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152B1 -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 Google Patents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152B1
KR101889152B1 KR1020160110959A KR20160110959A KR101889152B1 KR 101889152 B1 KR101889152 B1 KR 101889152B1 KR 1020160110959 A KR1020160110959 A KR 1020160110959A KR 20160110959 A KR20160110959 A KR 20160110959A KR 101889152 B1 KR101889152 B1 KR 10188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module
channel
flange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422A (ko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1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152B1/ko
Priority to EP16275142.4A priority patent/EP3290691A1/en
Publication of KR2018002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5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with identi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2Arrangements for stacking tower sections on top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on a t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타워모듈;과, 상기 타워모듈을 적층 연결하는 연결채널부;를 포함하는 타워구조물로, 상기 타워모듈은, 내부가 중공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모듈본체부; 및, 상기 모듈본체부의 높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내입된 설치홈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에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에서 내입 형성된 내측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타워구조물은, 상기 연결채널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채널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일체화시키는 체결부재;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링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중 나머지 일측에 내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부가 삽입되는 삽입링부;을 더 포함하는 타워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TOWER STRUCTURE AND WIND TURBINE TOWER}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분할 제작된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다수의 강재 쉘을 높이방향으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기존의 풍력타워 구조체는 강재 쉘 간의 연결을 위해 각각의 강재 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 한 쌍을 서로 맞댄 후 고장력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결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각각의 고장력볼트에 일정한 Pre-Load 장입 및 유지가 어렵고, 풍력발전기 공용 중 너트의 풀림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더욱 심각하게는 고장력볼트 나사부에 인장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일정 피로하중이 누적된 이후 고장력볼트가 피로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풍력타워 구조체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풍력발전기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풍력타워 구조체의 크기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 풍력타워용 강재 쉘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고장력볼트의 크기 또한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고장력볼트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 볼트용 선재 압연, 볼트 머리 및 나사부 가공 등 제작시 품질관리가 어려워져 상기 고장력볼트의 피로파괴 문제가 더욱더 심각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분할 제작된 타워모듈을 간이한 방식에 의해 연결할 수 있는 타워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타워모듈;과, 상기 타워모듈을 적층 연결하는 연결채널부;를 포함하는 타워구조물로, 상기 타워모듈은, 내부가 중공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모듈본체부; 및, 상기 모듈본체부의 높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내입된 설치홈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에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에서 내입 형성된 내측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타워구조물은, 상기 연결채널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채널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일체화시키는 체결부재;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링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중 나머지 일측에 내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부가 삽입되는 삽입링부;을 더 포함하는 타워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모듈본체부는, 상기 모듈본체부의 외면을 형성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외측쉘; 및, 상기 외측쉘과 상기 플랜지부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쉘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연결채널부는, 상기 타워모듈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되, 적어도 2 이상의 분절채널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채널부는, 연결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걸쳐서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본체; 및, 상기 채널본체의 단부에서 상기 플랜지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삽입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채널은, 상기 설치홈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테이퍼부 또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채널은, 상기 설치홈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고, 상기 채널본체까지 연장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삽입채널의 선단부에서 상기 채널본체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방테이퍼면; 및, 상기 삽입채널의 선단부에서 상기 채널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방테이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랜지부 및, 상기 연결채널부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채널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설치홈의 사이에는 메탈실링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채널부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채널부재;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채널부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외측채널부재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 방향으로 체결되는 외측볼트부재; 및, 상기 내측채널부재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 방향으로 체결되는 내측볼트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채널부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채널부재와 상기 내측채널부재를 일체로 체결하는 관통형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타워모듈은,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분절채널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타워구조물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기 분절모듈이 연결되는 제1 모듈연결부; 및, 상측에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기 분절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인 제2 모듈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듈연결부와 사이 제2 모듈연결부는 타워구조물의 횡단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둘레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단을 지반에 매립되고, 상단에 설치플랫폼이 형성된 기초부; 상기 설치플랫폼의 설치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채널부를 매개로 고정되는 상기 타워구조물; 및, 상기 타워구조물의 상단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풍력타워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채널부가 플랜지부에 내입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을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분할 제작된 타워모듈을 간이한 방식에 의해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타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a의 타워구조물의 부분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타워구조물의 연결채널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타워구조물에서 복수 개의 타워모듈이 적층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타워구조물에서 복수 개의 타워모듈이 적층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의 부분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의 부분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1)은 타워모듈(10) 및, 연결채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구조물(1)은 타워모듈(10) 및, 연결채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타워모듈(10)과, 상기 타워모듈(10)을 적층 연결하는 연결채널부(300)를 포함하는 타워구조물(1)로, 상기 타워모듈(10)은, 내부가 중공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모듈본체부(100) 및, 상기 모듈본체부(100)의 높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내입된 설치홈(210)이 형성된 플랜지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채널부(300)는, 상기 설치홈(210)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본체부(100)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구조물이다.
모듈본체부(1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듈본체부(100) 및, 플랜지부(200)는 강재로 구성될 수 있고, 모듈본체부(100)의 단부에 플랜지부(200)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시공성의 편의를 위해 모듈본체부(100)의 양단부에 플랜지부(200)가 사전에 용접된 타워모듈(10)을 현장으로 운송하여 타워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00)는 모듈본체부(100)의 높이방향 양단부에 제공되어,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때, 플랜지부(2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모듈본체부(100)에서 금속소재로 구성된 부분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모듈본체부(100)의 높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타워모듈(10)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의 표면에는 내입 형성된 설치홈(210)이 형성되고,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에 연결채널부(300)가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타워구조물(1)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설치홈(210)은 타워모듈(10)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플랜지부(200)의 표면에서 내입 형성된 설치홈(210)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채널부(300)는 플랜지부(200)의 표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설치홈(210)에 삽입 설치되면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둘레방향의 전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타워모듈(10)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널부는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10U)이 연결된 타워모듈(10)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플랜지부(200)의 표면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연결채널부(300)가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부(200)의 표면과 연결채널부(300)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채널부(300)는 타워모듈(10)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채널부(300)가 플랜지부(200)에 내입 형성된 설치홈(210)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을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분할 제작된 타워모듈(10)을 간이한 방식에 의해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은 연결채널부(300)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200)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채널부(300)와 상기 플랜지부(200)를 일체화시키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타워구조물(1)의 외측에서 외측채널부재(300-1)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에 고정되거나, 타워구조물(1)의 내측에서 연결체널부의 내측채널부재(300-2)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에 고정되면서 연결채널부(300)와 플랜지부(200)를 일체화하는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체결부재(400)는 볼트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벳 등 연결체널부와 플랜지부(200)를 일체화하는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본체부(100)는 외측쉘(110) 및, 보강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본체부(100)는, 상기 모듈본체부(100)의 외면을 형성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외측쉘(110) 및, 상기 외측쉘(110)과 상기 플랜지부(200)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쉘(110)과 상기 플랜지부(200)의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30)를 구비할 수 잇다.
외측쉘(110)은 모듈본체부(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쉘(110)은 원통형상의 단일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측쉘(110)은 원통형상의 복수 개의 층의 금속판이 이격되면서 중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첩된 금속판의 사이에 보강격판 둘레방향 또는 높이방향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30)는 상기 외측쉘(110)과 상기 플랜지부(200)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쉘(110)과 상기 플랜지부(200)의 사이를 보강하는 부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0)를 점선으로 도시한 이유는, 보강부재(130)는 모듈본체부(100)에 설치되는 보조적 부재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외측쉘(110)과 보강부재(130)는 플랜지부(200)에 각각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130)는 외측쉘(110)과 플랜지부(200)의 연결부분에 각각 용접 접합되고, 복수 개의 보강부재(130)가 외측쉘(110)과 플랜지부(200)의 연결부분에 둘레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연결채널부(300)는,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210-1)에 삽입되는 외측채널부재(300-1) 및,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에서 내입 형성된 내측설치홈(210-2)에 삽입되는 내측채널부재(300-2) 중 적어도 상기 외측채널부재(300-1)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채널부재(300-1)는 플랜지부(200)의 외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210-1)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의 외면을 높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내측채널부재(300-2)는 플랜지부(200)의 내면에서 내입 형성된 내측설치홈(210-2)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의 내면을 높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플랜지부(200)의 외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210-1)에 삽입되는 외측채널부재(30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플랜지부(200)의 외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210-1)에 삽입되는 외측채널부재(300-1)가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적층 연결되는 타워모듈(10)의 연결부분의 하중성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른 일 예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채널부재(300-1)와 내측채널부재(300-2)가 모두 설치되어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의 외면과 내면을 높이방향으로 중첩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상기 타워모듈(10)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되, 적어도 2 이상의 분절채널(300U)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채널부(300)는 3개의 분절채널(300U)이 타워모듈(10)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연결채널부(300)를 2개의 분절채널(300U)로 구성하여 타워모듈(10)의 둘레방향 전체에 설치할 수 있으나, 시공성의 관점에서 적어도 3a개 이상의 분절채널(300U)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채널본체(310) 및, 삽입채널(330)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채널부(300)는, 연결되는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걸쳐서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본체(310) 및, 상기 채널본체(310)의 단부에서 상기 플랜지부(200)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으로 삽입되는 삽입채널(330)을 구비할 수 있다.
채널본체(310)는 연결되는 상측의 상기 타워모듈(10)에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와, 하측의 상기 타워모듈(10)에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삽입채널(330)은 채널본체(31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플랜지부(2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채널본체(310)와 삽입채널(330)을 구비하는 연결채널부(300)가 일체로 설치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채널(330)은, 상기 설치홈(2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테이퍼부(331) 또는 단턱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333)는 상기 채널본체(31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단턱부(333-1) 및, 상기 제1 단턱부(333-1)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부(333-1) 보다 단면이 감소된 제2 단턱부(333-2)를 구비할 수 있다.
단턱부(333)는 제2 단턱부(333-2)의 높이방향 폭이 제1 단턱부(333-1)의 높이방향 폭 보다 감소된 계단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설치홈(210)은 플랜지부(200)의 표면에서 내입 형성되는 제1 설치홈(210) 및, 상기 제1 설치홈(210)의 저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제1 설치홈(210) 보다 단면이 감소된 제2 설치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홈(2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테이퍼부(331)가 형성될 수 있고, 설치홈(210)은 테이퍼부(33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채널(330)이 테이퍼부(331)를 구비함으로써,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채널부(300)를 플랜지부(200)에 고정할 때, 연결채널부(300)가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에 보다 타이트하게 압착되면서 연결채널부(300)가 플랜지부(2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331)는 연결채널부(300)의 삽입채널(330)이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에 삽입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331)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331)는 직각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331)가 직각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체결부재(400)에 의해 연결채널부(300)를 플랜지부(20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테이퍼부(331)의 직선구간에서 갭이 발생할 수 있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331)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채널(330)은, 상기 설치홈(210)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고, 상기 채널본체(310)까지 연장되는 테이퍼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331)는, 상기 삽입채널(330)의 선단부에서 상기 채널본체(310)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방테이퍼면 및, 상기 삽입채널(330)의 선단부에서 상기 채널본체(310)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방테이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랜지부(200) 및, 상기 연결채널부(3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 사이에는 메탈실링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00) 및, 상기 연결채널부(3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채널부(300)와, 상기 플랜지부(200)의 설치홈(210)의 사이에는 메탈실링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메탈실링층(미도시)은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타워모듈(10)의 연결부분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탈실링층(미도시)은 삽입채널(330)과 상기 설치홈(210)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채널(3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삽입채널(330)과 상기 설치홈(210)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는, 연결채널부(300)에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삽입채널(330)에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어, 삽입채널(330)과 설치홈(210)의 사이에 메탈실링층(미도시)이 변형되면서 삽입채널(330)과 설치홈(210)의 사이를 보다 긴밀하게 실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삽입채널(330)은 설치홈(210)이 비해 미세하게 작은 단면을 가지고, 삽입채널(330)과 설치홈(210)의 단면의 차이가 발생한 영역에 메탈실링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채널부재(300-1)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내측채널부재(300-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300-1)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300-2)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외측채널부재(300-1)에서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 방향으로 체결되는 외측볼트부재(410) 및, 상기 내측채널부재(300-2)에서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방향으로 체결되는 내측볼트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채널부(300)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200)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300-1)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200)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300-2)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플랜지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채널부재(300-1)와 상기 내측채널부재(300-2)를 일체로 체결하는 관통형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모듈(10)은,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10U)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채널부(300)는,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분절채널(300U)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10U)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모듈(10)은 분할된 형태의 3개의 분절모듈(10U)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채널부(300)는 3개의 분절채널(300U)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되, 각각의 분절채널(300U)은 인접한 2개의 분절모듈(10U)에 걸쳐서 설치되면서 분절모듈(10U)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타워구조물(1)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상기 분절모듈(10U)이 연결되는 제1 모듈연결부 및, 상측에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상기 분절모듈(10U)이 연결되는 부분인 제2 모듈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듈연결부와 사이 제2 모듈연결부는 타워구조물(1)의 횡단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둘레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연결부와 제2 모듈연결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타워구조물(1)의 횡단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둘레방향의 위치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은 돌출링부(600) 및, 삽입링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링부(600)는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삽입링부(700)는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 중 나머지 일측에 내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부(600)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타워구조물(1)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링부(600)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의 상면에 내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부(600)가 삽입되는 삽입링부(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링부(600)는 플랜지부(200)의 하면에서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돌출 형성되고, 삽입링부(700)는 플랜지부(200)의 상면에서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내입 형성될 수 있다.
돌출링부(600)과 삽입링부(700)는, 돌출링부(600)가 삽입링부(700)에 삽입되면서 적층 연결되는 타워모듈(10)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링부(600)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댐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 적층 연결되는 타워모듈(10)의 틈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링부(600)과 삽입링부(700)의 사이에는 메탈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어, 적층되는 타워모듈(10)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면서 돌출링부(600)과 삽입링부(700)의 사이가 실링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링부(600)는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돌출 형성되고, 플랜지부(20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테이퍼형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링부(700)는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고, 플랜지부(200)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되 돌출링부(600)에 대응되는 테이퍼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의 (b)를 참조하여 풍력타워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타워는 기초부, 타워구조물(1) 및, 풍력발전기(5)를 포함할 수 있다.
풍력타워는 하단을 지반에 매립되고, 상단에 설치플랫폼(3)이 형성된 기초부와, 상기 설치플랫폼(3)의 설치플랜지(4)와 상기 플랜지부(200)가 상기 연결채널부(300)를 매개로 고정되는 상기 타워구조물(1) 및, 상기 타워구조물(1)의 상단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의 상단에 위치한 설치플랫폼(3)에는 타워구조물(1)이 설치될 수 있고, 기초부는 타워구조물(1) 및, 타워구조물(1)의 상측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5)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기초부는 콘크리트기초(2)로 구비될 수 있고, 하단이 지반이 매립되고 기초부의 상단에 설치플랫폼(3)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플랫폼(3)의 상단에는 설치플랜지(4)가 형성되고, 설치플랜지(4)와 타워구조물(1)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00)에 연결채널부(300)가 설치되면서 기초부와 타워구조물(1)이 연결될 수 있다.
풍력발전기(5)는 타워구조물(1)의 상단에 설치되고, 풍력발전기(5)는 블레이드(7)와, 블레이드(7)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로터를 포함하는 기타설비가 설치되는 너셀(6)을 구비할 수 있다.
너셀(6)의 하측에는 금속소재로 구성된 강제쉘(8)이 설치되고, 강제쉘(8)의 하단에 연결플랜지(9)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플랜지(9)와 타워구조물(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00)에 연결채널부(300)가 설치되면서 타워구조물(1)과 풍력발전기(5)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타워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타워구조물(1)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풍력타워에서 활용되는 타워구조물(1)의 모듈본체부(100), 플랜지부(200), 연결채널부(30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타워구조물(1)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타워구조물 2: 콘크리트기초
3: 설치플랫폼 4: 설치플랜지
5: 풍력발전기 6: 너셀
7: 블레이드 8: 연결쉘
9: 연결플랜지
10: 타워모듈 10U: 분절모듈
100: 모듈본체부 110: 외측쉘
130: 보강부재 200: 플랜지부
210: 설치홈 210-1: 외측설치홈
210-2: 내측설치홈 300: 연결채널부
300U: 분절채널 300-1: 외측채널부재
300-2: 내측채널부재 310: 채널본체
330: 삽입채널 331: 테이퍼부
333: 단턱부 333-1: 제1 단턱부
333-2: 제2 단턱부 400: 체결부재
410: 외측볼트부재 430: 내측볼트부재
600: 돌출링부 700: 삽입링부

Claims (16)

  1. 복수 개의 타워모듈;과, 상기 타워모듈을 적층 연결하는 연결채널부;를 포함하는 타워구조물로,
    상기 타워모듈은,
    내부가 중공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모듈본체부; 및,
    상기 모듈본체부의 높이방향의 단부에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내입된 설치홈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에서 내입 형성된 외측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에서 내입 형성된 내측설치홈에 삽입되면서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타워구조물은,
    상기 연결채널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채널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일체화시키는 체결부재;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링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 중 나머지 일측에 내입 형성되고, 상기 돌출링부가 삽입되는 삽입링부;을 더 포함하는 타워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부는,
    상기 모듈본체부의 외면을 형성하고, 금속소재로 구성되는 외측쉘; 및,
    상기 외측쉘과 상기 플랜지부의 연결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쉘과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타워구조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채널부는,
    상기 타워모듈의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되, 적어도 2 이상의 분절채널이 둘레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채널부는,
    연결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 또는 외면에 걸쳐서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채널본체; 및,
    상기 채널본체의 단부에서 상기 플랜지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삽입채널;을 구비하는 타워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채널은,
    상기 설치홈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테이퍼부 또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채널은,
    상기 설치홈의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고, 상기 채널본체까지 연장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삽입채널의 선단부에서 상기 채널본체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상방테이퍼면; 및,
    상기 삽입채널의 선단부에서 상기 채널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방테이퍼면;을 구비하는 타워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연결채널부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채널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설치홈의 사이에는 메탈실링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채널부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채널부재;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는 타워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채널부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외측채널부재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 방향으로 체결되는 외측볼트부재; 및,
    상기 내측채널부재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 방향으로 체결되는 내측볼트부재;를 구비하는 타워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채널부는,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외면을 연결하는 외측채널부재; 및,
    인접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을 연결하는 내측채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채널부재와 상기 내측채널부재를 일체로 체결하는 관통형 볼트부재로 구비되는 타워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모듈은,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채널부는,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분절채널로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분절모듈에 걸쳐서 설치되는 타워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구조물은,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기 분절모듈이 연결되는 제1 모듈연결부; 및,
    상측에 적층되는 상기 타워모듈의 상기 분절모듈이 연결되는 부분인 제2 모듈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모듈연결부와 사이 제2 모듈연결부는 타워구조물의 횡단면 상에서 서로 상이한 둘레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구조물.
  15. 삭제
  16. 하단을 지반에 매립되고, 상단에 설치플랫폼이 형성된 기초부;
    상기 설치플랫폼의 설치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연결채널부를 매개로 고정되는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워구조물; 및,
    상기 타워구조물의 상단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풍력타워.
KR1020160110959A 2016-08-30 2016-08-30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KR10188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59A KR101889152B1 (ko) 2016-08-30 2016-08-30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EP16275142.4A EP3290691A1 (en) 2016-08-30 2016-09-29 Tower structure and wind turbine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59A KR101889152B1 (ko) 2016-08-30 2016-08-30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422A KR20180025422A (ko) 2018-03-09
KR101889152B1 true KR101889152B1 (ko) 2018-08-17

Family

ID=5704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959A KR101889152B1 (ko) 2016-08-30 2016-08-30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290691A1 (ko)
KR (1) KR101889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739A (zh) * 2019-05-09 2019-06-28 张英 一种外挂式垂直轴风力发电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987B2 (en) * 2017-01-13 2020-05-05 Fry Reglet Corporation Column cover reveal
CN112392664B (zh) * 2019-08-15 2022-08-30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混凝土塔筒段和塔架
CN112709672B (zh) * 2020-12-23 2022-05-06 山东中车风电有限公司 一种分片式塔架段的密封防水结构及塔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217Y1 (ko) * 2005-02-07 2005-05-12 (주)픽슨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015021256A (ja) * 2013-07-17 2015-02-02 日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組立式コンクリート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941B1 (ko) * 2003-06-24 2006-01-26 한국주강 주식회사 콘크리트말뚝의 이음을 위한 말뚝 연결장치
US8490337B2 (en) * 2009-06-09 2013-07-23 Thomas Nott Word, III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242505B1 (ko) * 2010-12-27 2013-03-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풍력발전기용의 모듈러형 풍력발전탑
US20130180199A1 (en) * 2012-01-17 2013-07-18 Venkata Krishna Vadlamudi Flange connection for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connecting parts of a wind turbine
DE102012216938A1 (de) * 2012-09-20 2014-05-28 Siegthalerfabrik Gmbh Flansch für einen Turm einer Windkraftanlage
CN103277260A (zh) * 2013-04-23 2013-09-04 广东明阳风电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风电塔架外法兰结合面防开裂方法
CN103277261A (zh) * 2013-04-23 2013-09-04 广东明阳风电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风电塔架内法兰结合面防开裂结构
KR101696019B1 (ko) * 2014-03-31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모듈러 풍력타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217Y1 (ko) * 2005-02-07 2005-05-12 (주)픽슨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015021256A (ja) * 2013-07-17 2015-02-02 日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組立式コンクリート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739A (zh) * 2019-05-09 2019-06-28 张英 一种外挂式垂直轴风力发电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0691A1 (en) 2018-03-07
KR20180025422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152B1 (ko)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US7877944B2 (en) Tower foundation, in particular for a wind energy turbine
EP2531674B1 (en) A tower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erecting the tower construction
US7805895B2 (en) Foundation for enabling anchoring of a wind turbine tower thereto by means of replaceable through-bolts
CN101684780B (zh) 无法兰风塔的设计
EP3347594B1 (en) A tower section for a tethered wind turbine tower
EP2929182B1 (en) Wind turbine tower arrangement
US20080236073A1 (en) Low cost rail-transportable wind turbine tower
KR101696019B1 (ko) 모듈러 풍력타워
EP2253781B1 (en) Composite connection for a wind turbine tower structure
US20110138731A1 (en) Wind turbine generat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ind turbine tower
US10704285B2 (en) Joining device of a metal segment to a concrete segment in a hybrid hollow tower
US20160265514A1 (en) Support device and methods for improving and constructing a support device
EP2192238B1 (en) A foundation and a method for forming a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tower
KR101889151B1 (ko) 타워구조물 및 풍력타워
DK2545231T3 (en) Corner connection, especially to a wind turbine tower
KR20150025643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20150025644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101462863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WO2012130292A1 (en)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 of fabricating a wind turbine tower
EP2746578B1 (en) Segmented tower bottom flange and method of assembly
CN110206375B (zh) 用于形成塔架的纵向节段、混凝土塔架及其拼装方法
CN114351566A (zh) 环形悬浮式桥面中置斜塔多锚固体系斜拉桥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