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118B1 -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118B1
KR101885118B1 KR1020180052994A KR20180052994A KR101885118B1 KR 101885118 B1 KR101885118 B1 KR 101885118B1 KR 1020180052994 A KR1020180052994 A KR 1020180052994A KR 20180052994 A KR20180052994 A KR 20180052994A KR 101885118 B1 KR101885118 B1 KR 10188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
culture
microorganisms
end por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빅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
(주)비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 (주)비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
Priority to KR102018005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0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양식장 인공배합사료 효율 개선을 위한 소화효소 미생물, 수질개선에 적합한 아질산화 미생물, 질산화 미생물, 탈질 미생물,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배양 및 발생시키되, 미생물의 고농도 배양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산소 전달효과를 높임으로써 안정적으로 고농도 유용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고, 고농도로 배양된 유용미생물 및 효소를 현장에서 바로 공급할 수 있어 해수양식장의 어류 폐사율을 줄이고 또한 성장률을 높여 양식업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COMPACT TYPE APPARATUS FOR CULTIVATING CONCENTRATED MICROORGANISM FOR IMPROVING QUALITY OF SEAWATER OF FARM AND CULTIVATION METHOD OF CONCENTRATED MICROORGANIS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수양식장에 적합한 아질산화 미생물, 질산화 미생물, 탈질 미생물,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배양 및 발생시키되, 미생물의 고농도 배양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산소 전달효과를 높임으로써 안정적으로 고농도 유용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고, 고농도로 배양된 유용미생물 및 효소를 현장에서 바로 공급할 수 있어 해수양식장의 어류 폐사율을 줄이고 또한 성장률을 높여 양식업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양식장은 주로 작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어류를 생산하는 고밀도 양식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수질이 쉽게 오염되어 물고기 폐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양식장에서 어류를 빨리 성장시키기 위해 30 ~ 40 %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사료를 사용한다. 단백질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물고기 배설물로 나와 암모니아로 변환되고, 다시 아질산화 미생물인 나이트로소모나스(Nitrosomonsas) 등에 의해 아질산(NO2)으로 변환되며 다시 질산화 미생물인 나이트로박터(Nitrobacter) 등에 의해 질산(NO3)으로 변환된다.
이 중에서 암모니아와 아질산은 아주 적은 농도에서도 물고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분해해야 물고기 폐사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암모니아와 아질산은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데, 질산화 미생물은 번식 속도가 느려서 양식장에서 충분한 질산화 미생물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예를 들어 일반 종속영양 미생물의 번식 속도가 30분 간격으로 두배가 된다면 독립영양 미생물인 질산화 미생물은 두배로 자라는데 하루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많은 양의 아질산화 및 질산화 미생물을 배양하여 양식장에 투입함으로써 암모니아와 아질산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고, 이로써 어류의 폐사를 막을 수 있다.
아질산화 및 질산화 미생물은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 미생물이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미생물이다. 포자를 생성하지 않아 분말 상태로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수면 상태의 액체 상태로 보관된 액체 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하지만 양식장에서는 많은 양의 아질산, 질산화 미생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통 중인 상품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져 폭 넓은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아질산화 및 질산화 미생물을 대량 배양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암모니아 및 아질산은 미생물에 의해 산화되어 최종적으로 질산(NO3)으로 변환된다. 질산은 비교적 어류에 안전한 물질이지만 그 농도가 높아지면 이 역시 어류에 독성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축적된 질산을 수중으로부터 분리하여 기체상태로 공기중으로 휘산시키는 작용이 필요하다. 이를 탈질(Denitrification)작용이라 하는데, 이는 종속영양 미생물에 의해 수행 된다.
대표적인 탈질 미생물로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이시엔(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수도모나스 스트제리(Pseudomonas stutzeri), 수도모나스 디니트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로도수도모나스 팔러스트리(Rhodopseudomonas palustris) 등이 있다. 이들 탈질미생물을 배양하여 양식장에 투입하면 탈질작용이 촉진된다.
이외에도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인자는 다양한데 그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입자성 유기물질과 기름 성분이다.
입자성 유기물질이 많으면 수질이 탁해지고 물고기 아가미 등이 막혀 죽거나 병이 걸릴 수 있다.
기름 성분이 많으면 피부에 유막을 형성하고 산소 전달효율이 떨어지는 등 많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입자성 유기물질과 기름 성분은 그 입자가 커서 미생물이 직접 섭취할 수 없어 이들을 저분자로 분해하여 미생물이 섭취 가능하게 만드는 효소의 도움이 필요하다. 효소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단백질 물질로 입자성 유기물질과 기름 성분이 접촉하여 저분자 물질로 변환시킨다.
이와같이 양식장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암모니아, 아질산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질산화 미생물이 필요하고, 질산을 질소가스로 방출시키는 탈질작용을 위해 탈질에 효율적인 미생물이 필요하며, 입자성 유기물과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효소의 도움이 필요하다.
최근에 다양한 종류의 유용미생물이 양식장의 수질관리를 위해 혹은 축산 농가에서 가축의 면역력 증강을 위해, 농업에서 병충해 방지 및 생산량 증가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정 미생물이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인정되어 점차 그 사용처가 확대됨에 따라 미생물을 보다 효율적 또는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업적으로 선별되어 제품화된 미생물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지만, 그 적용범위가 크고 넓은 농축산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사용량이 너무 많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유용한 미생물의 효과를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게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고농도의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미생물의 농도가 5,000 ppm 이상으로 높아지면 거품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대부분의 경우 거품이 넘쳐흘러 배양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미생물 농도가 높아지면 그에 비례해서 산소요구량도 높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산소공급 장치를 필요로 한다.
현재 미생물 배양기와 관련하여,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3351(등록일자 2014.08.18)의 '미생물 배양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5825(등록일자 2013.02.15)의 '미생물 배양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2840(등록일자 2008.06.25)의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미생물 배양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9413(등록일자 2016.07.07)의 '미생물 자동 공급부를 는 미생물 배양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4738(등록일자 2011.09.06)의 '유용성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및 공기정화용 미생물 배양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그리고 가두리 양식장용 수질정화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5823(등록일자 2009.08.26)의 '2분할 미생물 배양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2334(등록일자 2012.08.31)의 '미생물 배양기' 등 다양한 형태의 미생물 배양기가 제시되어 있으나 고농도의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거품제어 장치나 효율적인 산소공급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여기서 효율적인 산소공급 장치라 함은 산소를 물속에 잘 녹일 수 있어 산소 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3351(등록일자 2014.08.1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5825(등록일자 2013.02.1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2840(등록일자 2008.06.2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9413(등록일자 2016.07.0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4738(등록일자 2011.09.0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5823(등록일자 2009.08.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2334(등록일자 2012.08.31)
본 발명은 해수양식장에 적합한 아질산화 미생물, 질산화 미생물, 탈질 미생물,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배양 및 발생시키되, 미생물의 고농도 배양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산소 전달효과를 높임으로써 안정적으로 고농도 유용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고, 고농도로 배양된 유용미생물 및 효소를 현장에서 바로 공급할 수 있어 해수양식장의 어류 폐사율을 줄이고 또한 성장률을 높여 양식업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구성으로서,
중공의 배양조;
상기 배양조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상광하협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부에 원통관 구조로 형성된 하단부가 서로 일체를 이루는 버블(bubble) 분쇄부;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교반기;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의 하단부 내측 벽에 설치되어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는 격막(baffle);
일측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의 하단부 일측면에 관통되고, 타측이 상기 배양조 외부에 설치된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에어(air)를 버블(bubble) 분쇄부로 주입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상기 배양조 내의 에어(air)를 버블(bubble) 분쇄부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상기 배양조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배양조 내의 수온을 조절하는 히터;
상기 배양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 내부로 혼합미생물을 공급하는 혼합미생물 공급탱크;
상기 배양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 내부로 미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지 공급탱크;
상기 배양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 내부로 휴믹산을 공급하는 휴믹산 공급탱크;
상기 교반기, 에어펌프, 히터, 혼합미생물 공급탱크, 미생물배지 공급탱크 및 휴믹산 공급탱크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으로서,
배양조에 해수를 채우는 단계(S10)와,
상기 배양조에 혼합미생물, 미생물 배지, 휴믹산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배양액을 조성하는 단계(S20)와,
버블(bubble) 분쇄부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교반기와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의 하단부와 관통하는 공기공급관에 연결된 에어펌프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교반기 임펠러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의 상단부에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상단부 주변의 배양액이 상단부로 빨려 들어가 하단부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기 하단부를 통해 빠져나온 배양액은 위로 상승하여 다시 상기 상단부로 빨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연속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40)와,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된 거품(bubble)이 상기 연속 흐름에 의해 상기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임펠러와 충돌하면서 터져 소멸되고,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방울(bubble)은 상기 임펠러와 충돌하면서 미세화를 이루는 단계(S50)와,
상기 미세화를 이룬 공기방울(air bubble)이 상기 하단부를 빠져나와 수면위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콤팩트형 장치로서 해수양식장 주변에 설치가 용이하여, 해수양식장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아질산을 제거할 수 있는 아질산화, 질산화 미생물 및 질산의 탈질효율을 높일 수 있는 탈질 미생물을 현장에서 고농도로 배양하여 바로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입자성 유기물질과 기름 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발생시켜 공급함으로써 양식장 수질을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어류의 폐사율을 줄이고 성장률을 개선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배양조 내에 상광하협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부에 원통관 구조로 형성된 하단부가 일체로 구성된 버블(bubble) 분쇄부가 교반기와 함께 설치됨으로써, 질산화 미생물, 탈질 미생물,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고농도로 배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교반기의 하부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공기가 상기 교반기에 의해 잘게 부숴지면서 배출된 후 배양조 내벽을 따라 상승하므로 공기의 체류시간을 높여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산소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콤팩트형 장치로서 양식업 또는 농축산 분야 현장에 설치하여 고농도의 유용미생물을 배양한 후 바로 공급할 수 있어,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인 수질 개선 효과를 지속적으로 기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양식장 및 농축산 분야의 생산성 향상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의 작동 전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의 작동 후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의 작동 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의 작동 후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해수양식장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아질산을 제거하기 위한 아질산화, 질산화 미생물과 질산의 탈질효율을 높일 수 있는 탈질 미생물을 현장에서 고농도로 배양하고 동시에 입자성 유기물질과 기름 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발생시키며, 미생물을 고농도로 배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어하고 산소 전달 효율을 높여 안정적으로 고농도의 유용미생물을 배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1)는 중공의 배양조(10);
상기 배양조(10)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상광하협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는 상단부(201)와, 상기 상단부(201)의 하부에 원통관 구조로 형성된 하단부(202)가 서로 일체를 이루는 버블(bubble) 분쇄부(20);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교반기(30);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내측 벽에 설치되어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는 격막(baffle)(40);
일측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일측면에 관통되고, 타측이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된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에어(air)를 버블(bubble) 분쇄부(20)로 주입하는 공기공급관(50);
상기 공기공급관(50)을 통해 상기 배양조(10) 내의 에어(air)를 버블(bubble) 분쇄부(20)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펌프(60);
상기 배양조(10)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배양조(10) 내의 수온을 조절하는 히터(70);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10) 내부로 혼합미생물을 공급하는 혼합미생물 공급탱크(80);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10) 내부로 미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지 공급탱크(90);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10) 내부로 휴믹산을 공급하는 휴믹산 공급탱크(100);
상기 교반기(30), 에어펌프(60), 히터(70), 혼합미생물 공급탱크(80), 미생물배지 공급탱크(90) 및 휴믹산 공급탱크(1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1)는 해수양식장에 적합한 아질산화 미생물, 질산화 미생물, 탈질 미생물,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고농도로 배양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bubble)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호기성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산소의 전달효율을 높임에 따라 고농도 미생물 배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양조(10)는 밀폐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 중앙에는 버블(bubble) 분쇄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는 상광하협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는 상단부(201)와, 상기 상단부(201)의 하부에 원통관 구조로 형성된 하단부(202)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부(201)는 깔대기 형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룸으로써,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bubble)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내측에는 교반기(3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기(30)는 버블(bubble) 분쇄부(20)의 길이방향으로 내측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때 교반기(30)의 임펠러(303) 위치는 상기 하단부(202) 내로서, 공기공급관(5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지점과 격막(baffle)(40)이 설치된 지점보다 위쪽 지점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반기(30)는 구동축(301)과 상기 구동축(301)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302)와, 모타측에 결합되는 임펠러(303)로 구성되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임펠러(303)의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내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하단부(202)에 관통되는 공기공급관(50)과 수평 방향으로 동일 선장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공급관(50)의 직경만큼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공급관(5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방울(air bubble)이 임펠러(303)의 회전력에 의해 서로 충돌하거나 임펠러(303) 또는 하단부(202) 내벽면과 충돌하는 과정 중에 분쇄되어 미세화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교반기(30)의 임펠러(303)는 회전하면서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bubble)을 깨뜨려 소멸시키고, 상기 공기공급관(5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방울(bubble)을 작게 분쇄하여 비표면적을 높여줌으로써 산소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반기(30)의 임펠러(303)에 의한 이와 같은 작용은 버블(bubble) 분쇄부(20)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는 위쪽이 넓고 아래쪽이 좁은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고 있어, 상기 교반기(30)의 임펠러(30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단부(201)에서는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단부(201) 주변의 배양액을 빨아들임으로써,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된 수면 위의 거품(bubble) 또한 같이 빨려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빨려들어온 거품(bubble)을 포함하는 배양액은 교반기(30)의 임펠러(303)가 회전하는 지점까지 빨려들어가게 되고, 이때 회전하는 임펠러(303)에 거품(bubble)이 충돌하여 깨진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 주변 영역은 상단부(201)로 빨려들어가는 배양액에 의해 밀도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영역의 배양액이 상기 상단부(201) 주변으로 이동함에 따라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즉 배양액의 흐름은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로부터 빠져나온 후 상승하여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로 들어가는 순환흐름을 가지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관(50)은 일측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일측면에 관통되고, 타측이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된 에어펌프(6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에어펌프(6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air)를 버블(bubble) 분쇄부(20) 내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관(50)은 상기 교반기(30)의 임펠러(303)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공기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방울(bubble)은 임펠러(303)의 회전에 따른 공기방울(bubble) 간의 충돌, 하단부(202)의 벽면과의 충돌 및 임펠러(303)와의 충돌과정에서 미세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미세화된 공기방울(bubble)은 하단부(202) 하부를 통해 빠져나가 배양액 전반에 퍼짐으로써 공기방울(bubble)이 수면으로 상승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늘려주고, 비표면적을 최대한 높임으로써 산소전달효율을 극대화시켜 호기성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의 내측 벽에는 격막(baffle)(40)이 설치된다.
상기 격막(baffle)(40)은 상기 공기공급관(5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격막(baffle)(40)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다수로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한 쌍의 격막(baffle)(40)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4 개의 격막(baffle)(40)을 설치한다.
상기 격막(baffle)(40)은 교반기(30)의 임펠러(30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임펠러(303) 하부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여 미세화된 공기방울(bubble)이 원활하게 하향류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혼합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격막(baffle)(40)은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해줌으로써 미세화된 공기방울(bubble)이 하단부(202)의 하부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양조(10)의 내측벽에는 배양액의 적정온도 유지 또는 조절을 위한 히터(70)가 설치된다.
상기 배양조(10) 외부에는 혼합미생물을 공급하는 혼합미생물 공급탱크(80), 미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지 공급탱크(90) 및 휴믹산을 공급하는 휴믹산 공급탱크(100)가 구비되어 있어, 관을 통해 배양조(10) 내부로 혼합미생물, 미생물배지, 휴믹산을 공급한다.
상기 혼합미생물 공급탱크(80), 미생물배지 공급탱크(90) 및 휴믹산 공급탱크(100)과, 교반기(30), 에어펌프(60) 및 히터(70)는 콘트롤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콘트롤러(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입량, 교반속도, 온도 등의 조절과 on/off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 공기공급관(50)은 표면에 내부식 코팅처리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해수 이용 등에 따른 부식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적인 미생물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 공기공급관(5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표면을 Ti 30.0 ~ 40.0 wt%, Al 45.0 ~ 55.0 wt%, Cr 8.0 ~ 15.0 wt%의 합금을 이용하여 2.0 ~ 4.0 ㎛ 두께로 코팅처리한다. 이와 같은 조성의 합금을 이용하여 코팅처리함으로써 내부식 특성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되어 크랙발생 방지 효과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Ti 35.0 wt%, Al 52.0 wt%, Cr 13.0 wt%의 합금을 이용하여 3.0 ㎛의 두께로 코팅처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은,
배양조(10)에 해수를 채우는 단계(S10)와,
상기 배양조(10)에 혼합미생물, 미생물 배지, 휴믹산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배양액을 조성하는 단계(S20)와,
버블(bubble) 분쇄부(20)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교반기(30)와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와 관통하는 공기공급관(50)에 연결된 에어펌프(5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교반기(30) 임펠러(303)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에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상단부(201) 주변의 배양액이 상단부(201)로 빨려 들어가 하단부(202)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기 하단부(202)를 통해 빠져나온 배양액은 위로 상승하여 다시 상기 상단부(201)로 빨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상단부(201)에서 하단부(202) 방향으로 연속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40)와,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된 거품(bubble)이 상기 연속 흐름에 의해 상기 상단부(201)에서 하단부(20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임펠러(303)와 충돌하면서 터져 소멸되고, 상기 에어펌프(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방울(bubble)은 상기 임펠러(303)와 충돌하면서 미세화를 이루는 단계(S50)와,
상기 미세화를 이룬 공기방울(air bubble)이 상기 하단부(202)를 빠져나와 수면위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배양방법은 고농도 배양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미생물의 농도가 5,000 ppm 이상으로 높아지면 거품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대부분의 경우 거품 제어가 되지 않아 넘쳐흘러 배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배양조(10)에 혼합미생물, 미생물 배지 및 휴믹산을 투입하여 배양액을 조성한 후 배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bubble)을 실시간으로 소멸시킴으로써 원활한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광하협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는 상단부(201), 상기 상단부(201)의 하부에 원통관 구조로 형성된 하단부(202)가 서로 일체를 이루는 버블(bubble) 분쇄부(20)와,
교반기(30)의 임펠러(303)에 의해 이루어지는 버블(bubble) 분쇄부(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르는 연속흐름과,
상기 임펠러(303)가 회전하면서 버블(bubble)과 충돌하여 버블(bubble)을 터트리거나, 미세화를 이룸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교반기(30)의 임펠러(303)가 구동되면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에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상기 상단부(201) 주변의 배양액이 상단부(201)로 빨려 들어와 상기 임펠러(303)의 회전하는 영역을 통과하여 하단부(202) 하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흐름은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 주변 공간과 하단부(202) 주변 공간의 밀도차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상단부(201) 방향으로 배양액의 흐름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버블(bubble) 분쇄부(20)를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를 돌아 다시 내부를 관통하는 연속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속 흐름은 상기 임펠러(303)의 회전하는 영역을 반드시 통과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303)의 회전하는 영역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버블(bubble)이 터져 소멸되고, 이로써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bubble)을 실시간으로 제거함으로써 고농도 미생물 배양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에아(Nitrosomonas europaea), 니트로소코쿠스 모빌리스(Nitrosococcus mobilis),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사(Nitrosomonas nitrosa), 니트로소모나스 크리오톨러란스(Nitrosomonas cryotoleran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질산화 미생물,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소코커스(Nitrosococcus), 니트로박터(Nitrobacter), 니트로코크스(Nitrococcus), 니트로스피라(Nitrospira), 니트로스피나(Nitrospin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질산화 미생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이시엔(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수도모나스 스트제리(Pseudomonas stutzeri), 수도모나스 디니트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로도수도모나스 팔러스트리(Rhodopseudomonas palustri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탈질 미생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질산화 미생물, 질산화 미생물 및 탈질 미생물을 동 배합비로 혼합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휴믹산은 혼합미생물로부터 효소의 생성을 활성화하는 물질로서,
상기 혼합미생물로부터 생성되는 효소는 탄수화물 물질을 분해하는 아밀라제, 기름을 분해하는 리파제,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티아제, 섬유질을 분해하는 셀룰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은 해수양식장 등의 현장에 설치하여 질산화 미생물, 탈질 미생물을 고농도로 배양한 후 바로 공급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인 해수양식장의 수질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류의 폐사율을 크게 낮출 수 있고, 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따른 수입증대효과를 줄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10 : 배양조
20 : 버블(bubble) 분쇄부 30 : 교반기
40 : 격막(baffle) 50 : 공기공급관
60 : 에어펌프 70 : 히터
80 : 혼합미생물 공급탱크 90 : 미생물배지 공급탱크
100: 휴믹산 공급탱크 110: 콘트롤러
201: 상단부 202: 하단부
301: 구동축 302: 모터
303: 임펠러

Claims (7)

  1. 중공의 배양조(10);
    상기 배양조(10)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상광하협의 호퍼(hopper) 구조를 이루는 상단부(201)와, 상기 상단부(201)의 하부에 원통관 구조로 형성된 하단부(202)가 서로 일체를 이루는 버블(bubble) 분쇄부(20);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교반기(30);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내측 벽에 설치되어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는 격막(baffle)(40);
    일측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일측면에 관통되고, 타측이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된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에어(air)를 버블(bubble) 분쇄부(20)로 주입하는 공기공급관(50);
    상기 공기공급관(50)을 통해 상기 배양조(10) 내의 에어(air)를 버블(bubble) 분쇄부(20)로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펌프(60);
    상기 배양조(10)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배양조(10) 내의 수온을 조절하는 히터(70);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10) 내부로 혼합미생물을 공급하는 혼합미생물 공급탱크(80);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10) 내부로 미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지 공급탱크(90);
    상기 배양조(1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조(10) 내부로 휴믹산을 공급하는 휴믹산 공급탱크(100);
    상기 교반기(30), 에어펌프(60), 히터(70), 혼합미생물 공급탱크(80), 미생물배지 공급탱크(90) 및 휴믹산 공급탱크(100)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버블(bubble) 분쇄부(20), 공기공급관(50)은 표면에 내부식 코팅처리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내부식 코팅은 Ti 30.0 ~ 40.0 wt%, Al 45.0 ~ 55.0 wt%, Cr 8.0 ~ 15.0 wt%의 합금을 이용하여 2.0 ~ 4.0 ㎛ 두께로 코팅처리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반기(30)는 구동축(301)과 상기 구동축(301)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302)와, 모타측에 결합되는 임펠러(303)로 구성되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임펠러(303)의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 내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하단부(202)에 관통되는 공기공급관(50)과 수평 방향으로 동일 선장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공급관(50)의 직경만큼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공급관(5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방울(air bubble)이 임펠러(303)의 회전력에 의해 서로 충돌하거나 임펠러(303) 또는 하단부(202) 내벽면과 충돌하는 과정 중에 분쇄되어 미세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버블(bubble) 분쇄부(20)는 하단부(202) 내의 임펠러(303) 회전으로 인해 상단부(201)에서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면서 상단부(201) 주변의 거품(bubble)이 상단부(201)를 통해 하단부(202)까지 빨려 들어가고,
    빨려 들어간 거품(bubble)은 임펠러(303)가 회전하면서 깨트림으로써 소멸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
  5. 청구항 1의 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으로서,
    배양조(10)에 해수를 채우는 단계(S10)와,
    상기 배양조(10)에 혼합미생물, 미생물 배지, 휴믹산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배양액을 조성하는 단계(S20)와,
    버블(bubble) 분쇄부(20)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 교반기(30)와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하단부(202)와 관통하는 공기공급관(50)에 연결된 에어펌프(6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교반기(30) 임펠러(303)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버블(bubble) 분쇄부(20)의 상단부(201)에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상단부(201) 주변의 배양액이 상단부(201)로 빨려 들어가 하단부(202)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기 하단부(202)를 통해 빠져나온 배양액은 위로 상승하여 다시 상기 상단부(201)로 빨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상단부(201)에서 하단부(202) 방향으로 연속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40)와,
    미생물 배양과정에서 발생된 거품(bubble)이 상기 연속 흐름에 의해 상기 상단부(201)에서 하단부(20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임펠러(303)와 충돌하면서 터져 소멸되고, 상기 에어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방울(bubble)은 상기 임펠러(303)와 충돌하면서 미세화를 이루는 단계(S50)와,
    상기 미세화를 이룬 공기방울(air bubble)이 상기 하단부(202)를 빠져나와 수면위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혼합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에아(Nitrosomonas europaea), 니트로소코쿠스 모빌리스(Nitrosococcus mobilis),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사(Nitrosomonas nitrosa), 니트로소모나스 크리오톨러란스(Nitrosomonas cryotoleran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질산화 미생물과,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소코커스(Nitrosococcus), 니트로박터(Nitrobacter), 니트로코크스(Nitrococcus), 니트로스피라(Nitrospira), 니트로스피나(Nitrospin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질산화 미생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이시엔(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수도모나스 스트제리(Pseudomonas stutzeri), 수도모나스 디니트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로도수도모나스 팔러스트리(Rhodopseudomonas palustris)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탈질 미생물을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휴믹산은 혼합미생물로부터 효소의 생성을 활성화하는 물질로서,
    상기 혼합미생물로부터 생성되는 효소는 탄수화물 물질을 분해하는 아밀라제와, 기름을 분해하는 리파제와, 단백질을 분해하는 프로티아제 및 섬유질을 분해하는 셀룰라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미생물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배양방법.








KR1020180052994A 2018-05-09 2018-05-09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KR10188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94A KR101885118B1 (ko) 2018-05-09 2018-05-09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94A KR101885118B1 (ko) 2018-05-09 2018-05-09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118B1 true KR101885118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94A KR101885118B1 (ko) 2018-05-09 2018-05-09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1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2159A (zh) * 2020-01-06 2020-04-28 宁波鑫领纳米科技有限公司 水净化微生物孵化器
KR20200106389A (ko) * 2019-03-04 2020-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미생물 배양시 발생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폼을 제거하는 방법
CN115747059A (zh) * 2022-11-30 2023-03-07 湖南臻和亦康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细胞组织培养环境模拟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40B1 (ko) 2007-08-16 2008-07-02 (주)이노바이오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미생물 배양기
KR200445823Y1 (ko) 2007-09-06 2009-09-03 박중진 2분할 미생물 배양기
KR20100078149A (ko) * 2008-12-30 2010-07-08 윤정호 강제순환식 미생물 발효기
KR20100121346A (ko) * 2009-05-08 2010-11-17 정우종 간접 가열식 미생물 배양기
KR101064738B1 (ko) 2011-05-06 2011-09-14 주식회사 현진기업 유용성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및 공기정화용 미생물 배양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그리고 가두리 양식장용 수질정화장치
KR200462334Y1 (ko) 2012-06-25 2012-09-06 유재원 미생물 배양기
KR101235825B1 (ko) 2011-05-31 2013-02-2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미생물 배양기
KR101433351B1 (ko) 2012-06-05 2014-08-22 백인탁 미생물 배양기
KR20160056105A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거품제거부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KR101639413B1 (ko) 2015-04-07 2016-07-22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미생물 자동 공급부를 갖는 미생물 배양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40B1 (ko) 2007-08-16 2008-07-02 (주)이노바이오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미생물 배양기
KR200445823Y1 (ko) 2007-09-06 2009-09-03 박중진 2분할 미생물 배양기
KR20100078149A (ko) * 2008-12-30 2010-07-08 윤정호 강제순환식 미생물 발효기
KR20100121346A (ko) * 2009-05-08 2010-11-17 정우종 간접 가열식 미생물 배양기
KR101064738B1 (ko) 2011-05-06 2011-09-14 주식회사 현진기업 유용성 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및 공기정화용 미생물 배양스크린과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그리고 가두리 양식장용 수질정화장치
KR101235825B1 (ko) 2011-05-31 2013-02-2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미생물 배양기
KR101433351B1 (ko) 2012-06-05 2014-08-22 백인탁 미생물 배양기
KR200462334Y1 (ko) 2012-06-25 2012-09-06 유재원 미생물 배양기
KR20160056105A (ko) * 2014-11-11 2016-05-19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거품제거부를 구비한 미생물 배양기
KR101639413B1 (ko) 2015-04-07 2016-07-22 주식회사 바이오리쏘스 미생물 자동 공급부를 갖는 미생물 배양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89A (ko) * 2019-03-04 2020-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미생물 배양시 발생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폼을 제거하는 방법
KR102179144B1 (ko) 2019-03-04 2020-1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미생물 배양시 발생하는 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폼을 제거하는 방법
CN111072159A (zh) * 2020-01-06 2020-04-28 宁波鑫领纳米科技有限公司 水净化微生物孵化器
CN115747059A (zh) * 2022-11-30 2023-03-07 湖南臻和亦康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细胞组织培养环境模拟装置
CN115747059B (zh) * 2022-11-30 2024-03-29 湖南臻和亦康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细胞组织培养环境模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118B1 (ko) 콤팩트형 해수양식장 수질 개선용 고농도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미생물 배양방법
CN107445432A (zh) 一种河湖底泥处理方法
CN106396112B (zh) 一种藻菌共生结合生态浮床技术净化高氨氮养猪沼液的复合系统
KR101647107B1 (ko) 기포의 크기 및 개체수 조절장치와 조절방법
CN104743672A (zh) 基于大型水蚤驯化方法的水体富营养化治理技术
CN109052834A (zh) 一种富营养化水体的治理方法
CN104876330B (zh) 一种处理养殖沼液的好氧颗粒污泥系统构建及运行方法
KR100360542B1 (ko) 오염된 호소와 폐쇄성 수역의 수질 정화 방법과 이를수행하기 위한 장치
CN208829494U (zh) 一种污水异位生态修复系统
CN108911146B (zh) 一种生活污水生态处理系统
CN208545259U (zh) 一种无污染养殖系统
JP2736959B2 (ja) 養殖池の浄化装置
JP2016208926A (ja) 水生生物育成方法および水生生物育成装置
CN108793646A (zh) 一种景观式生活污水生态处理系统
Nindarwi et al. Nitrate and phosphate dynamics of phytoplankton abundance in Kanceng River, Sepuluh, Bangkalan, East Java, Indonesia
CN108408921A (zh) 一种提升养殖水体透明度的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Dewi et al. Water quality in the maintenance of oreochromis niloticus through environmentally friendly biofloc technology
Pruder Aquaculture and controlled eutrophication: Photoautotrophic/heterotrophic interaction and water quality
CN208732878U (zh) 一种景观式生活污水生态处理系统
KR101426512B1 (ko) 경도 및 미생물의 개체수가 향상된 수질정화용 흙공
CN208814747U (zh) 一种生活污水生态处理系统
Dewi et al. The effect of EM-4 and ST probiotic fortification on the growth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the biofloc-aquaponic system
CN108862932A (zh) 一种污水异位生态修复系统及污水异位生态修复方法
CN106927570A (zh) 一种基于低矮无花苦草的植菌共生水下草坪
CN208948973U (zh) 一种去除电镀处理出水中微量重金属及痕量f-53b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