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97B1 -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97B1
KR101886197B1 KR1020180062498A KR20180062498A KR101886197B1 KR 101886197 B1 KR101886197 B1 KR 101886197B1 KR 1020180062498 A KR1020180062498 A KR 1020180062498A KR 20180062498 A KR20180062498 A KR 20180062498A KR 101886197 B1 KR101886197 B1 KR 101886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d
waiting
delete delet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홍
Original Assignee
고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기홍 filed Critical 고기홍
Priority to KR102018006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설치홀이 형성되며,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와; 상기 창호 설치홀에 설치되는 창호와; 상기 창호 설치홀의 양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배치되는 세정부와; 상기 실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부를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Veranda window structure for apartment}
본 발명은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조작 버튼을 누름을 통해 창호의 외면을 자동으로 세정할 수 있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외측은 주부들이 쉽게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와, 일반청소도구로 청소할 때는 추락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 그리고 외부청소업체에 청소용역을 줄 경우 발생하는 비용문제로 자주 창문을 청소할 수 없는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국내 특허공보 공개번호 10-0002015는 브러시를 두 개 사용하고 두 개의 브러시 사이 중앙에 돌출된 지레받침점이 있어 지렛대의 원리, 즉 시이소오가 동작하는 것과 같이 받침점을 중심으로 유리창 청소기 사용시 항상 한쪽의 브러시가 유리창에 닿으면 다른 쪽의 브러시는 유리창에 닿지 않게 되도록 하여 청소기의 진행방향을 양 방향으로 왕복 사용해도 유리창이 깨끗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국내 특허공보 출원번호 10-0057487은 청소기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한 형태의 한토막과, 상기 토막의 내측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브러시를 착탈 가능하도록 요홈 형상의 브러시 홀더를 형성하여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개구 된 양 옆면을 커버하는 마무리 뚜껑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이루고, 상기 브러시 홀더에 착탈 가능한 브러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에 노출 삽입되는 급수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54204는 사용자가 유리창 앞면을 닦는 것과 동일한 방법과 동작으로 유리창의 바깥면을 닦을 수 있도록 T자형 유리창 청소기의 세로 손잡이 막대자루의 상부를 ㄷ자형으로 변형시키고 이 ㄷ자형의 홈 안에 유리창틀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유리창 청소구의 접촉면이 유리창의 바깥 면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022969는 파이프 본체 내에 작동봉을 관삽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하면 본체의 첨단에는 작동간을 유착하여 전후, 상하유동 되는 브러쉬 판과 일체를 형성하고 작동간과 작동봉을 각도조절간으로 연결하여 작동봉의 전후진에 따라 작동간이 상하로 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발명들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외측을 청소하고자 할 때 청소원이 추락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와 청소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실내에서 창호의 외측면을 세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일정 주기 별 작업자가 직접 로프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해당 창호를 세정하더라도, 외부 대기의 상태에 따라 길지 않은 시점에서 창호의 외측면이 다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종래에는 창호의 오염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세정을 이루지 못하고, 단지별 또는 개인별 임의 시점에서 외부 청소 용역 업체에 의뢰하여 세정을 진행함에 따라 세정의 시간이 길어지고, 세정 후 다시 재오염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창호의 오염 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일정 이상의 오염도를 이루는 경우 자동으로 창호의 외측면을 세정하도록 할 수 있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양측벽에 세정 장치의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실내에서 별도의 조작 버튼을 누르면 세정 장치가 건물의 외측벽으로 돌출하여 세정을 이루도록 하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양측벽 내부에서 세정을 마친 세정 장치를 자체 세정을 수행하여 차후 세정 작업을 즉시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세정 부재에 다수의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브러쉬들을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창호 설치홀이 형성되며,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와; 상기 창호 설치홀에 설치되는 창호와; 상기 창호 설치홀의 양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배치되는 세정부와; 상기 실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부를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부는, 상기 창호 설치홀의 양측부에 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세정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으면, 상기 벽체로부터 상기 실외측으로 동시에 돌출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정수를 상기 창호의 외측면에 분사하여 세정하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벽체의 양측부에는, 제 1,2대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대기홈은 양단부가 상기 실내 및 상기 실외에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기 제 1,2대기홈은 양단부에는, 한 쌍의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세정부는,
상기 제 1대기홈에 배치되는 제 1세정부와,
상기 제 2대기홈에 배치되는 제 2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도어는, 상기 제 1대기홈과 상기 제 2대기홈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단과,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힌지단에 축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어 각각을 회전 개방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기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도어 중 상기 실외 측에 배치되는 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제 1세정부와 상기 제 2세정부를 실외에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세정부와 상기 제 2세정부 각각은, 제 1로드와,
상기 제 1로드에 제 1힌지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로드와,
상기 제 1로드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로드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2로드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갖는 제 2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로드와,
상기 회전 로드의 외주에 설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회전 로드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대기홈과 상기 제 2대기홈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블록은,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이동 블록에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은, 상기 제 1로드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모터와 상기 리니어 모터와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창호의 오염 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일정 이상의 오염도를 이루는 경우 자동으로 창호의 외측면을 세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양측벽에 세정 장치의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실내에서 별도의 조작 버튼을 누르면 세정 장치가 건물의 외측벽으로 돌출하여 세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양측벽 내부에서 세정을 마친 세정 장치를 자체 세정을 수행하여 차후 세정 작업을 즉시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세정 부재에 다수의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브러쉬들을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브러쉬가 창호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의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세정부가 제 1대기홈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세정부가 실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1모터를 통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가 격 판을 더 구비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 판 및, 진공기가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에 센서가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브러쉬가 창호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의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는 창호 설치홀(110)이 형성되며,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100)와, 상기 창호 설치홀(110)에 설치되는 창호(200)와, 상기 창호 설치홀(110)의 양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배치되는 세정부(300)와, 상기 실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부(300)를 구동시키는 조작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부(300)는, 상기 창호 설치홀(110)의 양측부에 한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세정부(300)는, 상기 조작부(400)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으면, 상기 벽체(100)로부터 상기 실외 측으로 동시에 돌출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정수를 상기 창호(200)의 외측면에 분사하여 세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세정부가 제 1대기홈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실외측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제 1대기홈(101)에 제 1세정부(1)가 대기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제 2세정부(2) 역시 동일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제 1세정부(1)와 제 2세정부(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세정부가 실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1모터를 통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 1세정부(1)의 회전 로드(350)에 설치된 브러쉬(360)가 창호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100)에 세정부가 배치되는 예를 설명한다.
상기 벽체(100)의 양측부에는, 제 1,2대기홈(101, 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대기홈(101, 102)은 양단부가 상기 실내 및 상기 실외에 개방된다.
개방되는 상기 제 1,2대기홈(101, 102)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세정부(300)는, 상기 제 1대기홈(101)에 배치되는 제 1세정부(1)와, 상기 제 2대기홈(102)에 배치되는 제 2세정부(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도어(120)는, 상기 제 1대기홈(101)과 상기 제 2대기홈(102)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단(H)과, 제어기(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힌지단(H)에 축(131)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어 각각을 회전 개방시키는 회전 모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제어기(5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회전 모터(130)를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도어(120) 중 상기 실외 측에 배치되는 도어(120)를 개방시켜, 상기 제 1세정부(1)와 상기 제 2세정부(1)를 실외에 노출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세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세정부(1, 2)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 1세정부(1)와 상기 제 2세정부(2) 각각은, 제 1로드(310)와, 상기 제 1로드(310)에 제 1힌지(H1)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로드(320)와, 상기 제 1로드(3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로드(320)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330)와, 상기 제 2로드(320)에 설치되며, 회전축(341)을 갖는 제 2모터(340)와, 상기 회전축(341)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34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로드(350)와, 상기 회전 로드(350)의 외주에 설치되는 브러쉬(360)와, 상기 회전 로드(350)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모터(330)는 제 1힌지(H1)와 축 연결된다. 제 1모터(330)는 제 2로드(320) 및 회전 로드(350)를 직립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시킨다. 즉, 제 1모터(330)는 제 2로드(320) 및 회전 로드(350)를 Y축을 회전 축선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각 세정부(1, 2)는 제 1,2대기홈(101, 102)에 수용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대기홈(101)과 상기 제 2대기홈(102)에는, 레일(140)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140)에는, 상기 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15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 블록(150)은, 리니어 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레일(140)을 따라(Y축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이동 블록(150)에는, 승강축(171)을 갖는 승강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축(161)은, 상기 제 1로드(310)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 1,2모터(330, 340)와 상기 리니어 모터(160)와 상기 승강기(170)는 상기 제어기(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과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은 창호의 오염 정도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일정 이상의 오염도를 이루는 경우 자동으로 창호의 외측면을 세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양측벽에 세정 장치의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실내에서 별도의 조작 버튼을 누르면 세정 장치가 건물의 외측벽으로 돌출하여 세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의 양측벽 내부에서 세정을 마친 세정 장치를 자체 세정을 수행하여 차후 세정 작업을 즉시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세정 부재에 다수의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브러쉬들을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벽체
101 : 제 1대기홈
102 : 제 2대기홈
200 : 창호
310 : 제 1로드
320 : 제 2로드
330 : 제 1모터
340 : 제 2모터
350 : 회전 로드
360 : 브러쉬
370 : 세정수 공급부
400 : 조작부
500 : 제어기
700 : 격판
710 : 털이 부재
800 : 센서

Claims (5)

  1. 창호 설치홀이 형성되며,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
    상기 창호 설치홀에 설치되는 창호;
    상기 창호 설치홀의 양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배치되는 세정부;
    상기 실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세정부를 구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부는, 상기 창호 설치홀의 양측부에 한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세정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받으면, 상기 벽체로부터 상기 실외측으로 동시에 돌출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정수를 상기 창호의 외측면에 분사하여 세정하되,
    상기 벽체의 양측부에는, 제 1,2대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대기홈은 양단부가 상기 실내 및 상기 실외에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기 제 1,2대기홈은 양단부에는, 한 쌍의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세정부는,
    상기 제 1대기홈에 배치되는 제 1세정부와,
    상기 제 2대기홈에 배치되는 제 2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도어는, 상기 제 1대기홈과 상기 제 2대기홈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단과,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힌지단에 축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도어 각각을 회전 개방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세정부와 상기 제 2세정부 각각은,
    제 1로드와,
    상기 제 1로드에 제 1힌지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로드와,
    상기 제 1로드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2로드를 회전시키는 제 1모터와,
    상기 제 2로드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갖는 제 2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로드와,
    상기 회전 로드의 외주에 설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회전 로드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대기홈과 상기 제 2대기홈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 블록은,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이동 블록에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축은, 상기 제 1로드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모터와 상기 리니어 모터와 상기 승강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2498A 2018-05-31 2018-05-31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KR10188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498A KR101886197B1 (ko) 2018-05-31 2018-05-31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498A KR101886197B1 (ko) 2018-05-31 2018-05-31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197B1 true KR101886197B1 (ko) 2018-08-07

Family

ID=6325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498A KR101886197B1 (ko) 2018-05-31 2018-05-31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0042A (zh) * 2021-06-02 2021-09-28 胡赞 一种自清洁防护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665B1 (ko) * 2000-04-12 2002-12-05 최인동 유리창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665B1 (ko) * 2000-04-12 2002-12-05 최인동 유리창 청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0042A (zh) * 2021-06-02 2021-09-28 胡赞 一种自清洁防护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637B1 (ko) 유리창 자동 세척장치
KR101932903B1 (ko) 크리닝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창호구조
EP2323527B1 (en) A window assembly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KR101886197B1 (ko) 공동 주택용 베란다 창호 구조
KR101427215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창호
KR200381835Y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창문 자동세척장치
CN116568903A (zh) 自动化窗户清洗设备
JP2001182454A (ja) 窓拭き機能付き窓枠並びに窓拭き具
KR100747410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창문 자동세척장치
KR20060087305A (ko) 청소기능이 있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CN109464061A (zh) 一种带电动滚动毛刷清洗装置窗户
KR102515658B1 (ko) 자가세정기능을 갖는 외부창틀구조
CN210381122U (zh) 一种用于智慧建筑的智能监控装置
KR102287824B1 (ko) 실시간 셀프 세정이 가능한 공동주택 발코니 창호 구조물
CN208879201U (zh) 一种室外直插显示屏
KR100690167B1 (ko) 공동주택용 이동식 발코니창문 청소장치
CN212326276U (zh) 一种清扫装置
KR102397636B1 (ko) 자동 청소장치 및 시스템
CN109833022A (zh) 一种鞋底清洁器
KR101962711B1 (ko) 세정 기능을 구비한 베란다 창호 구조
CN211473265U (zh) 一种便于收集边角废料的建筑用墙面粉刷装置
KR100515769B1 (ko) 공동주택용 창문유리의 크리닝장치
KR100968699B1 (ko) 유리판 내외부 동시 청소용 창문
KR200238595Y1 (ko)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KR20030084308A (ko) 신발 자동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