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900B1 -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900B1
KR101887900B1 KR1020160117577A KR20160117577A KR101887900B1 KR 101887900 B1 KR101887900 B1 KR 101887900B1 KR 1020160117577 A KR1020160117577 A KR 1020160117577A KR 20160117577 A KR20160117577 A KR 20160117577A KR 101887900 B1 KR101887900 B1 KR 10188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oil
driving transistors
coil driving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520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55Layout of circuits with protective means to prevent damage to the circuit, e.g. semiconductor devices or the ignition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은, 제어부;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과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 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는 상기 각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의 각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각각 제공받고, 상기 각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점화 코일의 입력 핀별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를 구비하여 점화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해당 입력 핀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고 입력 핀간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HORT CIRCUIT IN IGNITION COIL AND SYSTEM FOR DRIVING IGNITION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점화 코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화 코일에서의 단락을 검출하는 장치,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점화 장치는 엔진의 연소의 시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점화 장치는 엔진 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하며, 최근에는 연비 규제 배기가스 규제의 강화 등으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점화 장치는 통상적으로 점화 코일, 점화기 및 점화 플러그 등을 포함하며, 이 중 스파크 플러그의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 고 전압을 유도하는 점화 코일은 점화플러그로 하여금 최적 시기에 점화될 수 있도록 타이밍을 맞춰 불꽃 방전을 일으킨다.
이러한 점화 코일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동작 시에 발생하는 고전압 차이를 전류로 환산하여 정상 구동 여부를 판단하고 있었는데, 이는 정상, 비정상 여부만 판단하는 제한된 진단 방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총 4개의 점화 코일이 하나의 제어기에 연결된 예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션트 저항(110)에 걸린 전압을 측정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총 4개의 점화 코일 중 제 1 점화 코일(IGN 1)을 구동하려 하는데 제 1 점화 코일(IGN 1)과 제 2 점화 코일(IGN 1)이 단락된 경우에도 구동 트랜지스터에서 구동하는 점화 코일의 전류만 측정될 수 있으므로, 고장을 판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고장에 의해 제 1 점화 코일(IGN 1)이 구동하지 않고 제 2 점화 코일(IGN 2), 제3 점화 코일(IGN 3), 및 제4 점화 코일(IGN 4)이 구동하여도 유사한 제약으로 인해 고장을 진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기존 점화 코일 구동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과 연결되는 션트 저항(110)을 통한 전류만을 측정할 수 있었으므로, 측정 타겟으로 하는 구동 트랜지스터가 구동할 때만 측정이 가능했다. 따라서, 점화 코일 핀 단의 단락 고장을 진단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화 코일 핀단의 단락 고장시, 연료가 비효율적으로 소모되어 연비가 크게 낮아지고, 차량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 특허 번호 6,218,739[등록일: 2001년 4월 17일]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 코일의 입력 핀별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를 구성하고 점화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해당 입력 핀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고 입력 핀간 단락을 검출할 수 있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은 제어부;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과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 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는 상기 각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의 각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각각 제공받고, 상기 각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복수의 입력단은 순차적으로 구동 펄스를 입력 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 중 적어도 2개의 분배 전압에서 동시에 상기 구동 펄스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션트 저항 및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접지단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에 있어서, 각 제 1 NAND 게이트는 상기 각각의 입력 중 두 개의 입력을 NAND 연산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의 논리값들을 NAND 연산하여 상기 단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는,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의 각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각각 제공받고, 상기 각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 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복수의 입력단은 순차적으로 구동 펄스를 입력 받아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 중 적어도 2개의 분배 전압에서 동시에 상기 구동 펄스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션트 저항 및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접지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에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에 있어서, 각 제 1 NAND 게이트는 상기 각각의 입력 중 두 개의 입력을 NAND 연산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의 논리값들을 NAND 연산하여 상기 단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점화 코일 구동 방법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 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에서 점화 코일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입력단에 순차적으로 구동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각 출력단에 인가된 전압을 전압 분배기를 통하여 검출부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는 변환된 전압에 기초하여 로직 연산을 통하여 상기 출력단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부의 입력 전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동시에 로직 레벨 “1”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은, 션트 저항 및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접지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화 코일의 입력 핀별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를 구비하여 점화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해당 입력 핀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고 입력 핀간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점화 코일 핀과 제 2 점화 코일 핀간에 단락이 발생한 경우 동작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검출부의 논리 게이트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논리 게이트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카노맵(Karnaugh Map)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은 제어부(210),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220),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230) 및 션트 저항(24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220)는 적어도 제 1 트랜지스터(222) 및 제 2 트랜지스터(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트랜지스터(222) 및 제 2 트랜지스터(223)는 입력단(G, gate), 출력단(C, Collector) 및 접지단(E, Emitter)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구현되나, 당업자는 적절한 트랜지스터로 변형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222) 및 제 2 트랜지스터(223)는 제어부(210)와 상기 입력단(G)이 연결되고, 차량 점화 코일(IGN 1, IGN 2)과 상기 출력단(C)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220)의 입력단(G)는 순차적으로 구동 펄스를 입력 받아서 구동된다.
도 3은 차량의 점화 코일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구동 펄스를 표시한 것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화 코일에 입력되는 구동 펄스(310)는, 비동작 시 배터리 레벨(약 12V)로 구동하며, 동작 시 약 0V로 떨어진다.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점화 코일은 순차적으로 하나씩 구동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430)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220)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을 검출한다.
상기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230)는 복수의 전압 분배기(232) 및 검출부(234)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압 분배기(232)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220)의 출력단(E)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복수의 전압 분배기(232)가 제 1 점화 코일(IGN 1)과 연결된 제 1 전압 분배기(232-1) 및 제 2 점화 코일(IGN 2)과 연결된 제 2 전압 분배기(23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점화 코일이 동작 상태에서 비동작 상태로 변환할 때, 역기전력에 의해 최대 400 V까지의 오버슈트(315)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버슈트(315)를 센싱하여 단락 여부를 판별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복수의 전압 분배기(232)는 위와 같이 오버슈트(315)의 크기가 너무 커서 일반적인 논리회로에서 수용 가능한 구동 전압 수준인 3.3~5V로 전압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검출부(234)는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232)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232)의 각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각각 제공받는다. 또한, 검출부(234)는 상기 각 분배 전압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220)의 출력단(C) 사이의 단락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검출부(234)는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 중 적어도 2 개의 분배 전압 입력에서 동시에 구동 펄스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트랜지스터(222)의 출력단(C)과 제 2 트랜지스터(223)의 출력단에 단락(short) 고장이 난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각 점화 코일에서 순차적으로 구동 펄스가 가해지지 못하고, 2 개 이상의 점화 코일에서 동시에 구동 펄스(410)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4에서는 제 1 점화 코일(IGN 1)과 제 2 점화 코일(IGN 2)에서 단락 고장이 발생하여 동시에 구동 펄스(410)가 인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센싱하여 단락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와 같이 4 개의 입력(A, B, C, D)을 가지는 검출부의 논리적인 동작을 나타낸 카노맵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부(234)의 4개의 입력 중, 적어도 2개의 입력이 논리값 “1”을 가지는 경우에 검출부(234)는 고장 플래그 “1”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 AB, AC, AD, BC, BD, CD, ABC, ABD, ACD, BCD, ABCD가 동시에 논리값 1을 가지는 경우에 고장 플래그 “1”을 출력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카노맵을 축약하면 아래와 같은 논리식으로 표현된다.
(검출부(234)의 출력) = AC + BC + CD + AD + BD + AB
도 5는 도 6의 카노맵을 나타낸 논리 게이트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당업자라면, 도 6의 카노맵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논리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러한 다양한 형태의 논리회로의 변형은 모두 본 특허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 개의 입력을 가지는 검출부(234)를 예시하였지만, 제어부에 연결된 점화 코일의 수에 따라 다양한 수의 입력을 가지는 검출부(234)를 구성하고 변형할 수 있으며, 그 또한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검출부(234)는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에 있어서, 각 제 1 NAND 게이트는 상기 각각의 입력 중 두 개의 입력을 NAND 연산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510); 및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의 논리값들을 NAND 연산하여 상기 단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520)를 포함한다.
상기 션트 저항(240)은 접지단(GND) 및 제어부와 연결된다. 제어부(210)는 측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부(250)는 션트 저항(240)에 흐르는 전압값을 측정하고,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220) 각각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어부(210)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펄스가 입력되는 점화 코일 별로 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를 구성하고 검출부(234)가 상술한 역 기전력을 센싱하여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해당 핀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고 점화 코일의 입력 핀 사이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제어부
220: 트랜지스터
230: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232: 전압 분배기
234: 검출부
240: 션트 저항
250: 측정부

Claims (13)

  1. 제어부;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 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는 상기 각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의 각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각각 제공받고, 상기 각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복수의 입력단은 순차적으로 구동펄스를 입력 받아서 구동되며,
    상기 검출부는 역기전력을 센싱하여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의 구동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 중 적어도 2개의 분배 전압에서 상기 점화코일의 상기 역기전력에 의한 오버슈트가 발생하여 동시에 상기 구동 펄스가 검출되는 경우에 대한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션트 저항 및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접지단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에 있어서, 각 제 1 NAND 게이트는 상기 각각의 입력 중 두 개의 입력을 NAND 연산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의 논리값들을 NAND 연산하여 상기 단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6.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전압 분배기; 및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의 각 분배 전압을 입력으로 각각 제공받고, 상기 각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제어부와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 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전압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복수의 입력단은 순차적으로 구동펄스를 입력 받아서 구동되며,
    상기 검출부는 역기전력을 센싱하여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의 구동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복수의 분배 전압 중 적어도 2개의 분배 전압에서 상기 점화코일의 상기 역기전력에 의한 오버슈트가 발생하여 동시에 상기 구동 펄스가 검출되는 경우에 대한 여부를 검출하며,
    션트 저항 및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접지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에 있어서, 각 제 1 NAND 게이트는 상기 각각의 입력 중 두 개의 입력을 NAND 연산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 및
    상기 복수의 제 1 NAND 게이트의 논리값들을 NAND 연산하여 상기 단락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11. 제어부;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각 트랜지스터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입력단이 연결되고, 복수의 차량 점화코일의 입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단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들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에서 점화 코일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입력단에 순차적으로 구동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각 출력단에 인가된 전압을 전압 분배기를 통하여 검출부의 입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는 역기전력을 센싱하여 미리 결정된 입력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인식하여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의 구동여부를 확인한 후, 변환된 전압에 기초하여 로직 연산을 통하여 상기 출력단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부의 입력 전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동시에 로직 레벨 “1”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은, 션트 저항 및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션트 저항은 상기 접지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션트 저항에 걸린 전압값을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점화 코일 구동 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점화 코일 구동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17577A 2016-09-12 2016-09-12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88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77A KR101887900B1 (ko) 2016-09-12 2016-09-12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77A KR101887900B1 (ko) 2016-09-12 2016-09-12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20A KR20180029520A (ko) 2018-03-21
KR101887900B1 true KR101887900B1 (ko) 2018-08-13

Family

ID=6190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77A KR101887900B1 (ko) 2016-09-12 2016-09-12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8804B2 (ja) * 1987-05-11 1997-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装置の故障モニター信号発生装置
JP3197337B2 (ja) * 1992-06-05 2001-08-1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電子式点火装置の故障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5181C2 (de) 1998-04-04 2000-04-27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eines Insassenschutzsystems sowie Prüfschal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8804B2 (ja) * 1987-05-11 1997-08-06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装置の故障モニター信号発生装置
JP3197337B2 (ja) * 1992-06-05 2001-08-1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電子式点火装置の故障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20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908B2 (en) Half-bridge driver fault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9350156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of electric load
JP3177517B2 (ja) 電気負荷が正常に機能するかどうかを監視する方法及び装置
US9473133B2 (en) Control device
US10281528B2 (en) Enhanced protection, diagnosis, and control of power distribution and control units
JP6377067B2 (ja) 電子制御装置
KR101887903B1 (ko) 저항성 센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
US9525273B1 (en) Method of forming an igniter circuit and structure therefor
US11899076B2 (en) Device for automatic detection of coupl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11708801B2 (en) Load drive device, engine system
KR102063733B1 (ko) 공급 회로의 검사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점화 회로를 위한 관련 공급 회로
US6920783B2 (en) Automotive ignition monitoring system with misfire and fouled plug detection
US9673609B2 (en) Self-test of over-current fault detection
US20200318599A1 (en) Discharge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80036465A1 (en) Electric Circuit For Triggering A Piezoelectric Element, In Particular Of A Fuel Inject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KR101887900B1 (ko) 점화 코일 단락 검출 장치,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점화 코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N110247646A (zh) 动态短路保护
JP2013074679A (ja) 過電圧保護回路
US11417459B2 (en) Ignition system
JP4302454B2 (ja) 自励発振式負荷駆動装置および負荷制御回路
JP6579042B2 (ja) 車両用異常判定装置
JP2007006615A (ja) 異常検出回路
JP2751370B2 (ja) 燃料噴射装置の故障診断装置
CN111913124B (zh) 一种显示主板电源故障的电路
US11982247B2 (en) Load dr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