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068B1 -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068B1
KR101885068B1 KR1020170136159A KR20170136159A KR101885068B1 KR 101885068 B1 KR101885068 B1 KR 101885068B1 KR 1020170136159 A KR1020170136159 A KR 1020170136159A KR 20170136159 A KR20170136159 A KR 20170136159A KR 101885068 B1 KR101885068 B1 KR 10188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om
index
time period
tr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명
Original Assignee
박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명 filed Critical 박종명
Priority to KR102017013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증권사 API 서버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이는 단계, 정보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따른 거래량 차트를 추출하는 단계, 정보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EOM(Ease Of Movement) 지표가 + 값이면 상향 신호, - 값이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 매도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로부터 선택시간주기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EOM 지표 및 건수에 따른 상향 신호 또는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YSTEM TRADING SERVICE FOR FUTURES BASED ON EOM INDEX WITH TIME VARIABLE AND PRCEDENCE SIGNAL}
본 발명은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시간변수에 따른 EOM 지수와, 선행신호를 엔드 조건으로 선물옵션을 매매하는 진입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선물옵션 거래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주식 및 선물옵션 시장은 거래비용이 발생하고 거래제도 등의 일정한 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주가 움직임에 부분적으로 비효율성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욕망과 공포(greed and fear)에 지배되는 시장참여자들의 투자행태로 인해 주가 움직임에 잡음(noise)이 발생하고, 이는 다시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쳐 주가는 복잡성을 더하게 되는데, 이처럼 주가가 다양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그리고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시장에는 비효율성이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처리능력의 발달로 복잡하고 방대한 양의 주가에 대한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포지션 진입규칙(position entry rule)과 청산규칙(position exit rule)에 따른 자동화된 트레이딩 시스템(trading system)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108018호(2016년09월19일 공개)에는, 선물옵션 매매가 상승과 하락시 호가창에 발생하는 변화를 통해 매주가의 방향을 예측이 아닌 정해진 조건값을 정수화하여 점의 연결을 통한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선물옵션 매매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에 도움을 주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선물옵션 매매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선행신호의 변수가 단일변수로 매수 및 매도의 진입시에 불안정한 진입 및 구동이 불가능하며, 단일변수로 인한 예측성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낮은 매매 성공률은 투자자의 신뢰도 저하로 이어지고, 기존 연구들도 대부분 시장을 예측하기 위한 입력변수로 가격 기반의 기술적 지표(technical indicators)를 주로 사용하고 있고, 간혹 거래량과 같은 비가격 기술적 지표를 입력변수로 사용하는 기술도 있지만, 입력변수의 절대다수는 가격기반 기술적 지표로 이루어져 있고, 트레이딩 시스템을 활용하는 현업의 상황과 상당한 괴리가 있어 효율성이 지극히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행성 지표나 투자자의 감정을 벗어나 심리지수, 시간정수 및 거래량 변수에 따른 선행신호를 이용함과 동시에, 선행신호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변수를 채용하여 손실률을 낮추고, 매매성공률을 증가시키며, 증권사 API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진입, 청산, 정지 시점을 포착하므로,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환경을 그대로 인식하여 투자자에게는 높은 리스크를 피해갈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투자자에게 신뢰를 얻음과 동시에 수수료에 따른 수익으로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증권사 API 서버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이는 단계, 정보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따른 거래량 차트를 추출하는 단계, 정보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EOM(Ease Of Movement) 지표가 + 값이면 상향 신호, - 값이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 매도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로부터 선택시간주기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EOM 지표 및 건수에 따른 상향 신호 또는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후행성 지표나 투자자의 감정을 벗어나 심리지수, 시간정수 및 거래량 변수에 따른 선행신호를 이용함과 동시에, 선행신호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변수를 채용하여 손실률을 낮추고, 매매성공률을 증가시키며, 증권사 API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진입, 청산, 정지 시점을 포착하므로,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환경을 그대로 인식하여 투자자에게는 높은 리스크를 피해갈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투자자에게 신뢰를 얻음과 동시에 수수료에 따른 수익으로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기능 중 매수 또는 매도 진입 신호를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진입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값 중 변형된 EOM 지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EOM 지수를 설명하기 위한 차트에 따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EOM 지수에 부가되는 시간변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EOM 지수에 부가되는 거래량 및 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기능 중 자동정지 및 자동정지해제가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입력값으로 이용되는 거래량을 설명하기 위한 휩소신호 및 변곡구간에 따른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기능 중 청산주기 및 청산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기능 중 설명되지 않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가 도출된 배경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물거래란 표준화된 선물계약의 매매라고 할 수 있으며, 선물계약은 수량, 규격, 품질 등이 표준화 되어 있는 상품 또는 금융자산에 대하여 현재(계약체결시점에서)에 서로 정한 가격(선물가격)으로 미래의 특정시점에 인수 및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법적 구속력을 갖는 계약으로서 일정한 거래소(선물거래소)에서 규정한 정형화된 방법으로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주가지수선물 (Stock Index Futures)은 선물의 원리를 주가지수라는 것에 적용한 것인데, 즉, 주가지수선물거래는 증권시장에서 매매되고 있는 전체 주식 또는 일부 주식의 가격수준을 나타내는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장래의 일정시기에 계약 체결 시 약정한 가격으로 결제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이다.
주가지수선물이 다른 선물에 비해 특이한 점은 거래대상이 유형의 실물이 아니므로 기술적으로 인수 및 인도가 불가능한 무형의 주수라는 것이다. 따라서 반대매매를 통하여 만기일 전에 포지션을 청산하든지 아니면 만기일에 가서 그 차익을 현금으로 결제한다. 이러한 주가지수 선물시장은 매매대상과 결제방법 등에서 현물거래 및 다른 선물거래와 다음과 같이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첫째, 실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물인지도가 불가능하여 현금결제의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둘째, 선물시장이 효율적인 시장으로서 존속할 수 있기 위해서 결재불이행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인 결제수단, 증거금, 일일정산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증거금이란 가격 하락 시 매수자의 계약위반 가능성으로부터 매도자를 보호하고 가격 상승 시 매도자의 계약위반 가능성으로부터 매수자를 보호하는 제도로서 모든 선물거래 참여자들이 계약을 성실히 이행하겠다는 신용의 표시로 선물거래 중개회사를 통하여 결제기관에 납부하는 금액이다. 일일정산제도는 매일매일 장이 종료된 후 청산소는 새로운 당일의 정산가격을 기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에 대한 가격변동위험을 평가하여 납부해야 할 증거금을 산정하고 이를 다시 전일의 증거금 잔액과 비교하여 그 차액을 산정한다.
셋째, 선물거래는 계약수행을 위한 수단으로서 최종결제일 이전의 계약기간 중 언제든지 거래소의 시장가격으로 반대매매가 가능하며, 반대매매 후 최종 순익에 따른 차금결제로 거래를 종결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넷째, 일반적으로 거래를 위해 대납하는 증거금이 규모와 총 거래금액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가격등락에 따른 투자수익과 투자위험이 현금시장에서보다 훨씬 높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위험이 높은 선물거래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을 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는데, 기술적 분석이란 어떤 상품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을 연구하기보다는 그 외부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시장가격 그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의 가격변화를 알아내고자하는 가격 예측기법이다.
즉, 과거 주가의 움직임을 그림이나 차트로 그려 현재 상황과 비교하여 향후 주가의 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는 주가가 과거의 패턴대로 움직인다는 가정에 입각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미래의 주가와 과거의 주가가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에는 주가예측에 큰 도움이 되지만, 주가란 미래의 발생 가능한 돌발적인 사건에 따라 움직일 수 있으므로 기술적 분석에 의한 주가예측은 한계점이 있다.
주식, 선물 시장에서의 기술적 지표란 기본적인 시장의 가격이나 거래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시장의 장단기의 추세와 같은 시계열 정보를 좀 더 알기 쉬운 형태로 나타낼 수 있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술적 지표들은 과거의 가격 흐름과 거래량 등의 시장변수를 변형하여 시장의 패턴을 파악하고 정형화하여 미래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최적의 매매시점을 찾아내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선물 시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적 지표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술적 지표를 이용하여 매매를 자동화하는 것을 시스템 트레이딩이라고 하는데, 시스템 트레이딩이란 체계적인 거래를 위한 기계적인 거래전략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장진입 규칙(매수, 매도규칙)과 청산규칙(이익확보, 손실제한 포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동매매의 의미가 시스템 트레이딩의 개념은 아니며 모든 매매 의사결정을 마치 프로그램으로 만든 것처럼 규칙화시킨 것을 의미한다. 즉 시스템 트레이딩의 정확한 의미는 어떠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매매규칙을 갖고 특정한 과거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해본 후 그 매매 규칙을 가지고 실전에 적용하여 매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 트레이딩을 하는 이유는 감정적인 의사가 개입된 매매 방법으로 수익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시장의 변동성에 의한 감정의 동요로 인해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정한 규칙을 정한 매매 방법은 거래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감정에 의한 뇌동매매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매매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시장진입시점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일단 포지션을 보유하게 되면 어느 시점에서 이익을 취하면서 포지션을 청산할 것인가, 그리고 시장의 가격흐름이 보유포지션과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포지션을 청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이다. 시스템 트레이딩은 순수하게 기술적 분석들만으로 거래에 관련된 모든 사항(진입, 퇴출, 재진입, 손실한도의 설정, 자금관리, 위험관리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성, 이를 충분한 과거 데이터로 실험한 후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매수매도 신호에 의해 기계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주관적 거래는 거래자 개인의 과거 거래경험과 기본적 분석 및 개인적인 선호를 가지고 있는 기술적 분석 등으로 개인적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거래자 자신의 판단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는, 매매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시장진입시점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일단 포지션을 보유하게 되면 어느 시점에서 이익을 취하면서 포지션을 청산할 것인가, 그리고 시장의 가격흐름이 보유포지션과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포지션을 청산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서, 기술적 지표는 거래에 관련된 모든 사항인 진입, 퇴출, 재진입, 손실한도의 설정, 자금관리, 위험관리, 자동정지 및 해제, 청산 등에 이용하는데, 이때 하나의 지표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시간변수로 변형된 지수를 이용함으로써, 경우의 수를 다양화하고, 손실률을 최소화함으로써 매매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투자자 단말(100),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 증권사 API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자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이용하여 투자자 단말(100) 및 증권사 AP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증권사 API 서버(400)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투자자 단말(100)은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서비스의 자동 진행 절차에 따라 시장에 진입, 매수, 매도 및 청산 절차를 거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투자자 단말(100)은,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복수의 옵션 및 선택 사항을 체크 또는 변경하는 단말일 수 있다. 물론, 디폴트로 자동 설정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투자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자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투자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시간변수에 따라 변형된 EOM 지수와, 매수호가건수 및 매도호가건수에 따른 신호에 따라(AND 조건) 시장에 진입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투자자 단말(100)의 선물옵션을 매도 또는 매수할 수 있다. 또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간변수 및 거래량에 따라 매도 또는 매수를 자동으로 정지하고, 정지를 해제(재구동)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청산주기 동안 매수 또는 매도 체결량이 기 설정된 청산기준에 도달하는 경우, 청산 절차를 거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증권사 API 서버(40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증권사 API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언어로 구동되는 서버일 수 있고,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복수의 프로그램 언어를 해석하여 자신의 언어로 변환하거나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증권사 API 서버(400)의 리스트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증권사 API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기능 중 매수 또는 매도 진입 신호를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진입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값 중 변형된 EOM 지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EOM 지수를 설명하기 위한 차트에 따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EOM 지수에 부가되는 시간변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EOM 지수에 부가되는 거래량 및 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기능 중 자동정지 및 자동정지해제가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입력값으로 이용되는 거래량을 설명하기 위한 휩소신호 및 변곡구간에 따른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의 기능 중 청산주기 및 청산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3의 기능 중 설명되지 않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리딩부(310), 추출부(320), 지수 출력부(330), 건수 출력부(340), 선택부(350), 신호 출력부(360), 진입부(370), 자동 구동부(380) 및 청산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투자자 단말(100)로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투자자 단말(100)은,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투자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첫 번째, 진입을 하는 시점을 신호로 출력하고, 두 번째, 자동으로 거래를 정지하거나, 정지를 해제(재구동)하고, 세 번째, 매수체결량 및 매도체결량에 따른 청산을 실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거래 진입을 하는 시점을 신호로 출력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리딩부(310)는, 증권사 API 서버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다양한 언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엑셀과 같은 차트로 변환될 수 있고, 다양한 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추출부(320)는, 정보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따른 거래량 차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시간변수는 1분, 5분, 9분, 17분, 및 33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간주기를 선택하는 박스가 있는데, 1분, 5분, 33분 등으로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란이 시간변수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추출부(320)는, 거래량 차트를 가져오게 되는데, 예를 들어, 1 분동안의 거래량 차트, 5분 동안의 거래량 차트 등을 각각 가져오게 된다. 이때, 거래량 차트는, 각 설정 시간변수에 해당하는 시간이 지나면 신규 봉(Stick)이 생성되는데, 봉 1 개당 시간은 시간변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시간변수가 1 분이라면, 1분봉, 5분이라면 5분봉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지수 출력부(330)는, 정보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EOM(Ease Of Movement) 지표가 + 값이면 상향 신호, - 값이면 하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기준시간주기는, 1초, 10초, 30초, 1분, 3분, 5분, 9분, 17분, 33분, 및 127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수가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EOM 지표는, 0을 기준으로 + 값일 때 상향, - 값일 때 하향으로 출력될 수 있는데, 도 4에서 POWER라고 표시된 3째 열((1,3), (2,3), (3,3))으로 표시된다. 이때, 첫 번째 행의 POWER(EOM 지표)는, 기준이 되는 시간변수에 따른 EOM 지표로 출력되는 신호이다.
이때, EOM 지표는, 주가와 거래량의 상호관계를 지표로 보여주는 지표로, 거래량이 적은 상태에서 주가가 상승 중일 때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거래량이 적은 상태에서 주가가 하락 중일 때는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이때, EOM 지표는 주가의 변동이 거의 없거나 변동은 있는데 거래량이 많은 경우 EOM의 값은 거의 0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EOM이 0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판단할 수 있고, EOM의 지표는 이하의 수학식 1 및 2로 계산되며, EOM 지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기술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수학식1]
EOM(Period) = avg(((H+L)/2-(H(1)+L(1))/2)/(V/10000/(H-L)),period)
[수학식2]
Signal : eavg(EOM(Period),maPerio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는, EOM 지표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 3개에서 7개의 시간변수를 이용하여 진입조건을 각기 다르게 적용함과 동시에,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표와 AND 조건으로 선행신호가 부합할 경우에만 매수 또는 매도를 위한 진입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와서, 건수 출력부(340)는,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 매도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매수호가건수 및 매도호가건수는 선택 또는 지정되는 총호가 또는 5호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선택은 투자자 단말(100)에서 할 수도 있고,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 1 행((1,1),(1,2),(1,3))은 신호발생의 기준이 되는 시간변수가 선택되고, 이에 따른 변형된 EOM 지표와, 매도/매수호가건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즉, (1,1)은 선택된 기준시간주기(1분)에 따라,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많으면 상향 신호(▲)를 출력하고,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적으면 하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1,2)는 선택된 기준시간주기(1분)에 따라,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매도호가건수가 많으면, 상향 신호(▲)를 출력하고,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 매도호가건수가 적으면 하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1,3)은, 선택된 기준시간주기(1분)에 따라, EOM 지표가 0을 기준으로 +이면 상향 신호(▲)를 출력하고, -이면 하향 신호(▼)를 출력한다.
정리하면, 1열은 선택된 시간주기(변수)에 따른 매수호가건수가 비교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신호를 출력하고, 2열은 선택된 시간주기(변수)에 따른 매도호가건수가 비교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신호를 출력하며, 3열은 선택된 시간주기(변수)에 따른 EOM 지표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각 행에 따라 시간주기(변수)는 다르게 설정되는데, 1 행은 기준행이고, 2 및 3행은 비교행이다. 즉, 기준행과 비교행이 동일한 신호가 출력될 경우, 매수 또는 매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기준행과 비교행이 모두 상향 신호로 동일할 경우, 매수 신호(진입)가 출력되고, 기준행과 비교행이 모두 하향 신호로 동일할 경우, 매도 신호(진입)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b) 비교행 중 2행만 체크(선택)가 투자자에 의해 또는 디폴트로 설정이 된 경우, 1행(기준행)과 2행(비교행)을 비교하여 동일 신호인지를 파악하면 되는데, (c) 비교행 모두가 체크(2행 및 3행)된 경우, 1행(기준행)과 2-3행(비교행)이 모두 동일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에 따라, 비교행이 1개만인 경우에는 기준행을 포함하여 6개의 칸이 모두 동일한 신호인지를 파악하고, 비교행이 2개인 경우에는, 기준행을 포함하여 모두 9개의 칸이 모두 동일한 신호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도 2로 돌아와서, 선택부(350)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로부터 선택시간주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선택시간주기는, 1분, 5분, 9분, 17분 및 33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시간변수(선택시간주기, 기준시간주기)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변수는, 1분, 5분, 9분, 17분 및 33분의 거래량을 기준으로 삼는데, 시간변수의 시간이 길수록 긴 파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해당 시간변수가 만드는 차트에서 주가가 그리는 선을 보고 파동을 파악할 수 있다. 각 파동의 폭이 클수록 변동성이 좋다고 표현하며, 1분을 극소파동, 5분은 중파동, 17분은 중 및 대파동, 33분은 대파동, 127분을 추세파동이라고 한다. 또한, 거래량 차트는 각각 설정한 시간변수에 해당하는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봉(Stick)을 생성하며, 봉 1개당 설정한 시간변수에 해당한다.
도 7을 참조하면, 33분의 거래량의 최근 9개월의 평균선(9 이평선)을 기준으로 활성화 1단계의 구간(파란색)은, 130%이상 돌파하는 거래량이며, 활성화 2단계의 구간(노란색)은, 9 이평선에 근접한 거래량이며, 활성화 3단계의 구간(흰색)은, 9 이평선의 70% 미만인 거래량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서는, 활성화 1단계 및 2단계에서만 구동될 수도 있다. 이는, 이하 자동정지 및 해제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로 돌아와서, 신호 출력부(360)는, 선택된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EOM 지표 및 건수에 따른 상향 신호 또는 하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향 신호는 ▲로 표시되고, 하향 신호는 ▼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향인지 또는 하향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진입부(370)는,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기준시간주기 및 매수호가건수에 따른 신호는 (1,1)에 출력되고, 기준시간주기 및 매도호가건수에 따른 신호는 (1,2)에 출력되고,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EOM 지표에 따른 신호는 (1,3)에 출력되고, 선택시간주기 및 매수호가건수에 따른 신호는 (2,1)에 출력되고, 선택시간주기 및 매도호가건수에 따른 신호는(2,2)에 출력되고, 선택시간주기에 따른 EOM 지표에 따른 신호는 (2,3)에 출력되고, 선택시간주기는 복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시간주기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선택시간주기가 2개인 경우, 2번째 행 및 3번째 행의 1번째 및 2번째 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선택시간주기가 늘어날수록 행이 늘어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두 번째, 자동정지 및 정지해제 기능을 설명한다.>
자동 구동부(380)는, 진입부(370)에서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한 후, 매도 신호 또는 매수 신호를 발생한 후,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발생한 평균거래량이 현재 발생한 거래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만큼 감소하는 경우, 투자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평균거래량은,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대응하는 2 개의 분봉의 평균거래량이고, 현재 발생한 거래량은,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대응하는 1 개의 분봉의 거래량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자동 정지 및 해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간변수는 1분, 5분, 9분, 33분의 거래량을 기준으로 하며, 스켈핑 매매(1분), 소파동 매매(5분), 대파동 매매(33분)를 구분하여 자동 정지 및 해제를 하는데, 소파동 매매(5분)을 예로 들면, 증권사 API 정보를 받기 시작한 구동시작시점을 기준으로, 10분간 평균거래량((5분간 거래량+5분간 거래량)/2)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평균거래량이 기 설정된 퍼센트,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퍼센트가 40%이고, 평균거래량이 40%로 감소하게 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정지되도록 정지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평균거래량이 기 설정된 퍼센트,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퍼센트가 50%이고, 평균거래량이 50%로 증가하면, 매매가능구간으로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재구동(정지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매매불가구간(자동정지)은, 현재거래량이 평균거래량의 40%으로 줄어들 때 또는 130% 이상 늘어날 때로 정의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손실 확률이 커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매매가능구간(자동정지해제)은, 현재거래량이 평균거래량의 70%부터 늘어나서 130%까지 거래량이 증가하는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수익 확률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자동 구동부(380)는, 자동으로 정지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발생한 평균거래량이 현재 발생한 거래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만큼 증가하는 경우, 자동정지를 해제하여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재구동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a) 휩소 신호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시스템 트레이딩에서 마치 톱날처럼, 또는 톱니처럼 주가가 출렁거리는 현상 또는 잦은 매매신호 발생이 톰날처럼 발생하는 구간, 또는 기술적 지표의 속임수 현상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즉, 기술적 분석의 틀을 벗어나는 시장 움직임이 나타날 경우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기술적 분석의 한계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휩소 신호가 발생하는 구간에서는 자동정지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트레이딩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b) 변곡 구간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는데, 변곡 구간은 위로 볼록인 상태에서 오목인 상태로, 또는 위로 오목인 상태에서 볼록인 상태로 변하는 구간, 즉 주가가 멈춰서 변화가 없거나 거래량이 급감하여 거래량이 감소한 상태의 구간이며, 상방 및 하방의 전환이 많은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변곡 구간에서도휩소 신호가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자동정지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트레이딩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세 번째, 청산방법을 설명한다.>
도 2로 돌아와서, 청산부(390)는, 진입부(370)에서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한 후, 기 설정된 시간변수동안 체결된 매수체결량 또는 매도체결량이 기 설정된 청산기준 퍼센트만큼 감소하는 경우, 매수분 또는 매도분을 청산하는 청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대호가 청산 또는 대기호가 청산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청산부(390)는, 입력된 청산 방법에 따라 청산신호가 발생한 매수분 또는 매도분을 청산할 수 있다.
또한, 청산부(390)는,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대호가 청산 또는 대기호가 청산을 입력받은 후, 투자자 단말로부터 익절틱(Tick)이 선택되는 경우, 매도 또는 매수에 진입 후, 선택된 익절틱에 해당하는 호가에 대기주문 후에 청산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청산주기 및 청산기준은, 설정한 청산주기 시간동안 실제 매도체결량 및 실제매수체결량이 설정한 청산기준의 %만큼 줄어들 때 청산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자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디폴트에 의해 상대호가 또는 대기호가가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청산절차가 진행될 때, 상대호가로 보유중인 포지션을 청산을 할 수도 있고, 대기호가로 보유중인 포지션을 청산할 수도 있다.
즉, 선물거래는 주식과는 달리 매도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시장에 참가한다는 의미로 진입(Entry)이라는 용어를 이용하는데, 매수로 진입할 수도 있고, 매도로 진입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에 따라, 매매로 끝내는 것은 샀던 것을 팔거나, 팔았던 것을 다시 사는 것인데, 샀던 것을 팔아버리는 것을 매수를 청산한다고 하며, 팔았던 것을 사서 없애버리는 것을 매도를 청산한다고 하며,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매입 청산(short covering)= 매도 포지션(-)을 재매입(+)하여 청산
-매도 청산(long liquidation)= 매입 포지션(+)을 재매도(-)하여 청산
이에 따라, 청산의 세팅(Setting)을 보면, 2차주기에 9가 선택 또는 디폴트로 설정되는데, EOM 이평선의 시간주기를 의미한다. 이때, 도 10에 세팅된 2차주기의 9는 9 이평선을 의미한다. 또한, 익절에 체크 박스가 있는데, 익절에 체크박스가 선택되고, 숫자가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진입시 바로 설정한 틱에 해당하는 호가에 대해 대기주문 후 청산된다. 이때, 2틱이 설정되었으므로, 2 틱에 해당하는 호가에 대해 대기주문 후 청산될 수 있다.
또한, 청산기준(청산 시간변수(주기))가 3분이고, 청산기준이 17%이므로, 3분간 체결량이 17%만큼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청산을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도 진입시 3분간 체결량이 17%만큼 증가한 경우 매도분을 청산할 수 있고, 매수 진입시 3분간 체결량이 17%만큼 감소한 경우 매수분을 청산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강도를 표시하는 원이 도시되는데, 거래가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 지표를 알려주며, 현재 청산기준 %를 색상으로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청산에 체크박스가 체크되고, 17분, 8%로 설정 또는 선택된 경우, 설정된 시간변수의 확정분봉(17분마다)에 신호를 발생하며 자동으로 정지가 된다. 또한, 총 매수호가건수, 총 매도호가건수, 호가잔량 등이 입력한 값인 8%만큼 줄어들 경우, 청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승방향인 경우, 8%만큼 줄어들면, 청산신호를 발생하고, 하강방향인 경우 %만큼 줄어들 시 청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산 과정은, 주가의 흐름을 해당 시간변수(17분)만큼의 파동으로 방향을 미리 알려주는 로직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는, i) 진입(Entry), ii) 자동 정지 및 해제, iii) 청산의 절차를 자동, 반자동 등으로 구동함으로써,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손실률을 최소화하여 투자자의 신뢰도를 얻음과 동시에 수수료로 인한 매출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투자자 단말(100)에서는, ① 모의투자나 실투자를 선택할 수 있는데,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모의투자 또는 실투자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로그인은,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증권사 계좌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선택하며, 계좌 조회를 선택하는 경우, 계좌의 잔고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다.
② 구동 상품을 선택하고, 시작(Start) 및 정지(Stop)할 수 있는 기능인데, 구동상품은 식별기호로 선택을 할 수 있고, ③은 호가창인데, 증권사 API 연동으로 실시간으로 읽어들이는 호가를 창에 출력할 수 있다.
④는 현재 보유 목록인데, 현재 진입된 매도 계약의 현재가, 수량(잔고), 현재 진입된 매수 계약의 현재가, 수량(잔고)가 표시되며, 아래에는 대기주문의 가격 및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
⑤는, 프로그램 구동 로그(Log) 데이터인데,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난 후에 발생하는 신호, 체결가격, 잔고 등의 모든 정보가 시간과 함께 표기 및 출력되어 히스토리 로그 역할을 수행한다.
⑥은 프로그램 발생신호 이미지인데,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매도, 매수, 청산 등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고, ⑦은 설정 세팅인데, 기본 진입 계약 수량, 누적 계약 수량, 자동 익절틱, 손절틱 등을 설정 또는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진입할 수 있는 수량 제한인데, 기본수량은 진입할 때 한 번에 체결할 수 있는 계약수량을 제한하는 것이고, 누적진입은 계약 중 총 누적보유가능수량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 익절틱은,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세팅된 경우, 해당 설정값에 자동으로 익절 대기나 청산이 되고, 자동 손절틱은,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세팅된 경우, 해당 설정값에 자동으로 손절 청산이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이다.
⑧은 수동 주문 진입과, 수동 청산, 취소 등의 기능인데, 수동으로 매도 진입 또는 매수 진입을 하거나, 대기 주문을 취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⑨는 미체결 주문 보정 취소 또는 정정 기능인데, 대기주문 중 설정된 시간 동안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주문을 취소하거나 상대호가를 정정하여 주문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⑩은 누적 손실인데, 누적 손실을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디폴트로 설정이 된 경우에는, 설정값에 달하는 누적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손실액이 다소 커 위험요소가 많은 선물옵션 시장에서 투자자가 감당 가능한 손실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⑪는 결과신호인데, 1,2,3,4,5(1분,5분,9분,17분,33분)의 각 변수의 지나간 데이터를 취합한 후, 실시간 값을 반영하여 결과 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11의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증권사 API 서버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인다(S1100).
또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정보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따른 거래량 차트를 추출하고(S1200), 정보 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EOM(Ease Of Movement) 지표가 + 값이면 상향 신호, - 값이면 하향 신호를 출력한다(S1300).
그리고,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 매도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한다(S1400).
한편,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로부터 선택시간주기를 선택받고(S1500), 선택된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EOM 지표 및 건수에 따른 상향 신호 또는 하향신호를 출력한다(S1600).
이에 따라,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한다(S1700).
상술한 단계들(S1100~S17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1100~S17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12의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증권사 API 서버로부터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정보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따른 거래량 차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정보 데이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EOM(Ease Of Movement) 지표가 + 값이면 상향 신호, - 값이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수호가건수보다 현재 매수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 중 기준시간주기에 따른 기준 매도호가건수보다 현재 매도호가건수가 증가하면 상향, 감소하면 하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로부터 선택시간주기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EOM 지표 및 건수에 따른 상향 신호 또는 하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주기는, 1초, 10초, 30초, 1분, 3분, 5분, 9분, 17분, 33분, 및 127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선택시간주기는, 1분, 5분, 9분, 17분 및 33분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매도 신호 또는 매수 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발생한 평균거래량이 현재 발생한 거래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만큼 감소하는 경우, 상기 투자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자동으로 정지된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발생한 평균거래량이 현재 발생한 거래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만큼 증가하는 경우, 자동정지를 해제하여 상기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재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도 신호 또는 매수 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발생한 평균거래량이 현재 발생한 거래량보다 기 설정된 퍼센트만큼 감소하는 경우, 상기 투자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평균거래량은,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대응하는 2 개의 분봉의 평균거래량이고,상기 현재 발생한 거래량은,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에 대응하는 1 개의 분봉의 거래량으로 계산하는 것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인 경우 매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기준시간주기 및 선택시간주기에 기초하여 출력된 신호가 모두 하향 신호인 경우 매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 설정된 시간변수동안 체결된 매수체결량 또는 매도체결량이 기 설정된 청산기준 퍼센트만큼 감소하는 경우, 매수분 또는 매도분을 청산하는 청산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대호가 청산 또는 대기호가 청산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청산 방법에 따라 청산신호가 발생한 매수분 또는 매도분을 청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상대호가 청산 또는 대기호가 청산을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익절틱(Tick)이 선택되는 경우, 매도 또는 매수에 진입 후, 상기 선택된 익절틱에 해당하는 호가에 대기주문 후에 청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36159A 2017-10-19 2017-10-19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59A KR101885068B1 (ko) 2017-10-19 2017-10-19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59A KR101885068B1 (ko) 2017-10-19 2017-10-19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068B1 true KR101885068B1 (ko) 2018-08-03

Family

ID=632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159A KR101885068B1 (ko) 2017-10-19 2017-10-19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0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506A (ko) * 2000-04-10 2001-11-07 독고준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70102884A (ko) * 2014-12-10 2017-09-12 킨디 인코포레이티드 대량의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 필드에서 기술적 및 의미론적 신호 처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506A (ko) * 2000-04-10 2001-11-07 독고준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70102884A (ko) * 2014-12-10 2017-09-12 킨디 인코포레이티드 대량의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 필드에서 기술적 및 의미론적 신호 처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Fintech: Ecosystem, business models, investment decisions, and challenges
Nuti et al. Algorithmic trading
US8214283B2 (en) Computer implemented and/or assis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apid execution of, for example, listed options contracts using toxicity and/or profit analyzers
US7908199B2 (en)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orders in a securities trading system
US20160300303A1 (en) Computer Based Trading System and Methodology For Identifying Trading Opportunities
US20030233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instrument trading information and for trading a financial instrument
JP2008512775A (ja) 組み合わせ売買およびリスク管理gui表示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1079963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dvisory solutions to a designated market
AU2010239481A1 (en) Cash flow rating system
US20200357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investing
US8452682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non-transparent exchange-traded fund share creations and redemptions with optional early cutoff times
US201603717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investing
US20100325061A1 (en) Electronic Bartering System with Facilitating Tools
US20100145873A1 (en) A Mass Customizable Interactive, Multi-Faceted System For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Transmission, And Trading In Securities
US86766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for the trade of financial instruments
US20040093298A1 (en) Method for providing energy commodities trade outsourcing services within the energy markets
CA2719950A1 (en) Authoriz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operation of a controlled device to permit and individual to perform an action
US200701431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culating reserve capital requirements
KR101885068B1 (ko) 시간변수로 변형된 eom 지수 및 선행신호 기반 선물옵션 자동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81963A (ko) 알고리즘 기반의 퀀트 투자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CA2494113A1 (en) Synthetic funds having structured notes
US20190279301A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n Algorithmic Solution for Analyzing a Portfolio of Stocks, Commodities and/or Other Financial Assets Based on Individual User Data to Achieve Desired Risk Based Financial Goals
KR102486782B1 (ko) 전략 설정에 따른 유가증권의 자동거래시스템 및 자동거래방법
US11954733B1 (en) Customizable investment platform
Liu Quantitative Trading: An Int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