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428B1 - 액적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액적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428B1
KR101885428B1 KR1020160103667A KR20160103667A KR101885428B1 KR 101885428 B1 KR101885428 B1 KR 101885428B1 KR 1020160103667 A KR1020160103667 A KR 1020160103667A KR 20160103667 A KR20160103667 A KR 20160103667A KR 101885428 B1 KR101885428 B1 KR 10188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ization
condensation unit
vapor
reg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951A (ko
Inventor
손상영
Original Assignee
손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영 filed Critical 손상영
Priority to KR102016010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5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condensation of the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2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액적 생성 방법에 따르면, 영역이 정의된 튜브 내에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1 방향을 따라 공급하고,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기화 응축 유닛에 액체를 공급한다. 이어서, 기화 응축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배출하여 상기 기화 응축 유닛에 인접한 튜브 내의 영역을 과포화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자 표면 상에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생성시킨다.

Description

액적 생성 방법{METHOD OF GENERATING DROPLETS}
본 발명은 액적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입자의 표면에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형성하는 액적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산업 발전에 따라 공장 또는 자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입자들이 공기의 오염원으로 다량 발생하고 있다. 상기 공기 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상기 공기 중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오염원인 입자들을 공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필터의 경우, 상기 입자들의 크기에 따라 제거 효율이 달라서, 그 한계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필터가 장시간 동안 사용됨에 따라 상기 필터의 효율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입자들의 표면에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입자들 표면에 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액적을 생성할 수 있는 액적 생성 장치 및 액적 생성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가 미국특허청에 등록한 미국특허 제8,449,657호는 튜브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흐르는 한편,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의 내측벽으로부터 증기를 확산 및 기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튜브 내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 방향을 대한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내의 상대 습도가 불균일한 과포화도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응집된 액적의 크기가 분균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방향을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 내의 공기가 불균일한 온도 구배를 가짐에 따라,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에 포함된 입자에 증기를 균일하게 응축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에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입자들 표면에서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액적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방법에 따르면, 역이 정의된 튜브 내에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1 방향을 따라 공급하고,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기화 응축 유닛에 액체를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배출하여 상기 기화 응축 유닛에 인접한 상기 튜브 내의 영역을 과포화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자 표면 상에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를 생성할 때, 상기 영역 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 내에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된 기화 응축 유닛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영역 내에 랜덤하게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메쉬 구조물을 갖는 기화 응축 유닛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 구조물에는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 통공(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적 생성 방법에 따르면 튜브 내에 형성된 영역 내에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영역을 과포화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자의 표면에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 내에 과포화 상태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영역 내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 표면에 증기를 응축시켜 효과적으로 액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 전체가 상기 기화 응축 유닛에 최대한 균일하게접근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입자에 보다 많은 증기가 효과적으로 도달함으로써 입자 표면에 증기를 효과적으로 응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적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2 방향(y방향)을 따른 과포화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1의 기화 응축 유닛에 포함된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는 제1 방향(x방향)을 따른 입자 및 액적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장치 및 액적 생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적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기화 응축 유닛에 포함된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장치(100)는 튜브(110) 및 기화 응축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적 생성 장치10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들 표면에 증기의 응축 현상을 통하여 액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입자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입자는 미세 먼지 또는 나노 입자 크기를 갖는 초미세 먼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입자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생물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자는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1 온도를 가진다.
상기 튜브(110)는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제1 방향을 따라 흐르는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 제1 방향(또는 x방향)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 제2 방향(또는 y방향)으로 정의된다.
상기 튜브(110)는 내부에 중공(hollow)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튜브(1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튜브(110)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튜브(110)는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튜브(11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튜브(110) 내에 제1 방향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과 직접 컨택함으로써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된 증기가 상기 입자의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응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공기가 기화 응축 유닛(120)을 만나서 국소적으로 흐름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는 전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흐르며, 국소적으로 제1 방향과 다르게 흐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영역 내에서 공기 흐름이 흔들리게 되고, 국소적으로 공기의 체공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소용돌이와 같은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써, 난류가 국소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기화 응축 유닛(120)에 인접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의 체공 시간이 증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입자 및 응축된 액체를 포함하는 액적이 보다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영역 내에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영역을 포화 상태를 거쳐 과포화 상태로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보유중인 액체를 증기화시켜 상기 영역 내에 증기를 공급한다. 이로써 상기 영역 내에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과포화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구동 전에는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액체를 보유할 뿐 증기를 생성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구동할 경우, 상기 액체를 보유중인 기화 응축 유닛(120)이 증기를 생성하여 상기 영역 내에 상기 증기를 공급한다. 이로써, 상기 증기가 상기 영역 내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영역은 과포화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에 인접하는 상기 영역 내에 흐르는 상기 공기는 과포화 상태를 갖는 영역 내의 증기와 만나서, 상기 입자의 표면에 상기 증기가 응축된다. 이로써, 상기 입자 표면에 응축된 증기를 갖는 액적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상기 튜브의 내벽을 따라 배열되지 않는 대신에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상기 튜브(110) 내에 배열됨에 따라 상기 튜브(110) 내에 흐르는 공기가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의 주위로 진행 방향을 따라 컨택한다. 이로써,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된 증기가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응축됨으로써 액적 생성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5도 내지 90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기화 응축 유닛이 상기 튜브(110) 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될 경우(비교예1), 상기 기화 응축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영역 내의 과포화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화 응축 유닛으로부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 발생 위치에서는 약 100%의 상대 습도를 가지며, 상기 기화 응축 유닛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다가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튜브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진 외곽 내측벽에 가까워질수록 반대로 감소하는 상대 습도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튜브의 제2 방향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과포화도를 가진다.
상기 기화 응축 유닛이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될 경우(비교예2), 상기 기화 응축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영역 내의 과포화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화 응축 유닛에 인접하여 증기가 발생하는 증기 발생 위치에서는 약 100%의 상대 습도를 가지며, 상기 기화 응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의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상대 습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튜브의 중심 영역에서는 공기의 체공 시간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상대 습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의 제2 방향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과포화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튜브(110) 내에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5도 내지 90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경우,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배열된 위치마다 상기 영역 내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배열된 배열 방향에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90도로 경사진 경우, 상기 튜브(110) 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균일한 과포화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 표면에 상기 증기가 응축되어 액적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유입구에 공급되는 공기가 약 80% 상대습도를 가질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기화 응축 유닛이 구비된 영역을 지나면서 상대습도가 증대되어 과포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기 영역의 수직 단면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제1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와 전체적으로 컨택된다. 이로써,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응축될 수 있다.
도 4는 제2 방향(y방향)을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유입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초기 온도(Tin)를 가지며, 상기 튜브의 내부벽은 벽 온도(Twall)을 가진다. 상기 공기가 기화 응축 유닛을 지나면서 온도가 증가한다. 이 경우, 상기 제2방향(y방향)을 따라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공기에 포함된 입자 표면에서 증기가 균일하게 응축될 수 있다.
도 5는 도1의 기화 응축 유닛에 포함된 와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은 랜덤하게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121)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메쉬 구조물(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20 은 기화 응축 유닛 및 메쉬 구조물을 함께 나타낸다.
즉, 상기 와어어(121)들 각각으로부터 증기가 공급되어 상기 영역을 과포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1)들 각각이 발열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들에 유지 중인 액체가 효과적으로 증기화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21)들 사이에 통공(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을 상호 교차하여 특정 지점에서 교차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와이어들은 상호 다른 평면에 배열됨에 따라 교차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21)들 각각은 인접하는 액체를 가열하는 발열체(12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1)들 각각은 상기 증기의 소스로서 액체를 머금는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흡습층(12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층(121b)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는 종이를 이루는 셀룰로오스, 산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121)들 각각이 증기 공급 및 발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영액 내에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열체(121a)가 열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흡습층(121b)을 향하여 열이 전도된다. 상기 흡습층(121a)에 유지되어 있는 액체가 가열되어 증기화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영액 내에서 상기 와이어(121)들을 포함하는 기화 응축 유닛(12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균일한 과포화도가 전체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과포화 상태를 갖는 영역 내에서,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에 인접하여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에 증기가 응축됨으로써,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액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121)들을 포함하는 기화 응축 유닛(120)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경우,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21)들 각각은 모세관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요철 표면 또는 친수성 표면 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121)들은 하부에 위치한 액체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모세관력으로 상승된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21)들 각각의 표면에서 상기 발열체(121a)로부터 공급받은 열에 의하여 상기 액체가 증기화된다. 이로써, 상기 와이어(121)들로부터 증기가 생성되는 증기 생성점에서부터 상기 와이어(121)에 인접한 공기에 포함된 입자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21)들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에 보다 효과적으로 도달함으로써 상기 입자의 표면에서 상기 증기가 용이하게 응축될 수 있다.
도 6은 제1 방향(x방향)을 따른 입자 및 액적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화 응축 유닛(120)으로부터 이격된 별도의 기화 응축 유닛(130)이 추가적으로 튜브(11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화 응축 유닛(120, 130)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기화 응축 유닛들(120, 130)이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형성되는 액적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적 생성 방법에 있어서,
먼저, 영역이 정의된 튜브 내에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1 방향에 따라 공급한다(S110). 이어서, 상기 영역 내에 증기를 공급하여 상기 영역 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입자 표면 상에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생성시킨다.
상기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 내에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된 기화 응축 유닛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할 경우,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액적 생성 장치 110 : 튜브
120 : 기화 응축 유닛 121 : 와이어
121a: 발멸체 121b: 흡습층

Claims (6)

  1. 영역이 정의된 튜브 내에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1 방향을 따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영역 내에 위치한 기화 응축 유닛에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화 응축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액체를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배출하여 상기 기화 응축 유닛에 인접한 상기 튜브 내의 영역을 과포화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자 표면 상에 상기 증기를 응축시켜 액적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적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생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적으로 균일한 과포화도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튜브 내에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된 기화 응축 유닛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역 내에 랜덤하게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메쉬 구조물을 갖는 기화 응축 유닛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구조물에는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 통공(hol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적 생성 방법.
KR1020160103667A 2016-08-16 2016-08-16 액적 생성 방법 KR101885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67A KR101885428B1 (ko) 2016-08-16 2016-08-16 액적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67A KR101885428B1 (ko) 2016-08-16 2016-08-16 액적 생성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46A Division KR101702259B1 (ko) 2016-01-11 2016-01-11 액적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951A KR20170083951A (ko) 2017-07-19
KR101885428B1 true KR101885428B1 (ko) 2018-08-03

Family

ID=5942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67A KR101885428B1 (ko) 2016-08-16 2016-08-16 액적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43B1 (ko) * 2019-10-15 2021-01-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전된 액적 생성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 먼지를 정화하는 미세 먼지 저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37B1 (ko) * 2009-11-25 2010-06-15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메쉬필터 세정식 응축성 타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37B1 (ko) * 2009-11-25 2010-06-15 한국기계연구원 다층 메쉬필터 세정식 응축성 타르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43B1 (ko) * 2019-10-15 2021-01-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전된 액적 생성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 먼지를 정화하는 미세 먼지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951A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259B1 (ko) 액적 생성 장치
US20230053993A1 (en) Electronic aerosol-generating smoking device
Ghosh et al. Enhancing dropwise condensation through bioinspired wettability patterning
US20180070640A1 (en) Electronic aerosol-generating smoking device
JP5955939B2 (ja) 凝縮装置
EP2793259A2 (en) Phase transfer heat dissipating device and phase transfer heat dissipating system
KR101885428B1 (ko) 액적 생성 방법
US20230284702A1 (en) Vapour Generation Device Vaporisation Component
KR20180011572A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KR102100762B1 (ko) 발열체 표면의 기화를 이용한 증기 발생 장치
JP6718665B2 (ja) 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Liu et al. Three‐Dimensional Coffee‐Ring Effect Induced Deposition on Foam Surface for Enhanced Photothermal Conversion
JP6433872B2 (ja) 集塵装置及び集塵システム
JP4706198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689741B1 (ko) 자가조립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자가조립 분리막을 이용한 미세입자 집적기
ITMI20131514A1 (it) Method and system for fluid stream chemical compounds collection, deposition and separation
JP4434773B2 (ja) ミニループヒートパイプ用蒸発器
JP2019208727A (ja) 液体蒸散装置
KR101585982B1 (ko) 약액 살포 회전체를 구비한 집진 탈취기
US10105719B2 (en) Electrostatic atomizer, mist generation method
JP2007050405A (ja) 汚染物質捕集器、汚染物質捕集方法、空気管理システム並びに除去器
KR100905046B1 (ko) 3중 회전방식의 싸이클론 스크러버
Jeong et al. Multiplexed electrospraying of water in cone-jet mode using a UV-embossed pyramidal micronozzle film
TWM466724U (zh) 用於處理氣體污染物之渦捲式模組
KR101022819B1 (ko) 친수성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