: Shading plate 101: Transparent panel
105, 110: flexible substrate 108, 118: transparent electrode
109, 119 protective layer 120 core-shell nanoparticle
125: electrolyte

Claims (15)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패널; 및
상기 투명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판은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 패널로의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된 전해질; 및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보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A transparent panel that display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ll or a part of the area in a state in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entire screen; And
And a light shielding plat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anel,
The shading plat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n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nd variably controlling transmission or blocking of light to the transparent panel;
An electrolyte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nd
And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의 표시와 관계없이 항상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panel is divided into a display par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transparent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t all times regardless of display of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편광을 전면으로 출사시켜 주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panel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 first polarizer for polariz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 light guide plate for emitting polariz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polarizer to the front; And
And a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by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and a second polariz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패널의 표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3.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only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t positions fac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코어의 입경은 일차입자 기준으로 10nm 내지 200nm이며, 쉘의 두께는 0.1nm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e of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has a particle diameter of 10 nm to 200 nm on a basis of a primary particle, and a thickness of the shell is 0.1 nm to 20 n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경화된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e comprises a cured polymer electroly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aid protective barrier comprises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 5, Al 2 O 3, HFO 2 or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In 2 O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되며, 끝단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 confronting manner and the ends are bonded using an epoxy resin.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코팅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이 형성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여 차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Preparing an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Preparing a transparent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Form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Coating the dispersion of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s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to form an electrochromic layer;
Coating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to form a polymer electrolyte layer;
Forming a light shielding plate by attaching a first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chromic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flexible substrate on which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formed; And
And attaching the shading plate to a back surface of a predetermined transparent pane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한 후에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플라즈마 반응로에 넣고 보호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른 일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10. The plasma display panel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having transparent electrode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substrates are placed in a plasma reactor, And exposing the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제 10 항에 있어서, NH3 가스 500sccm, SiH4 가스 70sccm, 히팅 온도는 80℃, RF 파워는 80W 조건으로 90초간 수행하여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200nm 두께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NH 3 gas 500sccm, SiH 4 gas 70sccm, the heating temperature is 80 ℃, RF power is performed 90 seconds in an 80W condition the first and the protective layer of 200nm thickness i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nd forming a transparent transparent displa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aid protective barrier comprises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 5, Al 2 O 3, HFO 2 or the method for produc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s to form a In 2 O 3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lectrochromic layer is formed by spin-coating the electrochromic core-shell nanoparticle dispers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t 500 rpm for 15 seconds and then drying at 90 ° C for 30 minutes to form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 transparent substr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110℃의 온도에서 10분간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formed by spin-coating the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t 500 rpm for 15 seconds and then drying at 110 캜 for 10 minut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한 후에 1J/cm2의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을 경화시킨 후 끝단을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fter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and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are bonded together, UV light of 1 J / cm 2 is irradiated to cure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the ends are bonded using an epoxy bond Of the transparent transparent display.
KR1020130099803A 2013-08-22 2013-08-22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89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803A KR101889335B1 (en) 2013-08-22 2013-08-22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803A KR101889335B1 (en) 2013-08-22 2013-08-22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232A KR20150022232A (en) 2015-03-04
KR101889335B1 true KR101889335B1 (en) 2018-08-17

Family

ID=5302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803A KR101889335B1 (en) 2013-08-22 2013-08-22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3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18A (en)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199012A1 (en)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film
WO2019199011A1 (en)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chromic fil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564B1 (en) * 2008-10-30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ing electrochrom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232A (en)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035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9989798B2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method of fabricating the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controlling apparatus with transparent mode and light shielding mode
EP3330785B1 (en) Light block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9870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736941B2 (en) Electrochrom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02999B2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7153297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equipment
WO2016011691A1 (en) High-color-gamut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structure
US10317720B2 (en) Light control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for light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light control apparatus
US10345635B2 (en) Light contro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light control device
US20120154344A1 (en) Electric paper display apparatus
US20190250455A1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17117852A1 (en) Transparent display
KR101889335B1 (en)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592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empered glass plate with an anti-reflection laye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CN103744211B (e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89531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02540563A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357098A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its manufacture method
KR1022082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CN112445019A (en) Functional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KR102355433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20140024642A (en) Transparent display with excellent visibility using pdlc film
JP2019105679A (en) Dimming device
KR10167986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