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707B1 -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707B1
KR101883707B1 KR1020120070242A KR20120070242A KR101883707B1 KR 101883707 B1 KR101883707 B1 KR 101883707B1 KR 1020120070242 A KR1020120070242 A KR 1020120070242A KR 20120070242 A KR20120070242 A KR 20120070242A KR 101883707 B1 KR101883707 B1 KR 10188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ireless charging
dispersion sheet
driving circuit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02A (ko
Inventor
김기현
고길수
박성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707B1/ko
Priority to US13/931,100 priority patent/US9614390B2/en
Priority to EP13174342.9A priority patent/EP2680399A3/en
Priority to EP18169153.6A priority patent/EP3373416B1/en
Publication of KR2014000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02A/ko
Priority to US15/970,394 priority patent/USRE48518E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공진부와, 충전 공진부가 연결되며, 내부 회로물이 장착되는 구동 회로부와, 무선 충전 공진부의 배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 및 구동 회로부 및 차폐부재에 실장되어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분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 내부에는 외부 충전패드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 모듈에 충전 시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분산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COLDLESS CHARG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무선 충전 시 국부적으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분산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기들을 일컫는다. 특히 휴대 단말기, 구체적으로 최근에 흔히 스마트 폰이라 불리워지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다양한 기능들이 집약되고 있다. 특히나, 휴대 단말기에는 출입자 인증용 보안카드,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의 결재나 사용자 인증의 위한 인접 자장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NF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NFC 기술은 국대 공개특허 제2009-126323호(2009.12.08. 공개)등을 통해 개시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착탈식 또는 내장형의 배터리를 구비하는데, 사용자는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게 된다. 통상의 배터리 충전은 유선 충전과 무선충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선 충전이 많이 보급화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무선 충전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충전을 위한 기술은 자기장을 이용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 전기장을 이용한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 방식, 고주파 방사(radio frequency wave radiation) 방식 등이 있는데, 전력 효율 측면에서는 유도 결합 방식이 무선충전에 적합하다.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충전은 충전기에 제공되는 1차 코일과 단말기 상에 제공되는 2차 코일을 정렬하여 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국내 공개특허 제2008-32519호(2008. 04. 15. 공개) 등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종래의 무선 충전을 위해 단말기에 실장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2차 코일이 실장된 차폐재 및 구동 회로부의 배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NFC 기능과 무선충전 기능을 하나의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대체로 루프 안테나 형태를 가지는 NFC용 안테나 소자와 무선충전을 위한 2차 코일을 단말기에 실장한다. 또한, NFC용 안테나 소자와 무선 충전을 위한 2차 코일과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가 상단 일측에 제공되고, 안테나 소자와 2차 코일 각각이 작동할 때, 안테나 소자와 2차 코일 사이의 간섭이나 안테나 소자, 2차 코일의 동작이 단말기 내 다른 회로 장치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폐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무선충전장치의 경우, 충전 시, 구동 회로부에서 열이 발생된다. 도 3은 종래 무선 충전 후 발생된 열의 온도 분포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은 외부로 분산되지 못하므로, hotspot과 같이 국소적인 부위에만 온도가 집중되어 발열된다. 발열된 구동 회로부 주변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나, 루프 안테나 또는 NFC용 안테나 소자 등이 제공되어, 발열된 열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발생된 열이 분산되지 못함으로써 열에 의한 구동 회로부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발열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구동 회로부 상에 흑연(Graphite)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열을 분산시키키도 하나, NFC용 안테나 소자가 열화가 발생하거나, 무선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충전 불량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 충정 장치의 경우, 안테나 장착 등에 의해 구동 회로부 이외의 장소에 발열 분산 구조를 구현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단점 또한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정적이니 공간을 가지는 무선 충전 장치 내부에 설치 가능함은 물론 무선 충전 시 무선 충전 장치에서 국부적으로 발생되는 열을 분산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한정적인 공간 내에서 무선 충전 장치에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잇음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나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 등에 영향을 방지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공진부; 상기 충전 공진부가 연결되며, 내부 회로물이 장착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무선 충전 공진부의 배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 및 상기 구동 회로부 및 상기 차폐부재에 실장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분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열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배면에 실장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플레이트의 열을 전달받는 제1분산시트;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실장되는 제2분산시트; 및 상기 제1분산시트와 상기 제2분산시트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통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산시트, 상기 연결통로 및 상기 제2분산시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산시트 상면의 주변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발열 플레이트로 분산된 열이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구리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무선 충전 시,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분산됨은 물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제1분산시트 측으로 분산되며,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된 열은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2분산시트로 분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에는 외부 충전패드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충전 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분산모듈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NFC 모듈이 실장되는 브라켓 상에 제공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NFC 모듈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충전패드와 송수신되는 충전 공진부;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충전 공진부와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충전 공진부의 배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모듈은, 상기 구동 회로부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 분산되는 발열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회로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됨은 물론 상기 차폐부재의 하단면까지 연장형성되어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분산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부 및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실장되어 상기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열을 차폐부재 하단면을 따라 분산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배면에 실장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플레이트의 열을 전달받는 제1분산시트;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실장되는 제2분산시트; 및 상기 제1분산시트와 상기 제2분산시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전달된 열을 상기 제2분산시트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연결통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산시트, 상기 연결통로 및 상기 제2분산시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 충전 패드에 놓고 무선 충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1차적으로 분산됨은 물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제1분산시트 측으로 분산되며,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된 열은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2분산시트로 전달되어 상기 제1분산시트, 상기 연결통로 및 상기 제2분산시트를 통해 분산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구리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 시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1차적으로는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분산 가능하게 함은 물론 발열 플레이트의 열은 발열 분산 부재로 전달되어 2차적으로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 플레이트 및 발열 분산 부재로 전달된 열, 구체적으로 제1분산시트로 전달된 열은 구동 회로부의 배면을 통해 분산됨은 물론, 제1분산시트에서 제2분산시트로 전달된 열은 차폐부재의 배면 측을 통해 분산됨으로써 하단면 측으로 전달되어 분산됨으로써 구동 회로부 상에 국부적으로 발생되는 핫 스팟 부분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은 물론 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구동 회로부 설치 위치에 집중되는 열이 구동 회로부 상 및 차폐부재 상에서 분산됨으로써, 고온의 온도 편차를 낮춤은 물론,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 안테나나 NFC 모듈, 또는 무선 충전 의 방사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내부 회로물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충전을 위해 단말기에 실장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2차 코일이 실장된 차폐재 및 내부 회로물의 배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무선 충전 모듈이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충전 후 발생되는 열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발열분산부재의 배면과, 구동 회로부와 이에 연결된 차폐부재의 배면 및 이들의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개시된 분산모듈이 장착된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Ⅰ-Ⅰ'선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후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구동 회로부(110)의 배면 및 충전 공진부(120) 배면 측으로 분산되도록 일체형의 분산모듈(102)을 제공하여 핫스팟 구역(hot spot, 발열된 열이 집중적 편중되는 곳을 일컬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국지적으로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에 따른 구동 회로부(1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무선 충전 시 발생되는 열에 따른 무선 충전 공진부(120)의 효능 저하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발열분산부재(140)의 배면과, 구동 회로부와 이에 연결된 차폐부재(130)의 배면 및 이들의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내부에는 무선 충전 장치(100)가 제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미도시)의 내측, 구체적으로 배터리(미도시)가 제공되는 본체의 후면 부분에 제공되고, 외부 충전 패드(미도시)에 놓여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시 되진 않았으나, 외부 충전 패드에는 후술하는 충전 공진부(120)에 정렬되는 코일부(미도시)가 제공되며, 외부 충전 패드에 무선 충전 장치(100)가 제공된 휴대용 단말기를 얹게되면, 외부 충전 패드의 코일부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충전 공진부(12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 등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무선 충전 장치(100)에는 외부 충전 패드와 대면되어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101)과, 무선 충전 모듈(101)에 제공되어 충전 시 무선 충전 모듈(101)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분산모듈(102)이 제공된다. 특히, 분산모듈(102)은 후술하는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구동 회로부(110) 상에 위치되는 발열 플레이트(150) 및 구동 회로부(110)와 차폐부재(130)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발열 분산모듈(102)을 통해 분산된다.
도 6은 도 4에 개시된 분산 모듈이 장착된 무선 충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Ⅰ-Ⅰ' 선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1)은 NFC 모듈(14) 등이 실장되는 브라켓(B)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모듈(101)은 코일부와 반응하는 충전 공진부(120)와, 구동 회로부(110) 및 차폐부재(130)를 포함하며, 분산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0)에 제공되는 구성이다. 충전 공진부(120)는 코일부와 반응하여 유도 기전력 등에 발생에 따라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충전 공진부(120)는 구동 회로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폐부재(130) 상에 실장된다. 즉, 충전 공진부(120) 배면에는 차폐부재(130)가 제공되어, 코일부와 충전 공진부(120) 및 NFC 모듈(14) 등을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 저주파 또는 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코일부, 충전 공진부(120) 또는 NFC 모듈(14) 간의 상호간 간섭이나 단말기에 내장된 회로 장치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충전 공진부(120)는 NFC 모듈(14)의 주변 둘레를 따라 실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동 회로부(110)는 충전 공진부(120)의 일측에 실장되고, 충전 공진부(120)가 구동 회로부(11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브라켓(B) 상에서의 실장 위치를 보면, 구동 회로부(110)는 브라켓(B)의 상측면 상에 위치되고, 충전 공진부(120)를 실장한 차폐부재(130)는 구동 회로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브라켓(B)의 하측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모듈(100)이 외부 충전 패드와 반응하여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구동 회로부(110)에는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모듈(102)이 무선 충전 모듈(100)에 제공된다. 분산모듈(102)은 발열 플레이트(150)와, 발열분산부재(140)를 포함한다. 발열 플레이트(150)는 구동 회로부(110)의 상단에 위치되고, 구동 회로부(110)를 커버함은 물론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분산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열 플레이트(150)는 SUS재질(Steel Use Stainless)의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열 플레이트(150)는 후술하는 발열분산부재(140), 구체적으로 제1분산시트(141)와 연결되어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분산시킴은 물론 제1분산시트(141)로 전달함으로써 구동 회로부(110)의 열을 분산시키게 된다. 발열분산부재(140)는 구동 회로부(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발열 플레이트(150)와 연결됨은 물론 구동 회로부(110)의 하단면에서 차폐부재(130)의 하단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발열분산부재(140)는 구동 회로부(110)의 배면과 차폐부재(130)의 배면에 실장되도록 구동 회로부(110)의 형상 및 차폐부재(13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됨은 물론 이들이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구동 회로부(110) 측의 발열분산부재(140)가 발열 플레이트(150)의 열을 전달받아 구동 회로부(110)의 배면 및 차폐부재(130)의 배면 측으로 열을 전달 및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발열분산부재(140)는 열 전달 및 분산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열분산부재(140)의 재질로 알루미늄이나 철 재질을 포함한 금속이나 흑연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는 등의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구리 재질의 발열분산부재(140)가 브라켓(B)과 무선 충전 모듈(1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발열분산부재(140)는 제1분산시트(141), 제2분산시트(142) 및 연결통로(143)를 포함한다. 제1분산시트(141)는 구동 회로부(110)의 배면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제1분산시트(141)의 상면에는 구동 회로부(110) 및 발열 플레이트(150)가 위치된다. 제2분산시트(142)는 차폐부재(130)의 배면에 실장됨으로써, 제2분산시트(142) 상면에 차폐부재(130)가 위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분산시트(141)와 제2분산시트(142)는 복수개의 연결통로(143)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됨은 물론 제1분산시트(141)로 제공된 열이 제2분산시트(142)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통로(143)는 3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연결통로(143)는 제1분산시트(141)로 전달된 열이 제2분산시트(142)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100)를 갖는 전자기기,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 충전 패드에 놓고 무선 충전을 하는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1)에 의해 배터리는 충전이 된다. 이때, 구동 회로부(110)에서 열이 발생되고,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생된 열은 발열 플레이트(150)에 전달되어 1차적으로 분산된다. 또한, 발열 플레이트(150)의 열은 발열 플레이트(150)와 연결됨은 물론 열전도율이 높은 제1분산시트(141)로 전달된다. 제1분산시트(141)로 열이 전달됨으로써 발열 플레이트(150) 측의 온도는 저하된다. 또한, 제1분산시트(141)로 제공된 열은 연결통로(143)를 통해 제2분산시트(142)로 제공된다. 이에, 제1분산시트(141)의 온도도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열된 열은 발열 플레이트(150)에서 제1분산시트(141), 연결통로(143) 및 제2분산시트(142)로 전달되면서 분산됨으로써, 구동 회로부(110) 상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핫 스팟 부분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후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종래 무선 충전에 따른 핫 스팟 부분,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부(110) 상의 온도 분포와,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산모듈(102)이 제공된 상태의 온도 분포를 비교해 보면 3~4도 정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3 및 도 8을 비교함.). 즉, 종래에는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은 구동 회로부 상에서만 분산됨으로써, 핫 스팟 부분의 최대 온도는 49.4도 정도로 측정될 수 있다(도 3참조).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구동 회로부(110)에서 발생된 열은 발열 플레이트(150), 제1,2분산시트(141, 142)로 분산됨으로써, 핫 스팟 부분의 최대 온도는 46.9도 정도로 측정되어,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핫 스팟 부분의 온도를 분산시킴으로써 고온에 따라 내부 구성물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휴대용 단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또는 통신을 위한 안테나나, NFC 모듈(14)이나, 충전 공진부(120) 등은 내부 구성물과 인접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 구성물의 발열 현상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무선 충전 장치 101: 무선 충전 모듈
102: 분산 모듈 110: 구동 회로부
120: 충전 공진부 130: 차폐부재
140: 발열분산부재 150: 발열 플레이트

Claims (15)

  1. 전자기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공진부;
    상기 충전 공진부가 연결되며, 내부 회로물이 장착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무선 충전 공진부의 배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
    상기 구동 회로부 배면 및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분산부재; 및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열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분산부재를 통해 상기 발열 플레이트의 열을 상기 차폐부재로 분산시키고,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배면에 실장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플레이트의 열을 전달받는 제1분산시트,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실장되는 제2분산시트 및 상기 제1분산시트와 상기 제2분산시트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산시트 상면의 주변둘레를 따라 접촉 배치되어 상기 발열 플레이트로 분산된 열이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되고,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된 열은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2분산시트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시트, 상기 연결통로 및 상기 제2분산시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구리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충전 시,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분산됨은 물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제1분산시트 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에는 외부 충전패드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충전 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분산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NFC 모듈이 실장되는 브라켓 상에 제공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NFC 모듈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충전패드와 송수신되는 충전 공진부;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충전 공진부와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 및 상기 충전 공진부의 배면에 실장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모듈은,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 분산되는 발열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회로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접촉 배치됨은 물론 상기 차폐부재의 하단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열을 분산시키는 발열분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분산부재를 통해 상기 발열 플레이트의 열을 상기 차폐부재로 분산시키고,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배면에 실장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플레이트의 열을 전달받는 제1분산시트,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실장되는 제2분산시트, 및 상기 제1분산시트와 상기 제2분산시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전달된 열을 상기 제2분산시트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는 상기 제1분산시트 상면의 주변둘레를 따라 접촉 배치되어 상기 발열 플레이트로 분산된 열이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되고, 상기 제1분산시트로 제공된 열은 상기 연결통로를 통해 상기 제2분산시트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부 및 상기 차폐부재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실장되어 상기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된 열을 차폐부재 하단면을 따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시트, 상기 연결통로 및 상기 제2분산시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 충전 패드에 놓고 무선 충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 회로부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발열 플레이트를 통해 1차적으로 분산됨은 물론 상기 발열 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제1분산시트 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분산부재는 구리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070242A 2012-06-28 2012-06-28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88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42A KR101883707B1 (ko) 2012-06-28 2012-06-28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3/931,100 US9614390B2 (en) 2012-06-28 2013-06-28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EP13174342.9A EP2680399A3 (en) 2012-06-28 2013-06-28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EP18169153.6A EP3373416B1 (en) 2012-06-28 2013-06-28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US15/970,394 USRE48518E1 (en) 2012-06-28 2018-05-03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42A KR101883707B1 (ko) 2012-06-28 2012-06-28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02A KR20140001702A (ko) 2014-01-07
KR101883707B1 true KR101883707B1 (ko) 2018-08-01

Family

ID=4869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242A KR101883707B1 (ko) 2012-06-28 2012-06-28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614390B2 (ko)
EP (2) EP2680399A3 (ko)
KR (1) KR101883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754B1 (ko) * 2012-11-12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충전장치
KR102249768B1 (ko) 2014-09-10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N208791533U (zh) 2015-06-12 2019-04-26 新格拉夫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复合物制品、制品以及服装
CN105050372B (zh) * 2015-09-09 2019-05-17 宁波微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层及具有电磁屏蔽层的无线电能传输装置
EP3436512A4 (en) 2016-03-31 2019-12-11 NeoGraf Solutions, LLC NOISE SUPPRESSION ASSEMBLIES
KR200487132Y1 (ko) 2018-01-10 2018-08-08 류호현 스마트폰용 무선 충전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977A (ja) * 2005-11-01 2007-05-24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給電装置
JP2009223881A (ja) * 2008-02-20 2009-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装置
KR101121481B1 (ko) * 2007-02-20 2012-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코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9295B2 (ja) * 2004-10-26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イメージ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97533A1 (en) 2006-09-05 2010-08-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ly conductive grease
KR101253669B1 (ko) 2006-10-10 2013-04-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접점 충전기
FR2914800B1 (fr) 2007-04-04 2010-09-17 Jacek Kowalski Module nfc, notamment pour telephone mobile
JP4561786B2 (ja) * 2007-07-13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4605192B2 (ja) * 2007-07-20 2011-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FR2934749B1 (fr) 2008-07-31 2010-08-27 Wavecom Dispositif de blindage electromagnetique et de dissipation de chaleur degagee par un composant electronique et circuit electronique correspondant.
US20110056215A1 (en) 2009-09-10 2011-03-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heating or cooling
US20110070459A1 (en) 2009-09-18 2011-03-24 Irwin In Kim Thermal Management System
KR101136917B1 (ko) 2010-07-13 2012-04-20 주식회사 아울테크놀로지 무선 충전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977A (ja) * 2005-11-01 2007-05-24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給電装置
KR101121481B1 (ko) * 2007-02-20 2012-02-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코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JP2009223881A (ja) * 2008-02-20 2009-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2017A1 (en) 2014-01-02
USRE48518E1 (en) 2021-04-13
EP2680399A2 (en) 2014-01-01
KR20140001702A (ko) 2014-01-07
US9614390B2 (en) 2017-04-04
EP3373416B1 (en) 2020-08-12
EP2680399A3 (en) 2015-12-16
EP3373416A1 (en)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707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969754B1 (ko) 무선충전장치
US1044706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KR102119591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JP6387374B2 (ja) 二重モードアンテナ用プリント回路基板,二重モードア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ユーザ端末
TWI619410B (zh) 具有介電媒體之無線通訊
CN107912075B (zh) 车辆用无线电力传输模块
KR101697303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JP2022003864A (ja) 車両用無線電力送信装置
CN108429352A (zh) 感应模块
KR20140021694A (ko) 이중모드 안테나
CN107591230A (zh) 磁性片及电子设备
KR20140021693A (ko) 이중모드 안테나
US9225437B2 (en) Cordless charging apparatus
KR20190081484A (ko) 무선 패드 충전기
KR20160103968A (ko) 이중 모드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20140021695A (ko) 이중모드 안테나
KR101697304B1 (ko) 차량용 무선충전 송신모듈
KR20230081739A (ko) 무선 충전용 안테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20230101967A (ko) 무선 충전용 안테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20230068454A (ko) 무선 충전용 안테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