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780B1 -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780B1
KR101886780B1 KR1020160140244A KR20160140244A KR101886780B1 KR 101886780 B1 KR101886780 B1 KR 101886780B1 KR 1020160140244 A KR1020160140244 A KR 1020160140244A KR 20160140244 A KR20160140244 A KR 20160140244A KR 101886780 B1 KR101886780 B1 KR 10188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ransmission
uplink
server
accoun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647A (ko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29Service quality level-based billing, e.g. dependent on measured service level customer is charged more or 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NETWORLK INTERLOCK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oT 네트워크는, 원격지의 IoT 단말과, 원격지의 IoT 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물인터넷용 어플리케이션(이하 IoT앱이라 함)이 설치된 고객단말과,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또는, IoT앱 서버), IoT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예: 기지국)로 구성된다.
또한, IoT 네트워크에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관리를 위한 CCBS(Customer Care & Biliing System)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CCBS장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변경되는 모든 고객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고객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데이터(Charging Data Record, 이하 CDR)를 확인하여 과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과금의 대상은, IoT 단말/기지국/네트워크장치 3개의 노드 간에 송수신되는 업링크/다운링크 패킷이며, 이때 시그널링 및 헤더는 제외된다.
한편, 고객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이하, 고객사서버)를 구축하여 IoT 네트워크에 연동해야만 한다.
이에, 현재 IoT 네트워크에는, 고객사서버와의 연동을 위해 네트워크연동서버(Network Interlock Server)가 더 포함되게 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는, IoT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장치와 고객사서버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도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장치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한편, 고객사서버와의 연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재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실질적으로 패킷에 대한 교환기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는 네트워크장치가 될 것이므로, 네트워크장치는 과금 정산을 위해 과금데이터(CDR)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를 통해 CCBS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네트워크장치는, 패킷이 네트워크연동서버까지 전송된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고객사서버까지 패킷이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잘못된 과금을 요청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IoT 단말이 주기적인 보고를 통해 업링크패킷을 전송하였으나, 네트워크연동서버와 고객사서버 간의 네트워크가 단절되는 등의 장애 발생으로 인해, 업링크패킷이 정상적으로 고객사서버로 전송되지 못하였음에도 과금을 요청하게 되는 잘못된 과금 요청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에, 고객사서버까지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세하게는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실현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연동서버는, 특정패킷에 대한 제1 전송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과금데이터를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 과금관리부; 상기 특정패킷과 관련된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특정패킷에 대한 제2 전송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과금관리부; 상기 제1 과금데이터 및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과금데이터는, 상기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전송되는 시점 이후 상기 네트워크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2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은, 특정패킷에 대한 제1 전송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과금데이터를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 과금관리단계; 상기 특정패킷과 관련된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특정패킷에 대한 제2 전송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과금관리단계; 상기 제1 과금데이터 및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과금관리단계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과금데이터는, 상기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에서 상기 네트워크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과금관리부단계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과금관리부단계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연동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시 제1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시 제1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시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시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는, 원격지의 IoT 단말(예: 단말1,2,...N)(100), 원격지의 IoT 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IoT앱이 설치된 고객단말(미도시)과,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200, IoT앱 서버), IoT 단말(100) 및 네트워크장치(200) 사이에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예: 기지국1,2,...)로 구성된다.
또한, IoT 네트워크에는, 고객 별 과금을 정산하는 과금장치(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과금장치(400)는, CCBS(Customer Care & Biliing System)장치 일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등록/변경되는 모든 가입자정보(고객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고객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데이터(Charging Data Record, 이하 CDR)를 확인하여 과금을 정산하게 된다.
여기서, 과금의 대상은, IoT 단말/기지국/네트워크장치 3개의 노드 간에 송수신되는 업링크/다운링크 패킷이며, 이때 시그널링 및 헤더는 제외된다.
한편, 고객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이하, 고객사서버)(500)를 구축하여 IoT 네트워크에 연동해야만 한다.
이에, 현재 IoT 네트워크에는, 고객사서버(500)와의 연동을 위해 네트워크연동서버(Network Interlock Server)(300)가 더 포함되게 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IoT 네트워크 내 네트워크장치(200)와 고객사서버(500)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도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장치(200)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한편, 고객사서버(500)와의 연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재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실질적으로 패킷에 대한 교환기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는 네트워크장치(200)가 될 것이므로, 네트워크장치(200)는 과금 정산을 위해 과금데이터(CDR)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를 통해 과금장치(400)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네트워크장치(200)는, 패킷이 네트워크연동서버(300)까지 전송된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고객사서버(500)까지 패킷이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잘못된 과금을 요청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1이 주기적인 보고를 통해 업링크패킷을 전송하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고객사서버(500)로 업링크패킷이 전송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업링크패킷을 전송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패킷을 고객사서버(500)로 전달하게 될 것이며, 이에 고객사서버(500)에서는 업링크 패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가 단절되는 등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라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패킷을 고객사서버(500)로 전송하지 못하거나, 또는 고객사서버(500)로 전송을 했더라도 장애로 인한 데이터 손실로 인해 고객사서버(500) 측에서 업링크 패킷의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장치(200)는, 고객사서버(500)까지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업링크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되기만 한다면 정상적인 패킷 전송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며, 이에 잘못된 과금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고객사서버(500)까지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를 중심으로 네트워크장치(200)와의 네트워크영역1에서 패킷 전달성공여부를 보장하고, 고객사서버(500)와의 네트워크영역2에서 패킷 전달성공여부를 보장한 결과에 기초하여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실현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연동서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에 대한 제1 전송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과금데이터를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제1 과금관리부(310), 특정패킷과 관련된 고객사서버(500)로부터 특정패킷에 대한 제2 전송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과금관리부(320), 제1 과금데이터 및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는 송신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제공과 관련되는 모든 메시지들(예: 업링크패킷, 다운링크패킷 등)을 수신하는 수신부(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과금데이터의 경우, 헤더(Header) 필드(F1), 바디(Body) 필드(F2), 풋터(Footer) 필드(F3)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바디(Body) 필드(F2)에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실현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되는 세부필드들(F211-F222), 특히 특정패킷의 방향, 송수신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시작시간/종료 시간, 해당 과금데이터의 시퀀스 번호, 과금여부정보, 단말식별자 등과 관련된 필드가 포함되게 된다.
[표 1]
Figure 112016104323408-pat00001
이에,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특정패킷에 대한 상향/하향전송이 성공한 경우에는 세부필드(F211-F222)에 해당하는 필드값이 포함된 제1 과금데이터가 생성될 것이며,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특정패킷에 대한 상향/하향전송이 성공한 경우에는 세부필드(F211-F222)에 해당하는 필드값이 표시된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의 제1 과금관리부(310), 제2 과금관리부(320), 송신부(330) 및 수신부(34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 과금관리부(310)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특정패킷에 대한 제1 전송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과금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패킷은 특정단말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이며, 특정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단말(1,2,3...N) 중 어떤 단말일 수도 있다. 다만, 최초 개통 과정에서 고객사서버(500)가 구독(subscribe)을 요청을 하게 되는 단말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의 최초 개통 과정에서 고객사서버(500)가 구독(subscribe)을 요청한다면, 단말1이 특정단말이 될 것이며, 단말1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 및 단말1로 수신되는 다운링크패킷이 특정패킷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단말로서 단말1을 언급하며,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먼저 네트워크장치에서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단말1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에 의해 제1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1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면, 업링크패킷을 기반으로 컨텐츠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포함하는 제1 발행패킷을 생성한다(S100-S102).
여기서, 제1 발행패킷은, "PUBLISH(contentInstanceCreate-rc)"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며, 이 패킷에는 업링크패킷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컨텐츠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이후,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1의 구독(subscribe)을 요청한 고객사서버(500)로 제1 발행패킷이 전송될 수 있도록, 제1 발행패킷을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S103).
그러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제1 발행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응답패킷은, "PUBACK"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이후,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제1 발행패킷에 포함되는 컨텐츠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제2 발행패킷을 생성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발행패킷은, "PUBLISH(statusCode)"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며, 이 패킷에는 컨텐츠정보의 이상여부를 확인한 상태코드가 포함되게 된다.
이에,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2 발행패킷이 수신되면, 제2 발행패킷의 상태코드를 확인하여 네트워크연동서버(300)까지 정상적으로 업링크패킷이 전송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S104).
이후, 네트워크장치(200)는, 제2 발행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한다(S106). 여기서, 응답패킷은, "PUBACK"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1로부터 업링크패킷을 수신한 시점(T11)에서부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2 발행패킷이 수신되는 시점(T12)까지의 상향전송과정1의 수행이 완료되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2 발행패킷까지의 수신이 완료되면,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는 제2 발행패킷으로 보면 될 것이다.
이처럼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성공이 확인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S107, S108).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단말1로 수신되는 다운링크패킷에 의해 제1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2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를 통해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구독(subscribe) 중인 단말1로 다운링크패킷이 전송될 수 있도록, 단말1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관련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3 발행패킷을 생성하게 된다(S200).
여기서, 제3 발행패킷은, "PUBLISH(mgmtCmdControl)"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며, 이 패킷에는 단말1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관련정보 등이 포함되게 된다.
이후,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단말1로 제3 발행패킷이 전송될 수 있도록, 제3 발행패킷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S201).
그러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제3 발행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한다(S202). 여기서, 응답패킷은, "PUBACK"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단말1로부터 업링크패킷을 수신한 이후에야,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다운링크패킷을 단말1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특징적인 환경을 갖는다.
이에,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1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3 발행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S203-S206).
전술에 따라 단말1로 제3 발행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1은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한다(S207, S208). 여기서, 응답패킷은, 다운링크패킷의 이상여부를 확인한 ACK값(예: 1)이 포함되게 된다.
그러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응답패킷을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제4 발행패킷을 생성하여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S209). 여기서, 제4 발행패킷은, "PUBLISH(statusCode)"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며, 이 패킷에는 컨텐츠정보의 이상여부를 확인한 상태코드가 포함되게 된다.
이후,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4 발행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수신한다(S210). 여기서, 응답패킷은, "PUBACK" 메시지 형태로 전송된다.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3 발행패킷을 수신한 시점(T21)에서부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제4 발행패킷을 전송하는 시점(T22)까지의 하향전송과정1의 수행이 완료되게 되면,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제4 발행패킷까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는 제4 발행패킷으로 보면 될 것이다.
이처럼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성공이 확인되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S211, S212).
정리하면,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20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에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2 발행패킷이 수신되는 시점(T12) 이후에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에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제4 발행패킷을 전송하는 시점(T22) 이후에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게 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네트워크연동서버(300) 내 제1 과금관리부(310)의 설명을 이어 가면, 제1 과금관리부(31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에는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에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즉, 앞선 도 3 및 도 4에서도 설명하였듯이,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부터 제2 발행패킷까지의 수신이 완료되면,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고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제1 과금관리부(31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가 제2 발행패킷, 즉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하여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는,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제4 발행패킷까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고 제1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제1 과금관리부(310)는,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4 발행패킷, 즉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과금관리부(32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특정패킷에 대한 제2 전송관련정보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제2 과금관리부(320)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언급하여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되면, 고객사서버(500)가 업링크패킷을 요청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S300-S302).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한다.
이 경우, 업링크패킷이 네트워크연동서버(300)까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으나, 고객사서버(500)에서 업링크패킷을 소정의 시간 동안 요청하지 않아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업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이 고객사로 요청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
한편,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된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업링크패킷을 고객사서버(5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고객사서버(500)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한다(S304-S306).
이처럼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성공이 확인되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과금데이터와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S307, S308).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수신이 요청된 시점(T31)에서부터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패킷이 수신된 시점(T32)까지의 상향전송과정2의 수행이 완료되게 되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패킷까지의 수신이 완료되면,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는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으로 보면 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네트워크연동서버(300) 내 제2 과금관리부(320)의 설명을 이어 가면, 제2 과금관리부(32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T32)에서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정리하면, 앞선 도 5에서도 설명하였듯이,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의 수신이 완료되면,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일 때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면,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업링크패킷에 대한 상향전송과정1이 성공하였으며,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업링크패킷에 대한 상향전송과정2이 모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업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을 위해 제1 과금데이터와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도, 설명의 편의 상, 제2 과금관리부(320)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언급하여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다운링크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앞선 도 4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단말1로 다운링크패킷이 전송될 수 있도록 단말1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관련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3 발행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한 후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S400-S406).
이때, 고객사서버(500)는, 자신이 다운링크패킷을 전송한 것이므로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되기 이전 또는 이후의 시점에서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전송결과, 즉 하향전송결과패킷을 요청하게 될 것이다(S407).
한편,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생성 및 수신되었다는 것은, 다운링크패킷이 이상 없이 정상적으로 단말1로 전송되어야만 가능한 것이므로,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되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하향전송결과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고객사서버(500)로 전송하게 된다(S408).
그러면, 고객사서버(500)는, 하향전송결과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한다(S409).
이처럼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하향전송결과패킷이 수신되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과금데이터와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S410, S411).
전술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요청된 시점(T41)에서부터 고객사서버(500)로부터 하향전송결과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이 수신된 시점(T42)까지의 하향전송과정2의 수행이 완료되게 되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하향전송결과패킷에 대한 응답패킷까지의 수신이 완료되면,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는 하향전송결과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으로 보면 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네트워크연동서버(300) 내 제2 과금관리부(320)의 설명을 이어 가면, 제2 과금관리부(320)는,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고객사서버(500)로부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T42)에서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정리하면, 앞선 도 6에서도 설명하였듯이,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고객사서버(500)로부터 하향전송결과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의 수신이 완료되면,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 일 때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면,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하향전송과정1이 성공하였으며,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하향전송과정2가 모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을 위해 제1 과금데이터와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6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특정패킷과 관련된 제1 과금데이터를 수신한다(S5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에 도시된 단말(1,2,3...N) 중 특정단말로서 단말1을 언급하며, 특정패킷은 단말1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패킷 및 단말1로 수신되는 다운링크패킷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후,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10).
S510 단계의 판단결과,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20).
S520 단계의 판단결과,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한다.
이 경우, 업링크패킷이 네트워크연동서버(300)까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으나, 고객사서버(500)에서 업링크패킷을 소정의 시간 동안 요청하지 않아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업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이 고객사로 요청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하게 된다.
한편, S520 단계의 판단결과,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된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업링크패킷을 고객사서버(5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고객사서버(500)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업링크패킷에 대한 응답패킷, 즉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면,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으로 판단하여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S540, S550).
이후,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업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을 위해 제1 과금데이터 및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달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일 때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면,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업링크패킷에 대한 상향전송과정1이 성공하였으며,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업링크패킷에 대한 상향전송과정2이 모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업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을 위해 제1 과금데이터와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S510 단계의 판단결과,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이 아닌 경우,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은 다운링크패킷이므로 고객사서버(500)의 요청에 따라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전송결과, 즉 하향전송결과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고객사서버(500)로 전송한다(S408).
그러면, 고객사서버(500)는, 하향전송결과패킷을 수신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응답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연동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고객사서버(500)로부터 하향전송결과패킷에 대한 응답패킷, 즉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면, 다운링크패킷의 전송 성공으로 판단하여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한다(S570, S580).
이후,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을 위해 제1 과금데이터 및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달한다.
즉, 네트워크연동서버(300)는,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 일 때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면, 네트워크장치(200)와 네트워크연동서버(300) 간의 네트워크영역1에서의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하향전송과정1이 성공하였으며, 네트워크연동서버(300)와 고객사서버(500) 간의 네트워크영역2에서의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하향전송과정2가 모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운링크패킷에 대한 과금을 위해 제1 과금데이터와 제2 과금데이터를 과금장치(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의사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과금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과금 정산 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IoT 단말
200 : 네트워크장치
300 : 네트워크연동서버
310 : 제1 과금관리부 320 : 제2 과금관리부
330 : 송신부 340 : 수신부
400 : 과금장치
500 : 고객사서버

Claims (11)

  1. 특정패킷에 대한 제1 전송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과금데이터를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 과금관리부;
    상기 특정패킷과 관련된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특정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전송관련정보가 확인되면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과금관리부; 및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를 상기 제2 과금데이터와 함께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데이터는,
    상기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전송되는 시점 이후 상기 네트워크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관리부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
  7. 특정패킷에 대한 제1 전송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과금데이터를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 과금관리단계;
    상기 특정패킷과 관련된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특정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전송관련정보가 확인되면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과금관리단계; 및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제2 과금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를 상기 제2 과금데이터와 함께 과금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관리단계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금데이터는,
    상기 제1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1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전송되는 시점에서 상기 네트워크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관리단계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상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패킷이 다운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성공과 관련되는 제2 하향전송관련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금관리단계는,
    상기 특정패킷이 업링크패킷인 경우, 상기 제1 과금데이터가 수신된 이후, 상기 고객사서버로부터 상기 업링크패킷에 대한 전송이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과금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연동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60140244A 2016-10-26 2016-10-26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88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44A KR101886780B1 (ko) 2016-10-26 2016-10-26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44A KR101886780B1 (ko) 2016-10-26 2016-10-26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47A KR20180045647A (ko) 2018-05-04
KR101886780B1 true KR101886780B1 (ko) 2018-08-08

Family

ID=6219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244A KR101886780B1 (ko) 2016-10-26 2016-10-26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7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32A (ko) * 2000-11-14 2002-05-21 심상호 웹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방법및 그 장치
KR100491640B1 (ko) * 2002-11-13 2005-05-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데이터서비스별 과금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47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54142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lightweight machine to machine (lwm2m) internet of things (lot) devices through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 (scef) t8 interface
US20200336320A1 (en) Charging for mtc small data transmission and trigger at mtc-iwf
KR101931858B1 (ko) M2m 시스템에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3795689A (zh) 资源订阅方法及装置
US8935413B2 (en) Delivery report for text messages in SIP communications
JP6645598B2 (ja) 装置、scsエンティティ、及びこれらの方法
CN106576285B (zh) 一种apn配置方法、用户设备和配置服务器
US9014730B2 (en) Device reachability in LTE networks for text messaging
US20120322468A1 (en) Interface between restful web services and packet-switched networks for text messaging
KR101886780B1 (ko) 네트워크연동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7574203B2 (en) Method for retrieving and delivering multimedia messages using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N112584332A (zh) 短消息传输方法、装置和系统、注册方法和装置
US20170373863A1 (en) Method for managing the reporting of the presence of a terminal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8029010A (zh) 路由规则传输方法、设备和系统
US20090028117A1 (en)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and service state information to application servers
CN105207882A (zh) 消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20125091A (ko) 장치/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US20140378103A1 (en) Archiving a delivery status for a text message
KR102198113B1 (ko)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762745B2 (en) Protocol for bill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network operators
KR101916668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39198A (ko) Receiver CSE에서 request/response primitive를 정상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Generic Procedure
WO2023098403A1 (zh) 国际漫游短消息的计费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60608B1 (ko) M2m 시스템에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02675A (ko) 통신 시스템의 무료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