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660B1 -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660B1
KR101888660B1 KR1020170055363A KR20170055363A KR101888660B1 KR 101888660 B1 KR101888660 B1 KR 101888660B1 KR 1020170055363 A KR1020170055363 A KR 1020170055363A KR 20170055363 A KR20170055363 A KR 20170055363A KR 101888660 B1 KR101888660 B1 KR 10188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tle
core
lower housing
mantle core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쿨러유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쿨러유압 filed Critical (주)한국쿨러유압
Priority to KR102017005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가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는 콘형상의 하부파쇄면을 갖는 맨틀; 상기 맨틀을 지지하는 맨틀코아; 상기 하부파쇄면의 상방에서 대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부파쇄면의 접근에 의해 상기 원재료가 파쇄되는 상부파쇄면을 갖는 라이너; 내측에 상기 맨틀코아의 하부를 둘러싸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하우징; 상기 맨틀코아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쇄된 원재료의 미분이 상기 맨틀코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맨틀은 적어도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방진스커트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맨틀과 라이너에 의해 발생되는 돌가루가 맨틀코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Hybrid Mantle Lin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석 파쇄 시에 발생하는 돌가루에 의한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건축분야 또는 토목분야 등에서 활용되는 콘크리트는 각종 크기의 골재를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이 골재는 천연암석 또는 재활용 가능한 인공암석을 원하는 크기로 파쇄하는 콘크러셔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콘크러셔는 암석을 파쇄하기 위하여 편심으로 회전하는 콘형상의 맨틀과 보울형상의 라이너를 갖는다. 이 맨틀은 맨틀코아에 의해 지지되며 맨틀코아는 샤프트를 둘러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맨틀코아와 샤프트 사이에는 맨틀코아가 원활하게 고속회전이 되게 하는 윤활유가 공급되어 있으며, 암석 파쇄 시에 발생하는 돌가루가 맨틀코아로 유입되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맨틀코아를 둘러싸는 내부하우징 및 맨틀코아와 내부하우징 사이에는 씰링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씰링수단은 맨틀코아에 결합되어 편심으로 회전하여 고정된 내부하우징에 결합된 가드에 움직이면서 접촉하므로 외부충격이 있을 경우 씰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라이너와 편심으로 회전하는 맨틀에 의해 파쇄되는 원석은 원심력을 갖고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떨어지는데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에 부딪혀 맨틀코아와 내부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씰링수단으로 튀면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에 파쇄되는 원석의 파면과 돌가루가 맨틀코아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석 파쇄 시에 발생하는 돌가루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에 있어서, 콘형상의 하부파쇄면을 갖는 맨틀; 상기 맨틀을 지지하는 맨틀코아; 상기 하부파쇄면의 상방에서 대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부파쇄면의 접근에 의해 상기 원재료가 파쇄되는 상부파쇄면을 갖는 라이너; 내측에 상기 맨틀코아의 하부를 둘러싸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하우징; 상기 맨틀코아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쇄된 원재료의 미분이 상기 맨틀코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맨틀은 적어도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방진스커트부를 갖는 다. 이에 의해 맨틀과 라이너에 의해 발생되는 돌가루가 맨틀코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스커트부는 상기 맨틀의 단부로부터 상기 맨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진스커트부와 상기 제1방진스커트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진스커트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맨틀이 편심으로 회전하여 샤프트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움직이는 맨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미분방지부는 상기 맨틀코아 및 상기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된 미분방지씰, 상기 미분방지씰이 접촉되며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미분방지씰링가드 및 상기 미분방지씰을 상기 미분방지씰링가드를 향하여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하좌우로 회전 및 틸팅되는 맨틀코아와 하부하우징 사이를 견고하게 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맨틀코아 하방으로부터 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에 일부위가 삽입되며 상기 맨틀코아가 상기 축공의 축선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메인사프트; 상기 맨틀코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서 편심으로 회전하는 익센트릭; 상기 익센트릭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부가 형성된 카운트웨이트; 및 원반형상을 갖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맨틀코아 및 상기 익센트릭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맨틀을 라이너로 접근, 이격 및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맨틀코아와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회전지지부 및 상기 익센트릭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및 틸팅되도록 하는 회전틸팅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틸팅연결부는 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볼록연결부와 상기 볼록연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오목연결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볼록연결부 및 상기 오목연결부 중 어느 일측에는 볼 또는 롤러가 복수 개 설치된다. 이에 의해 맨틀이 샤프트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 및 틸팅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틀과 라이너에 의해 발생되는 돌가루가 맨틀과 하부하우징 사이로 맨틀코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는 맨틀코아 내부로의 돌가루 유입이 방지되므로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어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의 유지관리에 대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의 맨틀, 맨틀코아, 하부하우징 및 미분방지부를 자세하게 나타내며, 맨틀의 동작에 따라 미분방지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미분방지씰에 원석파편이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파편저지벽, 파편저지씰 및 제2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의 맨틀(10), 맨틀코아(20), 하부하우징(40) 및 미분방지부(50)를 자세하게 나타내며, 맨틀(10)의 동작에 따라 미분방지씰(5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체의 틀을 이루는 메인프레임(2), 원재료인 원석이 투입되는 피드호퍼(2), 피드호퍼(2)와 결합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울(4), 보울(4)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라이너(30)를 맨틀(10)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어드저스트링(5), 톱니을 갖고 어드저스트링(5)에 결합되어 보울(4)을 회전시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스프라켓(6), 스프라켓(6)의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를 갖는 드라이버스프라켓(7) 및 어드저스트링(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8)를 갖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는 맨틀(10), 맨틀코아(20), 라이너(30), 하부하우징(40), 미분방지부(50), 메인샤프트(60), 익센트릭(70), 카운트웨이트(80), 회전지지부(90), 회전구동부(100), 회전틸팅연결부(110) 및 오일방지 U형 씰(120)을 포함한다.
맨틀(10)은 원뿔의 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철과 같이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 상측 면은 원재료인 원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파쇄면(12)을 갖는다. 맨틀(10)은 방진스커트부(11), 피드콘(13) 및 록킹볼트(14)를 포함한다. 방진스커트부(11)는 맨틀(10)의 단부로부터 맨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진스커트부(11-1)와 제1방진스커트부(11-1)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진스커트부(11-2)를 갖는다.
제1방진스커트부(11-1)는 맨틀(10)이 회전하면서 샤프트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틸팅이 되므로 맨틀(1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제2방진스커트부(11-2)는 적어도 하부하우징(40)의 상단보다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측면에서는 하부하우징(40)의 상단이 보이지 않게 된다. 제2방진스커트부(11-2) 말단에는 하부하우징(40)의 측면에 접하는 씰과 같은 씰링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씰링수단은 맨틀(10)이 회전하면서 샤프트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틸팅이 되므로 맨틀(10)이 하부하우징(40)의 측면으로 접근과 이격이 되는 것과 관계 없이 하부하우징(40)의 측면에 항상 접촉되어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씰링수단은 제2방진스커트부(11-2) 말단에 씰링상태를 유지하면서 결합되며 말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하부하우징(40)의 측면에 접촉되게 형성되고 제2방진스커트부(11-2)가 하부하우징(40)의 측면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는 경우에도 하부하우징(4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충분히 길게 마련된다. 또한, 제2방진스커트부(11-2)에 씰링수단을 하부하우징(40)의 측면으로 미는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피드콘(13)은 맨틀(10)의 원뿔 콘형상 중 꼭지점 영역에 마련되며, 록킹볼트(14)가 내측에 설치된 후 외측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피드콘(13)은 록킹볼트(14)와 볼트결합이 되어 고정된다.
맨틀코아(20)는 맨틀(10)과 결합되며 맨틀(1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맨틀코아(20)는 하방으로부터 메인샤프트(60)가 삽입되는 축공(21)이 형성된다. 맨틀코아(20)는 메인샤프트(60)에 대하여 맨틀코아(20)가 회전되는 경우에 축공(21)과 메인샤프트(60)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코아부싱(22)을 갖는다.
라이너(30)는 하부파쇄면(12)의 상방에서 대면하여 배치되며 하부파쇄면(12)의 접근에 의해 원재료인 원석이 파쇄되는 상부파쇄면(31)을 갖는다. 라이너(30)는 맨틀(10)과 같은 콘형상을 가지며, 하방의 내측에는 주석 재료와 같이 강도가 강한 상부파쇄면(31)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하우징(40)은 내측에 맨틀코아(10)의 하부를 둘러싸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하부하우징(40)은 맨틀(10)과 라이너(30)에 의해 파쇄되는 원석으로부터 메인샤프트(60)와 맨틀코아(20)를 보호하는 외통의 역할을 한다.
미분방지부(50)는 맨틀코아(10)와 하부하우징(40)의 사이에 개재되어 파쇄된 원재료의 미분이 맨틀코아(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분방지부(50)는 맨틀코아(10) 및 하부하우징(40) 중 어느 하나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된 미분방지씰(51), 미분방지씰(51)이 접촉되며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미분방지씰링가드(52) 및 미분방지씰(51)을 미분방지씰링가드(52)를 향하여 탄성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53)를 포함한다.
미분방지씰(51)은 맨틀(10)과 접해있는 맨틀코아(20) 영역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메인샤프트(60)의 중심축과 경사를 갖고 메인샤프트(6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미분방지씰(51)은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된다. 미분방지씰(51)의 미분방지씰링가드(52)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말단까지의 길이는 맨틀(10)의 틸팅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어서 맨틀(10)의 틸팅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미분방지씰링가드(52)는 하부하우징(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메인샤프트(60)의 축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구부러진 부분에 막대형의 미분방지씰(51)이 접촉된다.
제2탄성부재(53)는 미분방지씰(51)과 미분방지씰(51) 상측의 맨틀코아(20) 사이에 개재되어 미분방지씰(51)을 미분방지씰링가드(52)에 접촉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미분방지씰링가드(52)를 밀게 한다. 제2탄성부재(53)는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등으로 마련되어 미분방지씰(51)이 미분방지씰링가드(52)에 탄성을 가하게 할 수 있다.
메인샤프트(60)는 맨틀코아(20)의 축공(21)에 삽입된다. 메인샤프트(60)는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어 맨틀코아(20)의 축공(21)에 삽입되어 맨틀코아(2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지지한다. 메인샤프트(60)는 일 측에 축의 가로방향으로 확장 연장되어 있는 확장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익센트릭(70)은 맨틀코아(20)와 메인샤프트(60) 사이에 개재되어 맨틀코아(20)의 축공(21)에 삽입된다. 맨틀코아(20)에 결합되며 메인샤프트(60)의 외주면에서 편심으로 회전한다. 익센트릭(70)은 축공(21)의 축에 대한 가로방향의 단면이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맨틀코아(20)를 편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카운트웨이트(80)는 익센트릭(70)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부(81)가 형성된다. 카운트웨이트(80)는 익센트릭(70)의 비대칭 형상과는 반대의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카운트웨이트(80)는 축공(21)의 축에 대한 가로방향의 단면이 큰 익센트릭(70)의 반대측에 무게조절부(81)가 배치된다.
회전지지부(90)는 원반형상을 갖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92)에 메인샤프트(6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맨틀코아(20) 및 익센트릭(70)을 지지한다. 관통공(92) 중간에는 관통공(92)의 축선의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확장홈(9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60)에 형성된 확장부(61)가 확장홈(92-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회전지지부(90)는 맨틀코아(20) 및 익센트릭(7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회전지지부(90)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피니언 형상의 드라이브기어(9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구동부(100)는 회전모터(101), 풀리(102), 구동벨트(103) 및 회전축(104)를 포함한다. 구동벨트(103)는 회전모터(101)의 회전하는 축과 풀리(102)를 연결한다. 풀리(102)는 바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퀴의 중심에는 회전축(104)이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104)의 말단에는 피니언기어(104-1)가 회전축(104)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피니언기어(104-1)는 회전지지부(90)의 하부에 형성된 드라이브기어(91)에 맞물려 있다. 회전모터(101)의 구동에 따라 회전모터(101)의 회전하는 축이 회전하며 구동벨트(103)가 회전한다. 구동벨트(103)의 회전에 따라 풀리(102)가 회전하면서 회전축(104)도 회전한다. 회전축(104)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기어(104-1)와 맞물린 드라이브기어(91)가 회전하면서 회전지지부(90)가 회전하고 회전지지부(90)와 결합된 맨틀코아(20) 및 맨틀(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익센트릭(70)의 편심에 의해 회전되어 맨틀(10)이 회전되면서 상하로 틸팅되게 한다.
회전틸팅연결부(110)는 맨틀코아(10)와 메인샤프트(6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한 회전지지부(90) 및 익센트릭(70)의 회전에 따라 메인샤프트(60)에 대하여 회전 및 틸팅되도록 한다. 회전틸팅연결부(110)는 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볼록연결부(111)와 볼록연결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오목연결부(112) 한 쌍으로 마련되고, 볼록연결부(111) 및 오목연결부(112) 중 어느 일측에는 볼(112-1) 또는 롤러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맨틀(10)이 틸팅되는 범위는 볼록연결부(111)와 오목연결부(112)의 구형상 원의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볼록연결부(111)와 오목연결부(112)의 구형상 원이 작으면 상하로 틸팅되는 범위가 커지며, 볼록연결부(111)와 오목연결부(112)의 구형상 원이 커지면 상하로 틸팅되는 범위가 작아진다.
볼록연결부(111)는 피드콘(13)과 록킹볼트(14)에 의해서 맨틀(10)에 결합된다. 오목연결부(112)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 복수의 볼(112-1)이 안착되어 있다. 볼록연결부(111)는 오목연결부(112)의 볼(112-1)에 안착되어 원활하게 회전 및 틸팅이 되도록 한다.
오일방지 U형 씰(120)은 맨틀코아(20)와 코아부싱(22) 사이에 개재되어 카운트웨이트(80) 및 하부하우징(40)으로부터 맨틀코아(20) 내부를 밀봉한다. 코아부싱(22) 말단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 오일방지 U형 씰(120)이 놓여있다. 이렇게 오일방지 U형 씰(120)이 놓여진 홈에 맨틀코아(20)의 일측이 삽입되면서 씰링이 된다.
도 2 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의 맨틀(10), 맨틀코아(20), 하부하우징(40) 및 미분방지부(40)를 자세하게 나타내며, 맨틀(1)의 동작에 따라 미분방지씰(5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상측면인 하부파쇄면(12)을 갖는 맨틀(10)의 말단으로부터 맨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방진스커트부(11-1)와 제1방진스커트부(11-1)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하부하우징의 상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2방진스커트부(11-2)가 위치하고 있다. 맨틀(10)의 하측에는 맨틀코아(20)가 결합되어 있고, 맨틀코아(20)에 볼트결합으로 미분방지씰(51)이 메인샤프트(60)의 축선을 향해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다. 맨틀코아(20)와 미분방지씰(51)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53)가 배치되어 있다. 미분방지씰(51)은 제2탄성부재(53)의 탄성에 의해 탄성을 가지고 하부하우징(40)에 결합된 미분방지씰링가드(52)에 접촉(C1)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하부하우징(40)의 외측과 제2방진스커트부(11-2)의 내측 간의 거리가 D1이며, 제2방진스커트부(11-2) 말단의 높이가 하부하우징(40)의 P1지점이다.
(b) 회전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맨틀(10)이 우측으로 틸팅된다. 회전틸팅연결부(110)의 원 크기에 따라 회전도 되면서 상하로 틸팅도 된다. 이에 의해 미분방지씰(51)은 우측으로 이동되며 미분방지씰(51)과 미분방지씰링가드(52)가 접촉된 지점이 C1에서 C2로 이동되면서 미분방지씰(51)과 미분방지씰링가드(52)에 의한 씰링은 유지된다. 맨틀(10)이 우측 및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방진스커트부(11-2) 내측은 하부하우징(40)의 외측 간의 거리는 D1에서 D2로 넓어지게 된다. 또한, 제2방진스커트부(11-2)의 말단은 하부하우징(40)의 P1에서 P2로 상측 이동한다.
도 3은 미분방지씰(51)에 원석파편이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파편저지벽(51-1), 파편저지씰(40-1) 및 제2탄성부재(40-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원석파편을 저지하는 변형 실시 예이다.
미분방지씰(51)은 메인샤프트(60)의 중심축과 경사를 갖고 메인샤프트(6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긴 막대형상을 갖는데 맨틀코아(20)와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연장된 파편저지벽(51-1)을 가진다. 파편저지벽(51-1)은 맨틀(10)의 상하 틸팅되는 간격에 따라 하방으로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파편저지씰(40-1)은 하부하우징(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2방진스커트부(11-2)의 말단과 접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된다. 파편저지씰(40-1)은 미분방지씰(51)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파편저지씰(40-1)은 원석이 맨틀(10)과 라이너(30)에 의해 파쇄된 원석파편이 미분방지씰(51)로 직접적으로 튀어 충격을 가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돌가루 미분도 맨틀코아(20) 내부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파편저지씰(40-1)과 하부하우징(40)의 측면 사이에는 파편저지씰(40-1)을 제2방진스커트부(11-2)의 말단을 향하여 탄성이 가해지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40-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방진스커트부(11-2)와 하부하우징(40) 중 어느 일측에는 맨틀(10)의 회전 및 틸팅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돌가루 미분이 맨틀코아(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방진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방진부는 빗자루와 같이 복수의 유연한 섬유로 마련될 수도 있다. 비닐과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일측은 제2방진스커트부(11-2)와 하부하우징(40) 중 어느 하나에 탄성부재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복수의 롤러가 마련되어 맨틀(10)의 회전 및 틸팅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설치될 수도 있다.
제2방진스커트부(11-2)가 제1방진스커트부(11-1)에 대하여 탄성부재에 의해 메인샤프트(60)의 축선을 향해 경사지게 하부하우징(40)의 측면과 접촉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는 제1방진스커트부(11-1)와 제2방진스커트부(11-2)가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2방진스커트부(11-2)를 하부하우징(40)의 측면으로 밀면서 맨틀코아(20)에 대한 방진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로 인하여, 맨틀(10)의 단부로부터 맨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진스커트부(11-1)와 제1방진스커트부(11-1)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진스커트부(11-2)를 갖는 맨틀(10)과, 맨틀(10)의 하부파쇄면(12)의 상방에서 대면하여 배치되며 하부파쇄면(12)의 접근에 의해 원재료가 파쇄되는 상부파쇄면(31)을 갖는 라이너(30)에 의해 발생되는 돌가루 미분이 맨틀(10)과 하부하우징(40) 사이의 맨틀코아(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맨틀코아(20) 내부로의 돌가루 유입이 방지되므로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어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1)의 유지관리에 대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2 : 메인프레임
3 : 피드호퍼 10 : 맨틀
11 : 방진스커트부 12 : 하부파쇄면
13 : 피드콘 14 : 록킹볼트
20 : 맨틀코아 21 : 축공
22 : 코아부싱 30 : 라이너
31 : 상부파쇄면 40 : 하부하우징
40-1 : 파편저지씰 40-2 : 제1탄성부재
50 : 미분방지부 51 : 미분방지씰
51-1 : 파편저지벽 52 : 미분방지씰링가드
53 : 제2탄성부재 60 : 메인샤프트
61 : 확장부 70 : 익센트릭
80 : 카운트웨이트 90 : 회전지지부
91 : 드라이브기어 92 : 관통공
100 : 회전구동부 101 : 회전모터
102 : 풀리 103 : 구동벨트
104 : 회전축 110 : 회전틸팅연결부
111 : 볼록연결부 112 : 오목연결부
120 : 오일방지 U형 씰

Claims (5)

  1.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에 있어서,
    콘형상의 하부파쇄면을 갖는 맨틀;
    상기 맨틀을 지지하는 맨틀코아;
    상기 하부파쇄면의 상방에서 대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부파쇄면의 접근에 의해 원재료가 파쇄되는 상부파쇄면을 갖는 라이너;
    내측에 상기 맨틀코아의 하부를 둘러싸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하우징;
    상기 맨틀코아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쇄된 원재료의 미분이 상기 맨틀코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맨틀은 적어도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방진스커트부를 갖고,
    상기 미분방지부는 상기 맨틀코아 및 상기 하부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된 미분방지씰, 상기 미분방지씰이 접촉되며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는 미분방지씰링가드 및 상기 미분방지씰을 상기 미분방지씰링가드를 향하여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스커트부는 상기 맨틀의 단부로부터 상기 맨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진스커트부와 상기 제1방진스커트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진스커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틀코아 하방으로부터 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에 일부위가 삽입되며 상기 맨틀코아가 상기 축공의 축선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메인사프트;
    상기 맨틀코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서 편심으로 회전하는 익센트릭;
    상기 익센트릭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조절부가 형성된 카운트웨이트; 및
    원반형상을 갖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맨틀코아 및 상기 익센트릭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맨틀코아와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상기 회전지지부 및 상기 익센트릭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및 틸팅되도록 하는 회전틸팅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틸팅연결부는 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볼록연결부와 상기 볼록연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오목연결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볼록연결부 및 상기 오목연결부 중 어느 일측에는 볼 또는 롤러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KR1020170055363A 2017-04-28 2017-04-28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KR10188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363A KR101888660B1 (ko) 2017-04-28 2017-04-28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363A KR101888660B1 (ko) 2017-04-28 2017-04-28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660B1 true KR101888660B1 (ko) 2018-09-20

Family

ID=6371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363A KR101888660B1 (ko) 2017-04-28 2017-04-28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6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8369B2 (ja) * 2012-12-03 2017-01-11 株式会社アーステクニカ 旋動式破砕機のダスト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8369B2 (ja) * 2012-12-03 2017-01-11 株式会社アーステクニカ 旋動式破砕機のダストシール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4411C2 (ru) Конусная дробилка с уплотня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ей
CN103002986B (zh) 惯性圆锥破碎机以及使该破碎机平衡的方法
CN109414837A (zh) 带有耐磨件的切削装置
JP6058369B2 (ja) 旋動式破砕機のダストシール構造
JP2004136252A (ja) 旋動式破砕機及び旋動式破砕機の運転方法
CN105170276A (zh) 一种立轴冲击式破碎机
KR101888660B1 (ko) 하이브리드 맨틀 라이너
JPH11513613A (ja) 密閉型粉砕機
CA2925225A1 (en) Sealing ring for gyratory crusher
JP2022528638A (ja) コーンクラッシャ
RU2161071C2 (ru) Вибрационная конусная дробилка
US11542669B2 (en) Soil working roller
CN105209173A (zh) 回转式破碎机顶壳
JP6731410B2 (ja) ダストシーリング
KR101342131B1 (ko) 기류에 의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콘 크러셔
US4989797A (en) Single swing jaw crushing apparatus with an unobstructed feed opening
CN201200972Y (zh) 伞式三重筛分机
CN103596689A (zh) 用于破碎机的边沿衬里的保持布置
JP4530455B2 (ja) 慣性円錐破砕機の上部球面軸受装置
KR102223600B1 (ko) 개량형 다축 방향 마쇄기 구조
KR20060004081A (ko) 이동식 롤 크러셔
KR101335239B1 (ko) 크라샤용 버켓
US20020088886A1 (en) Gyratory crusher dust seal system
AU2010200018B2 (en) No-load bearing for a cone crusher
CN217615047U (zh) 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