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038B1 - 꼬치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꼬치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038B1
KR101888038B1 KR1020160071690A KR20160071690A KR101888038B1 KR 101888038 B1 KR101888038 B1 KR 101888038B1 KR 1020160071690 A KR1020160071690 A KR 1020160071690A KR 20160071690 A KR20160071690 A KR 20160071690A KR 101888038 B1 KR101888038 B1 KR 10188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gear
gears
cradle
moun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322A (ko
Inventor
양예원
Original Assignee
양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예원 filed Critical 양예원
Priority to KR102016007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꼬치구이장치로서, 특히 기존의 화로대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꼬치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1)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차례로 톱니(11a)가 맞물려서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11)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어(11)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 직경의 크기로 양측면에서 돌출회전축(11b)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돌출회전축(11b)의 회전중심의 대향 위치에는, 2개의 봉이 평행하게 포크 형상으로 벌어진 꼬치대(2)의 포크부(2a)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되 그 삽입 깊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1쌍의 포크삽입공(11c)이 기어(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기어조립체(10); 기어조립체(10)의 기어(11)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돌출회전축(11b)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과 후면에 돌출회전축(1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핑 수단(50)을 구비하여 화로대(3)의 거치대(6) 중에 일측 거치대(6a)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하우징(20); 기어(11)들 중에 하나의 기어(11)를 회전시켜 전체의 기어(11)들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 및 꼬치대(2)의 손잡이(2b) 쪽을 회전 자유롭고 위치 이탈하지 않게 받쳐주고, 클램프(42)를 구비하여 거치대(6) 중에 일측 거치대(6a)에 마주보는 타측 거치대(6b)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4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꼬치구이장치{Skewer roast device}
본 발명은 꼬치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꼬치구이장치로서, 특히 기존의 각종 화로대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탈착식 꼬치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기, 소시지, 야채 등의 각종 식재료를 꼬치대에 꿰어 구은 음식을 '꼬치구이'라고 하며, 이런 꼬치구이는 캠핑과 같은 야외에서의 요리 메뉴로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야외에서의 꼬치구이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캠핑용 화로대에 그릴 대신에 식재료를 꿴 꼬치대를 올려서 수동(손)으로 꼬치대를 돌려주면서 꼬치를 굽는 방식이었으나, 캠핑 등의 야외 요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꼬치구이에 적합하게 제작된 꼬치구이 전용의 장치들이 개발되었고, 이런 꼬치구이장치들 중에는 꼬치대를 수동이 아닌 모터의 동력으로 돌려주는 자동식 꼬치구이장치들이 다수 개발되어 있다.
꼬치구이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196768호의 '다용도 꼬치구이기', 대한민국 특허 제10-1238268호의 '3면 활용 이동식 숯불 꼬치 구이기', 대한민국 특허 제10-1199682호의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대한민국 특허 제10-1193561호의 '꼬치구이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1522827호의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816호의 '양면 구이용 자동 꼬치구이기' 등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종래 꼬치구이장치는, 꼬치구이에 전용으로 사용되도록 개발된 장치들이었기 때문에, 꼬치구이가 아닌 다른 용도로 제작된 기존의 다른 캠핑용 화로대에 적용하기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꼬치구이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캠핑 등에서 각종 요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화로대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필요에 따라 기존의 화로대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의 꼬치대를 적용할 수 있는 탈착식 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꼬치구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는, 기어조립체, 기어하우징, 구동모터 및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조립체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차례로 톱니가 맞물려서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기어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 직경의 크기로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출회전축, 및 상기 돌출회전축의 회전중심의 대향 위치에 꼬치대의 포크부의 끝단이 삽입되게 형성된 1쌍의 포크삽입공을 포함한다.
상기 기어하우징은, 상기 기어조립체의 상기 기어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돌출회전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돌출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로대의 거치대 중에 일측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기어 중에 하나의 기어를 회전시켜 전체의 상기 기어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꼬치대의 손잡이 쪽을 회전 자유롭고 위치 이탈하지 않게 받쳐주고, 상기 화로대의 상기 거치대 중에 상기 일측 거치대에 마주 보는 타측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포크부의 삽입 깊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포크삽입공은 상기 기어를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기어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요홈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포크부가 상기 포크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의 목부를 상기 요홈에 삽입하면, 상기 꼬치대가 정해진 위치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는, 상기 기어하우징을 상기 일측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클램핑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일측 거치대가 삽입되는 거치대삽입대, 상기 거치대삽입대에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대삽입대를 삽입된 상기 일측 거치대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상기 거치대삽입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삽입대와 협력하여 상기 기어하우징을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기어하우징을 상기 일측 지지부에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에는 클램프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타측의 상기 타측 거치대가 삽입되는 거치대삽입부, 상기 거치대삽입부에 형성된 볼트공, 및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대삽입부를 삽입된 타측의 상기 타측 거치대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기어조립체가 내장된 상기 기어하우징과 상기 받침대를 상기 화로대의 대향하는 상기 거치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일반적인 기존의 화로대를 이용하여 꼬치구이를 요리할 수 있고, 특히 필요에 따라 기존의 화로대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기존의 화로대를 본래의 용도로서 뿐만 아니라 꼬치구이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양한 사이즈(길이)의 꼬치대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꼬치구이장치를 화로대에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꼬치구이장치를 화로대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꼬치구이장치를 화로대에서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기어조립체와 예시적인 기어하우징의 분해도,
도5는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기어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서 기어조립체, 기어하우징 및 구동모터의 조립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클램핑 수단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클램핑 수단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에 적용되는 꼬치대(2)는, 꼬치구이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꼬치대로서, 도1 내지 도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2개의 봉이 평행하게 포크 형상으로 벌어진 포크부(2a),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2b), 및 포크부(2a)와 손잡이(2b)가 연결되는 부분의 좁은 목부(2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는, 야외에서 각종 요리를 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존의 화로대(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화로대(3)와 협력하여 꼬치구이를 요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가 적용될 수 있는 화로대(3)의 예로서는, 도1 내지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숯이 투입되는 화로(4), 화로(4)를 지면으로부터 받혀주는 다리부(5), 및 그릴 등을 올려놓기 위한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의 거치대(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조립체(10), 기어하우징(20), 구동모터(30) 및 받침대(4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조립체(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다수의 기어(11)를 포함한다. 기어조립체(10)의 일직선상에 배치된 기어(11)들은 인접한 다른 기어(11)와 차례로 톱니(11a)가 맞물려서, 전체 기어들 중에 어느 하나의 기어(11)가 회전되면 나머지의 기어(11)들도 일체로 회전한다.
기어조립체(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11)의 크기와 그 개수는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략 50mm 직경의 5개의 기어(11)를 일직선상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각각의 기어(11)는, 도4와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출회전축(11b)과 포크삽입공(11c)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회전축(11b)은 기어(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예, 대략 17.5mm = 직경 35mm)의 크기로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고, 후술하는 기어하우징(20)에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 형성된 축받이홀(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로써 각각의 기어(11)는 돌출회전축(11b)이 축받이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받이홀(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기어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돌출회전축(11b)은 대략 5mm 두께의 기어(11)의 양측면에 각각 대략 2mm 두께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포크삽입공(11c)은 돌출회전축(11b)에 형성되되, 기어(11)의 회전중심을 중심에 두고 대향의 위치에 1쌍이 형성되며, 꼬치대(2)의 두 갈래로 갈라진 포크(2a)의 끝단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따라서 포크삽입공(11c)의 직경은 시중의 다양한 꼬치대(2)의 포크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대략 6mm의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대향하는 2개의 포크삽입공(11c) 사이의 거리는 대략 25mm가 된다.
포크삽입공(11c)은 기어(11)를 완전히 관통하게 형성함으로써, 꼬치대(2)의 포크(2a)를 포크삽입공(11c)에 삽입함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어하우징(20)과 받침대(40) 사이의 거리와 꼬치대(2)의 길이에 의존하여, 포크삽입공(11c)에 대한 포크(2a)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꼬치대(2)를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1)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하우징(20)은, 기어조립체(20)의 기어(11)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며,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회전축(11b)을 제외한 기어(11)의 두께(약 5mm)가 수용될 수 있는 폭의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얇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어하우징(20)은, 가로세로가 대략 280mm*100mm 이고 폭(두께)이 대략 6mm인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직육면체의 기어하우징(20)은 일측면에 분리 가능한 커버(20a)를 형성함으로써, 커버(20a)를 개방한 상태에서 기어조립체(10)를 설치하고 커버(20a)를 나사 등으로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돌출회전축(11b)에 대응하는 위치의 기어하우징(20)의 전면과 후면에는, 돌출회전축(1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기어(11)의 양측 돌출회전축(11b)을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과 후면의 축받이홀(21)에 삽입함으로써, 기어(11)들은 돌출회전축(11b)이 축받이홀(21)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대략 35mm로 예시된 돌출회전축(11b)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기어하우징(20)에는 대략 36mm 직경의 축받이홀(21)을 기어조립체(10)의 기어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기어조립체(10)가 설치된 기어하우징(2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대(3)의 거치대(6) 중에 일측 거치대(6a)에 설치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일측 거치대(6a)에 마주 보는 거치대(6)의 타측 거치대(6b)에 설치되는 받침대(40)와는 꼬치대(2)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기어조립체(10)의 기어(11)들 중에 하나의 기어(11)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체의 기어(11)들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기구이며, 예를 들어 기어하우징(20)에 블래킷(도시 생략) 등으로 유동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구동모터(30)와 하나의 기어(11) 사이의 동력전달경로는, 구동모터(30)가 하나의 기어(11)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체의 기어들이 회전되도록 하는 경로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4와 도6 등에 도시된 구체예는 구동모터(30)의 구동축(30a)을 단면 원형이 아닌 각진 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예를 들어 두 번째 위치하는 기어(11)의 회전중심에 구동축(30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축공(11d)을 형성하여, 구동축(30a)을 축공(11d)에 공회전 불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구동모터(30)를 구동하면 구동축(30a)과 축공(11d)의 공회전 불가능한 결합에 의해 해당 기어(11)가 회전하고 나머지의 기어(11)도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 예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는, 원칙적으로는 야외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야외에서는 교류전원을 공급받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구동모터(30)로서는 예를 들어 전지(예, 1.5.V*3=4.5V, 또는 9V)로 작동할 수 있는 직류저속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구동모터(30)에는 온/오프 스위치(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구동모터(30)의 작동을 필요에 따라 온/오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구동모터(30)는 건전지가 장착되는 건전지 소켓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받침대(40)는, 도1 내지 도3,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대(3)의 거치대(6) 중에 기어하우징(20)이 설치되는 일측 거치대(6a)와 마주 보고 있는 타측 거치대(6b)에 설치할 수 있고, 포크부(2a)가 기어(11)의 포크삽입공(11c)에 삽입된 상태에서 꼬치대(2)의 손잡이(2b) 쪽을 회전 자유롭고 위치 이탈하지 않게 받쳐주는 부재이다.
도시된 구체예의 받침대(40)는, 세로로 세워서 설치한 판으로 되어 있고, 상변을 따라서 기어조립체(10)의 기어(11)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요홈(41)들이 형성되어 있는 예이며, 포크부(2a)가 기어(11)의 포크삽입공(11c)에 삽입된 상태에서 꼬치대(2)의 목부(2c)가 요홈(41)에 위로부터 삽입됨으로써, 기어(11)의 회전에 의해 포크부(2a)에 회전력이 가해져 꼬치대(2)가 회전할 때, 기어(11)는 꼬치대(2)의 포크부(2a) 쪽의 정위치 이탈을 제한하고, 요홈(41)은 꼬치대(2)의 손잡이(2b) 쪽의 정위치 이탈을 구속하게 됨에 따라, 꼬치대(2)는 정해진 위치를 이탈함이 없이 기어(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에 의하면, 식재료가 꿰어진 각각의 꼬치대(2)에 대하여, 그 포크부(2a)의 끝단은 기어(11)의 포크삽입공(11c)에 삽입하고, 꼬치대(2)의 목부(2c)가 받침대(40)의 요홈(41)에 위치하는 정도까지 포크삽입공(11c)에 대한 포크부(2a)의 삽입 깊이를 조절한 다음에, 목부(2c)를 요홈(41)에 올려놓은 후에, 구동모터(30)를 작동하면, 구동모터(30)에 의한 기어(11)들의 회전에 의해 꼬치대(2)들이 제자리 회전하면서 화로(4)의 열기로 꼬치들이 균일하게 구어지게 된다.
꼬치대(2)를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1)에 장착할 때, 포크삽입공(11c)에 대한 포크부(2a)의 삽입 깊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목부(2c)가 요홈(41)에 올려지게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길이의 꼬치대(2)를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1)에 적용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모든 기어(11)들에 꼬치대(2)를 장착하지 않고 하나씩 걸러서 꼬치대(2)를 장착한 것은, 인접한 꼬치대(2)에 꿰어진 꼬치들(식재료)이 서로 간섭하여 회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며, 기어(11)의 직경 사이즈를 더 크게 하면, 모든 기어(11)에 꼬치대(2)를 장착하여도 인접한 꼬치들 간에 회전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지만, 이럴 경우에는 기어조립체(10)와 기어하우징(20)의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기어를 사용하면서 꼬치대(2)를 하나씩 걸러서 기어(11)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화로대(3)에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는 기어하우징(20)과 받침대(40)를 화로대(3)의 거치대(6)에 고정적으로 부착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게 탈착식으로 형성한다.
이런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꼬치구이장치(1)는, 기어하우징(20)을 일측 거치대(6a)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클램핑 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50)은 기어하우징(20)을 일측 거치대(6a)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3, 도7 및 도8에 예시된 클램핑 수단(50)은, 일측 거치대(6a)가 삽입되는 예를 들어 디귿자 형상으로 된 거치대삽입대(51), 거치대삽입대(51)에 형성된 볼트공(51a)에 체결되어서 거치대삽입대(51)를 여기에 삽입된 일측 거치대(6a)에 고정하는 고정볼트(52), 거치대삽입대(51)의 일단(도7에서 우단)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고 거치대삽입대(51)와 협력하여 기어하우징(20)을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53), 및 기어하우징(20)을 지지부(53)에 고정하는 고정편(54)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의 클램핑 수단(50)에서, 지지부(53)에 형성된 혀부(53a)를 기어하우징(20)과 고정편(54) 사이에 삽입하고 나사를 조임으로써 기어하우징(20)을 지지부(53)에 고정하고, 거치대삽입대(51)에 일측 거치대(6a)를 삽입한 다음에 고정볼트(52)를 조이면, 결과적으로 기어하우징(20)을 일측 거치대(6a)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받침대(40)도 타측 거치대(6b)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며, 도1 내지 도3, 도9 및 도10에 도시된 구체예는, 받침대(40)의 요홈(41)의 반대쪽(아래쪽)에 클램프(42)를 일체로 형성한 예이다. 도시된 클램프(42)는, 요홈(41)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타측 거치대(6b)가 삽입되는 예를 들어 디귿자 형상의 거치대삽입부(42a), 거치대삽입부(42a)에 형성된 볼트공(42b), 볼트공(42b)에 체결되어 거치대삽입부(42a)를 여기에 삽입된 타측 거치대(6b)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2c)를 포함하도록 형성한 예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거치대삽입부(42a)에 타측 거치대(6b)를 삽입한 후에 고정볼트(42c)를 조이면, 받침판(40)을 타측 거치대(6b)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꼬치구이장치 2: 꼬치대
2a: 포크부 2b: 손잡이
2c: 목부 3: 화로대
6, 6a, 6b: 거치대 10: 기어조립체
11: 기어 11a: 톱니
11b: 돌출회전축 11c: 포크삽입공
11d: 축공 20: 기어하우징
20a: 커버 21: 축받이홀
30: 구동모터 30a: 구동축
40: 받침대 41: 요홈
42: 클램프 42a: 거치대삽입부
42b: 볼트공 42c: 고정볼트
50: 클램핑 수단 51: 거치대삽입대
51a: 볼트공 52: 고정볼트
53: 지지부 54: 고정편

Claims (6)

  1.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차례로 톱니(11a)가 맞물려서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기어(11)는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 직경의 크기로 양측면에서 돌출회전축(11b)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돌출회전축(11b)의 회전중심의 대향 위치에는, 2개의 봉이 평행하게 포크 형상으로 벌어진 꼬치대(2)의 포크부(2a)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되 그 삽입 깊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1쌍의 포크삽입공(11c)이 상기 기어(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기어조립체(10);
    상기 기어조립체(10)의 상기 기어(11)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돌출회전축(11b)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돌출회전축(1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핑 수단(50)을 구비하여 화로대(3)의 거치대(6) 중에 일측 거치대(6a)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하우징(20);
    상기 기어(11)들 중에 하나의 기어(11)를 회전시켜 전체의 상기 기어(11)들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 및
    상기 꼬치대(2)의 손잡이(2b) 쪽을 회전 자유롭고 위치 이탈하지 않게 받쳐주고, 클램프(42)를 구비하여 상기 거치대(6) 중에 상기 일측 거치대(6a)에 마주보는 타측 거치대(6b)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40);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수단(50)은, 상기 일측 거치대(6a)가 삽입되는 거치대삽입대(51), 상기 거치대삽입대(51)에 형성된 볼트공(51a)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대삽입대(51)를 삽입된 상기 일측 거치대(6a)에 고정하는 고정볼트(52), 상기 거치대삽입대(5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삽입대(51)와 협력하여 상기 기어하우징(20)을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53), 및 상기 기어하우징(20)을 상기 지지부(53)에 고정하는 고정편(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2)는, 상기 받침대(4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거치대(6b)가 삽입되는 거치대삽입부(42a), 상기 거치대삽입부(42a)에 형성된 볼트공(42b), 및 상기 볼트공(42b)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대삽입부(42a)를 삽입된 상기 타측 거치대(6b)에 고정하는 고정볼트(4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장치.
KR1020160071690A 2016-06-09 2016-06-09 꼬치구이장치 KR10188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690A KR101888038B1 (ko) 2016-06-09 2016-06-09 꼬치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690A KR101888038B1 (ko) 2016-06-09 2016-06-09 꼬치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322A KR20170139322A (ko) 2017-12-19
KR101888038B1 true KR101888038B1 (ko) 2018-08-13

Family

ID=6092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690A KR101888038B1 (ko) 2016-06-09 2016-06-09 꼬치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68U (ko) 2022-04-21 2023-10-30 홍원기 캠핑용 조립식 화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671B1 (ko) 2022-11-25 2023-04-27 주식회사 승진 자동회전 꼬치 구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97Y1 (ko) * 2000-03-23 2000-09-15 이문희 휴대용 바베큐구이기
KR200225767Y1 (ko) * 2000-11-16 2001-06-01 문동환 꼬치 구이기
KR200394475Y1 (ko) * 2005-06-09 2005-08-31 김석현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0429032Y1 (ko) 2006-07-14 2006-10-17 우종찬 회전구이기
KR100863801B1 (ko) 2007-06-07 2008-10-22 김가건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97Y1 (ko) * 2000-03-23 2000-09-15 이문희 휴대용 바베큐구이기
KR200225767Y1 (ko) * 2000-11-16 2001-06-01 문동환 꼬치 구이기
KR200394475Y1 (ko) * 2005-06-09 2005-08-31 김석현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0429032Y1 (ko) 2006-07-14 2006-10-17 우종찬 회전구이기
KR100863801B1 (ko) 2007-06-07 2008-10-22 김가건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68U (ko) 2022-04-21 2023-10-30 홍원기 캠핑용 조립식 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322A (ko)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948A (en) Cooking grills with automatically rotatable food supporting racks
US3848522A (en) Rotisserie spit mounting means
US8776774B2 (en) Rotating barbeque grill assembly
US20070240698A1 (en) Flip-over accessory for barbecue grill
US2485890A (en) Barbecue apparatus
US3848523A (en) Rotary barbecue device
CA2070218A1 (en) Rotary food cooking device for a grill
KR101888038B1 (ko) 꼬치구이장치
AU2014229446B2 (en) Cooking assembly
US3442202A (en) Automatic rotisserie apparatus
KR100863801B1 (ko)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KR101447364B1 (ko) 꼬치구이 장치
US7069842B1 (en) Barbecue grill having rotatable tools
KR102061647B1 (ko) 캠핑용 바베큐 그릴
US3331307A (en) Rotisserie with rollers for supporting sausages
KR102250515B1 (ko) 자동 꼬치구이장치
US20020121199A1 (en) Rotisserie motor mounting device
KR200494945Y1 (ko) 꼬치구이 장치
KR101519722B1 (ko)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KR200395371Y1 (ko) 꼬치 구이기
KR20180054047A (ko)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CN109528021B (zh) 一种自动烧烤炒菜机
KR20140003166U (ko) 휴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200424158Y1 (ko) 숯불구이기용 고기꽂이의 구조
KR101576015B1 (ko) 회전 구이 지지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