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009B1 -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 Google Patents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009B1
KR101884009B1 KR1020180007914A KR20180007914A KR101884009B1 KR 101884009 B1 KR101884009 B1 KR 101884009B1 KR 1020180007914 A KR1020180007914 A KR 1020180007914A KR 20180007914 A KR20180007914 A KR 20180007914A KR 101884009 B1 KR101884009 B1 KR 10188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rror
discharge
edi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광재
심완섭
김성학
김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to KR1020180007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06F17/30241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에 형성된 편집영역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파일을 메뉴선택부에 의해 시설물의 생성과 편집을 진행하고 편집이 완료된 편집파일을 생성하며, 편집파일의 검수를 통해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크뷰 등과 같은 고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토캐드 프로그램과의 컨버젼이 가능하며, 도로나 상수도, 하수도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의 지도 제작에 활용하여 지아이에스(GIS) 구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GIS database construction system for Road and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MMS}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 기술 분야 중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에 형성된 편집영역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파일을 메뉴선택부에 의해 시설물의 생성과 편집을 진행하고 편집이 완료된 편집파일을 생성하며, 편집파일의 검수를 통해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크뷰 등과 같은 고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토캐드 프로그램과의 컨버젼이 가능하며, 도로나 상수도ㆍ하수도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의 지도 제작에 활용하여 지아이에스(GIS) 구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교통·통신 등과 같은 지형 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 정보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하에 매설된 광케이블, 상하수도관, 도시가스관, 송유관, 우수관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나 지하시설물의 사고시 긴급복구 등과 같이 지리정보를 기초로 하는 현장 업무의 경우에, 상술한 GIS를 활용하여 해당 현장의 지리정보, 즉,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얻어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해당 현장의 지하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위치와 정보 얻거나 도면으로 출력하여 육안에 의해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한편, 도로나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는 수치지도는 활용도가 높다. 이때, 수치지도란 수치화되어 저장된 지리 정보가 담긴 지도, 지형, 지명, 토지 이용 및 지도상에 표시되어야 할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수치화한 지도로서 컴퓨터 파일 형태로 CD, DVD,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전자 지도를 가리킨다.
이러한 수치지도에는 건물기호, 묘지, 논, 밭, 맨홀 등을 점으로 표시하고, 담장, 도로, 등고선 등은 선으로 표시하고, 가옥, 재배지 경계 등은 면으로 표시하고, 건물명, 행정구역명은 글자로 표현하여 담고 있으며, 오토캐드(Auto cad) 및 아크뷰(Arcview) 등과 같은 지도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지면, 지하 등을 표시하는 것과 더불어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해도 또는 지형의 기복상태를 수치로 나타내는 지형도 등을 제작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치지도의 특징은 초기에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높고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무한대로 복사 및 배포가 가능한 컴퓨터 파일이며 축척 변환과 다른 수치지도와의 통합 출력이 가능하고, 왜곡,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디지털 정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오토캐드를 사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수치지도의 기초지형도를 먼저 제작하고, 제작된 기초지형도를 바탕으로 다시 고가의 아크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수치 등을 정밀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36235호(2008.06.02.) 'CAD 도면에 의한 GIS 공간연계 DB 자동구축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표시부에 형성된 편집영역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파일을 메뉴선택부에 의해 시설물의 생성과 편집을 진행하고 편집이 완료된 편집파일을 생성하며, 편집파일의 검수를 통해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크뷰 등과 같은 고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토캐드 프로그램과의 컨버젼이 가능하며, 도로나 상수도ㆍ하수도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의 지도 제작에 활용하여 지아이에스(GIS) 구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니터의 화면 내에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게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소정의 영역을 갖도록 화면으로 표시되며 편집 대상인 외부 파일이 표시되는 편집영역부 및 상기 표시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집영역부와 이웃하게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선택메뉴가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메뉴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선택부는 상기 편집영역부에 표시된 상기 외부파일에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메뉴 중 선택된 명령어를 클릭하여 시설물을 생성하거나 편집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편집부와, 상기 시설물편집부를 통해 편집이 완료된 외부파일을 검수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발생한 오류를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메뉴 중 선택된 명령어를 클릭하여 복구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편집부는 상기 외부파일에 도로면ㆍ교량ㆍ도로중심선ㆍ가로등 및 교통표지판으로 이루어진 도로시설물과, 상기 외부파일에 정수장ㆍ상수관로ㆍ변류시설ㆍ생성된 상수관로의 라벨 또는 지시선 및 생성된 관라벨의 속성값을 갱신하는 상수시설물과, 지하시설물의 일종인 하수관거ㆍ하수맨홀ㆍ관로시점관저고ㆍ관로종점관저고ㆍ평균구배 계산 및 하수관거의 관라벨 생성 또는 속성값으로 이루어진 하수시설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거나 편집하여 편집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검수부는 상기 시설물편집부에 의해 편집이 완료된 상기 편집파일의 오류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데이터검수부를 통해 판별된 오류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오류표시부는 판별된 오류를 화면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판별된 오류 및 복구된 오류를 화면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출력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표시부에는 판별된 오류 및 복구된 오류의 프린터와 같은 출력기기를 통한 출력여부를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메뉴중 해당 명령어 클릭으로 선택할 수 있는 출력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에는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진동흡수부는 모니터의 다리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와, 상기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와,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와,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모니터의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및 상기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를 작업테이블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동수단은 작업테이블에 배치된 레일과, 상기 모니터의 받침부에 구비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부, 시설물편집부, 데이터검수부는 함체(1200)에 실장된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되고;
상기 함체(120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함체(120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DR)가 설치되고, 함체(1200)의 양측면에는 송풍유닛(1210)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1210)은 송풍케이스(1220)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상측에는 배기구(OUT)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흡입구(IN)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내부는 격벽(1230)에 의해 구획되어 배기구(OUT)가 하측 공간과 통하지 않도록 분리되며, 상기 격벽(1230)의 하측에는 간격을 두고 투입가이드(1240)가 경사 배열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에는 상기 투입가이드(1240)로 공극막필터를 구성하는 이산화규소를 투입할 투입구(1250)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250)는 개폐가능한 투입도어(126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투입가이드(1240)의 단부는 투입호퍼(1270)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호퍼(1270)는 스크류피더(1280)의 일측에 연통되어 분말상의 이산화규소가 투입가이드(1240)를 타고 이동하여 투입호퍼(1270)를 통해 스크류피더(1280)로 안내되게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IN)의 하측에는 링 타입 필터(1290)가 구비되며, 상기 링 타입 필터(1290)는 링간 간격(틈) 보다 이산화규소 분말(SI)의 입도가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링 타입 필터(1290)는 고정구(1300)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구(1300)는 각각 송풍케이스(1220)의 내벽면에 나사조립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인 상기 투입구(1250)가 형성된 측면 하부에는 여과공기공급공(1310)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공기공급공(1310)은 공급관(1320)을 통해 상기 함체(1200) 내부와 연통되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 타입 필터(1290)의 하부에는 하부판(1330)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측면에는 투입유닛(2000)이 더 구비되어 이산화규소 분말을 정량 공급하되, 상기 투입유닛(2000)은 투입깔대기(2100)와, 상기 투입깔대기(2100)의 하단에 연결된 이송통(2200)과, 상기 이송통(2200) 내부의 일측에 구획된 공간에 설치된 이송모터(2300)와, 상기 이송모터(2300)에 연결되고 이송통(2200)에 배열된 이송스크류(2400)와, 상기 이송통(2200)의 단부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멍(2500)과, 상기 배출구멍(2500)을 개폐하여 정량 배출하는 배출판(2700)과, 상기 배출판(2700)을 구동시키는 배출실린더(2800)와, 상기 배출실린더(2800)를 고정하도록 이송통(220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900)과, 상기 배출구멍(2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250)로 연결된 배출안내가이드(2600)로 이루어지며;
에어퍼지에 의해 분리 취출된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한 필터링된 미세 이물질들은 배출분 트레이(3000)로 수납되고, 상기 배출분 트레이(3000)로 수집된 배출분은 배출분피딩펌프(3100)를 통해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으로 이송되며,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은 이물질 혼합물인 배출분을 받아 싸이클론 방식으로 비중차에 의해 이산화규소 분말과 미세 이물질를 분리하고,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의 상부로 부상 분리된 경입자들은 이물질포집부(3300)로 포집 처리되며,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의 하부로 낙하된 이산화규소 분말(SI)은 미터링펌프(3400)를 통해 다시 투입구(1250)로 공급되게 구성되고;
상기 링 타입 필터(1290)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퍼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퍼지유닛(1500)은 마개(1512)로 나사조립되어 선단이 막힌 원통형상의 노즐부(1510)와, 상기 노즐부(1510)의 하단부에 상기 노즐부(1510)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1530)와, 상기 노즐부(151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각도를 갖고 다수 형성된 분사공(1520)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510)의 내경에는 접속부(1530)와의 경계에 단턱(1514)이 형성되며, 선단에서 단턱(1514)을 향해 스플라인홈(1516)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1510)의 내경에는 개폐통(1540)이 삽입되며, 상기 개폐통(1540)의 둘레 일부에는 상기 스플라인홈(1516)에 결합되는 스플라인(1542)이 돌출되어 상호 끼움되고, 상기 개폐통(1540)의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520)과 대응되게 다수의 방출구멍(1544)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통(1540)의 선단은 막혀 있는 형태이고, 상기 개폐통(1540)은 노즐부(1510) 내부로 삽입된 후 삽입선단이 상기 단턱(1514)에 걸리며, 삽입후단에는 코일스프링(SPR)이 배치되어 분사공(1520)과 방출구멍(1544)이 서로 어긋나게 하여 분사공(1520)이 밀폐된 상태에서 마개(1512)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에 형성된 편집영역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파일을 메뉴선택부에 의해 시설물의 생성과 편집을 진행하고 편집이 완료된 편집파일을 생성하며, 편집파일의 검수를 통해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크뷰 등과 같은 고가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토캐드 프로그램과의 컨버젼이 가능하며, 도로나 상수도ㆍ하수도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의 지도 제작에 활용하여 지아이에스(GIS) 구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검수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의 오류표시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의 제2메뉴선택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의 편집파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이 모니터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의 출력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함체에 설치된 송풍유닛의 세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도 11의 함체에 설치된 이산화규소 투입유닛의 예시도.
도 14는 도 11의 함체에 설치된 이산화규소 재활용유닛의 구성도.
도 15는 도 11의 함체에 설치된 에어퍼지유닛의 역류방지구조를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0)와, 편집영역부(200)와, 메뉴선택부(300)와, 진동흡수부(400, 도 9 참조) 및 이동수단(500, 도 10 참조)을 포함한다.
이때, 이들 구성부들은 함체(1200, 도 11 참조)에 실장된 제어기인 제어모듈,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편집모듈, 메뉴선택모듈, 시설물편집모듈, 데이터검수모듈 등 다수의 모듈들에 의해 연계 처리된다.
즉, 편집영영부(200)는 편집모듈의 구동에 의해 처리되며, 메뉴선택부(300)는 메뉴선택모듈에 의해 처리되며, 후술되는 시설물편집부(321)는 시설물편집모듈에 의해 처리되고, 데이터검수부(323)는 데이터검수모듈에 의해 처리되는데, 처리되는 내용은 이하 설명과 같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00)는 편집영역부(200)와 메뉴선택부(300)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모니터(M) 등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는 기계장치에 표시되며 통상적으로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아이콘(Icon) 버튼을 통해 모니터(M)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전체표시, 축소표시 및 숨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모니터(M)의 화면비율(가로×세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을 기본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편집영역부(200)는 표시부(100)에서 편집하고자 하는 외부파일(210)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표시부(100) 내에 소정의 영역을 갖도록 표시된다.
이때, 상기 외부파일(210)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 파일로서, 통상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국 오토데스크(AUTO DESK)사가 개발한 Auto-Cad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DWG(Darwing) 파일 또는 외부파일 형식인 DXF(Drawing Exchange Format) 등과 같이 다른 기종의 다양한 Auto-Cad 프로그램 간에 도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작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파일(210)이 이미 DWG 혹은 DXF 형태로 주어진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외부파일(210)을 생성하는 기초자료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된 자료를 DWG 혹은 DXF 형태로 가공되게 함으로써 휴대단말기 등으로 촬영한 현장 영상이나 이미지를 외부파일(210) 생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GIS 구축이 필요한 현장을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편집영역부(200)는 상기 외부파일(210)에 포함된 각종 데이터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선, 점 및 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작업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명도(明度)가 낮은 색상을 바탕색으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명도가 가장 낮은 검정색을 바탕색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바탕색은 외부파일에 포함된 데이터의 색상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작업 중인 외부파일의 뷰(View)에 따라 위치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 좌표 표시(기본적으로 X축과 Y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태)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뉴선택부(300)는 상기 편집영역부(200)를 통해 표시된 외부파일(210)에 시설물을 생성, 삭제, 수정 등과 같은 편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command)가 표시된 것으로, 상기 편집영역부(200)와 이웃하게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명령어를 문자 또는 아이콘(Icon)으로 표시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명령어는 메뉴로 지칭한다.
그리고, 문자로 표시되는 메뉴는 제1메뉴선택부(320)이며, 아이콘 이미지로 표시되는 메뉴는 제2메뉴선택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메뉴선택부(320)는 통상의 풀다운메뉴(Pulldown Menu)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대분류 -> 중분류 ->소분류 형태로 작업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풀다운메뉴는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개수 제한에 의해 유사한 메뉴를 하나의 카테고리안에 묶어서 표시하는 형태이며, 현재 편집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뉴와 사용할 수 없는 메뉴는 색상의 반전을 통해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통상의 편집 중에서는 출력시 사용되는 플롯 스타일(Plot style)을 수정하거나 편집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플롯 스타일은 출력을 위한 화면에서만 편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메뉴선택부(330)는 메뉴를 아이콘 이미지로 표시한 것으로, 상기 제1메뉴선택부(320)에 비해 직관적이고, 각각의 아이콘 이미지가 하나의 메뉴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므로 아이콘을 클릭하여 바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2메뉴선택부(330)는 작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메뉴를 화면상에 직접 노출시킨 것으로 작업의 속도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마다 또는 외부파일의 종류마다 선택적으로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메뉴선택부(330)는 유사한 메뉴 또는 상기 제1메뉴선택부(320)에서 하나의 카테고리안에 묶인 다수개의 메뉴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을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메뉴선택부(320)와 제2메뉴선택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형태 및 방법의 차이 이외에 기능적으로는 동일하므로 제1메뉴선택부(320)를 설명하는 것으로 제2메뉴선택부(330)의 설명은 갈음한다.
상기 제1메뉴선택부(320)는 상기 편집영역부(200)에 표시된 외부파일(210)에 편집하고자하는 시설물을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설물편집부(321)와, 상기 시설물편집부(321)를 통해 편집이 완료되어 생성된 편집파일(310)을 검수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오류 발생시 이를 복구하는 데이터검수부(323)와, 발생된 오류 및 복구된 오류를 점멸되는 박스로 표시하거나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표시되는 선의 굵기를 다르게 하는 형태로 표시하는 오류표시부(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메뉴선택부(320)에서 설명되지 않는 메뉴는, 외부파일을 불러오기, 저장, 다른 이름으로 저장, 도면뷰의 변경, 프린터를 통한 출력 등과 같이 통상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메뉴이며 이러한 메뉴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시설물편집부(321)는 편집영역부(200)에 표시된 외부파일(210)에 도로시설물과, 상수시설물ㆍ하수시설물 등의 지하시설물 및 공통시설물 등을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로시설물은 도로면이나 교량 등과 같은 면형, 도로중심선과 같은 선형 및 가로등이나 교통표지판 등과 같은 점형을 생성 및 편집하도록 하며, 상수시설물은 정수장 등과 같은 면형, 상수관로 등과 같은 선형의 지하시설물, 변류시설 등과 같은 점형을 생성 및 편집함과 동시에 생성된 상수관로의 라벨이나 지시선 등을 생성하고, 생성된 관라벨의 속성값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하시설물중 하수시설물은 하수관거 등과 같은 면형이나 점형, 하수맨홀 등과 같은 점형, 관로유수방향의 생성, 관로시점관저고, 관로종점관저고, 평균구배 계산, 하수관거의 관라벨 생성이나 속성값 등을 생성 및 편집하며, 공통시설물은 건물 등과 같은 면형, 등고선 등과 같은 선형, 맨홀 등과 같은 점형 및 도시기준점을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시설물편집부(321)는 공통시설물의 높이(Z값)나 인접도엽 관로 버텍스 삭제, 면형이나 선형시설물의 결합, 속성코드값에 따른 색상의 변화, 관로 방향의 전환이나 확인, 관로 상/하월이나 테이블의 편집 및 편집영역에 표시한 외부파일과 동종 또는 이종의 파일을 불러오기 등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데이터검수부(323)는 상기 시설물편집부(321)에 의해 편집된 편집파일(310)의 오류 여부를 검수한다.
예컨대, 데이터검수부(3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편집부(321)에 의해 생성된 상/하수도 관로의 폐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데이터검수부(323)가 이를 오류로 판별하여 후술하는 오류표시부(324)로 오류 데이터(도면 상의 좌표, 오류 종류 등)를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검수부(323)의 오류 판별은 편집파일(310)로 작성하는 실제 지형을 편집파일(310)과 동일한 축척으로 미리 제작된 비교파일을 불러내어 1:1로 비교하며, 이때 사용되는 비교파일은 ESRI 사의 GIS 프로그램 ArcView에 사용되는 표준 포맷 파일 지리현상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와 속성 정보를 저장, 제공해주는 데이터 포맷인 쉐이프 파일(Shape Fi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쉐이프 파일은 상기 ArcView 뿐만 아니라 기타 GIS 등의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 AutoCad map 등에서도 사용되는 공용 표준 포맷 파일이며, 지리 사상의 기하학 정보를 저장하는 .shp 파일, 지리 사상의 기하학 정보의 인덱스를 저장하는 .shx 파일, 지리 사상의 속성 정보를 제공하는 dBASE 파일인 .dbf 파일, 지리 사상 공간 인덱스를 저장하는 .sbn 파일, spatial join 등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shape 필드에 대한 인덱스를 생성할 때 필요한 파일인 .sbx 파일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5개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이 하나의 묶음으로 실행된다.
이러한 쉐이프 파일은 View에서 빠르게 공간 정보 등의 보기가 가능하고, 공간 사상과 속성을 손쉽게 편집, 추가, 삭제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검수부(323)를 통해 검수가 완료된 편집파일은 최종적으로 프린트 가능한 파일로 저장된다.
한편, 데이터검수부(323)는 도로시설물, 상수시설물, 하수시설물 및 공통시설물을 개별적으로 검수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류표시부(324)는 데이터검수부(323)를 통해 판별된 오류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 오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324a)와, 발생된 오류 및 복구된 오류를 출력물에 표시하는 출력표시부(32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표시부(324a)는 데이터검수부(323)를 통해 판별된 오류부위를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더 정확하게는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편집파일의 오류 부위를 표시한다.
표시하는 방법은 오류 부위를 원 또는 사각 등의 형태의 점멸박스로 표시하거나, 오류 부위를 바탕색에 비해 명도가 높은 색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출력표시부(324b)는 데이터검수부(323)를 통해 판별된 오류부위 및 복구된 오류부위가 포함된 편집파일을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기기를 통해 출력하는 출력물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되는 출력물에서 선의 굵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출력물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작성된 도면의 정보를 기재하는 정보표기부에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력표시부(324b)를 통해 표시되어야할 오류부위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32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출력수단(325)은 통상의 프린터에 오류범위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오류범위 On/Off부(326)와, 복구된 오류범위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복구범위 On/Off부(327)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오류범위 On/Off부(326)는, 데이터검수부(323)를 통해 판별된 오류부위를 출력물에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편집파일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확인하지 못한 오류부위를 출력물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즉, 통상의 프로그램에 구비되어 있는 출력메뉴를 통해서 출력물을 생산하게 되는데, 출력메뉴에서는 출력되는 도면에 표시되는 선의 굵기, 선의 색상 등을 지정하는 플롯 스타일이 구비되고 이러한 플롯 스타일은 작업자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작업자가 오류범위의 표시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오류범위가 표시되지 않도록 출력하여 오류범위가 출력물에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 상기 오류범위 On/Off부(326)는 출력수단(325)에 구비하여 플롯 스타일의 선택사항과는 별개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복구범위 On/Off부(327)는, 복구된 오류범위를 출력물에 표시되도록 한 것으로, 출력수단(325)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끄거나 켤 수 있어 하나의 도면을 다양한 상황에서 출력하여 이를 비교해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오류범위의 복구 전 및 복구 후의 도면을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류로 판별된 오류부위가 수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구축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편집대상인 외부파일(210)이 표시부(100)에 소정의 영역을 갖도록 편집영역부(200)에 표시되고, 상기 외부파일(210)에 메뉴선택부(300)를 통해 시설물을 생성, 삭제, 수정하여 편집하고, 편집이 완료된 편집파일(310)을 비교파일과 비교하여 오류여부를 판단한 뒤 이를 화면 또는 출력물에 표시함으로써 도로나 상/하수도의 시설물의 정밀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면 중 색상으로 표시된 지시선 및 도면번호는 도면 중 지정한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축시스템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모니터(M)에는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진동흡수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M)의 다리(Ma) 내벽에 돌출형성된 단턱(410)과, 상기 단턱(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420)와, 상기 상부지지구(420)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430)와, 일단은 상부지지구(420)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430)에 맞닿아 상부지지구(42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440)와,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구(430)에 맞닿고 타단은 모니터(M)의 받침부(Mb)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43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체(450) 및 상기 상부지지구(420)와 하부지지구(430)와 받침부(Mb)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탄성체(440)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1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탄성체(450)의 내부 중심에도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2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소음흡수체와 상기 제2진동소음흡수체는 발포성고무, 우레탄, 발포성 우레탄, 스폰지, 솜, 다공성섬유 뭉치 등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턱(410)은 모니터(M)의 다리(Ma)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Ma)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리(Ma)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를 관통 결합시키고 관통되어 노출된 일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다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나사의 부위에 상부지지구(420)의 상면이 맞닿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다리(Ma)의 내벽에 단턱(4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 및 제고 공정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구(420)는, 상면이 상기 다리(Ma)에 형성된 단턱(410)에 맞닿고 하방에 배치된 제1탄성체(4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하면에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440)가 돌기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구(420)는 다리(Ma)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직경이 다리(Ma)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구(430)는 상부지지구(4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체(440)의 타단이 맞닿아 지지된 것으로, 상면이 다리(Ma)의 하단 개구부에 맞닿고 테두리가 받침부(Mb)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Mc)에 형성된 결합부(Md)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구(43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기(431)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440)가 상기 상방돌기(43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기(432)가 형성되어 제2탄성체(450)가 하방돌기(432)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부지지구(430)는 제2탄성체(45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1탄성체(440)의 타단을 하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제1탄성체(440)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체(440)는, 상부지지구(420)와 하부지지구(430)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지지구(4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부지지구(420)의 하면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4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탄성체(44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모니터(M)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모니터(M)의 다리(Ma)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모니터(M)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니터(M)로 가해지는 압력, 충격 등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쇄해줌으로써 모니터(M)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탄성체(450)는 상기 하부지지구(430)와 모니터(M)의 받침부(Mb)의 내측 바닥면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지지구(4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탄성체(440)와 함께 압축 및 복원되면서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상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45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좁고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Mb)의 내측 바닥면의 직경이 다리(Ma)의 하부 개구부에 비해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받침부(Mb)의 내측 바닥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460)는 상기 상부지지구(420)와, 하부지지구(430) 및 받침부(Mb)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체(440)와 제2탄성체(450)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수체(46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제1탄성체(440) 및 제2탄성체(450)가 압축 및 복귀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힘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힘을 흡수하여 제1탄성체(440) 및 제2탄성체(450)가 보다 적은 횟수로 압축 및 복귀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니터(M)를 작업테이블(T)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5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수단(5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T)에 배치된 레일(510)과, 상기 모니터(M)의 받침부(Mb)에 구비되며 레일(5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510)은 작업테이블(T) 상면에 배치되되 작업테이블의 형태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도 10에서는 레일(510)이 작업테이블(T)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작업테이블(T)의 상면에 +자형태 또는 -자 형태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럭(520)은 모니터(M)의 받침부(Mb)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5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볼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레일(5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럭(520)은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자성을 띄는 전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510)에도 전기의 공급에 의하여 자성을 띄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모니터를 작업테이블 위에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레일(510)의 전자석과 이동블럭(520)의 전자석에 각각 대응하는 전원의 전기를 공급하므로 각각 강한 자력이 발생되어 서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레일(510)과 이동블럭(520) 사이에 발생된 자력에 의하여 모니터(M)는 작업테이블(T) 위에서 떠있는 형상이 유지되고,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모니터(M)를 미는 경우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모니터(M)의 이동이 완료되면 레일(510)의 전자석과 이동블럭(520)의 전자석에 각각 공급되던 대응되는 전기는 공급이 중단되므로 이동블록(520)은 레일(510)과 접촉되면서 접촉저항 또는 마찰저항에 의하여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로, 레일(510)과 이동블럭(520) 중 어느 한쪽에 강한 바람을 배출시키는 송풍장치를 구비하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강한 바람을 배출시켜 모니터를 부양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고 이동이 완료되면 송풍장치의 구동을 차단시켜 레일(510)과 이동블럭(520)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므로 마찰저항 또는 접촉저항에 의하여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이동수단(500)을 통해 작업 중인 모니터(M)를 작업테이블(T)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다수의 작업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모니터(M)를 통해 작업을 공유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함체(1200)에 실장되는 다수의 모듈들은 모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된다.
이때, 상기 모듈들은 대량의 정보를 처리해야 하므로 열이 많이 발생되는 바, 이를 냉각시켜 열화를 방지하고, 냉각시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쇼트를 예방함으로써 본 발명 시스템의 장수명화를 달성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함체(120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DR)가 설치되며, 함체(1200)의 양측면에는 송풍유닛(121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유닛(1210)은 함체(1200) 내부의 발열을 냉각시켜 실장된 모듈에 탑재된 전자부품들이 열화되지 않게 하며, 더스트에 의한 오작동을 막도록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필터를 사용하되, 필터의 눈막힘을 자동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공극막필터 개념을 도입하여 필터를 교체없이 고정식으로 구성하면서도 반영구적인 수명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송풍유닛(1210)의 상측에는 배기구(OUT)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흡입구(IN)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1210)은 송풍케이스(1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내부는 격벽(1230)에 의해 구획되어 배기구(OUT)가 하측 공간과 통하지 않도록 분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격벽(1230)의 하측에는 투입가이드(1240)가 경사 배열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에는 상기 투입가이드(1240)로 공극막필터를 구성하는 이산화규소를 투입할 투입구(12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가이드(1240)의 단부는 투입호퍼(127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호퍼(1270)는 스크류피더(1280)의 일측에 연통된다.
따라서, 투입구(1250)를 통해 투입된 이산화규소는 투입가이드(1240)를 타고 이동하여 투입호퍼(1270)를 통해 스크류피더(1280)로 안내되게 되는데, 이러한 이산화규소는 분말상이다.
아울러, 흡입구(IN)의 하측에는 링 타입 필터(1290)가 구비되는데, 상기 링 타입 필터(1290)는 링간 간격(틈) 보다 상기 이산화규소 분말(SI)의 입도가 더 커야 한다.
그래야, 상기 이산화규소 분말(SI)이 링 타입 필터(1290)의 둘레면에 쌓여 일종의 공극막필터를 구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필터는 공극막필터-링필터 이렇게 이중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링 타입 필터(1290)는 고정구(1300)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구(1300)는 각각 송풍케이스(1220)의 내벽면에 나사조립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구(1250)가 형성된 측면 하부에는 여과공기공급공(1310)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공기공급공(1310)은 공급관(1320)을 통해 상기 함체(1200) 내부와 연통되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공급한다기보다 상기 배기구(OUT)를 통해 배기팬(FAN)의 배풍압에 의해 함체(1200) 내부에는 흡입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여과공기공급공(1310)을 통해 여과된 외기가 자연스럽게 빨려 들어가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여과공기공급공(1310)에는 역류방지밸브(1312)가 설치되며, 상기 역류방지밸브(1312)는 평상시 개방되어 있다가 후술할 에어퍼지유닛(1500)이 구동될 때만 닫히도록 동작 제어되게 설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류피더(1280)의 하방에 형성된 분말공급구(SUP)는 밀폐판(14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밀폐판(1400)은 판상의 부재로서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에는 판구동모터(1410)가 설치되고, 상기 판구동모터(1410)의 모터축에는 피니언(1420)이 고정되며, 상기 밀폐판(1400)의 일측단쪽 상면에는 일정폭의 래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1420)과 치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판구동모터(1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밀폐판(1400)은 인출입되며, 상기 판구동모터(1410)의 동작은 상기 에어퍼지유닛(1500)의 구동신호가 인가되기 전에 밀폐판(1400)을 이동시켜 분말공급구(SUP)를 막을 수 있도록 동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더스트 등 외부 오염물질은 공극막필터에 의해 먼저 걸러지게 되므로 링필터의 공극을 밀폐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공극막필터는 분말상이므로 어느 정도 사용 후에는 하부판(1330)을 빼내 그 위에 쌓여 있던 이산화규소 분말(SI)을 송풍케이스(1220)의 개방된 하방으로 배출시키고, 신품 이산화규소 분말(SI)을 다시 채우게 되면 링 타입 필터(1290)의 교체없이 분말만 교체 사용함으로써 반영구적인 필터링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퍼지유닛(1500)은 상기 링 타입 필터(1290) 내부에 설치되며, 시스템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를 퍼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에어 퍼지시에는 상기 하부판(1330)이 빠져 있는 상태여야 하며, 에어퍼지에 의해 링 타입 필터(1290) 둘레에 쌓여 있던 이산화규소 분말(SI)로 된 공극막필터가 분리 이탈되면서 송풍케이스(1220)의 하방으로 분리 배출된다.
때문에, 링 타입 필터(1290)의 눈막힘을 자동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판(1330)도 모터와 같은 구동원과, 래크 및 피니언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판(1400)과 동시에 인출입되게 자동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에어퍼지가 완료되면 역류방지밸브(1312)를 비롯하여 에어퍼지를 위해 작동되었던 기구들이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덧붙여, 에어퍼지에 의해 분리 취출된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한 필터링된 미세 이물질들은 수거하여 체질한 후 이산화규소만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주기적으로 에어퍼지를 통해 눈막힘을 방지하면서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이산화탄소 분말(SI)은 가끔씩 보충해 주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송풍케이스(1220)와 밀폐판(1400)은 에어 퍼지시 이물부착을 차단하여 이산화규소의 비고착성을 높이도록 슬립성, 즉 표면활성을 확보해야 하고, 나아가 내화학성과 내구성도 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케이스(1220) 및 밀폐판(1400)의 외면에 강화코팅층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강화코팅층은 스프레이방식 등 공지된 코팅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강화코팅층은 수용성 아크릴변성 우레탄-알키드수지 2.5중량%와, 육수화질산아연(Zn(NO3)2ㆍ6H2O) 3.0중량%,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5중량%와, 0.1㎛ 미만의 입도를 갖는 알로펜(Allophane) 분말 3.5중량%와, 폴리우레탄수지를 데실에테르로 수용화시킨 수지액 5.5중량%와, 아세트산나트륨(CH3COONaㆍ3H2O) 4.0중량%와, 포름산 2.0중량%와, 0.1㎛ 미만의 입도를 갖는 산화지르코늄 분말 6.0중량%와, 티오시안구리 5.0중량%와,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 2.5중량%와, 수지-실리카 복합물 8.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액이 코팅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변성 우레탄-알키드수지는 점착성을 부여하여 소재와의 밀착성을 강화하고, 초발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육수화질산아연은 공융점 형성에 따른 열보지력을 높여 내열 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며,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알로펜 분말은 화산재의 풍화과정에서 생기는 점토광물로서 예외적으로 결정구조를 갖지 않는 이른 바 비정질점토 분말로서 VOC 저감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우레탄수지를 데실에테르로 수용화시킨 수지액은 접착고성성과 내후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아세트산나트륨은 공융점 형성에 따른 축열성을 강화시켜 내구성과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포름산은 수산에 글리세린을 가해 제조되기 때문에 이물 용해력이 커 산세탁을 통해 파이프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산화지르코늄 분말은 무정형 백색 분말로서 융점이 2.677℃, 밀도가 5.6g/cm3, 모스경도 7에 이르는 일종의 세라믹스로서 경도를 높여 내마모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티오시안구리는 구리계 방오제로서 이물부착성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고, MEHEC(methylethylhydroxyethylcelluloe)는 무수 글루코오즈 단량체 사슬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즈 유도체로서 표면활성 및 화학저항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수지-실리카 복합물은 콜로이달 실리카와 아크릴릭 폴리머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600-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아크릴과 실리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OH)의 축합에 따른 수지-실리카 복합물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축합반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며, 피막밀착성과 조직 치밀도가 급격히 향상된다.
[콜로이달 실리카: -(HO-Si-OH-)n]
[아크릴릭 폴리머: CH2CCH3CO-OH]
[-(HO-Si-OH-)n + CH2CCH3CO-OH = -(HO-Si-O-CH2CCH3CO)-n + H2O ]
아울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고투명성 및 고경도, 강도 유지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코팅층을 갖는 시료를 만들고, 표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내수성을 테스트하였다.
내수성 테스트는 시편 파이프를 항온수조(60℃)에 침적하고, 500시간 단위로 표면 상태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 미세백화나 크랙, 백청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내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 파이프를 비이커에 넣고 밀봉(60℃)한 다음 5일간 드라이오븐(Dryoven)에 방치한 후 상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겔화 등 아무런 표면 반응이 없었다.
뿐만 아니라, 내식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 파이프를 KS-D-9502(기준 240hr) 염수분무실험법에 따라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는 백청 발생없이 양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이산화규소를 정량 공급할 수 있도록 송풍케이스(1220)의 측면에는 투입유닛(20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유닛(2000)은 투입깔대기(2100)와, 상기 투입깔대기(2100)의 하단에 연결된 이송통(2200)과, 상기 이송통(2200) 내부의 일측에 구획된 공간에 설치된 이송모터(2300)와, 상기 이송모터(2300)에 연결되고 이송통(2200)에 배열된 이송스크류(2400)와, 상기 이송통(2200)의 단부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멍(2500)과, 상기 배출구멍(2500)을 개폐하여 정량 배출하는 배출판(2700)과, 상기 배출판(2700)을 구동시키는 배출실린더(2800)와, 상기 배출실린더(2800)를 고정하도록 이송통(220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900)과, 상기 배출구멍(2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250)로 연결된 배출안내가이드(260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투입깔대기(2100)로 이산화규소 분말을 부어 주기만 하면 이송모터(2300)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2400)가 투입된 이산화규소 분말을 배출구멍(2500) 쪽으로 이동시키고, 배출실린더(2800)가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면서 상기 배출판(2700)을 개폐시켜 공급된 이산화규소 분말을 투입구(1250)로 정량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산화규소 분말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에어퍼지에 의해 분리 취출된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한 필터링된 미세 이물질들은 도 14와 같은 배출분 트레이(3000)로 수납되고, 상기 배출분 트레이(3000)로 수집된 배출분은 배출분피딩펌프(3100)를 통해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은 이물질 혼합물인 배출분을 받아 싸이클론 방식으로 비중차에 의해 이산화규소 분말과 미세 이물질를 분리하게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가벼운 미세 이물질들은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의 상부로 부상 분리되어 배출된 후 이물질포집부(3300)로 포집 처리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산화규소 분말(SI)은 하부로 낙하된 후 미터링펌프(3400)를 통해 다시 투입구(1250)로 공급되어 재사용되게 된다.
여기에서, 미터링펌프(3400)는 정량 공급하는 공지된 펌프이다.
또한, 상기 배출분 트레이(3000), 하이드로싸이클론(3200) 및 펌프들은 초소형화된 상태로 송풍케이스(1220)의 하측에 설치되며, 배출분이 대량이 아니기 때문에 초소형 설치로도 충분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에어퍼지유닛(1500)의 경우에는 퍼지 중단시 역압에 의한 이산화규소 분말의 역류에 의해 노즐부(1510, 도 12 참조)의 분사공(1520)이 막힘으로써 후속 에퍼지지를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즐부(1510)를 도 15와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일종의 다이어프램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1510)는 마개(1512)로 나사조립되어 선단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15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노즐부(1510) 보다 더 큰 직경의 접속부(1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속부(1530)는 에어공급원과 연결된 접속관이 커넥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1510)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각도를 둔 다수의 분사공(15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분사공(1520)은 노즐부(1510)의 길이방향으로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노즐부(1510)의 내경에는 접속부(1530)와의 경계에 단턱(1514)이 형성되고, 선단에서 단턱(1514)을 향해 스플라인홈(1516)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부(1510)의 내경에는 마개(1512)를 연 상태에서 개폐통(1540)이 삽입되는데, 상기 개폐통(1540)의 둘레 일부에는 상기 스플라인홈(1516)에 결합되는 스플라인(1542)이 돌출되어 상호 끼움됨으로써 상기 개폐통(1540)이 전후진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통(1540)의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520)과 대응되게 다수의 방출구멍(1544)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통(1540)의 선단은 막혀 있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개폐통(1540)은 노즐부(1510) 내부로 삽입된 후 삽입선단이 상기 단턱(1514)에 걸리고, 삽입후단에는 코일스프링(SPR)이 배치된 상태에서 마개(1512)로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통(1540)은 공기압을 받지 않았을 때 삽입선단이 단턱(1514)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에는 분사공(1520)과 방출구멍(1544)이 서로 어긋나있게 되어 분사공(1520)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공기가 공급되어 압이 차게 되면 개폐통(1540)이 코일스프링(SPR)을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최종 이동되면 그때 분사공(1520)과 방출구멍(1544)이 일치되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연통됨과 동시에 공기가 방출되면서 에어퍼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공기 공급이 중단되어 혹시 모를 역압이 발생하더라도 코일스프링(SPR)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개폐통(1540)이 원래 위치로 신속히 되돌아 오면서 분사공(1520)을 밀폐하게 되므로 역류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100: 표시부 200: 편집영역부
300: 메뉴선택부 400: 진동흡수부
500: 이동수단

Claims (1)

  1. 모니터의 화면 내에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게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내에 소정의 영역을 갖도록 화면으로 표시되며 편집 대상인 외부 파일이 표시되는 편집영역부 및 상기 표시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집영역부와 이웃하게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선택메뉴가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메뉴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선택부는 상기 편집영역부에 표시된 상기 외부파일에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메뉴 중 선택된 명령어를 클릭하여 시설물을 생성하거나 편집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편집부와, 상기 시설물편집부를 통해 편집이 완료된 외부파일을 검수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발생한 오류를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메뉴 중 선택된 명령어를 클릭하여 복구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편집부는 상기 외부파일에 도로면ㆍ교량ㆍ도로중심선ㆍ가로등 및 교통표지판으로 이루어진 도로시설물과, 상기 외부파일에 정수장ㆍ상수관로ㆍ변류시설ㆍ생성된 상수관로의 라벨 또는 지시선 및 생성된 관라벨의 속성값을 갱신하는 상수시설물과, 지하시설물의 일종인 하수관거ㆍ하수맨홀ㆍ관로시점관저고ㆍ관로종점관저고ㆍ평균구배 계산 및 하수관거의 관라벨 생성 또는 속성값으로 이루어진 하수시설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거나 편집하여 편집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검수부는 상기 시설물편집부에 의해 편집이 완료된 상기 편집파일의 오류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데이터검수부를 통해 판별된 오류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오류표시부는 판별된 오류를 화면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판별된 오류 및 복구된 오류를 화면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출력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출력표시부에는 판별된 오류 및 복구된 오류의 프린터와 같은 출력기기를 통한 출력여부를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메뉴중 해당 명령어 클릭으로 선택할 수 있는 출력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에는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진동흡수부는 모니터의 다리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와, 상기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와,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와,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모니터의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및 상기 상부지지구와 하부지지구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를 작업테이블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동수단은 작업테이블에 배치된 레일과, 상기 모니터의 받침부에 구비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는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부, 시설물편집부, 데이터검수부는 함체(1200)에 실장된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되고;
    상기 함체(120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함체(1200)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DR)가 설치되고, 함체(1200)의 양측면에는 송풍유닛(1210)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1210)은 송풍케이스(1220)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상측에는 배기구(OUT)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흡입구(IN)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내부는 격벽(1230)에 의해 구획되어 배기구(OUT)가 하측 공간과 통하지 않도록 분리되며, 상기 격벽(1230)의 하측에는 간격을 두고 투입가이드(1240)가 경사 배열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에는 상기 투입가이드(1240)로 공극막필터를 구성하는 이산화규소를 투입할 투입구(1250)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250)는 개폐가능한 투입도어(126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투입가이드(1240)의 단부는 투입호퍼(1270)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호퍼(1270)는 스크류피더(1280)의 일측에 연통되어 분말상의 이산화규소가 투입가이드(1240)를 타고 이동하여 투입호퍼(1270)를 통해 스크류피더(1280)로 안내되게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IN)의 하측에는 링 타입 필터(1290)가 구비되며, 상기 링 타입 필터(1290)는 링간 간격(틈) 보다 이산화규소 분말(SI)의 입도가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링 타입 필터(1290)는 고정구(1300)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구(1300)는 각각 송풍케이스(1220)의 내벽면에 나사조립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일측면인 상기 투입구(1250)가 형성된 측면 하부에는 여과공기공급공(1310)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공기공급공(1310)은 공급관(1320)을 통해 상기 함체(1200) 내부와 연통되어 여과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 타입 필터(1290)의 하부에는 하부판(1330)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케이스(1220)의 측면에는 투입유닛(2000)이 더 구비되어 이산화규소 분말을 정량 공급하되, 상기 투입유닛(2000)은 투입깔대기(2100)와, 상기 투입깔대기(2100)의 하단에 연결된 이송통(2200)과, 상기 이송통(2200) 내부의 일측에 구획된 공간에 설치된 이송모터(2300)와, 상기 이송모터(2300)에 연결되고 이송통(2200)에 배열된 이송스크류(2400)와, 상기 이송통(2200)의 단부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멍(2500)과, 상기 배출구멍(2500)을 개폐하여 정량 배출하는 배출판(2700)과, 상기 배출판(2700)을 구동시키는 배출실린더(2800)와, 상기 배출실린더(2800)를 고정하도록 이송통(220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브라켓(2900)과, 상기 배출구멍(2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1250)로 연결된 배출안내가이드(2600)로 이루어지며;
    에어퍼지에 의해 분리 취출된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한 필터링된 미세 이물질들은 배출분 트레이(3000)로 수납되고, 상기 배출분 트레이(3000)로 수집된 배출분은 배출분피딩펌프(3100)를 통해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으로 이송되며,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은 이물질 혼합물인 배출분을 받아 싸이클론 방식으로 비중차에 의해 이산화규소 분말과 미세 이물질를 분리하고,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의 상부로 부상 분리된 경입자들은 이물질포집부(3300)로 포집 처리되며, 상기 하이드로싸이클론(3200)의 하부로 낙하된 이산화규소 분말(SI)은 미터링펌프(3400)를 통해 다시 투입구(1250)로 공급되게 구성되고;
    상기 링 타입 필터(1290)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퍼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퍼지유닛(1500)은 마개(1512)로 나사조립되어 선단이 막힌 원통형상의 노즐부(1510)와, 상기 노즐부(1510)의 하단부에 상기 노즐부(1510)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일체로 형성된 접속부(1530)와, 상기 노즐부(151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각도를 갖고 다수 형성된 분사공(1520)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510)의 내경에는 접속부(1530)와의 경계에 단턱(1514)이 형성되며, 선단에서 단턱(1514)을 향해 스플라인홈(1516)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1510)의 내경에는 개폐통(1540)이 삽입되며, 상기 개폐통(1540)의 둘레 일부에는 상기 스플라인홈(1516)에 결합되는 스플라인(1542)이 돌출되어 상호 끼움되고, 상기 개폐통(1540)의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520)과 대응되게 다수의 방출구멍(1544)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통(1540)의 선단은 막혀 있는 형태이고, 상기 개폐통(1540)은 노즐부(1510) 내부로 삽입된 후 삽입선단이 상기 단턱(1514)에 걸리며, 삽입후단에는 코일스프링(SPR)이 배치되어 분사공(1520)과 방출구멍(1544)이 서로 어긋나게 하여 분사공(1520)이 밀폐된 상태에서 마개(1512)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엠에스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스템.
KR1020180007914A 2018-01-22 2018-01-22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KR10188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14A KR101884009B1 (ko) 2018-01-22 2018-01-22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14A KR101884009B1 (ko) 2018-01-22 2018-01-22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009B1 true KR101884009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14A KR101884009B1 (ko) 2018-01-22 2018-01-22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0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651B1 (ko) * 2020-10-19 2021-01-19 (주)지스페이스코리아 사진기준점 측량좌표에 따른 수치지형도 제작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113026457A (zh) * 2021-03-23 2021-06-25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道路施工的标段确定方法及确定装置
KR102279759B1 (ko) * 2021-02-23 2021-07-20 주식회사 제이시스 도로와 지하시설물의 데이터베이스를 mms를 활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354985B1 (ko) * 2021-06-07 2022-02-09 (주)일렉콤 방재 및 내진 기능을 갖는 버스 정보 제공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35B1 (ko) 2007-02-28 2008-06-09 한국철도시설공단 Cad도면에 의한 gis공간연계db 자동구축 방법
KR101619395B1 (ko) * 2015-11-19 2016-05-10 중앙항업(주) 도로와 상수도와 하수도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35B1 (ko) 2007-02-28 2008-06-09 한국철도시설공단 Cad도면에 의한 gis공간연계db 자동구축 방법
KR101619395B1 (ko) * 2015-11-19 2016-05-10 중앙항업(주) 도로와 상수도와 하수도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651B1 (ko) * 2020-10-19 2021-01-19 (주)지스페이스코리아 사진기준점 측량좌표에 따른 수치지형도 제작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79759B1 (ko) * 2021-02-23 2021-07-20 주식회사 제이시스 도로와 지하시설물의 데이터베이스를 mms를 활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N113026457A (zh) * 2021-03-23 2021-06-25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道路施工的标段确定方法及确定装置
KR102354985B1 (ko) * 2021-06-07 2022-02-09 (주)일렉콤 방재 및 내진 기능을 갖는 버스 정보 제공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009B1 (ko) 엠엠에스(mms)를 활용한 도로와 지하시설물 지아이에스(gis) 데이터베이스(db) 구축시스템
KR101939743B1 (ko) 영상이미지와 지형기준점을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장치
CN101634398A (zh) 三维可视化环境下城市综合管网的爆管分析方法
CN102184487A (zh) 基于gis技术和一维水质模型的污染源管理系统及其运作方法
KR101873371B1 (ko)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량 조사시스템
CN106294804A (zh) 一种自然保护区的审核与巡查系统及应用方法
CN103115860A (zh) 多孔介质中微纳米气泡观测系统及方法
CN208313762U (zh) 一种泥沙颗粒沉降过程图像采集系统
KR101619395B1 (ko) 도로와 상수도와 하수도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
CN103075144A (zh) 煤层气井井筒煤粉沉降可视化实验装置、系统及其方法
KR102279759B1 (ko) 도로와 지하시설물의 데이터베이스를 mms를 활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Shi et al. Analytical modeling to simulate gas production for various tested landfill cells
KR102476570B1 (ko) Mms를 활용하여 도로와 지하시설물의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939741B1 (ko) 공간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가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3969964B (zh) 用于浸没式光刻机的气密封和微孔密封装置
Harrison Sources of air pollution
Rifai et al. Assessing Damages to Built and Natural Environments: Linking Hydrodynamic and Geospatial Enviro-Economical Models
Long Evaluation of cartridge filters for the removal of Giardia lamblia cyst models from drinking water systems
Wepfer Characterisation of HEPA and ULPA filters by proposed new European test methods
JPH10132200A (ja) ネットワーク追跡装置、ネットワーク追跡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18088162A (zh) 一种砂岩气藏储气库环空泄漏监测系统
Wang et al. GIS applications in seismic loss estimation model for Portland, Oregon water and sewer systems
Engelen et al. REGIS PRO, a Geohydrological Information System
Landazuri Aerosol transport simulations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ydilek Filtration performance of geotextile-wastewater treatment sludg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