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86B1 -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86B1
KR101885586B1 KR1020170056899A KR20170056899A KR101885586B1 KR 101885586 B1 KR101885586 B1 KR 101885586B1 KR 1020170056899 A KR1020170056899 A KR 1020170056899A KR 20170056899 A KR20170056899 A KR 20170056899A KR 101885586 B1 KR101885586 B1 KR 101885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pecific
terminal
micro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트웨이(Gateway) 구현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ICROSERVICE}
본 발명은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트웨이(Gateway) 구현 방안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변경과 조합이 용이한 구조의 아키텍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쪼개어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독립적인 단위의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변경이 용이하고 그 변경이 다른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부하가 집중되는 특정서비스를 위해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스케일 아웃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자원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독립적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 대한 처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요청/응답처리가 많아지고 데이터의 정합성을 맞추기 어려워 서비스 관리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이크로서비스 게이트웨이(이하, 게이트웨이)를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단순히 게이트웨이만 추가하게 된다면 증가하는 트래픽으로 인한 응답지연, 성능저하 등을 초래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트웨이(Gateway) 구현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기존과 달리 마이크로서비스의 추가/삭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단말의 서비스 표시 성능을 고려하여 출력 가능한 화면을 결정한 후 사용자의 관심분야가 반영된 마이크로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서비스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특정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확인한 후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API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상기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인증보안부; 및 상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로 전달하는 라우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을 검출하여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하는 서비스라우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서비스는, 상기 특정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이용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제1 마이크로서비스와, IPTV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서비스에 해당하는 제2 마이크로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제2 마이크로서비스 중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로 교체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실행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실행제어부는, 서로 동일한 모델명의 단말에서 동일한 상기 특정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해당 특정서비스컨텐츠를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동작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서비스접속제어단계; 및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특정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확인한 후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컨텐츠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상기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인증보안단계; 및 상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로 전달하는 라우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서비스는, 상기 특정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이용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제1 마이크로서비스와, IPTV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서비스에 해당하는 제2 마이크로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컨텐츠생성단계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을 검출하여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하는 서비스라우팅단계; 및 상기 제2 마이크로서비스 중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실행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실행제어단계는, 서로 동일한 모델명의 단말에서 동일한 상기 특정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해당 특정서비스컨텐츠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트웨이(Gateway) 구현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기존과 달리 마이크로서비스의 추가/삭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단말의 서비스 표시 성능을 고려하여 출력 가능한 화면을 결정한 후 사용자의 관심분야가 반영된 마이크로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서비스 요청 시 획일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하던 것과 달리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능동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가 적용되는 통신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결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 내 구성들에 의한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가 적용되는 통신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통신 환경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IPTV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환경일 수 있으며, 단말(100) 및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100)은, IPTV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에서 IPTV서비스와 관련된 특정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로부터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자신의 화면상에 출력하거나, 또는 다른 단말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00)은,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및 노트북, 셋탑박스 등과 IPTV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0)이 셋탑박스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하여 IPTV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100)의 서비스 접속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서비스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API게이트웨이(API Gateway)가 분리된 상태에서, 단말(100)의 서비스 요청 시 서비스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와 API게이트웨이(API Gateway)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여,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00)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단말(100)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 및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특정서비스와 관련하여 특정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확인한 후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1,2,..)를 결정하여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API게이트웨이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가 독립적으로 저장되도록 마이크로서비스(1,2,..) 별로 매칭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B1,DB2,..)를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의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 API게이트웨이부(220) 및 데이터베이스부(23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는,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트웨이(Gateway) 구현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기존과 달리 마이크로서비스의 추가/삭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100)의 서비스 접속을 관리한다. 즉,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앞서 언급한 서비스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인증보안부(211), 라우팅부(212), 밸런싱관리부(213) 및 트래픽관리부(214)를 포함한다.
인증보안부(211)는, 단말(1,2,..)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단말(1,2,..)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보안부(211)는, 단말(1,2,..)의 식별자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한다. 여기서, 등록관련정보는, IPTV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입과정에서 저장되는 정보로서, 단말의 식별자, 단말의 위치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인증보안부(211)는, 단말1의 식별자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에 존재하면, 단말1이 서비스 가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1을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로 결정한다. 이후, 인증보안부(211)는, 특정단말의 접속을 허가하고, 필요에 따라 보안접속을 제공한다.
라우팅부(212)는,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API게이트웨이부(220)로 알린다.
즉, 라우팅부(212)는, 인증보안부(211)로부터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이 결정되면, 특정단말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에는,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특정서비스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이후, 라우팅부(212)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API게이트웨이부(220)로 전달한다.
밸런싱관리부(213)는, 단말(1,2,..) 별로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면, 서비스간의 로드를 분산하고 재배치한다.
트래픽관리부(214)는, 특정서비스의 트래픽에 대한 통제를 수행한다.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API게이트웨이부(220)는, 앞서 언급한 API게이트웨이(API Gateway)일 수 있다.
이러한, API게이트웨이부(220)는, 서비스라우팅부(221), 서비스실행제어부(222), 프로토콜변환부(223) 및 API관리부(224)를 포함한다.
서비스라우팅부(221)는,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로부터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로부터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라우팅부(221)는,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한다. 이때, 특정단말의 식별자 별로 대응하는 모델명이 미리 매칭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서비스라우팅부(221)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로부터 특정단말의 식별자가 확인되면, 특정단말의 식별자에 미리 매칭되어 있는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서비스라우팅부(221)는,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을 검출하여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는,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특정서비스의 종류(예: 메뉴화면, 시놉시스화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되는 기본프레임화면이 2개 이상일 때,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고려하는 것은,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기반으로 표시성능을 확인하여 특정단말에서 최적화된 상태의 서비스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결정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기본프레임화면이 2개(300a,300b)이고,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출력 가능한 기본프레임화면으로 기본프레임화면(300b)이 기 설정된 경우, 서비스라우팅부(221)는, 2개(300a,300b)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300b)을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한다.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서비스라우팅부(221)로부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이 결정되면,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서비스는, 도 4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특정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이용관련정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서비스(1)과, IPTV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서비스에 해당하는 마이크로서비스(2,3,4,..)를 포함한다.
이때, 개별서비스는, IPTV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인물, 평점, 설정 등과 같이 특정서비스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호출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즉,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마이크로서비스(2,3,4,..) 중 특정기본프레임화면(예: 드라마 시놉시스)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마이크로서비스(1)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다.
이때, 마이크로서비스(1)에는, 특정단말의 사용자가 특정단말을 통해 IPTV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구매내역, 시청시간, 주요시청프로그램 종류 등이 누적된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이용관련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단말이용관련정보를 통해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이용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했을 때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주요시청프로그램이 "홈쇼핑"인 경우,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가 "물품구매"인 것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와 특정단말의 사용자가 관심분야의 확인이 완료되면,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의 일부(4)를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5)로 교체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의 일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특정단말의 사용자가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 가장 사용빈도수가 낮은 서비스(예: 설정제어 등)순서를 따를 수 있다.
즉,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특정서비스컨텐츠가 생성되었을 때 특정단말의 사용자가의 사용빈도수가 가장 낮은 서비스(예: 설정제어 등)에 해당하는 특정마이크로서비스(4)를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5)인 "드라마 주인공 옷판매 사이트"로 교체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
결국, 서비스실행제어부(222)는, 특정기본프레임화면에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5)를 표시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반영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가 생성되므로, 서로 동일한 모델명의 단말에서 동일한 특정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해당 특정서비스컨텐츠가 각각 제공될 것이므로, 기존 서비스 요청 시 획일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하던 것과 달리 능동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에서는 특정기본프레임화면 상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배치위치가 미리 정해져 있어,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를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로 교체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비스실행제어부(222)에서 특정기본프레임화면 상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배치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가 추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프로토콜변환부(223)는, 다양한 Rest 통신(예: XML to Json/Json to XML 등)의 프로토콜이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즉, 마이크로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주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서비스 자체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더 알맞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프로토콜변환부(223)는, 서비스들 간의 호환이 이루어지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한다.
API관리부(224)는, 일관성 있는 백엔드인터페이스(Back-end Interface)가 제공되도록 API게이트웨이부(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한다.
또한, API관리부(224)는, 모든 서비스 요청이 API게이트웨이부(220)에 집중되는 점을 고려하여, 동일한 요청에 대하여 중복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가 요청되지 않도록 기존의 결과를 캐싱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화면에서 '최신 영화'가 중복적으로 요청되는 경우, API관리부(224)는, 모든 요청에 대하여 현재 영화목록을 가져오는 것을 반복하기 보다는 주기적인 시간 단위로 갱신을 하며 한번 가져온 결과가 해당 주기 내에서 재활용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구조 내 구성들에 의한 동작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단말(1,2,..)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단말(1,2,..)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한다(S100, S101).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단말(1,2,..)의 식별자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한다. 여기서, 등록관련정보는, IPTV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입과정에서 저장되는 정보로서, 단말의 식별자, 단말의 위치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단말1의 식별자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에 존재하면, 단말1이 서비스 가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1을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로 결정한다. 이후,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특정단말의 접속을 허가하고, 필요에 따라 보안접속을 제공한다.
전술에 따라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이 결정되면,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특정단말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에는,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특정서비스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이후,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API게이트웨이부(220)로 전달한다(S102).
API게이트웨이부(220)는, 서비스게이트웨이부(210)로부터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로부터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를 확인한다.
이후,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한다(S103). 이때, 특정단말의 식별자 별로 대응하는 모델명이 미리 매칭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API게이트웨이부(220)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로부터 특정단말의 식별자가 확인되면, 특정단말의 식별자에 미리 매칭되어 있는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을 검출하여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한다(S104). 여기서,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는,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특정서비스의 종류(예: 메뉴화면, 시놉시스화면)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되는 기본프레임화면이 2개 이상일 때,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고려하는 것은,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기반으로 표시성능을 확인하여 특정단말에서 최적화된 상태의 서비스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결정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기본프레임화면이 2개(300a,300b)이고,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출력 가능한 기본프레임화면으로 기본프레임화면(300b)이 기 설정된 경우, API게이트웨이부(220)는, 2개(300a,300b)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300b)을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한다.
전술에 따라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이 결정되면,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S105-S108).
보다 구체적으로,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서비스는, 도 4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특정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이용관련정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서비스(1)과, IPTV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서비스에 해당하는 마이크로서비스(2,3,4,..)를 포함한다.
이때, 개별서비스는, IPTV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인물, 평점, 설정 등과 같이 특정서비스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호출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즉, API게이트웨이부(220)는, 마이크로서비스(2,3,4,..) 중 특정기본프레임화면(예: 드라마 시놉시스)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를 확인한다. 이후, API게이트웨이부(220)는, 마이크로서비스(1)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다.
이때, 마이크로서비스(1)에는, 특정단말의 사용자가 특정단말을 통해 IPTV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구매내역, 시청시간, 주요시청프로그램 종류 등이 누적된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이용관련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API게이트웨이부(220)는, 단말이용관련정보를 통해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이용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했을 때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주요시청프로그램이 "홈쇼핑"인 경우,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가 "물품구매"인 것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전술에 따라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와 특정단말의 사용자가 관심분야의 확인이 완료되면,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의 일부(4)를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5)로 교체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4)의 일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특정단말의 사용자가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 가장 사용빈도수가 낮은 서비스(예: 설정제어 등)순서를 따를 수 있다.
즉,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서비스컨텐츠가 생성되었을 때 특정단말의 사용자가의 사용빈도수가 가장 낮은 서비스(예: 설정제어 등)에 해당하는 특정마이크로서비스(4)를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5)인 "드라마 주인공 옷판매 사이트"로 교체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한다. 결국,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기본프레임화면에 특정마이크로서비스(2,3,5)를 표시하여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API게이트웨이부(220)는, 특정단말로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한다(S109).
한편, 특정단말과 동일한 모델명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갖는 단말2의 접속이 허용되어 단말2가 다른특정단말로 결정되었으며, 이때 다른특정단말도 특정단말과 동일하게 특정서비스를 요청(S101')한 것으로 가정하면, 전술에서 수행된 동일한 과정에 따라 특정서비스컨텐츠가 생성될 것이나, 다른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는 특정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상이하므로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특정서비스컨텐츠1과 특정서비스컨텐츠2가 각각 특정단말과 다른특정단말로 제공되게 된다(S109, S109').
결국, 서로 동일한 모델명의 단말에서 동일한 특정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특정서비스컨텐츠1,2가 각각 생성되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100)의 서비스 접속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서비스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와,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API게이트웨이(API Gateway)가 분리된 상태, 즉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게이트웨이(Gateway)를 이용하므로,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100)들이 단일 접점인 서비스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에만 접속하면 되므로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API게이트웨이(API Gateway)의 변경 없이 마이크로서비스를 추가/삭제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서비스 표시 성능을 고려하여 출력 가능한 화면을 결정한 후 사용자의 관심분야가 반영된 마이크로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서비스 요청 시 획일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하던 것과 달리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능동적인 서비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제공에 최적화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실현되도록 하는, 새로운 게이트웨이(Gateway) 구현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단말 200 :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210 : 서비스게이트웨이부 220 : API게이트웨이부
23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서비스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특정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확인한 후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API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을 검출하여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하는 서비스라우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게이트웨이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상기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인증보안부; 및
    상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로 전달하는 라우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서비스는,
    상기 특정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이용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제1 마이크로서비스와, IPTV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서비스에 해당하는 제2 마이크로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PI게이트웨이부는,
    상기 제2 마이크로서비스 중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로 교체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실행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실행제어부는,
    서로 동일한 모델명의 단말에서 동일한 상기 특정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해당 특정서비스컨텐츠를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8.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서비스접속제어단계; 및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특정단말에서 출력 가능한 특정기본프레임화면을 확인한 후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결정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에 해당하는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컨텐츠생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서비스는,
    상기 특정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이용관련정보에 해당하는 제1 마이크로서비스와, IPTV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서비스에 해당하는 제2 마이크로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접속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기 저장된 등록관련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접속을 허용할 상기 특정단말을 결정하는 인증보안단계; 및
    상기 특정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를 상기 서비스컨텐츠생성단계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라우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요청알림메시지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컨텐츠생성단계는,
    상기 특정단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서비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프레임화면 중 상기 특정단말의 모델명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본프레임화면을 검출하여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으로 결정하는 서비스라우팅단계; 및
    상기 제2 마이크로서비스 중 상기 특정기본프레임화면에 표시되어야 할 특정마이크로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를 상기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관련된 마이크로서비스로 변경하여 상기 특정서비스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실행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동작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실행제어단계는,
    서로 동일한 모델명의 단말에서 동일한 상기 특정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마이크로서비스의 일부가 해당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된 해당 특정서비스컨텐츠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70056899A 2017-05-04 2017-05-04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KR10188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99A KR101885586B1 (ko) 2017-05-04 2017-05-04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99A KR101885586B1 (ko) 2017-05-04 2017-05-04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86B1 true KR101885586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899A KR101885586B1 (ko) 2017-05-04 2017-05-04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9572A (zh) * 2018-12-06 2019-04-1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路由管理方法、装置及微服务系统
KR101996840B1 (ko) 2018-12-07 2019-07-05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마이크로서비스 스토어 운영시스템
CN110086822A (zh) * 2019-05-07 2019-08-02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面向微服务架构的统一身份认证策略的实现方法及系统
KR20200060834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69558A (ko) 2018-12-07 2020-06-17 김진범 마이크로서비스 스토어 운영시스템
KR20200070988A (ko) * 2018-12-10 2020-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77495B2 (en) 2018-12-10 2022-03-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icroservice-based device control inte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750A (ko) * 2005-09-26 2007-03-29 주식회사 케이티 현장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11220A1 (en) * 2014-10-30 2017-04-20 Equinix, Inc. Interconnection platform for real-time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a cloud-based services exchan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750A (ko) * 2005-09-26 2007-03-29 주식회사 케이티 현장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11220A1 (en) * 2014-10-30 2017-04-20 Equinix, Inc. Interconnection platform for real-time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a cloud-based services exchan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호상,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그것이 뭣이 중헌디?", GURUBLEBLOD,http://guruble.com/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아키텍처-그것이-뭣이-중헌디, 2016.08.04.*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34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58115B1 (ko) * 2018-11-23 2021-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9639572A (zh) * 2018-12-06 2019-04-1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路由管理方法、装置及微服务系统
CN109639572B (zh) * 2018-12-06 2021-01-26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路由管理方法、装置及微服务系统
KR101996840B1 (ko) 2018-12-07 2019-07-05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마이크로서비스 스토어 운영시스템
KR20200069558A (ko) 2018-12-07 2020-06-17 김진범 마이크로서비스 스토어 운영시스템
KR20200070988A (ko) * 2018-12-10 2020-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0138B1 (ko) * 2018-12-10 2021-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기기 제어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77495B2 (en) 2018-12-10 2022-03-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icroservice-based device control interface
CN110086822A (zh) * 2019-05-07 2019-08-02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面向微服务架构的统一身份认证策略的实现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586B1 (ko) 마이크로서비스관리장치 및 방법
JP6745884B2 (ja) データ同期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9871888B2 (en) Adaptive function-based dynamic application extension framework
US10169026B2 (e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CN107967143B (zh) 获取客户端应用程序源代码的更新指示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CN101925047B (zh) 用户数据融合网络系统及订阅通知的实现方法
CN103209223B (zh) 分布式应用会话信息共享方法、系统和应用服务器
CN114375069B (zh) 一种通信方法和网络设备
US9792623B2 (en) Advertise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1073202A1 (zh) 智能合约处理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401956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oud-Based Common Distribution Applications
JP2022520690A (ja) 加入者情報のサーバベースのセグメント化と、ターゲットコンテンツプロビジョニングのためのコンテンツフォーマット変換
CN109787882A (zh) 消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917838B (zh) 基于微服务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20110029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retail-channel-specific content to a media device
JP6132021B2 (ja) 配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プッシュ配信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254411A (zh) 用于提供服务的系统、服务器系统及方法
CN112114804A (zh) 应用程序的生成方法、装置及系统
CN101931939B (zh) 一种选择应用前端的方法、装置及用户数据仓储
US10958445B1 (en) Attribution of network events pursuant to configur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7306290B (zh) 一种会话session共享方法及应用服务器
CN111125142B (zh) 一种数据更新方法及系统
KR20150093269A (ko) 리워드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98719A (ko) 메시지 기반 동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지능형 장치 및 방법
CN109933960A (zh) 服务调用控制方法、服务调用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