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561B1 - 픽셀 월 - Google Patents

픽셀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561B1
KR101888561B1 KR1020170069431A KR20170069431A KR101888561B1 KR 101888561 B1 KR101888561 B1 KR 101888561B1 KR 1020170069431 A KR1020170069431 A KR 1020170069431A KR 20170069431 A KR20170069431 A KR 20170069431A KR 101888561 B1 KR101888561 B1 KR 10188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ecorative panel
rail
bracket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혜영
이동은
김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주식회사 디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주식회사 디앤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17006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픽셀 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월은, 장식패널이 설치될 설치벽면에 결합되는 메인 브래킷; 메인 브래킷에 결합되며, 장식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용 레일; 및 메인 브래킷과 패널 지지용 레일에 마련되며,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의 평탄도 조절을 위해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는 레일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픽셀 월{Pixel wall}
본 발명은, 픽셀 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픽셀 월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단조로운 실내를 탈피하기 위해 가구의 교체, 소품의 설치, 설치벽면에 벽지나 시트지의 부착 등 다양한 방법의 인테리어가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테리어의 방법 중 가장 많이 수행되는 것이 벽지나 시트지를 설치벽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벽지나 시트지를 설치벽면에 부착할 경우에는 재질의 표현적인 한계와 더불어 평면적인 무늬로 인해 질리기 쉽다.
때문에 최근에는 설치벽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타일, 나무, 석재, 합성수지와 같이 무늬가 아닌 실재 또는 실재와 유사한 형상의 마감재, 즉 장식패널을 설치하는 이른 바 픽셀 월(pixel wall)의 시공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다시 말해, 픽셀 월이라 함은 실내의 설치벽면에 장식패널을 배치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기능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점차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픽셀 월에 대한 발명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10-2014-0120877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가이드부재라 하는 브래킷을 설치벽면에 고정하고 이를 이용해서 장식패널을 설치하는 다소 일반적인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만약 설치벽면이 이상적으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노후 주택처럼 설치벽면이 다소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경우에는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의 평탄도를 맞추거나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서 신개념의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10-2014-0120877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픽셀 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식패널이 설치될 설치벽면에 결합되는 메인 브래킷; 상기 메인 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장식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용 레일; 및 상기 메인 브래킷과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에 마련되며, 상기 설치벽면에 대한 상기 장식패널의 평탄도 조절을 위해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는 레일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각도 조절부는, 상기 메인 브래킷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되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용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 및 상기 볼트 체결공에 대응되게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에 형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용 볼트가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볼트 위치 가변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랜지는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은 한 쌍의 상기 가이드 플랜지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 위치 가변장공은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전면부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걸이 방식으로 걸리는 다수의 걸림공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걸림공에 걸리도록 상기 장식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장식패널과 한 몸체를 이루는 패널 걸림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걸림 브래킷은 상기 장식패널의 코너 영역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걸림 브래킷은, 상기 장식패널의 코너 영역에 맞대면서 접하는 브래킷 바디; 및 상기 브래킷 바디의 코너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 고리부가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된 한 쌍의 장식패널에 마련되는 걸림 고리부가 하나의 걸림공에 함께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 고리부와 연결되되 상기 브래킷 바디의 교차되는 양측 변에 접촉되어 보강되는 한 쌍의 보강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바디에는 상기 장식패널에 얼라인되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얼라인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결합돌기의 주변에는 결합용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래킷의 베이스부에는 상기 설치벽면에 체결되는 나사가 통과하는 다수의 나사 통과용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월의 요부 확대 전면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패널 걸림 브래킷이 결합된 장식패널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패널 걸림 브래킷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메인 브래킷과 패널 지지용 레일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과장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월의 요부 확대 전면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5는 패널 걸림 브래킷이 결합된 장식패널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8은 패널 걸림 브래킷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메인 브래킷과 패널 지지용 레일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B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과장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픽셀 월(Pixel wall)은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설치벽면(도 4 참조)에 대한 장식패널(P)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장식패널(P)의 설치를 위해 도 3 및 도 9처럼 서로 결합되는 메인 브래킷(110) 및 패널 지지용 레일(120)과, 이들에 형성되되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P)의 평탄도 조절을 위해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레일 각도 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각도 조절부(130)로 인해 도 1처럼 장식패널(P)이 동일한 평탄도를 가지고 가지런히 걸려 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선, 장식패널(P)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장식패널(P)은 도 1에 이미지로 나타난 것처럼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재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장식패널(P)은 도 1처럼 설치벽면에 상호 인접되게 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처럼 장식패널(P)이 사용되면 단순한 벽지나 시트지에 비해 고급스럽기 때문에 질리지 않으며, 또한 실내 인테리어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1의 경우, 장식패널(P)이 나무 혹은 MDF라는 합성목재로 제작되고 있으나 장식패널(P)은 나무(합성목재) 외에도 타일, 석재, 합성수지, 대리석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재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식패널(P)은 종전과 달리 걸이 방식으로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걸림공(122)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3처럼 설치벽면에 메인 브래킷(110)을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메인 브래킷(110)에 패널 지지용 레일(120)을 각도 조절하여 결합시킨 다음, 마치 옷걸이를 걸듯이 장식패널(P)을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걸림공(122)에 걸어 시공하며 된다. 따라서 시공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며, 이로 인해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물론, 장식패널(P)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부분 교체나 유지보수가 편리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장식패널(P)을 걸어 시공하기 위해서는 장식패널(P)을 걸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식패널(P)에 패널 걸림 브래킷(140)이 미리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패널 걸림 브래킷(140)은 장식패널(P)에 결합되어 장식패널(P)과 한 몸체를 이루는 일종의 걸이용 부품으로서, 장식패널(P)이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걸림공(122)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패널 걸림 브래킷(140)은 장식패널(P)의 코너 영역에 하나씩 결합된다. 즉 패널 걸림 브래킷(140)은 장식패널(P)의 4 코너 영역에 하나씩 결합된다. 따라서 장식패널(P)의 안정적인 결합을 이끌어낼 수 있다.
패널 걸림 브래킷(140)은 브래킷 바디(141)와, 브래킷 바디(141)의 코너 영역에 결합되는 걸림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바디(141)는 장식패널(P)의 코너 영역에 맞대면서 접하는 부분이다. 이처럼 브래킷 바디(141)가 장식패널(P)의 코너 영역에 맞대면서 접하기 때문에 패널 걸림 브래킷(14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브래킷 바디(141)에는 장식패널(P)에 얼라인되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얼라인 결합돌기(14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얼라인 결합돌기(142)의 주변에는 결합용 통공(143)이 형성된다.
이에, 얼라인 결합돌기(142)들이 장식패널(P)에 형성되는 돌기홈(미도시)에 얼라인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패널 걸림 브래킷(140)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맞춘 상태에서 결합용 통공(143)으로 나사(미도시)를 삽입해서 장식패널(P)에 체결시킴으로써 패널 걸림 브래킷(140)을 장식패널(P)의 해당 위치에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걸림부재(145)는 브래킷 바디(141)에 연결되는 부속으로서, 걸림부재(145)에는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걸림공(122)에 걸리는 걸림 고리부(146)가 형성된다.
걸림 고리부(146)는 단부가 후크처럼 휜 고리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마치 옷걸이를 걸듯이 걸림 고리부(146)가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걸림공(122)에 걸리도록 하면서 장식패널(P)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처럼 이웃된 한 쌍의 장식패널(P)에 마련되는 걸림 고리부(146)가 하나의 걸림공(122)에 함께 걸려 지지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걸림공(122)에는 이웃된 한 쌍의 장식패널(P)의 걸림 고리부(146)가 함께 걸린다. 따라서 장식패널(P)이 안정적으로 또한 많은 이격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인테리어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걸림부재(145)는 걸림 고리부(146)와 연결되되 브래킷 바디(141)의 교차되는 양측 변에 접촉되어 보강되는 한 쌍의 보강 플랜지(147)를 구비한다. 보강 플랜지(147)는 나사 혹은 본딩 결합될 수 있는데, 이처럼 넓은 면적으로 보강 플랜지(147)가 브래킷 바디(141)에 결합되기 때문에 브래킷 바디(141)와 걸림부재(145)가 분리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메인 브래킷(110)은 장식패널(P)이 설치될 설치벽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이다. 나사(114)를 통해 메인 브래킷(110)이 설치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설치벽면에는 드릴링된 자리에 플라스틱 타입의 나사 지지대(115)가 먼저 삽입되며, 이러한 나사 지지대(115)에 나사(114)가 체결됨으로써 메인 브래킷(110)이 설치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나사 지지대(115)는 나사(114)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타입의 부재로서, 설치벽면에 미리 박힌 후, 나사(114)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설치벽면의 콘트리트에 나사산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나사 지지대(115)를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설치벽면이 콘크리트가 아니라 목재나 플라스틱이라면 굳이 나사 지지대(115)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메인 브래킷(110)은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의 중앙에서 상호간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브래킷(110)의 베이스부(111)에는 설치벽면에 체결되는 나사(114)가 통과하는 다수의 나사 통과용 장공(112)이 형성된다. 원형의 통공이 아닌 나사 통과용 장공(112)이 형성됨에 따라 메인 브래킷(110)의 설치위치 또한 패널 지지용 레일(120)에 대한 상대 틀어짐을 조절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패널 지지용 레일(120)은 메인 브래킷(110)에 결합되며, 장식패널(P)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브래킷(110)과 달리 패널 지지용 레일(120)은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브래킷(110)은 전면부(121)와, 전면부(121)의 양단부에서 전면부(121)에 대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21)에는 장식패널(P)이 걸이 방식으로 걸리는 다수의 걸림공(122)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장식패널(P)에 결합되는 패널 걸림 브래킷(140)의 걸림 고리부(146)가 걸리는 장소를 이루는 다수의 걸림공(122)이 전면부(121)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한 쌍의 스커트부(124)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볼트 위치 가변장공(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수직정도, 즉 기울기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레일 각도 조절부(130)는 주로 도 11 및 도 12에 잘 나타난 것처럼 메인 브래킷(110)과 패널 지지용 레일(120)에 마련되며, 설치벽면에 대한 장식패널(P)의 평탄도 조절을 위해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장식패널(P)은 도 1처럼 이웃된 것끼리 평탄도가 잘 맞아야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장식패널(P)이 가지런히 걸려 시공되려면 장식패널(P)이 걸려 지지되는 패널 지지용 레일(120)이 반듯하게 직각의 평탄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설치벽면이 이상적으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설치벽면에 메인 브래킷(110)을 결합시킨 후, 메인 브래킷(110)에 패널 지지용 레일(120)을 밀어 결합시키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노후 주택처럼 설치벽면이 다소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경우, 메인 브래킷(110)과 패널 지지용 레일(120)을 단순히 결합시키면 특히,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수직 평탄도가 맞지 않아서 이에 걸어 시공한 장식패널(P)이 도 1처럼 가지런하게 설치될 수 없다.
이러한 상황, 즉 설치벽면이 다소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상황이라면 메인 브래킷(110)에 대하여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각도를 도 12의 실선 또는 점선처럼 조절해서 결합시켜야 하며, 그래야만 최종적으로 장식패널(P)을 도 1처럼 가지런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 각도 조절부(130)가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레일 각도 조절부(130)는 메인 브래킷(110)에 형성되고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되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용 볼트(131)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132)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133)와, 볼트 체결공(132)에 대응되게 패널 지지용 레일(120)에 형성되며, 각도 조절용 볼트(131)가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볼트 위치 가변장공(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플랜지(133)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패널 지지용 레일(12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124)는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133)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볼트 위치 가변장공(134)은 한 쌍의 스커트부(124)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스커트부(124)에 원형이 아닌 볼트 위치 가변장공(134)이 형성되고 이 볼트 위치 가변장공(134)이 도 12처럼 각도 조절용 볼트(131)에 의해 조여지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설치벽면의 조건을 고려하여 패널 지지용 레일(120)의 수직 평탄도를 조절한 후, 패널 지지용 레일(120)을 메인 브래킷(1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최종적으로 장식패널(P)을 도 1처럼 가지런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설치벽면(도 4 참조)에 대한 장식패널(P)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P : 장식패널 110 : 메인 브래킷
111 : 베이스부 112 : 나사 통과용 장공
114 : 나사 115 : 나사 지지대
120 : 패널 지지용 레일 121 : 전면부
122 : 걸림공 124 : 스커트부
130 : 레일 각도 조절부 131 : 각도 조절용 볼트
132 : 볼트 체결공 133 : 가이드 플랜지
134 : 볼트 위치 가변장공 140 : 패널 걸림 브래킷
141 : 브래킷 바디 142 : 얼라인 결합돌기
143 : 결합용 통공 145 : 걸림부재
146 : 걸림 고리부 147 : 보강 플랜지

Claims (11)

  1. 장식패널이 설치될 설치벽면에 결합되는 메인 브래킷;
    상기 메인 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장식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용 레일; 및
    상기 메인 브래킷과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에 마련되며, 상기 설치벽면에 대한 상기 장식패널의 평탄도 조절을 위해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를 조절하는 레일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각도 조절부는,
    상기 메인 브래킷에 형성되되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며,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용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 및
    상기 볼트 체결공에 대응되게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에 형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용 볼트가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볼트 위치 가변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은 한 쌍의 상기 가이드 플랜지의 외면에 접촉지지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 위치 가변장공은 상기 한 쌍의 스커트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전면부에는 상기 장식패널이 걸이 방식으로 걸리는 다수의 걸림공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패널이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걸림공에 걸리도록 상기 장식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장식패널과 한 몸체를 이루는 패널 걸림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걸림 브래킷은 상기 장식패널의 코너 영역에 하나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걸림 브래킷은,
    상기 장식패널의 코너 영역에 맞대면서 접하는 브래킷 바디; 및
    상기 브래킷 바디의 코너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패널 지지용 레일의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 고리부가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8. 제7항에 있어서,
    이웃된 한 쌍의 장식패널에 마련되는 걸림 고리부가 하나의 걸림공에 함께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 고리부와 연결되되 상기 브래킷 바디의 교차되는 양측 변에 접촉되어 보강되는 한 쌍의 보강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바디에는 상기 장식패널에 얼라인되면서 결합되는 다수의 얼라인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결합돌기의 주변에는 결합용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래킷의 베이스부에는 상기 설치벽면에 체결되는 나사가 통과하는 다수의 나사 통과용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월.
KR1020170069431A 2017-06-05 2017-06-05 픽셀 월 KR10188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31A KR101888561B1 (ko) 2017-06-05 2017-06-05 픽셀 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431A KR101888561B1 (ko) 2017-06-05 2017-06-05 픽셀 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561B1 true KR101888561B1 (ko) 2018-08-14

Family

ID=6323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431A KR101888561B1 (ko) 2017-06-05 2017-06-05 픽셀 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2477A4 (en) * 2020-06-05 2024-03-13 Candelic Nz Ltd DISPLAY MOUN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2477A4 (en) * 2020-06-05 2024-03-13 Candelic Nz Ltd DISPLAY MOUN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US9091053B2 (en) Clip assembly for use with a suspended ceiling
US8297576B2 (en) Fixture mounting bracket assembly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CA2618905C (en) Installation bracket and system for crown molding
KR20150101855A (ko) 천정 마감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천정 마감장치
KR101888561B1 (ko) 픽셀 월
KR20100096756A (ko) 장식판넬의 체결구조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US20110121700A1 (en) Adjustable Toe Plate for Application in Suspended Cabinet Systems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0469661Y1 (ko)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패널 조립체
US2002018484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uring a frame/panel to a substrate
CA2967630A1 (en) Clip for curtain wal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installation
KR20230025952A (ko) 단열재 병행설치용 건축 외장재 설치구조
KR20050104117A (ko) 건축물의 장식판넬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9958669U (zh) 悬挂式装饰板材安装装置
CN213897929U (zh) 墙板安装系统及其托架机构
KR102113530B1 (ko) 목재판 벽면 시공용 고정클립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CN213626411U (zh) 墙板安装系统及其墙板拼接组件
CZ20013373A3 (cs) Způsob výroby přístupných zavěąených stropů z deskových prvků a systém profilů pro zavěąené stropy
RU137314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анели, фиксирующая скоба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KR102327981B1 (ko) 건축물 외장재용 부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