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49B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49B1
KR102208249B1 KR1020130164995A KR20130164995A KR102208249B1 KR 102208249 B1 KR102208249 B1 KR 102208249B1 KR 1020130164995 A KR1020130164995 A KR 1020130164995A KR 20130164995 A KR20130164995 A KR 20130164995A KR 102208249 B1 KR102208249 B1 KR 10220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ge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6596A (en
Inventor
안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49B1/en
Publication of KR2015007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투과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화소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 배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전극이 형성된 커버기판;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되는 가변 차광판을 포함함으로써,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투과율을 향상시키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차광판은 대면적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including a transmission portion, a thin film transistor, and a pixel portion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 cover substrate having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formed in an on-cell type, thereby enabling weight reduction and thinning, improving transmittance, simplifying the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can be applied to a large area,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면에 온셀(on-cell) 타입의 가변 차광판이 형성되어 공정을 단순화 하고, 경량화 및 박형화 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n on-cell typ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simplify the process, and to reduce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era of full-scale information is entered, the field of display that visually expresses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has developed rapidly,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 Flat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is rapidly replacing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CRT).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Electric Paper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및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평판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데,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대면 합착된 한 쌍의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flat panel displ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Electric Paper Display),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Electro-Wetting Display (EWD) And the like. They commonly use a flat panel display panel that embodies an image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e flat panel display includes a pair of substrates bonded to each other with a unique light emitting material or polarizing material layer therebetween.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는 자발광소자인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므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hich is one of these flat panel displays,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s a non-light emitting device. Lightweight and thin is possible. In addition, it has superio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is capable of direct current low voltage drive, has a fast response speed, and is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because the internal component is solid It has an advantage.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리 기판 위에 ITO 등으로 이루어진 양극(anode)과 알루미늄(Al) 등으로 이루어진 음극(cathode) 사이에 유기물로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증착하여 전기장을 가함으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된 후, 각각 이동을 통해 발광층에서 만나 엑시톤(exiton)을 생성한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생성된 엑시톤(exiton)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s a device that emits light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by depositing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between an anode made of ITO or the like and a cathode made of aluminum (Al) on a glass substrate.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oles are injected from the anode, electrons are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then meet in the emission layer through each movement to generate exciton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use light emitted when the generated exciton falls to a ground state.

또한, 최근에는 표시장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디자인과는 차별화된 다양성이 요구되며, 미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사용상의 다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논의 중에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display device development is actively carried out, a variety of differentiating from existing designs is required,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nhancing aesthetic functions and providing multifunctionality in use is under discussion. For example, a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been proposed.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투명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화소부(P)와 투과부(T)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10)이 마련된다. 상기 유기발광패널(10)은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박막층 및 전기적 소자들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기발광패널(10)은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소자들을 포함한다. 1A and 1B,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 including a pixel portion P and a transmission portion T is provid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 includes a plurality of thin film layers and electrical elements formed on a substrate. In more detail, the organic light-emitting panel 10 includes devices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ormed on a substrate.

상기 화소부(P)는 다수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화소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소부(P)는 유기발광소자가 방출하는 광의 색상이 구현되는 영역이다. 상기 투과부(T)는 유기발광소자의 광 방출 여부와 관계 없이 배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광(17)에 의해 투명성을 유지하는 영역이다. 즉, 도 1a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배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광(17)이 화소부(P)와 달리 투과부(T)에서는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pixel portion P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at least one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formed in each pixel region. In addition, the pixel portion P is a region in which the color of light emitt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implemented. The transmissive portion T is a region that maintains transparency by the light 17 incident from the rear surface regardless of wheth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mits light. That is, referring to FIG. 1A, unlike the pixel portion P, the light 17 inciden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forme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ve portion T.

하지만, 이러한 투과부(T)를 포함하는 투명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블랙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기발광패널(10)의 하부에는 가변차광판이 형성된다. 가변 차광판은 제 1 전극(14)이 형성된 제 1 기판(12)과 제 2 전극(15)이 형성된 제 2 기판(13)이 합착되어 형성되며, 제 1 기판(12)과 제 2 기판(13) 사이에는 액상의 전기변색물질(electrochromic, 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2)과 제 2 기판(13) 사이에는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6)가 형성된다. 상기 가변 차광판은 접착층(11)을 통해 상기 유기발광패널(10)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However,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transmissive portion 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black. For this reason,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is formed und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 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is formed b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12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4 is formed and the second substrate 13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15 is formed, and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3 ),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20) is formed. In addition, a spacer 1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3 to maintain a cell gap. 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is formed to conta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1.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물질(20)은 제 1 전극(14) 및 제 2 전극(15)으로 전기장을 인가하면, 이온이 환원되거나 산화되어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 재료이다. 예를 들어, 일 방향으로 전기장을 인가하면 제 1 전극(14)에서는 산화되고, 제 2 전극(15)에서는 환원되며 착색된다. 이로 인해, 외광(17)이 배면으로 입사되더라도 전기변색물질(20)이 착색되어 광을 차단함으로써, 블랙의 구현이 가능해 진다.Referring to FIG. 1B,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 is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changing color and transmittance by reducing or oxidizing ions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4 and the second electrode 15. . For example,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14 is oxidized, and the second electrode 15 is reduced and colored. For this reason, even if the external light 17 is incident on the rear surfac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 is colored to block the light, thereby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black.

다만, 이러한 가변 차광판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유기발광패널(10)의 배면에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3)으로 이루어진 가변 차광판을 부착함으로 인해, 경량화 및 박형화가 여러우며,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다수의 기판이 유기발광패널(10)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투과부(T)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의 투과율은 92%이며, 굴절율이 1.5로 투명한 유기발광패널(10) 배면에 두 개의 유리 기판이 형성될 경우, 투과부(T)의 투과율이 저감된다.However, such a variable shading plate has several problems. By attaching 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composed of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3 to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 the weight and thickness are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substrates made of glass or plastic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panel 10,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mission portion (T). In general, the transmittance of the glass is 92%, the refractive index is 1.5, and when two glass substrate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T is reduced.

또한, 상기 전기변색물질(20)이 액상으로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3) 사이에 주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종래 가변 차광판을 형성하기 위해, 모세관 주입만 가능하다. 이러한 모세관 주입은 상기 제 1 기판(12)과 제 2 기판(13) 사이의 셀갭이 100㎛일 때, 약 7.8cm까지 모세관 주입이 가능하다. 즉, 블랙을 구현하기 위한 셀갭으로 가변 차광판을 형성할 때, 약 4인치 내지 5인치의 가변 차광판만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면적의 가변 차광판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 is difficult to inject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3 in a liquid state. In order to form a conventional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only capillary injection is possible. In such capillary injection, when the cell gap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3 is 100 μm, capillary injection of up to about 7.8 cm is possible. That is, when forming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with a cell gap for implementing black, only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of about 4 inches to 5 inches can be manufactu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form a large-are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또한, 상기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3) 상에 액상의 전기변색물질(20)을 주입한 후에 상기 전기변색물질(20)이 산소와 반응하지 못하도록 실링(sealing)을 하여야 한다. 이때, 실링하기 위해서는 실런트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상기 실런트도 액상이며, 전기변색물질(20)도 액상으로 서로 섞이는 문제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신뢰성이 문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injecting the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20 onto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2 and 13, sealing should be performed to prevent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 from reacting with oxygen. . At this time, in order to seal, a process of applying and curing a sealant must be performed, and the sealant is also in a liquid state, a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 is also mixed in a liquid state. For this reason, the reliability of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a problem.

본 발명은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되는 가변 차광판을 포함함으로써,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투과율을 향상시키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formed in an on-cell type, so that weight reduction and thickness reduction are possible, the transmittance is improved,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There is a purpos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변 차광판을 포함하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applicable to a large area and improving reli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투과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화소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 배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전극이 형성된 커버기판;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including a pixel portion in which a transmission portion,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e formed;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 cover substrate having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또한,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투과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화소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발광패널 배면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커버기판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변색물질을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대향되도록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커버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including a transmission portion, a thin film transistor, and a pixel portion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cover substrate; Form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And bon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nd the cover substrat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되는 가변 차광판을 포함함으로써,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투과율을 향상시키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하는 제 1 효과가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formed in an on-cell type, so that weight reduction and thickness reduction are possible, the transmittance is improved,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first effect of reduc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대면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변 차광판을 포함하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제 2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applicable to a large area, and have a second effect of improving reliability.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패널(100)과 상기 유기발광패널(100) 하부에 형성된 온셀(on-cell) 타입의 가변 차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은 투명 유기발광패널(100)일 수 있고, 상기 투명 유기발광패널(100)은 투과부(T)와 화소부(P)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and an on-cell type variable light blocking plate formed und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The organic light-emitting panel 100 may be a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panel 100 may include a transmissive portion T and a pixel portion P.

상기 화소부(P)는 다수의 화소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화소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소부(P)는 유기발광소자가 방출하는 광의 색상이 구현되는 영역이다. 상기 투과부(T)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배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광(170)에 의해 투명성을 유지하는 영역이다. 즉, 도 2a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배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광(170)이 화소부(P)와 달리 투과부(T)에서는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pixel portion P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at least one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formed in each pixel region. In addition, the pixel portion P is a region in which the color of light emitt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implemented. The transmissive portion T is a region i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not formed, and is a region maintaining transparency by light 170 incident from the rear surface. That is, referring to FIG. 2A, unlike the pixel portion P, the light 170 inciden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forme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ion T.

상기 가변 차광판은 상기 유기발광패널(100) 배면에 형성된 제 1 전극(140)과 상기 제 1 전극(140)과 대응되어 배치되는 제 2 전극(150)과, 상기 제 2 전극(150)이 형성된 커버 기판(130)과, 상기 제 1 전극(140) 및 제 2 전극(150) 사이에 형성된 전기변색물질(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140) 및 제 2 전극(150) 사이에는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둘러싸고 형성된 실런트(1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셀갭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가변 차광판의 전기변색물질(200)이 착색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170)을 차단하고 블랙을 구현할 수 있다.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includes a first electrode 14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a second electrode 150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It includes a cover substrate 130 and an electrochromic material 200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A sealant 180 formed surroun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pacer formed to maintain a cell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B, as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of 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is colored, light 170 incident from the outside may be blocked and black may be implemented.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은 전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온이 환원 되거나 산화되어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는 재료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기변색물질(200)은 바이올로젠(viologen) 및 대응전극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은 전해질 및 용매(solvent)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changing color and transmittance by reducing or oxidizing ions by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ologen and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n this cas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may be formed including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예를 들면,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은 바이올로젠(viologen), 대응전극물질,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이 고체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may be an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n which a solution in which a biologen, a counter electrode material,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are mixed is gelled with a polymer. In addition,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may be a solidifi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물질(200)은 상기 제 1 전극(140)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TiO2와 상기 제 2 전극(150)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대응전극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TiO2는 바이올로젠이 부착된 TiO2 일 수 있다. 또한, 전해질 및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고분자와 함께 겔화되어 상기 바이올로젠이 부착된 TiO2와 대응전극물질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된 전해질과 용매가 고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Sb가 도핑된 SnO2(Sb-doped SnO2)가 상기 제 2 전극(150) 상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iO 2 formed by depositing o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formed by depositing on the second electrode 150. do. In this case, the TiO 2 may be TiO 2 to which the biologen is attached. In addition, a solution in which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are mixed may be gelled together with a polymer to form between TiO 2 to which the biologen is attached and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by solidifying the gelled electrolyte and solvent.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has the SnO 2 (Sb-doped SnO 2 ) The Sb-doped can be formed is deposited over the second electrode 150.

상기 바이올로젠은 저전압에서 환원되어 착색되고 일렉트로크로미즘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진한 청색 또는 검은색(black)으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상기 바이올로젠과 대응되도록 산화되어 착색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전자가 이동하여 산화와 환원반응을 통해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는 바, 상기 전자가 이동하기 위해 전해질이 필요하다. 상기 전해질은 수소이온 또는 리튬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ologen is a material that can be reduced at low voltage to be colored and exhibit an electrochromism phenomenon. For example, it may be colored in dark blue or black.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is oxidized and colored to correspond to the biologen. At this time, as electrons move, color and transmittance are changed through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and an electrolyte is required for the electrons to move. The electrolyte may contain hydrogen ions or lithium ions.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40) 및 제 2 전극(150)에 전기장이 인가되면, 상기 바이올로젠은 상기 제 1 전극(140)에서 환원되어 착색되고,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상기 제 2 전극(150)에서 산화되어 착색될 수 있다. 이후, 전기장을 반대로 인가하면, 상기 착색이 사라지고 투명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the biologen is reduced and colored by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s the second electrode. It can be oxidized at 150 and colored. Thereafter, when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loring disappears and may become transparent.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이용함으로써, 전기변색물질(200)을 도포한 후 유기발광패널(100)과 커버 기판(130)을 합착하는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접착제를 생략하여,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투과율을 향상시키며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process of bon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and the cover substrate 130 after apply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by using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can do. Accordingly, 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omitting at least one substrate and an adhesiv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transmittance is improved, and weight reduction and thickness reduction are possible.

또한, 대면적의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일정 산소 및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액상의 전기변색물질과 비교하여 안정적이다. 또한, 겔화된 또는 고체화된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액상의 전기변색물질과 비교하여 고속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large-area display device, and is stable compared to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even when exposed to a certain amount of oxygen and moisture. In addition, by including a gelled or solidified electrochromic material,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high-speed operation compared to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배면에 제 1 전극(14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14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ITO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투명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면 족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전극(140)을 형성하고, 추후 커버 기판(130)과의 셀갭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A first electrode 14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ITO. However, any material that can be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is suffic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formed, and a spacer for maintaining the cell gap with the cover substrate 130 may be formed later.

또한, 커버 기판(130) 상에 제 2 전극(150)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 기판(13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기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기판(130)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15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ITO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투명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면 족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150)은 상기 제 1 전극(14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2 전극(150)을 형성하고, 추후 유기발광패널(100)과의 셀갭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cond electrode 150 is formed on the cover substrate 130. The cover substrate 130 may be glass or plastic,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high transmittance. The second electrode 150 formed on the cover substrate 1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ITO. However, any material that can be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is suffic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140.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formed, and a spacer for maintaining the cell gap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may be formed later.

또한, 액상의 전기변색물질(electrochromic)에 고분자(polymer)를 섞은 후 겔(gel)화 시킨다. 상기 겔(gel)화하는 방법은 열 또는 UV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광경화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열경화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의 전기변색물질과 고분자를 믹싱(mixing)하고 열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냉각하여 겔화된 전기변색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고분자를 겔(gel)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의 전기변색물질(electrochromic)을 겔(gel)화된 전기변색물질(electrochromic, 200)로 형성하면 족하다. 상기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의 점도는 반응 조건을 변경하여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a polymer is mixed with a liquid electrochromic and then gelled. The gel (gel) method may use heat or UV. In this case, a photocuring initiato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thermal curing initiator may be further included if necessary. For example,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 polymer may be mixed, reacted by applying heat, and then cooled to form a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and it is generally sufficient to form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with a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using a method of gelling a polymer. . The viscosity of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reaction conditions.

이때, 상기 액상의 전기변색물질은 바이올로젠(viologen), 대응전극물질, 전해질 및 용매(solvent)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상기 바이올로젠은 저전압에서 환원되어 착색되고 일렉트로크로미즘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진한 청색 또는 검은색(black)으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상기 바이올로젠과 대응되도록 산화될 때 착색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전자가 이동하여 산화와 환원반응을 통해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는 바, 상기 전자가 이동하기 위해 전해질이 필요하다. 상기 전해질은 수소이온 또는 리튬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a solution including viologen, a counter electrode material,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The biologen is a material that can be reduced at low voltage to be colored and exhibit an electrochromism phenomenon. For example, it may be colored in dark blue or black.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is colored when oxidized to correspond to the biologen. At this time, as electrons move, color and transmittance are changed through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and an electrolyte is required for the electrons to move. The electrolyte may contain hydrogen ions or lithium ions.

이후, 상기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상기 제 1 전극(140)이 형성된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배면에 도포한다.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이 도포된 유기발광패널(100)의 배면에 상기 제 2 전극(150)이 형성된 커버 기판(130)을 합착한다. 이때, 상기 제 2 전극(150)이 상기 전기변색물질(200)과 접하도록 배치하고 합착한다.Thereafter,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40 is formed. The cover substrate 130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150 is formed is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to which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applied.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50 is disposed so as to contact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and bonded.

또한, 상기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상기 제 2 전극(150)이 형성된 커버 기판(130)에 도포하고, 상기 제 1 전극(140)이 형성된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배면과 대응되도록 합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140)과 제 2 전극(150) 사이에 전기변색물질(200)이 형성되도록 합착한다.In addition,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applied to the cover substrate 130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150 is formed, and corresponds to the back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40 is formed. It can also be cement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bonded to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액상의 전기변색물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두 기판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가변 차광판을 접착제를 통해 유기발광패널에 부착하여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투과율이 저하되고,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상의 전기변색물질을 두 기판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모세관력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모세관 주입이 가능한 길이에 한계가 있어, 대면적의 표시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separat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consisting of two substrates formed with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interposed therebetween was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through an adhesive.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ttance is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are increased. In addition, capillary force was used to form a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between the two substrate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applied to a large-area display device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length at which such capillary can be injected.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이용함으로써, 전기변색물질(200)을 도포 및 코팅 후 유기발광패널(100)과 커버 기판(130)을 합착하는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접착제를 생략하여,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투과율을 향상시키며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도포 및 코팅하는 공정은 대면적의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전기변색물질(200)은 산소 및 수분에 매우 취약한데,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은 일정 산소 및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액상의 전기변색물질과 비교하여 안정적이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bon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and the cover substrate 130 after applying and coat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by using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Can be formed. Accordingly, 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omitting at least one substrate and an adhesiv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transmittance is improved, and weight reduction and thickness reduc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process of applying and coating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may be applied to a large-area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very vulnerable to oxygen and moisture, and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stable compared to the liquid electrochromic material even when exposed to certain oxygen and moisture.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이후, 상기 겔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고체화한다. 고체화하는 방법은 UV를 이용하거나, 열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겔을 고체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gell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solidified. The solidification method may use UV or hea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general, a method of solidifying a gel may be used.

상기 고체화된 전기변색물질(200)을 둘러싸고 사이드 실링(sealing)을 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을 둘러싸고 실재를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실런트(180)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기변색물질의 주변에 실런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기변색물질이 액상이기 때문에 실런트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실런트(180)를 고체화된 전기변색물질(200) 주변에 형성하므로 실런트(180)의 형성이 용이하다.
The solidifi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may be surrounded and side sealing may be performed. The sealant 180 may be formed by surroun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and applying and curing the sealant.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ealant arou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sinc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a liquid, it is difficult to form a seala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lant 180 is formed around the solidifi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the sealant 180 is easily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유기발광패널(100)의 배면에 제 1 전극(14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14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ITO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투명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면 족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전극(140)을 형성하고, 추후 커버 기판(130)과의 셀갭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A first electrode 14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ITO. However, any material that can be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is suffic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lectrode 140 may be formed, and a spacer for maintaining the cell gap with the cover substrate 130 may be formed later.

또한, 커버 기판(130) 상에 제 2 전극(150)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 기판(13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기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기판(130)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15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ITO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투명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면 족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150)은 상기 제 1 전극(14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2 전극(150)을 형성하고, 추후 유기발광패널(100)과의 셀갭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cond electrode 150 is formed on the cover substrate 130. The cover substrate 130 may be glass or plastic,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high transmittance. The second electrode 150 formed on the cover substrate 1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ITO. However, any material that can be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is suffici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140.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electrode 150 may be formed, and a spacer for maintaining the cell gap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may be formed later.

상기 제 1 전극(140)과 제 2 전극(150) 사이에 전기변색물질(20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140) 상에 TiO2를 증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극(150) 상에 대응전극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TiO2는 바이올로젠이 부착된 TiO2(Viologen-anchored TiO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Sb가 도핑된 SnO2(Sb-doped SnO2)가 상기 제 2 전극(150) 상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바이올로젠과 대응전극물질이 고체화된 물질을 직접 제 1 전극(140) 또는 제 2 전극(150) 상에 증착하여 형성한다.An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TiO 2 is deposit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formed by depositing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on the second electrode 150. In this case, the TiO 2 may be TiO 2 (Viologen-anchored TiO 2 ) to which the biologen is attached.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may be formed by depositing Sb-doped SnO 2 (Sb-doped SnO 2 ) on the second electrode 150. That i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 material obtained by solidifying a biologen and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s directly deposit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or the second electrode 150 to form it.

또한,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과 고분자를 믹싱하고, 상기 용액과 고분자를 겔화한다. 상기 겔(gel)화하는 방법은 열 또는 UV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광경화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열경화개시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액과 고분자를 믹싱(mixing)하고 열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냉각하여 겔화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고분자를 겔(gel)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겔의 점도는 반응 조건을 변경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 solution containing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and a polymer are mixed, and the solution and the polymer are gelled. The gel (gel) method may use heat or UV. In this case, a photocuring initiato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thermal curing initiator may be further included if necessary. For example, the solution and the polymer may be mixed, reacted by applying heat, and then cooled to gel.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and in general, a method of gelling a polymer may be used. The viscosity of the gel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reaction conditions.

상기 바이올로젠은 저전압에서 환원되어 착색되고 일렉트로크로미즘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진한 청색 또는 검은색(black)으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상기 바이올로젠과 대응되도록 산화될 때 착색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전자가 이동하여 산화와 환원반응을 통해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는 바, 상기 전자가 이동하기 위해 전해질이 필요하다. 상기 전해질은 수소이온 또는 리튬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ologen is a material that can be reduced at low voltage to be colored and exhibit an electrochromism phenomenon. For example, it may be colored in dark blue or black.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is colored when oxidized to correspond to the biologen. At this time, as electrons move, color and transmittance are changed through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and an electrolyte is required for the electrons to move. The electrolyte may contain hydrogen ions or lithium ions.

이후, 상기 겔화된 용액과 고분자를 상기 TiO2가 증착된 제 1 전극(140) 또는 대응전극물질이 증착된 제 2 전극(150) 상에 도포하고, 유기발광패널(100)과 커버 기판(130)을 합착한다.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은 상기 제 1 전극(140) 상에 증착된 TiO2, 상기 제 2 전극(150) 상에 증착된 대응전극물질 및 상기 TiO2와 대응전극물질 사이에 형성된 겔화된 전해질, 용매 및 고분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전극(140)과 제 2 전극(150) 사이에 전기변색물질(200)이 형성된다.Thereafter, the gelled solution and the polymer are appli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on which the TiO 2 is deposited or the second electrode 150 on which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s deposited,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00 and the cover substrate 130 are applied. ) To cement.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TiO 2 deposited on the first electrode 140,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deposited on the second electrode 150, and a gelled electrolyte formed between the TiO 2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 A solvent and a polymer. That is,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50.

이후, 상기 겔화된 전해질, 용매 및 고분자를 고체화한다. 고체화하는 방법은 UV를 이용하거나, 열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겔을 고체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gelled electrolyte, solvent, and polymer are solidified. The solidification method may use UV or hea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general, a method of solidifying a gel may be used.

또한,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을 둘러싸고 사이드 실링(sealing)을 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물질(200)을 둘러싸고 실재를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실런트(180)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기변색물질의 주변에 실런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기변색물질이 액상이기 때문에 실런트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실런트(180)를 고체화된 전기변색물질(200) 주변에 형성하므로 실런트(180)의 형성이 용이하다.
In addition, side sealing may be performed surroun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The sealant 180 may be formed by surroun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200 and applying and curing the sealant. In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ealant arou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sinc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a liquid, it is difficult to form a seala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lant 180 is formed around the solidified electrochromic material 200, the sealant 180 is easily 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되는 가변 차광판을 포함함으로써,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투과율을 향상시키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차광판은 대면적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formed in an on-cell type, thereby enabling lightening and thinning, improving transmittance, simplifying the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variable light shielding plate can be applied to a large area,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유기발광패널
130: 커버 기판
140: 제 1 전극
150: 제 2 전극
180: 실런트
200: 전기변색물질
100: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130: cover substrate
140: first electrode
150: second electrode
180: sealant
200: electrochromic material

Claims (14)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광을 방출하는 화소부와, 외부광을 투과하는 투과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배면에 직접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배면에 대향하는 커버기판;
상기 커버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바이올로젠(viologen), 대응전극물질,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물질 중 적어도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는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상태, 아니면 겔화된 후 고체화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Sb가 도핑된 SnO2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n organic light-emitting panel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ormed thereon, a pixel portion emitting light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a transmission portion transmitting external light;
A first electrode direct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 cover substrat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Includ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ncludes a biologen,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At least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mo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s are in a gelled state with a polymer, or in a gelled and then solidified state,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de of Sb-doped SnO 2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둘러싸는 실런트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alant surroun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되고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pacer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cell g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바이올로젠(viologen), 상기 대응전극물질,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모두 혼합된 용액이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aterial in which a solution in which the biologen,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re all mixed together with a polymer is ge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바이올로젠(viologen), 상기 대응전극물질,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모두 혼합된 용액이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후 고체화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a material obtained by solidifying a solution in which the biologen,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re all mixed together with a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이올로젠이 부착된 TiO2;
상기 제 2 전극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상기 대응전극물질; 및
상기 TiO2 및 대응전극물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상기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상태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iO 2 formed by being deposit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o which the biologen is attached;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formed by depositing on the second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of a material formed between the TiO 2 and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and in a state in which a solution in which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re mixed is gelled together with the 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이올로젠이 고정된 TiO2;
상기 제 2 전극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상기 대응전극물질; 및
상기 TiO2 및 대응전극물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혼합된 용액이 상기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후 고체화된 상태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iO 2 formed by being deposit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fixed with the biologen;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formed by depositing on the second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of a material formed between the TiO 2 and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and in a solid state after a solution in which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re mixed is gelled with the polymer.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광을 방출하는 화소부와, 외부광을 투과하는 투과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배면에 제 1 전극을 직접 형성하는 단계;
소정의 커버기판의 일면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중 어느 하나 상에 전기변색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상기 커버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바이올로젠(viologen), 대응전극물질,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변색물질 중 적어도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는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상태, 아니면 겔화된 후 고체화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전극물질은 Sb가 도핑된 SnO2로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Providing an organic light-emitting panel including a pixel portion i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re formed and emitting light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a transmission portion that transmits external light;
Directly forming a first electro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one surface of a predetermined cover substrate;
Form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on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nd bon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nd the cover substrat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rebetween,
In the step of form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ncludes viologen, a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an electrolyte, and a solvent,
At least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mo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s are in a gelled state with a polymer, or in a gelled and then solidified state,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Sb-doped SnO 2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상기 커버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의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둘러싸는 실런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of bond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the cover substrat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sealant surroun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올로젠(viologen), 상기 대응전극물질,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가 모두 혼합된 용액이 고분자와 함께 겔화된 재료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겔화된 재료를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중 어느 하나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form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Preparing a material in which the biologen, the counter electrode material,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re all mixed together with a polymer; And
And applying the gelled material onto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상기 커버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상기 겔화된 재료를 고체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step of bond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the cover substrat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solidifying the gelled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전극 상에 상기 바이올로젠이 부착된 TiO2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극 상에 상기 대응전극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 및 상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과 고분자를 믹싱하여 겔화된 재료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겔화된 재료를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Form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on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Depositing TiO 2 to which the biologen is attached on the first electrode;
Depositing the corresponding electrode material on the second electrode;
Preparing a gelled material by mixing a polymer and a solution containing the electrolyte and the solvent;
And applying the gelled material onto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과 상기 커버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상기 겔화된 재료를 고체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step of bond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the cover substrat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solidifying the gelled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KR1020130164995A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208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95A KR102208249B1 (en)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95A KR102208249B1 (en)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96A KR20150076596A (en) 2015-07-07
KR102208249B1 true KR102208249B1 (en) 2021-01-26

Family

ID=5378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95A KR102208249B1 (en) 2013-12-27 2013-12-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74B1 (en) * 2015-08-31 2022-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anel for adjusting transmittance an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355594B1 (en) * 2015-11-02 2022-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ransparent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417280A (en) * 2003-01-31 2004-09-01 Ntera Ltd Electrochromic device
KR20100001642A (en) * 2008-06-27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TW201017956A (en) * 2008-08-28 2010-05-01 Panasonic Elec Works Co Ltd Photoelectric element
KR101036356B1 (en) * 2009-08-05 2011-05-23 한국과학기술원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with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922051B1 (en) * 2012-05-24 201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96A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714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controlling apparatus
JP5487709B2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14707B1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method of fabricating the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controlling appratus
US9772538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7532383B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US9201253B2 (en) Display device
KR102229145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EP180188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in one or in two surfaces
US20110222139A1 (en) Electrochrom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00030A (en) Display device
WO202108280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40127695A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EP3153916B1 (en) Light control device for a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CN102289127B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023942B1 (en) Transparent display with variable light shielding panel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22257167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TW201426150A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2082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CN106992202A (en) Light source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2133417A1 (en) See-through display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and furniture piece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see-through display device
TW202045998A (en) Electro-optic display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KR102167132B1 (en) Changeable pola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1889335B1 (en) 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50117475A (en) Electrochromic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50102249A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