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836B1 -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자율 구성 - Google Patents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자율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836B1
KR101887836B1 KR1020177005811A KR20177005811A KR101887836B1 KR 101887836 B1 KR101887836 B1 KR 101887836B1 KR 1020177005811 A KR1020177005811 A KR 1020177005811A KR 20177005811 A KR20177005811 A KR 20177005811A KR 101887836 B1 KR101887836 B1 KR 10188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in
listening device
audio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015A (ko
Inventor
프레드리끄 가로
에르완 노그
마띠유 샤뀐
시몽 레브레똥
Original Assignee
프랑스 브레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브레베 filed Critical 프랑스 브레베
Publication of KR2017008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10K11/17827Desired external signals, e.g. pass-through audio such as music or spee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3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handling or detecting of non-standard events or conditions, e.g. changing operating mode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85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additionally using a desired external signal, e.g. pass-through audio such as music or spee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05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using digitally weighted transdu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Abstract

디바이스는 4극 수 커넥터 및 3극 수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갖고, 상기 커넥터의 제 1 핀(DP1)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CTRL, VCC, S1);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수신되도록 의도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부터 주변 소음의 제거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CTRL, ANC);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의 제 2 핀을 통해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DMR) 또는 다른 센서를 위해 의도되는 타이밍 클록을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CTRL, MIF); 상기 커넥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결정된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에 따라 DC 전력 공급 신호,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및 타이밍 클록에 대하여 자신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CTRL)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자율 구성{SELF-CONFIGURATION OF A DEVICE IMPLEMENTING AN AMBIENT NOISE CANCELL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청취 디바이스에 제공하면서 표준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청취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표준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를 통해 탐지된 청취 디바이스의 능력에 따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에 대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 관리에 관한 것이다.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은 각각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으로부터 혜택을 받으면서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귀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되고 주변 소음을 나타내는 신호는 주변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에 부가되는 소음 방지 신호(antinoise S1gnal)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공지된 제 1 배치예(arrangement example)에 따르면,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집적 회로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통합하는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장비의 일부이다. 이러한 배치에 기초하여, 오디오 헤드셋은 이동 전화 또는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와 같은 제공 디바이스로부터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TRRS(Tip Ring Ring Sleeve) 타입의 3.5mm 수 커넥터(male connector), 즉 4개의 극(pole)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집적 회로 및 디지털 마이크로폰이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것을 요구하며, 이는 오디오 헤드셋의 벌크(bulk)를 증대시킨다. 집적 회로 및 배터리에 링크된 이러한 부가적인 벌크는 모두 이어폰의 경우에 더 유해하다.
공지된 제 1 배치예에 따르면,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집적 회로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장비의 일부이다. 이러한 배치는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에 배터리를 장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표준 수 커넥터(따라서 TRRS 타입의 3.5mm 수 커넥터가 아님)는 오디오 헤드셋의 장비의 일부이어야 하며, 제공 디바이스는 이러한 수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암 커넥터를 가져야 한다.
비표준 오디오 커넥터에 의존하는 것은 역 호환성(backward compatibiL1ty) 문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표준 커넥터에 의존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및 벌크 문제를 나타낸다.
역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표준 커넥터에 의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상술한 벌크 문제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context))에서, 상기 제공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 예를 들어 헤드셋 또는 이어폰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능력을 갖도록 허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실제로, 사용자는 TRRS 타입 또는 TRS(Tip Ring Sleeve) 타입, 즉 3개의 극의 수 커넥터를 상기 제공 디바이스의 암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고, 청취 디바이스에는 특히 전화 대화가 핸즈프리 모드로 수행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capture)하는 데 적합한 아날로그 보컬(vocal) 마이크로폰이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이러한 다양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4극 수 커넥터 및 3극 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로직; 제 1 핀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주변 소음의 제거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로직;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2 핀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타이밍 클록을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핀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청취 디바이스를 장착한 센서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 3 회로 로직; 및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결정된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에 따라 DC 전력 공급 신호,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및 타이밍 클록에 대하여 자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제 4 회로 로직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존재하는 수 커넥터를 탐지한 후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핀과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접지 사이에 단락 회로가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 5 회로 로직으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5 회로 로직;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 6 회로 로직으로서,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2 타입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6 회로 로직; 및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핀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의 전력 소비를 갖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 7 회로 로직으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3 타입이고, 그렇지 않으면 제 4 타입임을 결정하는데 적합한 제 7 회로 로직을 연속적으로 구현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은 3극 또는 4극 수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사용하면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고,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이러한 디바이스에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고 자동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비활성화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보컬 마이크로폰을 갖지 않는 종래의 청취 디바이스와 함께 작업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2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며,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포착을 나타내고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 상에 중첩된 방식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유사한 보컬 마이크로폰을 갖는 종래의 청취 디바이스와 함께 작업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3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하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보컬 마이크로폰을 갖지 않은 청취 디바이스와 함께 작업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4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고,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청취 디바이스와 함께 작업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더욱이, 청취 디바이스가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보컬 마이크로폰을 갖지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보컬 마이크로폰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4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포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고,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 상에 중첩된 방식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보컬 마이크로폰을 갖는 청취 디바이스와 함께 작업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DC 전력 공급 신호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별개의 값(distinct value)을 갖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2개의 별개의 임계값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임계값의 세트와 상기 제 1 핀에 인가된 전압의 비교에 의존하여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임계값의 세트는 각각 DC 전력 공급 신호의 상기 별개의 값에 적응되는 상기 메커니즘; 및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적용되는 임계값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8 회로 로직을 구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 버튼의 누름은 청취 디바이스에 대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에 따라 적절하게 탐지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에서 보정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9 회로 로직; 상기 보정 신호를 상기 오디오 신호에 부가하도록 구성된 제 10 회로 로직; 및 따라서 제어 버튼의 누름이 탐지될 때, 상기 제어 버튼의 누름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보정 신호의 부가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제 11 회로 로직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버튼의 누름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사이의 간섭은 감소되거나 또는 심지어 방지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클록을 청취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타이밍 클록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구형파 클록 신호에 적용되는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그 자체는: 저항기;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 및 코일을 포함하며, 이들은 저항기가 구형파 클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는 제 1 커패시터가 저항기와 제 2 커패시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저항기와 직렬로 배치하고, 코일은 접지와 제 1 및 제 2 커패시터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커패시터의 다른 단자는 상기 제 2 핀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타이밍 클록과 상기 오디오 신호 사이의 간섭은 감소되거나 심지어 방지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 모션 센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회로 로직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오프 상태와 온 상태 사이를 점진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4극 수 커넥터 및 3극 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다음의 단계: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제 1 핀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부터의 주변 소음의 제거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단계; 상기 제 1 핀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청취 디바이스를 장착한 센서를 구동하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타이밍 클록을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2 핀을 통해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결정된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에 따라 DC 전력 공급 신호,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및 타이밍 클록에 대하여 자신을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존재하는 수 커넥터를 탐지한 후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다음의 단계: 상기 제 1 핀과 접지 사이에 단락 회로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임을 결정하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2 타입임을 결정하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핀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의 전력 소비를 갖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3 타입이고, 그렇지 않으면 제 4 타입임을 결정하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비일시적(non-transient)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수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때문에, 표준 커넥터를 사용하여 모든 종류의 디지털 신호를 헤드셋/헤드폰으로부터 원격(distant)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게 되어, 디지털 마이크로폰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경로에 중첩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헤드셋에 위치된 모션 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경로에 중첩되어 전송될 수 있다. 모션 센서로부터의 이러한 신호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개인화 알고리즘, 예를 들어 훨씬 좋은 소리의 렌더링(rendering)을 허용하는 헤드 관련 전달 함수(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의 개인화 및 상황화(contextualization)를 구현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머리의 실제 모션에 적응시키는 데 더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본 발명의 배치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에 중첩될 수 있는 신호의 타입을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으로만 제공된다. 타이밍 클록 신호는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어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다. 귀환 경로(return path)는 신호를 센서로부터 처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모션 센서의 전처리의 부분은 헤드셋에 위치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다른 타입의 센서는 압력,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같이 청취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표준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를 통해 탐지된 청취 디바이스의 능력에 따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에 대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판독할 때 더 명확해질 것이며, 상기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 1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에서의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한 제 1 디바이스 및 이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b는 도 1에서의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한 제 2 디바이스 및 이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한 제 3 디바이스 및 이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을 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유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인 경우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제 1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2 타입인 경우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제 2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3 타입인 경우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제 3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4 타입인 경우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제 4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의 알고리즘의 변형을 갖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디바이스(DEV)에 연결되는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과 같은 청취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로서, 디바이스(DEV)는 이동 전화, 개인용 오디오 플레이어,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시청각 플레이어, 차량 또는 비행기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 또는 TRRS(따라서 4극) 또는 TRS(따라서 3극) 타입의 3.5mm 숫 커넥터를 수신하는 데 적합한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형태를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이다. 따라서, 디바이스(DEV)는 사용자가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TRRS 또는 T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장착되는 청취 디바이스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TRRS 타입의 3.5mm 수 커넥터가 장착된 청취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면서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에 연결될 수 있다.
TRS 타입의 3.5mm 수 커넥터가 장착된 청취 디바이스는 또한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해 그것에 연결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DEV)의 상이한 구성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디바이스(DEV)에 의해 탐지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DEV)에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된다.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다양한 핀은 도 1의 DP1, DP2, DP3 및 DP4로 참조된다. 핀(DP2)은 TRRS 타입의 수 커넥터의 팁(tip)과의 접촉점이고, 핀(DP3)은 팁 근처의 링과의 접촉점이고, 핀(DP1)은 슬리브(sleeve) 근처의 링과의 접촉점이며, 핀(DP4)은 슬리브와의 접촉점이다. 핀(DP5)은 또한 도 1에 도시된다. 핀(DP5)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된 수 커넥터, 예를 들어 TRRS 또는 TRS 타입의 존재를 탐지하기 위한 핀이다.
T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될 때, 핀(DP1)은 핀(DP5)에 단락된다. 그 다음, 디바이스(DEV)는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에 전력 공급을 제공하지 않으며, 디바이스(DEV)는 상기 청취 디바이스로부터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그 다음, 청취 디바이스는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고, 상기 디바이스(DEV)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전화 대화를 하기 위해 이것이 사실일 필요가 있는 것처럼)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을 가질 수 없다.
핀(DP4)은 공통 접지가 디바이스(DEV)와 여기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 사에 설정되도록 허용하는 디바이스(DEV)의 GND로 표시된 접지에 연결된다.
TRRS 타입의 3.5mm 수 커넥터가 장착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한 제 1 디바이스는 도 2a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고, TRRS 타입의 3.5mm 수 커넥터가 장착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한 제 2 디바이스는 도 2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며, TRRS 타입의 3.5mm 수 커넥터가 장착되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기 위한 제 3 디바이스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 1 및 제 2 청취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능을 갖지만, 각각 약간 상이한 구조체를 갖는다. 제 3 청취 디바이스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청취 디바이스와 공통인 구조체를 갖지만, 상이한 기능을 갖는다.
도 1의 디바이스(DEV)는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을 구현하는 프로세서(PROC)를 가지며, 또한 집적 회로(IC)를 갖는다.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특히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상황 및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상황 내에서 집적 회로(IC)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집적 회로(IC)는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로부터 명령 및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 및 인터럽트를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IF)를 갖는다.
더욱이, 집적 회로(IC)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모듈(ANC)을 갖는다. 예로서, 모듈(ANC)은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링(FIR), 예를 들어 48kHz에서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를 받는 샘플에 적용되는 200 계수의 길이를 갖는 필터를 구현한다. 모듈(ANC)은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는 것이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할 때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활성화된다.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양태는 특히 디바이스(DEV)에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에 의존한다.
모듈(ANC)은 왼쪽의 보정 신호 및 오른쪽의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데 적합하며, 이러한 신호는 청취를 위해 프로세서(PROC)에 의해 제공된 왼쪽 오디오 신호 및 오른쪽 오디오 신호에 각각 부가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오른쪽 오디오 신호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해 프로세서(PROC)에 의해 디지털 형태로 제공되고, 그 자체가 또한 디지털 형태인 오른쪽 보정 신호는 집적 회로(IC)의 제 1 가산기(Σ1)에 의해 인터페이스(IF)의 출력에서 오른쪽 오디오 신호에 부가되며, 그 후, 생성된 신호는 집적 회로(IC)의 제 1 증폭기(A1)에 의해 증폭된다. 따라서, 왼쪽 오디오 신호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해 프로세서(PROC)에 의해 디지털 형태로 제공되고, 그 자체가 또한 디지털 형태인 왼쪽 보정 신호는 집적 회로(IC)의 제 2 가산기(Σ2)에 의해 인터페이스(IF)의 출력에서 왼쪽 오디오 신호에 부가되며, 그 후, 생성된 신호는 집적 회로(IC)의 제 2 증폭기(A2)에 의해 증폭된다. 제 1 A1 및 제 2 A2 증폭기는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에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집적 회로(IC)는 모듈(ANC)과 각각의 가산기(Σ1 및 Σ2) 사이에 위치되고, 모듈(ANC)로부터의 보정 신호를 명령에 따라 뮤팅(muting)시키는데 적합한 모듈(M)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모듈(M)은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공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보정 신호의 부가를 중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양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된다.
더욱이, 집적 회로(IC)는 TRRS 또는 T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는 것을 탐지하는데 적합한 모듈(JD)을 갖는다. 따라서, 모듈(JD)은 핀(DP5)에 연결된다. 모듈(JD)은 또한 인터페이스(IF)를 통해 모듈(JD)이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로의 TRRS 또는 TRS 타입의 수 커넥터의 삽입을 탐지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 1 예에 기초하여, 모듈(JD)은 수행된 측정이 TRRS 또는 TRS 타입의 수 커넥터의 예상된 임피던스에 대응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핀(DP5)을 통해 임피던스 측정을 수행한다. 제 2 예에 기초하여, 핀(DP5)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존재하는 기계적 스위치가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의존하는 값을 갖는 신호를 제공하고, 모듈(JD)은 TRRS 또는 T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핀(DP5)에 의해 제공된 상기 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는 것을 판정한다.
더욱이, 집적 회로(IC)는, TRRS 또는 T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될 때,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효과적으로 갖는 기능, 즉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데 적합한 모듈(HD)을 갖는다.
디바이스(DEV)에 효과적으로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는 다음 4개의 타입 중 하나이다:
- 타입 T1: 보컬 마이크로폰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 없는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
- 타입 T2: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 없는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
- 타입 T3: 보컬 마이크로폰이 없고,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가진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 및
- 타입 T4: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가진 오디오 헤드셋 또는 이어폰;
타입 T1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레거시 헤드폰(legacy headphone)"이라고 한다. 타입 T1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디바이스(DEV)가 오디오 파일을 판독하는 상황 내에서)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음원(sound source)을 단순히 청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타입 T1의 청취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지 않는다.
타입 T2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레거시 헤드셋"이라고 한다. 타입 T2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음원을 청취하고, (예를 들어, 전화 대화의 상황 내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타입 T2의 청취 디바이스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하지 않는다.
타입 T3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ANC 가능 헤드폰(ANC-enabL1ng headphone)"이라고 한다. 타입 T3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타입 T1의 청취 디바이스처럼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음원을 단순히 청취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한다.
타입 T4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ANC 가능 헤드셋"이라고 한다. 타입 T4의 청취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타입 T2의 청취 디바이스처럼,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음원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을 허용한다.
따라서, 디바이스(DEV)는, 특히 모듈(HD)에 의해,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에 적합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에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을 탐지하는데 적합하다.
모듈(HD)은 특히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허용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적합하다. 디지털 마이크로폰이 PDM(Pulse-DenS1ty Modulation) 타입의 신호를 생성한다고 추정하면, 모듈(HD)은, 제 1 예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 클록(예를 들어, 3.072 MHz)에 따라 상기 모듈(HD)의 입력에서 신호의 상승 에지 및/또는 하강 에지를 카운트하는데 적합하다. 카운터가 상기 클록의 미리 정의된 양의 주기에 걸쳐 상승 에지 및/또는 하강 에지의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모듈(HD)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허용하는 청취 디바이스의 존재를 추정한다. 제 2 예에 기초하여, 모듈(HD)은 절대값의 관점에서 0이 아닌 양의 미리 정의된 값 이상인 PCM (예를 들어 48kHz에서) 타입의 샘플을 카운트하는데 적합하다. 카운터가, 슬라이딩 윈도우(sL1ding window)에 걸쳐, 절대값의 관점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값 이상인 샘플의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모듈(HD)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허용하는 청취 디바이스의 존재를 추정한다. 모듈(HD)은 인터페이스(IF)를 통해 모듈(HD)이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존재를 탐지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의 부분을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더욱이, 집적 회로(IC)는 상기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3 또는 타입 T4인 경우에 디바이스(DEV)에 효과적으로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에 통합되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MIF)을 갖는다. 모듈(MIF)은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ANC 모듈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모듈(MIF)은 또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모듈(HD)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모듈(MIF)은 또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타이밍 클록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듈(MIF)은 또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이 보컬 마이크로폰으로서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그 다음,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프로세서(PROC)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전화 대화의 녹음)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의 음성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전화 대화)이 실행될지라도 타입 T4의 청취 디바이스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T3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가 궁극적으로 T4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허용할 수 있다.
집적 회로(IC)는 또한 제 3 증폭기(A3)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를 가지며, 상기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2 또는 타입 T4일 때 디바이스(DEV)에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에 통합된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데 적합하다. 그런 다음,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는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한다.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프로세서(PROC)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전화 대화의 녹음)에 디지털 형태로 상기 신호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집적 회로(IC)는 또한 핀(DP1)이 제 1 CMP1 및 제 2 CMP2 비교기의 각각의 입력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 1 비교기(CMP1) 및 선택적으로 제 2 비교기(CMP2)를 갖는다.
제 1 비교기(CMP1)는 상기 제 1 비교기(CMP1)의 입력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핀(DP1)과 핀(DP5) 사이의 단락 회로를 탐지하는데 적합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TRRS 타입의 수 커넥터와 TRS 타입의 수 커넥터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비교기(CMP1)는 또한 제 1 비교기(CMP1)의 입력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핀(DP1)을 통한 전력 소비가 0인지 또는 무시할 수 있는지, 즉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인지를 탐지하는데 적합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타입 T3의 청취 디바이스와 타입 T4의 청취 디바이스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비교기(CMP1)는 또한 제 1 비교기(CMP1)가 이러한 회로를 탐지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의 부분을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고, 제 1 비교기(CMP1)가 핀(DP1)을 통해 0 또는 무시할만한 전력 소비를 탐지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의 부분을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 1 비교기(CMP1)는 청취 디바이스가 아마 가질 수 있는 제어 버튼의 세트 중에서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그런 다음, 제 1 비교기(CMP1)는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제어 버튼을 각각 누를 경우에 상기 제 1 비교기(CMP1)의 입력에서 예상되는 전압 값을 각각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제 1 임계값(TH1)의 세트와 상기 비교기(CMP1)의 입력에 인가된 전압 값을 비교하는데 적합하다. 제 1 비교기(CMP1)는 또한 이러한 누름이 탐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의 부분을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 2 비교기(CMP2)는 또한 청취 디바이스가 아마 가질 수 있는 제어 버튼의 세트 중에서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제 2 비교기(CMP2)는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제어 버튼을 각각 누를 경우에 상기 제 2 비교기(CMP2)의 입력에서 예상되는 전압 값을 각각 나타내는 미리 정의된 제 2 임계값(TH2)의 세트와 상기 비교기(CMP2)의 입력에 인가된 전압 값을 비교하는데 적합하다. 제 2 비교기(CMP2)는 또한 이러한 누름이 탐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의 부분을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하여 제 1 비교기(CMP1)와 제 2 비교기(CMP2)의 동작상의 차이는 상이한 임계값(TH1 및 TH2)에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CMP1 및 제 2 CMP2 비교기는 별개의 임계값의 세트에 의존한다. 실제로,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환경에 따라, 특히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DC 전력 공급 값은 디바이스(DEV)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를 위해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다. 환경에 따라, 제 1 비교기(CMP1) 또는 제 2 비교기(CMP2)가 활성화된다(또는 둘 다 활성화되지 않는다). 임계값(TH1 및 TH2)은 이러한 상이한 전력 공급 값을 각각 고려하여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적용되는 임계값의 세트를 선택하게 된다.
더욱이, 제 2 비교기(CMP2)가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했을 경우에 모듈(ANC)로부터의 보정 신호를 뮤팅(muting)시키고, 제 2 비교기(CMP2)가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 버튼의 누름이 끝났음을 탐지했을 경우에 모듈(ANC)로부터의 보정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제 2 비교기(CMP2)는 모듈(M)을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제 2 비교기(CMP2) 및 모듈(M)의 이러한 조인트 동작은 눌려지는 제어 버튼 때문에 디지털 마이크로폰은는 더 이상 전력을 공급받지 않을 때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에 내재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아래에 설명되는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단락된다.
보정 신호의 뮤팅과 보정 신호의 적용 사이의 전환은 점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제 1 선택기(S1)를 갖는다. 제 1 선택기(S1)는 이의 입력에서 저항기(R6)(제 1 선택기(S1)의 입력 'el')를 통해 집적 회로(IC)에 의해 제공되는 DC 전력 공급 신호(VCC)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예로서, 저항기(R6)는 2.2kΩ의 값을 갖는다. 제 1 선택기(S1)는 이의 입력에서 저항기(R7)(제 1 선택기(S1)의 입력 'e2')를 통해 집적 회로(IC)에 의해 제공되는 DC 전력 공급 신호(VCC)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예로서, 저항기(R7)는 180Ω의 값을 갖는다. 제 1 선택기(S1)는 또한 이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 또는 다른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명령에 따라 이의 출력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 1 선택기(S1)의 출력은 핀(DP1)에 연결된다. 제 1 선택기(S1)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전력 공급 신호가 저항기(R6) 또는 저항기(R7)를 통과하는지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선택기(S1)는 또한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데 적합하며, 저항기(R6)는 타입 T2의 청취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적합하고, 저항기(R7)는 타입 T3 또는 타입 T4의 청취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변형 실시예에서, 제 1 선택기(S1)는 생략된다. 이 경우에, 집적 회로는 저항기(R6)가 연결되는 제 1 DC 전력 공급 출력(VCCl), 및 저항기(R7)가 연결되는 제 2 DC 전력 공급 출력(VCC2)을 갖는다. 제 1 선택기(S1) 대신에, 저항기(R6 및 R7)는 핀(DP1)에 연결된다. 그 다음, 집적 회로는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제 1 DC 전력 공급 출력(VCC1) 또는 제 2 DC 전력 공급 출력(VCC2)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데 적합하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선택기(S2)를 갖는다. 제 2 선택기(S2)는 이의 입력에서 제 1 증폭기(A1)(제 2 선택기(S2)의 입력 'el')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제 2 선택기(S2)는 또한 직렬인 저항기(R5) 및 코일(L5)(제 2 선택기(S2)의 입력 'e2')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를 통과한 후에 이의 입력에서 제 1 증폭기(A1)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예로서, 저항기(R5)는 47Ω의 값을 갖고, 코일(L5)은 예를 들어 10μΗ의 값을 갖는다. 제 2 선택기(S2)는 또한 이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 또는 다른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명령에 따라 이의 출력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 2 선택기(S2)의 출력은 핀(DP3)에 연결된다. 제 1 증폭기(A1)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신호가 핀(DP3)에 제공되기 전에 저항기(R5) 및 코일(L5)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를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데 적합하다. 제 2 선택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저항기(R5) 및 코일(L5)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제 1 증폭기(A1)의 출력과 핀(DP3)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바람직하게는 제 3 선택기(S3)를 갖는다. 제 3 선택기(S3)는 이의 입력에서 제 2 증폭기(A2)(제 3 선택기(S3)의 입력 'el')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제 3 선택기(S3)는 또한 직렬인 저항기(R4) 및 코일(L4)(제 3 선택기(S3)의 입력 'e2')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를 통과한 후에 이의 입력에서 제 2 증폭기(A2)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는데 적합하다. 예로서, 저항기(R4)는 47Ω의 값을 갖고, 코일(L4)은 예를 들어 10μΗ의 값을 갖는다. 제 3 선택기(S3)는 또한 이의 입력 중 하나의 입력 또는 다른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명령에 따라 이의 출력에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제 3 선택기(S3)의 출력은 핀(DP2)에 연결된다. 제 2 증폭기(A2)에 의해 출력에 제공된 신호가 핀(DP2)에 제공되기 전에 저항기(R4) 및 코일(L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를 통과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데 적합하다. 저항기(R4) 및 코일(L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왼쪽 오디오 신호에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타이밍 클록을 중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저항기(R5) 및 코일(L5)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저항기(R4) 및 코일(L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에 의해 왼쪽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정합과 오른쪽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정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3 선택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저항기(R4) 및 코일(L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제 2 증폭기(A2)의 출력과 핀(DP2) 사이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저항기(R4) 및 코일(L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생략될 수 있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저항기(R9), 2개의 커패시터(C8 및 C9) 및 코일(L6)로 형성된 어셈블리를 갖는다. 예로서, 저항기(R9)는 100Ω의 값을 갖고, 커패시터(C8)는 예를 들어 10 nF의 값을 갖고, 커패시터(C9)는 예를 들어 1 nF의 값을 가지며, 코일(L6)은 예를 들어 10μH의 값을 갖는다. 상기 어셈블리는 저항기(R9)가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타이밍 클록을 제공하는 모듈(MIF)의 출력에 연결되고; 커패시터(C8)가 저항기(R9)와 직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C9)가 커패시터(C8)와 핀(DP2) 사이에 연결되며; 코일(L6)이 디바이스(DEV)의 접지와, 커패시터(C8 및 C9) 사이의 상호 연결점 사이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는 모듈(MIF)에 의해 제공된 구형파 클록 신호에 대해 고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고, 디바이스(DEV)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에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왼쪽 오디오 신호에 대해 상기 타이밍 클록에 의해 유도되는 저주파의 잠재적 가청 간섭이 거부되도록 허용한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커패시터(C6)와 저항기(R8 및 R80)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를 갖는다. 예로서, 커패시터(C6)는 10nF의 값을 갖고, 저항기(R8)는 예를 들어 10kΩ의 값을 가지며, 저항기(R80)는 또한 예를 들어 10kΩ의 값을 갖는다. 상기 어셈블리는 커패시터(C6)가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포착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의도되는 모듈(MIF)의 입력과 핀(DP1) 사이에 연결되고; 저항기(R8)가 모듈(MIF)의 상기 입력과 디바이스(DEV)의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저항기(R80)가 모듈(MIF)의 상기 입력과 디바이스(DEV)의 DC 전력 공급부(VCC) 사이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신호가 이러한 신호에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전력 공급의 존재를 고려함으로써 획득되도록 허용한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핀(DP1)이 제 3 증폭기(A3)의 입력에서 커패시터(C7)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예로서, 커패시터(C7)는 10μF의 값을 갖는다. 커패시터(C7)는 핀(DP1) 상의 신호에 존재하는 임의의 DC 구성 요소, 즉 상기 신호가 제 3 증폭기(A3)에 제공되기 전에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의도되는 DC 전력 공급 구성 요소의 제거를 허용한다. 따라서, 제 3 증폭기(A3)에 주입된 신호는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2 또는 타입 T4일 때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신호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디바이스(DEV)의 배치는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존재하는 경우)으로부터의 신호가 디바이스(DEV)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에 디바이스(DEV)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된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도록 허용하고, 디지털 마이크로폰(존재하는 경우)으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디바이스(DEV)의 배치는 또한 왼쪽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타이밍 클록의 선택적 전송을 허용한다. 따라서, TRRS 타입의 표준 오디오 연결에 의존하면서, 디바이스(DEV)에 의해 구현되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청취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바이스(DEV)의 배치는 최종으로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에 따라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선택적 활성화 및 따라서 디바이스(DEV)의 적절한 구성을 허용한다. 이러한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의 동작 양태는 도 4 내지 및 도 12를 참조하여 나중에 상세히 설명된다.
디바이스(DEV)는 왼쪽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타이밍 클록의 선택적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동일한 결과는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의 출력에서의 연결을 반대로 함으로써 오른쪽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타이밍 클록을 선택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설명에서 언급된 다양한 회로 로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하드웨어 회로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로직의 일부를 구현하는 각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또한 청취 디바이스 또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에 주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취 디바이스에는 상이한 종류의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종류는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 및/또는 자신의 머리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이다. 다른 종류는 태도(attitude) 측정 센서이다. 이러한 센서는 일반적으로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자력계를 포함한다. 그것은 청취 디바이스의 기준 프레임에서의 방향/위치를 측정하며, 이러한 측정치는 사용자 또는 접지의 기준 프레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타이밍 클록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모션 신호는 청취 디바이스의 공간 렌더링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션 센서 신호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한 동작 모드의 대체물로서 다른 오디오 채널 상에서 센서를 구동하는 클록에 따라 오디오 채널 중 하나에 중첩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 버튼 중 하나는 두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일부 청취 디바이스에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이 장착될 수 있고, 일부 다른 청취 디바이스에는 모션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2개의 디바이스는 청취 디바이스로 공존할 수 있고, 상이하지만, 호환 가능한 주파수에서의 2개의 클록은 하나의 오디오 채널에 중첩되고, 하나의 클록은 마이크로폰을 구동하고, 다른 하나의 클록은 모션 센서를 구동한다. 그런 다음, 모션 센서 및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는 다중화될 수 있고, 다른 오디오 채널에 중첩되어 센서의 샘플링 주파수가 매우 낮을 수 있다는 사실(예로서 200Hz)을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파라미터는 청취 디바이스에 위치된 적절한 센서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압력,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데이터는 정보를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러한 정보는 아마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데 사용되거나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전송된다.
도 2a는 디바이스(DEV)에 의해 구현되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 1 청취 디바이스(HDS)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1 청취 디바이스(HDS)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가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CHM1), 사용자의 왼쪽 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EML) 및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EMR)을 갖는다.
모듈(EML)은 사용자의 왼쪽 귀에 주변 소음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사용자의 왼쪽 귀에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라우드 스피커(SL)를 갖는다. 모듈(EMR)은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주변 소음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털 마이크로폰(DMR), 및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라우드 스피커(SR)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청취 디바이스(HDS)는 타입 T4(즉,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헤드셋" 타입)이다.
상기 제 1 청취 디바이스(HDS)가 디바이스(DEV)에 연결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모듈(CHM1)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와이어(screened wire)의 제 1 시리즈에 의해, 표준 수 오디오 커넥터(TRRS)에 연결된다. TRRS 타입의 수 커넥터의 다양한 핀은 도 2a에서 HP1, HP2, HP3 및 HP4로 참조된다. 핀(HP1)은 디바이스(DEV)의 핀(DP1)에 연결되도록 의도되고, 핀(HP2)은 디바이스(DEV)의 핀(DP2)에 연결되도록 의도되고, 핀(HP3)은 디바이스(DEV)의 핀(DP3)에 연결되도록 의도되며, 핀(HP4)은 디바이스(DEV)의 핀(DP4)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핀(HP4)은 디바이스(DEV)와 청취 디바이스(HDS)가 공통 접지를 확실히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 모듈(CHM1)의 접지에 연결된다.
모듈(CHM1)은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와이어의 제 2 시리즈에 의해 모듈(EML)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와이어의 제 3 시리즈에 의해 모듈(EMR)에 연결된다. 스크린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와 라우드 스피커를 향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사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에 의해 잠재적으로 유도되는 간섭이 제한되도록 허용된다.
모듈(CHM1)은 예를 들어 푸시 버튼(pushbutton)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어 버튼을 갖는다. 3개의 푸시 버튼(PB1, PB2 및 PB3)은 도 2a에 도시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이동 전화용 이어폰에서 발견되는 3개의 제어부: 조합된 픽업/행업(pick-up/hang-up) 제어 버튼, 볼륨 증가 제어 버튼 및 볼륨 감소 제어 버튼에 해당한다. 모듈(CHM1)의 푸시 버튼은 디바이스(DEV) 및 제 1 청취 디바이스(HDS)의 사용의 상황에 따라 다른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푸시 버튼(PB1, PB2 및 PB3)은 각각의 저항기(R1, R2 및 R3)를 통해 핀(HP1)과 모듈(CHM1)의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저항기(R1, R2 및 R3)는 사용자가 푸시 버튼을 누를 때 푸시 버튼(PB1, PB2 및 PB3) 중 어느 것이 효과적으로 눌려졌는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별개의 값을 갖는다. 예로서, 저항기(R1)는 108Ω의 값을 갖고, 저항기(R2)는 예를 들어 139Ω의 값을 가지며, 저항기(R3)는 예를 들어 270Ω의 값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푸시 버튼을 누를 때, 제 1 CMP1 및 제 2 CMP2 비교기의 입력에 인가된 전압 값은 상기 푸시 버튼이 핀(HP1)에 연결되는 저항기의 값에 의존한다.
더욱이, 모듈(CHM1)은 MEMS(MicroElectrical Mechanical System) 타입의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AM)을 가지며, 이의 출력은 커패시터(C3)를 통해 핀(HP1)에 연결된다. 예로서, 커패시터(C3)는 10μF의 값을 갖는다.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으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AM)으로부터의 신호의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 커패시터(C3)는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AM)의 출력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임의의 DC 구성 요소가 거부되도록 허용한다.
모듈(CHM1)은 또한 핀(HP1)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며, 따라서 코일(L1)의 다른 단부와 모듈(CHM1)의 접지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의 존재 때문에 전력을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 및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AM)에 공급하도록 의도된 DC 전력 공급 구성 요소를 다른 단부에 제공하는 코일(L1)을 갖는다. 예로서, 코일(L1)은 47μH의 값을 갖고, 커패시터(C1)는 예를 들어 10μF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에 대한 전력의 공급은 각각 모듈(CHM1)과 모듈(EML 및 EMR) 사이의 와이어(PWL 및 PWR)에 의해 보장된다.
도 2a에 제시된 배치에 기초하여, 제어 버튼 중 하나에 푸시가 있을 때,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에는 다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는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DEV)의 모듈(M)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모듈(CHM1)은 또한 핀(DP1)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며, 각각 모듈(CHM1)과 모듈(EML 및 EMR) 사이의 와이어(DL 및 DR)를 통해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의 각각의 출력에 연결된 다른 단부를 갖는 커패시터(C2)를 갖는다. 예로서, 커패시터(C2)는 10μP의 값을 갖는다. 커패시터(C2)는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핀(HP1)을 통해 디바이스(DEV)에 의해 제공된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도록 허용한다.
모듈(CHM1)은 또한 각각 모듈(CHM1)과 모듈(EML 및 EMR) 사이의 와이어(CL) 및 와이어(CR)을 핀(HP2)에 연결하는데 적합하며, 와이어(CL 및 CR)는 각각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의 타이밍 클록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모듈(CHM1)은 또한 코일(L2) 및 커패시터(C4)에 의해 직렬로 형성된 어셈블리를 가지며, 상기 어셈블리는 하나의 단부가 핀(HP2)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모듈(CHM1)과 모듈(EML) 사이의 와이어(HL)에 연결되며, 와이어(HL)는 왼쪽 오디오 신호를 라우드 스피커(SL)에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예로서, 코일(L2)은 100μH의 값을 가지며, 커패시터(C4)는 예를 들어 100μF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코일(L2) 및 커패시터(C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의 타이밍 클록 신호가 핀(HP2)을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거부되도록 허용한다.
모듈(CHM1)은 또한 코일(L3) 및 커패시터(C5)에 의해 직렬로 형성된 어셈블리를 가지며, 상기 어셈블리는 하나의 단부가 핀(HP3)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모듈(CHM1)과 모듈(EMR) 사이의 와이어(HR)에 연결되며, 와이어(HR)는 오른쪽 오디오 신호를 라우드 스피커(SR)에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예로서, 코일(L3)은 100μH의 값을 가지며, 커패시터(C5)는 예를 들어 100μF의 값을 갖는다. 코일(L3) 및 커패시터(C5)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는 코일(L2) 및 커패시터(C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에 의해 왼쪽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정합과 오른쪽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정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모듈(CHM1, EML 및 EMR)이 공통 접지를 확실히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 부가적인 와이어는 모듈(CHM1)과 모듈(EMR) 사이에 부가될 수 있고, 다른 부가적인 와이어는 모듈(CHM1)과 모듈(EML) 사이에 부가될 수 있다. 이미 존재하는 다른 와이어의 스크리닝(screening)은 또한 공통 접지를 얻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청취 디바이스(HDS)가 TRRS 타입의 수 플러그(male plug)를 취하는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의 이전의 설명에 따른 소음 제거 메카니즘없이) 종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면, 제 1 청취 디바이스(HDS)는 "레거시 헤드셋"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서 탐지되며, 따라서 "레거시 헤드셋"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제 1 청취 디바이스(HDS)가 TRS 타입의 수 플러그를 취하는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의 이전의 설명에 따른 소음 제거 메카니즘없이) 종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면, 제 1 청취 디바이스(HDS)는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서 탐지되며, 따라서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제어 버튼 및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은 이때 비활성적임)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2b는 디바이스(DEV)에 의해 구현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 2 청취 디바이스(HDS')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2 청취 디바이스(HDS')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가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CHM1'), 사용자의 왼쪽 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EML) 및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EMR)을 갖는다. 모듈(CHM1')은 MEMS 타입의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AM)이 일렉트릿(electret) 타입의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AE)으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청취 디바이스(HDS)의 모듈(CHM1)의 원리를 채택하며, 이의 출력은 핀(HP1)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청취 디바이스(HDS')는 또한 타입 T4(즉,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헤드셋" 타입)이다.
제 2 청취 디바이스(HDS')가 TRRS 타입의 수 플러그를 취하는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의 이전의 설명에 따른 소음 제거 메카니즘없이) 종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면, 제 2 청취 디바이스(HDS')는 "레거시 헤드셋"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서 탐지되며, 따라서 "레거시 헤드셋"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제 2 청취 디바이스(HDS')가 TRS 타입의 수 플러그를 취하는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의 이전의 설명에 따른 소음 제거 메카니즘없이) 종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면, 제 2 청취 디바이스(HDS')는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서 탐지되며, 따라서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제어 버튼 및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은 이때 비활성적임)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3은 디바이스(DEV)에 의해 구현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제 3 청취 디바이스(HDP)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3 청취 디바이스(HDP)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가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CHM2), 사용자의 왼쪽 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EML) 및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모듈(EMR)을 갖는다. 모듈(CHM2)은 저항기(R1, R2 및 R3), 아날로그 마이크로폰(AM) 및 커패시터(C3)가 부재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청취 디바이스(HDS)의 모듈(CHM1)의 원리를 채택한다. 따라서, 제 3 청취 디바이스(HDP)는 또한 타입 T3(즉,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혜택을 제공하는 "헤드폰" 타입)이다.
제 3 청취 디바이스(HDP)에는 또한 제 1 청취 디바이스(HDS)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어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a의 상황 내에서와 같이, 제어 버튼 중 하나가 눌려지면, 디지털 마이크로폰(DML 및 DMR)에는 다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양태는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DEV)의 모듈(M)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제 3 청취 디바이스(HDP)가 TRRS 타입의 수 플러그를 취하는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의 이전의 설명에 따른 소음 제거 메카니즘없이) 종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면, 제 3 청취 디바이스(HDP)는 "레거시 헤드셋"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서 탐지되지만,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의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제 3 청취 디바이스(HDP)가 TRS 타입의 수 플러그를 취하는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의 이전의 설명에 따른 소음 제거 메카니즘없이) 종래의 디바이스에 연결된다면, 제 3 청취 디바이스(HDP)는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로서 탐지되며, 따라서 "레거시 헤드폰"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4는 디바이스(DEV)에 연결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즉, 상기 청취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성)을 탐지하기 위해 디바이스(DEV)에 의해,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도 4의 알고리즘은 디바이스(DEV)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1, 타입 T2, 타입 T3 또는 타입 T4인지를 판단하도록 허용한다.
단계(401)에서, DC 전력 공급부(VCC)가 차단된다.
다음 단계(402)에서, (그렇지 않다면), 디바이스(DEV)에 아마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구현되도록 허용할 때 디바이스(DEV)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403)에서, 디바이스(DEV)는 TRS 또는 TR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체크를 시작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통해 모듈(JD)에 질의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404)에서, 디바이스(DEV)는 TRS 또는 TR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그럴 경우에, 단계(405)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404)가 반복된다.
단계(405)에서,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활성화하고,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하며, 핀(DP1 및 DP5)이 단락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체크를 시작한다(이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1임을 의미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제 1 비교기(CMP1)에 질의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406)에서, 디바이스(DEV)는 핀(DP1 및 DP5)이 단락되는지, 즉 핀(DP1)이 디바이스(DEV)의 접지에 단락되는지를 검사한다. 핀(DP1 및 DP5)이 단락되면, 단계(407)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408)가 수행된다.
단계(407)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1인 것으로 추정하고, 단계(417)가 수행된다.
단계(408)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가질 수 있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각각의 입력 'e2'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다음 단계(409)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갖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체크를 시작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통해 모듈(JD)에 질의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410)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이러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갖는지를 검사한다. 그럴 경우에, 단계(411)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413)가 반복된다.
단계(411)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가질 수 있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핀(DP1)을 통해 전력 소비를 검사함으로써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를 갖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체크를 시작한다(타이밍 클록은 비활성화되고, 가능한 디지털 마이크로폰는 비활성적이며, 따라서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의 전력 소비에 대해 0 또는 적어도 무시할만한 소비량을 갖는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제 1 비교기(CMP1)에 질의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412)에서, 디바이스(DEV)는 핀(DP1)을 통한 전력 소비가 0 또는 무시할 수 있는지, 즉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인지를 검사한다. 그럴 경우, 단계(416)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415)가 수행된다.
단계(413)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가질 수 있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디바이스(DEV)는 또한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그 후, 다음 단계(414)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2임을 추정하고, 그 후 단계(417)가 수행된다.
단계(415)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4임을 추정하고, 그 후 단계(417)가 수행된다.
단계(416)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3임을 추정하고, 그 후 단계(417)가 수행된다.
단계(417)에서, 디바이스(DEV)는 탐지된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통지(notification)를 생성한다. 이것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탐지된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디바이스(DEV)에 대한 구성 동작과의 연관을 허용한다.
그 후에, 도 4의 알고리즘은 종료된다. 따라서, 도 4의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디바이스(DEV)에 연결하는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의 탐지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경우 도 4의 알고리즘을 재시작할 수 있기 위해 디바이스(DEV)와 청취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유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니터링 메커니즘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5는 상기 연결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501)에서, 디바이스(DEV)는 TRS 또는 TR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여전히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체크를 시작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통해 모듈(JD)에 질의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502)에서, 디바이스(DEV)는 TRS 또는 TRRS 타입의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여전히 삽입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분리가 수행된 경우, 단계(503)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501)가 반복된다.
단계(503)에서, (그렇지 않다면),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 (그렇지 않다면) 가능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각각 모듈(ANC)을 비활성화하고, 모듈(MIF)에 지시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한다.
다음 단계(504)에서,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차단하고, 다음 단계(505)에서, 디바이스(DEV)는 상기 수 커넥터의 분리를 나타내는 통지를 생성한다. 이것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4의 알고리즘을 재시작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DEV)를 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알고리즘은 통상적으로 디바이스(DEV)의 시동 또는 후속 재초기화에서 개시된다.
단계(601)에서, 디바이스(DEV)는 청취 디바이스의 연결을 탐지하고, 필요하다면,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행하기 위해, 디바이스(DEV)는 도 4의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다음 단계(602)에서, 디바이스(DEV)는 청취 디바이스가 디바이스(DEV)에 연결되었음을 탐지하고,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의 부분을 획득한다. 이러한 정보는 도 4의 단계(417)에서 생성된 통지에 의해 제공된다.
다음 단계(603)에서, 디바이스(DEV)는 디바이스(DEV)와 청취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유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이를 행하기 위해, 디바이스(DEV)는 도 5의 알고리즘의 실행을 병렬로 시작한다.
다음 단계(604)에서, 디바이스(DEV)는 상기 디바이스(DEV)에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자신을 구성한다.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1인 경우, 디바이스(DEV)는 도 7의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2인 경우, 디바이스(DEV)는 도 8의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3인 경우, 디바이스(DEV)는 도 9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4인 경우, 디바이스(DEV)는 도 10의 알고리즘 또는 변형으로서 도 12의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그 다음,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갖는 기능성에 따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구현에 대해 적절하게 구성된다.
다음 단계(605)에서, 디바이스(DEV)는 수 커넥터의 분리를 나타내는 통지가 단계(603)에서 활성화된 모니터링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되는지를 검사한다. 그럴 경우, 단계(601)가 반복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605)가 반복된다.
도 7은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1인 경우에 디바이스(DEV)에 대한 제 1 구성을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및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701)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차단한다.
다음 단계(702)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모듈(ANC)을 비활성화한다.
다음 단계(703)에서,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메커니즘이 구현되고 아직 행해지지 않은 경우)을 비활성화한다.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 1 비교기(CMP1) 및 제 2 비교기(CMP2)를 각각 비활성화한다.
다음 단계(704)에서,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그렇지 않은 경우) 가능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그런 다음 도 7의 알고리즘은 종료된다.
도 8은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2인 경우에 디바이스(DEV)에 대한 제 2 구성을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및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801)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활성화한다.
다음 단계(802)에서,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그렇지 않은 경우) 가능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803)에서,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제 1 비교기(CMP1)에 지시하고, 제 2 비교기(CMP2)를 비활성화한다.
다음 단계(804)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모듈(ANC)을 비활성화한다. 청취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음성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타입 T2이고, 상기 디바이스(DEV)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포착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핀(DP1)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수신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제 3 증폭기(A3)를 활성화한다.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정보를 갖는 경우에만 제 3 증폭기(A3)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8의 알고리즘은 종료된다.
도 9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3인 경우에 디바이스(DEV)에 대한 제 3 구성을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및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901)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활성화한다.
다음 단계(902)에서,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903)에서,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 및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메커니즘이 구현되고 아직 행해지지 않은 경우)을 비활성화한다.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 1 비교기(CMP1) 및 제 2 비교기(CMP2)를 비활성화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타입 T3의 청취 디바이스가 제어 버튼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때,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도록 제 1 비교기(CMP1)에 지시하지만, 제 2 비교기(CMP2)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IF를 사용한다.
다음 단계(904)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모듈(ANC)을 활성화한다. 그런 다음 도 9의 알고리즘은 종료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DEV)가 사용자의 음성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때, 디바이스(DEV)는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사용한다. 연결된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되는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디바이스(DEV)는 사용자의 음성이 사용자의 귀에 위치되는 2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포착됨을 고려하기 위해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타입 T4인 경우에 디바이스(DEV)에 대한 제 4 구성을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및 특히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1001)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활성화한다.
다음 단계(1002)에서,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2'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1003)에서,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바람직하게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주의할 점으로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비교기(CMP2)를 활성화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 1 비교기(CMP1)를 비활성화한다.
다음 단계(1004)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모듈(ANC)을 활성화한다.
다음 단계(1005)에서, 디바이스(DEV)가 사용자의 음성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면, 디바이스(DEV)는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사용한다. 디바이스(DEV)는 사용자의 음성이 사용자의 가슴에 위치되는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에 의해서 보다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되는 2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포착됨을 고려하기 위해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그 후, 도 10의 알고리즘은 종료된다. 도 10의 알고리즘의 상황 내에서,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의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의 사용과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그 후, 타입 T4의 청취 디바이스 상에서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점은 상기 청취 디바이스가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을 필요로 하는 TRRS 타입의 표준 오디오 커넥터를 갖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디바이스와 호환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사용자의 음성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의 사용을 허용하는 변형 실시예는 도 1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도 12는 도 10의 알고리즘의 변형을 갖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1201)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DEV)는 DC 전력 공급부(VCC)를 활성화한다.
다음 단계(1202)에서,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2'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상기 클록을 활성화하도록 모듈(MIF)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1203)에서,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바람직하게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주의할 점으로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은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비교기(CMP2)를 활성화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 1 비교기(CMP1)를 비활성화한다.
다음 단계(1204)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모듈(ANC)을 활성화한다.
다음 단계(1205)에서, 디바이스(DEV)는 사용자의 음성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는지를 검사한다. 그럴 경우, 단계(1206)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1205)가 반복된다.
단계(1206)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대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클록의 생성을 비활성화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모듈(ANC)을 각각 비활성화하고, 상기 클록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모듈(MIF)에 지시한다. 더욱이, 디바이스(DEV)는 각각의 입력 'el'에서 제 1 S1, 제 2 S2 및 제 3 S3 선택기를 구성한다.
다음 단계(1207)에서, 디바이스(DEV)는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비활성화를 고려함을 보장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비교기(CMP2)를 비활성화하고, 인터페이스(IF)를 사용하여 제어 버튼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 1 비교기(CMP1)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1208)에서, 디바이스(DEV)는 사용자의 음성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한다. 그럴 경우, 단계(1202)가 반복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1208)가 반복된다.
도 12의 알고리즘은 디바이스(DEV)와 청취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유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청취 디바이스의 분리의 통지를 제공할 때 종료된다. 따라서, 도 12의 알고리즘에 의해 적용된 원리는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는 것이며, 이는 아날로그 보컬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간섭하는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신호를 회피한다.
도 12의 상황 내에서, 디바이스(DEV)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포착을 나타내고, 상기 핀(DP1)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제 3 증폭기(A3)를 활성화한다.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은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정보를 갖는 경우에만 제 3 증폭기(A3)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1은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적용을 관리하기 위해 디바이스(DEV) 및 특히 제 2 비교기(CMP2)에 의해 구현되는 알고리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1101)에서, 디바이스(DEV)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갖는 제어 버튼이 눌려지는지를 탐지한다. 그럴 경우, 단계(1102)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1101)가 반복된다.
단계(1102)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으로부터의 보정 신호를 뮤팅한다. 이러한 뮤팅은 점진적일 수 있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비교기(CMP2)는 모듈(ANC)로부터 보정 신호를 뮤팅하기 위해 모듈(M)에 지시한다.
다음 단계(1103)에서, 디바이스(DEV)는 상기 제어 버튼이 눌려지는 것이 완료하였는지를 탐지한다. 그럴 경우, 단계(904)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1103)가 반복된다.
단계(1104)에서, 디바이스(DEV)는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으로부터 보정 신호를 복원한다. 이러한 복원은 점진적일 수 있다. 도 1의 다이어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비교기(CMP2)는 모듈(ANC)로부터 보정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모듈(M)에 지시한다. 그 후, 단계(1101)가 반복된다.
위의 상세한 설명에서,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제어 및 디바이스(DEV)의 구성은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프로세서(PROC)는 ROM(Read Only Memory) 메모리, 외부 메모리, 하드 디스크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저장 매체 또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에 적재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DEV)가 파워 업(power up)될 때, 프로세서(PROC)는 RAM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PROC)가 제어 소프트웨어 모듈(CTRL)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알고리즘 및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형성한다.
위의 상세한 설명에서, 수동 전자 소자(저항기, 커패시터, 코일)뿐만 아니라 선택기는 집적 회로(IC) 외부의 디바이스(DEV)에 존재한다. 이러한 수동 전자 소자 뿐만 아니라 선택기는 또한 집적 회로(IC)에 통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된 모듈과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된 모듈 사이의 다른 분배가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집적 회로(IC)에서 구현된 모듈과 프로세서(PROC)에 의해 실행된 모듈 사이의 분리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집적 회로(IC)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기능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집적 회로(IC)에 의해 수행된 모든 기능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알고리즘, 모듈 및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기계에 의한 명령어 세트의 실행에 의해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알고리즘, 모듈 및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는 또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1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기계 또는 전용 구성 요소에 의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4극 수 커넥터 및 3극 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HDS; HDS'; HDP)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로서,
    -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1 핀(DP1)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로직(CTRL, VCC, S1);
    - 상기 제 1 핀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주변 소음의 제거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로직(CTRL, ANC);
    -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2 핀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타이밍 클록을 상기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핀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청취 디바이스를 장착한 센서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 3 회로 로직(CTRL, MIF);
    -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결정된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에 따라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및 상기 타이밍 클록에 대하여 자신을 설정하도록(604) 구성된 제 4 회로 로직(CTRL)을 포함하며;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존재하는 수 커넥터를 탐지한 후에(404),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 상기 제 1 핀과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접지 사이에 단락 회로가 있는지를 판단하도록(406) 구성된 제 5 회로 로직(CTRL)으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임을 결정하도록(407) 구성되는 상기 제 5 회로 로직(CTRL);
    -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함으로써(408),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도록(410) 구성된 제 6 회로 로직(CTRL, MIF)으로서,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2 타입임을 결정하도록(414) 구성되는 상기 제 6 회로 로직(CTRL, MIF); 및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함으로써(411), 상기 제 1 핀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의 전력 소비를 갖는지를 판단하도록(412) 구성된 제 7 회로 로직(CTRL, HD)으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3 타입이고, 그렇지 않으면 제 4 타입(415)임을 결정하도록(416) 구성되는 상기 제 7 회로 로직(CTRL, HD)
    을 연속적으로 구현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를 비활성화하고(701),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며(702),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하기(704) 위해 자신을 구성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804),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하고(802),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며(801,802),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포착을 나타내고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904),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하며(902),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상기 제 4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1004),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하고(1002),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고(1001,1002),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1005) 자신을 구성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상기 제 4 타입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포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1204),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하고(1202),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며(1201,1202),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포착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비활성화하고(1206),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하고(1206),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된다는 사실을 고려한 값으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를 활성화하며(1206),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황 내에서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된 방식으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자신을 구성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가 상기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별개의 값을 갖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 2개의 별개의 임계값의 세트로부터 선택되는 임계값의 세트와 상기 제 1 핀에 인가된 전압의 비교에 의존하여 제어 버튼(CMP1,CMP2)의 누름을 탐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임계값의 세트는 각각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의 상기 별개의 값에 적응되는 상기 메커니즘; 및
    상기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적용되는 상기 임계값의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 8 회로 로직(CTRL)을 구현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에서 보정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9 회로 로직(ANC);
    상기 보정 신호를 상기 오디오 신호에 부가하도록 구성된 제 10 회로 로직(Σ1,Σ2); 및
    제어 버튼의 누름이 탐지될 때, 상기 제어 버튼의 누름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상기 보정 신호의 부가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제 11 회로 로직(M)을 더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클록을 상기 청취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타이밍 클록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구형파 클록 신호에 적용되는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고, 그 자체는:
    - 저항기;
    -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커패시터; 및
    - 코일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저항기가 상기 구형파 클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패시터는 상기 제 1 커패시터가 상기 저항기와 상기 제 2 커패시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항기와 직렬로 배치하고, 상기 코일은 접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패시터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커패시터의 다른 단자는 상기 제 2 핀에 연결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청취 디바이스 내의 상기 센서는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음성을 포착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청취 디바이스 내의 상기 센서는 상기 청취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 로직은 상기 소음 제거 메커니즘의 오프(0%) 상태와 온(100%) 상태 사이를 점진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4극 수 커넥터 및 3극 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 디바이스(HDS; HDS'; HDP)에 제공하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다음의 단계:
    -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1 핀을 통해 DC 전력 공급 신호를 상기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핀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부터의 주변 소음의 제거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단계;
    - 상기 제 1 핀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청취 디바이스를 장착한 센서를 구동하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에 중첩된 타이밍 클록을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의 제 2 핀을 통해 상기 청취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결정된 타입의 청취 디바이스에 따라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 상기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 및 상기 타이밍 클록에 대하여 자신을 구성하는(604)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표준 암 오디오 커넥터에 존재하는 수 커넥터를 탐지한 후에(404),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다음의 단계:
    - 상기 제 1 핀과 접지 사이에 단락 회로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06)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1 타입임을 결정하는(407) 상기 판단하는 단계;
    - 상기 타이밍 클록을 활성화함으로써(408),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 1 핀을 통해 상기 DC 전력 공급 신호에 중첩되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10)로서,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2 타입임을 결정하는(414) 상기 판단하는 단계; 및
    - 상기 타이밍 클록을 비활성화함으로써(411), 상기 제 1 핀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 미만의 전력 소비를 갖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12)로서, 그럴 경우,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된 청취 디바이스가 제 3 타입(416)이고, 그렇지 않으면 제 4 타입(415)임을 결정하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
    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14. 비일시적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DEV)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프로세서(PROC)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3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7005811A 2014-08-28 2015-08-28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자율 구성 KR101887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8054A FR3025352B1 (fr) 2014-08-28 2014-08-28 Auto-configuration d'un dispositif implementant un mecanisme d'annulation de bruit ambiant
FR1458054 2014-08-28
PCT/EP2015/069731 WO2016030499A1 (en) 2014-08-28 2015-08-28 Self-configuration of a device implementing an ambient noise cancellation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015A KR20170086015A (ko) 2017-07-25
KR101887836B1 true KR101887836B1 (ko) 2018-08-10

Family

ID=5233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811A KR101887836B1 (ko) 2014-08-28 2015-08-28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자율 구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88314B2 (ko)
EP (1) EP3186978A1 (ko)
KR (1) KR101887836B1 (ko)
CN (1) CN107113500A (ko)
FR (1) FR3025352B1 (ko)
WO (1) WO2016030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6131B (zh) * 2018-05-02 2021-05-1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转接器
US10963410B2 (en) 2018-05-08 2021-03-30 Apple Inc. Data bus driver with electrical energy dump
FR3084489B1 (fr) * 2018-07-26 2020-09-11 Etat Francais Represente Par Le Delegue General Pour Larmement Procede de detection d’au moins un equipement informatique compromis au sein d’un systeme d’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7885A (zh) 2012-11-02 2016-01-13 伯斯有限公司 在anr耳机中提供环境自然度
US20160330537A1 (en) 2015-05-06 2016-11-10 Aliphcom Hybrid headset tuned for open-back and closed-back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2416B (en) * 1997-08-18 2000-06-01 Noise Cancellation Tech Noise cancellation system for active headsets
TW200826718A (en) * 2006-12-01 2008-06-16 Wistron Neweb Corp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riminating headset type and related method
US7961895B2 (en) * 2007-05-15 2011-06-14 Fortemedia, Inc. Audio interface device and method
CN201123123Y (zh) * 2007-12-04 2008-09-24 富祐鸿科技股份有限公司 消除外界噪音的放音装置
US8223986B2 (en) * 2009-11-19 2012-07-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digital noise cancellation and digital audio path
KR101640465B1 (ko) * 2010-08-26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액세서리 인식 방법 및 장치
DE102011104268A1 (de) * 2011-06-15 2012-12-20 Austriamicrosystems Ag Kopfhörer, Audiogerät, Audiosystem und Verfahren zur Signalübertragung
GB2502983A (en) * 2012-06-12 2013-12-18 Incus Lab Ltd Electronic host device with flexible interface for accessory connection
CN203492178U (zh) * 2013-10-21 2014-03-19 宁波一凯电子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CN103533475A (zh) * 2013-10-21 2014-01-22 宁波一凯电子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7885A (zh) 2012-11-02 2016-01-13 伯斯有限公司 在anr耳机中提供环境自然度
US20160330537A1 (en) 2015-05-06 2016-11-10 Aliphcom Hybrid headset tuned for open-back and closed-back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25352A1 (fr) 2016-03-04
US20170238084A1 (en) 2017-08-17
EP3186978A1 (en) 2017-07-05
KR20170086015A (ko) 2017-07-25
FR3025352B1 (fr) 2017-12-29
WO2016030499A1 (en) 2016-03-03
US9888314B2 (en) 2018-02-06
CN107113500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93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US9319768B2 (en) Multi-standard headset support with integrated ground switching
EP3107308B1 (en) Headphones using multiplexed microphone signals to enable active noise cancellation
KR10164696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인식 회로 장치
KR101357984B1 (ko) 전자 장치 제어 시스템, 전자 장치 제어를 위한 복수의 수동 스위치를 구비한 오디오 부속물,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1887836B1 (ko) 주변 소음 제거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자율 구성
US10932067B2 (en) Head-wearable hearing device with impact enabled reboot
US201900882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path noise control
GB2502983A (en) Electronic host device with flexible interface for accessory connection
US10070221B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KR101648042B1 (ko)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시스템
CN110611852B (zh) 带有自适应控制的耳机
EP3634014A1 (en) Audio processing system
US1036603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a serial interface
CN107113351B (zh) 用于将主机设备耦合到附件设备的接口电路和通信系统以及用于这些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KR101529253B1 (ko)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JP6197593B2 (ja) 信号処理装置
JP2003282199A (ja) 接続装置
CN107452417B (zh) 数据处理电路与数据处理方法
TW202010316A (zh) 一種訊號處理系統及其方法
CN111356061A (zh) 一种能够进行语音识别的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