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553B1 -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553B1
KR101887553B1 KR1020160091151A KR20160091151A KR101887553B1 KR 101887553 B1 KR101887553 B1 KR 101887553B1 KR 1020160091151 A KR1020160091151 A KR 1020160091151A KR 20160091151 A KR20160091151 A KR 20160091151A KR 101887553 B1 KR101887553 B1 KR 10188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in body
screen
surface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477A (ko
Inventor
이경목
Original Assignee
이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목 filed Critical 이경목
Priority to KR102016009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53B1/ko
Priority to PCT/KR2017/007773 priority patent/WO201801687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63J19/006Puppets or marion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9/00Puppet, marionette, or shadow shows or theatres
    • A63J2019/003Shadow show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부; 그림자 공연에 등장하는 사물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물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물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물부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상기 사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그림자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에 안착되며, 그림자 공연의 진행을 가이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물부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스크린부에 집중되도록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면부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일측 가장자리가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단말부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대본이 상기 단말부에서 표시되도록 하고, 음악이 상기 단말부에서 재생되도록 하며, 대본에 대한 설정, 음악 재생에 대한 설정, 상기 조명부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그림자 공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PORTABLE SHADOW SHOW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스크린부 및 조명부 등이 설치되는 본체부를 휴대 가능하게 마련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그림자 공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림자 공연이란, 그림자를 이용하여 무용, 연극 등을 실시하는 공연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주로 아동들이 그 대상이다.
이러한 그림자 공연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공연에 등장하는 캐릭터 및 사물과, 이러한 캐릭터 및 사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 그리고, 빛에 의해 캐릭터 및 사물의 그림자가 형성되기 위한 스크린 등의 많은 구성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개별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 및 설치가 까다롭다. 따라서, 종래에 그림자 공연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공연이 실시되는 공간에 상술한 구성들을 이동 시키고,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스크린부 및 조명부 등이 설치되는 본체부를 휴대 가능하게 마련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그림자 공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부; 그림자 공연에 등장하는 사물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물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물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물부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상기 사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그림자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에 안착되며, 그림자 공연의 진행을 가이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물부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스크린부에 집중되도록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면부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일측 가장자리가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단말부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대본이 상기 단말부에서 표시되도록 하고, 음악이 상기 단말부에서 재생되도록 하며, 대본에 대한 설정, 음악 재생에 대한 설정, 상기 조명부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하면부는, 상기 사물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는, 일측면에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그림자 공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그림자 공연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말부를 본체부에 거치할 수 있게 본체부에 거치부를 마련함으로써, 공연 실시자가 대본, 연출상황 등을 암기하지 않고도 단말부의 화면을 확인하면서 공연을 원활하게 실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배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폐쇄하여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단말부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공연의 대본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단말부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배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개방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본체부를 폐쇄하여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100)은 본체부(110)와 사물부(120)와 조명부(130)와 스크린부(140)와 단말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휴대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면부(111)와 하면부(112)와 플레이트부(113)와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상면부(111)는 스크린부(1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하면부(1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면부(111)의 일측면에는 지지부(11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14)가 회동되면, 관객측의 스크린부(140)가 외부에 노출된다. 즉, 지지부(114)를 회동시키켜 지지부(114)의 일측 가장자리부분을 지면에 접촉시키면, 상면부(111)가 지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고, 지지부(114)를 반대로 회동시켜 지지부(114)의 일측 가장자리부분을 상면부(111)에 접촉시키면, 관객측의 스크린부(140)가 보호된다.
한편, 상면부(111)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한쌍의 플레이트부(113)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면부(111)의 일측 가장자리부분에는 손잡이부(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12c)에 의해서, 본체부(110)의 휴대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하면부(112)는 상술한 상면부(11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써 조명부(130)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각종 공연 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하면부(112)는 단말부(150)가 안착되는 거치부(112a)가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부(112a)에 의해서, 단말부(150)가 하면부(112)에 고정될 수 있고, 공연 실시자는 단말부(150)의 화면을 응시하면서 공연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12a)는 단말부(15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폭 및 높이가 조절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부(150)가 미끄러지지 않게 상면에는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고무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112)는 후술하는 사물부(120)가 설치되는 설치부(11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부(112b)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상면에 형성하는데, 이러한 관통홀에 사물부(12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사물부(120)가 공연 실시자측 스크린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부(112b)는 하면부(112)로부터 탈부착가능하게 마련된다. 설치부(112b)가 하면부(112)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서, 설치부(112b)의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 당해 그림자 공연에 사용되지 않는 사물부(120)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112)의 하측면에는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복수개로 마찰부(112d)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112d)에 의해서, 그림자 공연 도중 본체부(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본체부(11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플레이트부(113)는 평면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면부(111)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부(113)에 따르면, 조명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이 스크린부(140)에 집중될 뿐만 아니라, 조명부(130)에서 조사되는 광이 관객측으로 조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지지부(114)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면부(111)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114)는 이러한 지지부(114)가 회동되면, 관객측의 스크린부(140)가 외부에 노출된다. 즉, 지지부(114)를 회동시키켜 지지부(114)의 일측 가장자리부분을 지면에 접촉시키면, 상면부(111)가 지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고, 지지부(114)를 반대로 회동시켜 지지부(114)의 일측 가장자리부분을 상면부(111)에 접촉시키면, 관객측의 스크린부(140)가 보호된다.
따라서, 상면부(111)와 하면부(112)와 플레이트부(113)와 지지부(114)를 포함하는 본체부(110)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이동이 매우 용이해지는 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그림자 공연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물부(120)는 그림자 공연에 등장하는 사물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하면부(112)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공연 실시자측 스크린부(140)에 배치된다.
조명부(130)는 본체부(110)에 설치되며 사물부(120)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써, 하면부(112)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명부(130)는 후술하는 단말부(15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스크린부(140)는 상술한 사물부(120)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사물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그림자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본체부(110)의 상면부(111)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크린부(140)는 공연 시연자 손의 그림자가 스크린부(140)에 형성되지 않도록 상면부(111)의 타측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150mm 내지 200mm 이격되는 부분부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스크린부(140)는 가로 및 세로의 비율이 16:9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부(150)는 그림자 공연의 진행을 가이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으로써, 하면부(112)에 형성되는 거치부(112a)에 안착된다.
이러한 단말부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 등의 환경에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OS로 구동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단말부(15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복수개의 그림자 공연 대본, 연출 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며, 대본 글씨의 크기, 음악 재생 유무, 음악 볼륨, 조명부(130)의 연동 등의 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그림자 공연의 대본은 아기돼지 삼형제, 개구리 왕자, 빨간 망토,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등의 종래의 동화의 내용으로 마련되나, 이러한 대본은 그림자 공연에 적합하도록 각색된 형태의 대본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사물부도 이러한 그림자 공연의 대본의 종류에 대응되는 캐릭터, 사물 등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단말부(15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림자 공연의 진행을 가이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부(150)에 의하면, 공연 실시자가 대본, 연출상황 등을 암기하지 않고도 공연을 원활하게 실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와 사물부(120)와 조명부(130)와 스크린부(140)와 단말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100)에 의하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그림자 공연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단말부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단말부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공연의 대본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의 단말부의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부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로딩화면이 표시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에서는 공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공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본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화면에서는 대본의 글씨 크기, 음악 재생의 유무, 조명부(130)의 사용 유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말부(15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르면, 공연 실시자가 대본, 연출상황 등을 암기하지 않고도 단말부(150)의 화면을 확인하면서 공연을 원활하게 실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110 : 본체부
111 : 상면부
112 : 하면부
112a : 거치부
112b : 설치부
112c : 손잡이부
112d : 마찰부
113 : 플레이트부
114 : 지지부
120 : 사물부
130 : 조명부
140 : 스크린부
150 : 단말부
S : 수납공간

Claims (7)

  1. 휴대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부;
    그림자 공연에 등장하는 사물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물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물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물부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상기 사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그림자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크린부; 및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에 안착되며, 그림자 공연의 진행을 가이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물부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스크린부에 집중되도록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면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면부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일측 가장자리가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단말부에서 구동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대본이 상기 단말부에서 표시되도록 하고, 음악이 상기 단말부에서 재생되도록 하며, 대본에 대한 설정, 음악 재생에 대한 설정, 상기 조명부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사물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일측면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KR1020160091151A 2016-07-19 2016-07-19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KR10188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51A KR101887553B1 (ko) 2016-07-19 2016-07-19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PCT/KR2017/007773 WO2018016875A1 (ko) 2016-07-19 2017-07-19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151A KR101887553B1 (ko) 2016-07-19 2016-07-19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77A KR20180009477A (ko) 2018-01-29
KR101887553B1 true KR101887553B1 (ko) 2018-08-10

Family

ID=6099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51A KR101887553B1 (ko) 2016-07-19 2016-07-19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553B1 (ko)
WO (1) WO2018016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53B1 (ko) * 2018-11-30 2020-11-02 민광윤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061B1 (ko) * 2005-03-28 2005-06-10 오연주 학습놀이기구
KR200443847Y1 (ko) * 2008-10-28 2009-03-16 손채수 휴대용 인형극 무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7028A (en) * 1987-06-23 1989-08-15 Ofer Pail Portable puppet theater kit
US5468171A (en) * 1994-10-21 1995-11-21 Taylor; Roy Portable puppet theater systems
US7749041B2 (en) * 2006-08-18 2010-07-06 Lisa Annette Leleu Puppet theater and theater combin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061B1 (ko) * 2005-03-28 2005-06-10 오연주 학습놀이기구
KR200443847Y1 (ko) * 2008-10-28 2009-03-16 손채수 휴대용 인형극 무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77A (ko) 2018-01-29
WO2018016875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0201U (ja) 携帯型照明器具
US20150346590A1 (en) Branded monopod apparatus
US8897005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887553B1 (ko) 휴대용 그림자 공연 시스템
CN1272066A (zh) 记录媒体及娱乐系统
EP1641052B8 (en) Emission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display and light flux control member
WO2006081145A3 (en) Interactive audio/video instruction system
US20100085702A1 (en) Portable audio/video playing device disposing structure
JP2006337882A (ja) 撮像装置
JP2007164118A (ja) ディスプレイ及びディスプレイの自動安定装置
CN201663774U (zh) 电子装置
JP2009119663A (ja) 黒板装置
JP2005109672A (ja) 電子機器
JP2004527788A5 (ko)
TW200741676A (en) Optical medium recording
TW200704951A (en) Multi-functio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integrated with positioning/orientation mechanism
TW200632258A (en) Method of making a louver device for a light guide screen
TW200703261A (en) Pickup unit, drive unit, recording medium drive,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066664A1 (en) Bluetooth audio
KR101749619B1 (ko) 향기 발산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00000517A (ko) 비닐피복장치
US20130025432A1 (en) Combination carrying case and kick drum creep preventer
KR20150122459A (ko) 휴대용 랜턴
TW200634732A (en) Optical disk apparatus
CN207367401U (zh) 便于英语教学的辅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