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870B1 -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2870B1 KR101882870B1 KR1020180054253A KR20180054253A KR101882870B1 KR 101882870 B1 KR101882870 B1 KR 101882870B1 KR 1020180054253 A KR1020180054253 A KR 1020180054253A KR 20180054253 A KR20180054253 A KR 20180054253A KR 101882870 B1 KR101882870 B1 KR 101882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jection
- crack
- chemical light
- cylinder
- pist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 B05B11/30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주입좌대를 부착하고 저압식 주입장치를 설치하여 장시간에 걸쳐 주입재를 주입하는 저압식 균열 보수 공법에서, 케미컬라이트의 발광 여부로 주입재의 주입 완료 여부를 쉽게 확인하여 주입재의 신속한 재주입이 가능한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는 균열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관으로 구성되는 주입좌대; 및 상기 결합관에 삽입되는 주입구가 전방에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재가 채워지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방에 플랜지가 형성된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주입기 본체; 및 상기 주입좌대의 일측과 플랜지의 일측을 연결하여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탄성링; 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후단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케미컬라이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는 균열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관으로 구성되는 주입좌대; 및 상기 결합관에 삽입되는 주입구가 전방에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재가 채워지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방에 플랜지가 형성된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주입기 본체; 및 상기 주입좌대의 일측과 플랜지의 일측을 연결하여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탄성링; 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후단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케미컬라이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주입좌대를 부착하고 저압식 주입장치를 설치하여 장시간에 걸쳐 주입재를 주입하는 저압식 균열 보수 공법에서, 케미컬라이트의 발광 여부로 주입재의 주입 완료 여부를 쉽게 확인하여 주입재의 신속한 재주입이 가능한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에 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각종 활화중은 물론 시공 불량, 온도 수축, 건조 수축, 블리딩, 산침식, 동결융해, 충격하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며,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은 불가피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은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부재 내 누수를 유발하며, 이로 인해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철근의 부식 및 팽창 현상이 일어난다. 나아가 이로 인한 2차 균열 발생 또는 균열폭 확대 등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내구 연한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면 이를 적절하게 보수하여야 하는데,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은 크게 고압식과 저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고압식 균열 보수 방법은 균열 주위를 천공하고 패커를 삽입하여 균열 틈으로 주입재를 신속하게 주입하여 보수한다.
이 방법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주입재가 완전하게 주입되기 전에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패커 삽입을 위한 구조물 천공으로 인해 구조물 손상이 불가피하다. 또한, 주입재의 고속 주입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라 2차 누수나 손상의 우려가 있고, 주입재가 경화하는 동안 콘크리트 공극이나 미세균열로 주입재가 유출되어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주입재의 압력 조절이 잘못될 경우 균열폭이 벌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저압식 균열 보수 방법은 균열 부위에 주입좌대를 부착하고 저압식 주입기를 설치하여,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주입재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충분한 시간을 두고 주입재를 천천히 저압으로 주입하기 때문에, 균열 주위의 미세균열이나 공극까지도 밀실하게 주입재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재의 주입량을 체크하여 균열의 관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시공시 균열의 막힘을 제거해야 하고, 주입량을 검사하여 완전 주입시까지 주입재를 제때 보충해주지 않으면 주입재가 중도에 경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는 주입량 체크를 위해 주입기의 실린더 내 주입재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주입기의 교체, 즉 주입재의 재충전 시기를 결정한다. 그런데 많은 양의 주입기를 일일이 점검하는 것이 쉽지 않고, 주입기의 주입량 확인을 위한 조명 설비 및 가설 비계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저압식 균열 보수 방법은 주입량 체크 및 충전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작업자들이 제대로 주입량을 검사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부실시공으로 연결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균열 부위에 주입좌대를 부착하고 저압식 주입장치를 설치하여 장시간에 걸쳐 주입재를 주입하는 저압식 균열 보수 공법에서, 주입재의 주입 완료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입재의 신속한 재주입이 가능하고, 주입장치의 주입량 확인을 위한 조명 설비 및 가설 비계가 불필요하여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균열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관으로 구성되는 주입좌대; 및 상기 결합관에 삽입되는 주입구가 전방에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재가 채워지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방에 플랜지가 형성된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주입기 본체; 및 상기 주입좌대의 일측과 플랜지의 일측을 연결하여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탄성링; 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후단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는 케미컬라이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재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케미컬라이트가 수용홈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일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재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의 후단에는 보조수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용홈에는 상기 케미컬라이트보다 돌출 길이가 더 길고 발광색이 상이한 보조케미컬라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재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a)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 (b) 보수할 균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균열부의 표면을 실링하는 단계; (d) 상기 주입좌대를 균열부에 부착하는 단계; (e) 실린더 내부에 주입재가 채워진 상기 주입기 본체를 상기 주입좌대에 결합하고 탄성링으로 주입좌대와 피스톤을 연결하여 주입재를 주입하는 단계; (f) 상기 피스톤의 플랜지가 케미컬라이트를 가압 절곡하여 케미컬라이트의 색이 변화되면 주입기 본체를 제거하고, 상기 (e) 단계를 반복하여 재충전하는 단계; 및 (g) 상기 주입재의 주입 완료 후 주입기 본체 및 주입좌대를 제거하고 실링재를 제거한 후 보수면에 보호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보수 공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에서, 보수할 균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고압 석션기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보수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균열 부위에 주입좌대를 부착하고 저압식 주입장치를 설치하여 장시간에 걸쳐 주입재를 주입하는 저압식 균열 보수 공법에서, 주입기 본체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후단에 형성된 수용홈에 케미컬라이트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주입재의 주입시 피스톤의 플랜지가 케미컬라이트의 타단을 가압하여 절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미컬라이트가 발광하여 주입재의 주입 완료 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확인 가능하다. 그러므로 주입재의 주입 완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명 시설이나 작업자의 육안 확인을 위한 가설 비계를 전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미컬라이트가 발광된 주입장치를 선별하여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주입장치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여 가사시간 준수에 유리하다.
아울러 현장 검사가 용이하고, 주입재의 주입 확인이나 코어 채취 등과 같은 품질 검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부실시공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전면도.
도 4는 케미컬라이트의 설치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보조케미컬라이트가 구비된 주입재 주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 균열 보수 공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전면도.
도 4는 케미컬라이트의 설치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보조케미컬라이트가 구비된 주입재 주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 균열 보수 공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는 균열면(1)에 부착되는 고정판(21) 및 상기 고정판(21)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관(22)으로 구성되는 주입좌대(2); 및 상기 결합관(22)에 삽입되는 주입구(311)가 전방에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재(5)가 채워지는 실린더(31) 및 상기 실린더(31)의 후방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방에 플랜지(321)가 형성된 피스톤(32)으로 구성되는 주입기 본체(3); 및 상기 주입좌대(2)의 일측과 플랜지(321)의 일측을 연결하여 피스톤(32)을 전진시키는 탄성링(4); 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31)의 후단에는 수용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2)에는 케미컬라이트(33)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균열 부위에 주입좌대(2)를 부착하고 저압식 주입장치를 설치하여 장시간에 걸쳐 주입재(5)를 주입하는 저압식 균열 보수 공법에서, 기존 저압식 균열 보수 공법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도 주입재(5)의 재주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주입좌대(2)는 균열면(1)에 부착되는 고정판(21) 및 상기 고정판(21)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좌대(2)는 고정판(21)이 균열면(1)에 부착된다.
상기 고정판(21)과 결합관(22)에는 주입공(24)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주입기 본체(3)의 주입구(311)가 주입공(24) 내부로 삽입된다.
즉, 주입기 본체(3)를 구성하는 실린더(31)의 주입구(311)를 주입좌대(2)의 주입공(24)에 삽입하여 주입기 본체(3)를 주입좌대(2)에 결합한다.
상기 주입좌대(2)의 결합관(22) 외측에는 탄성링(4)을 걸기 위한 제1걸림돌기(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기 본체(3)는 실린더(31)와 피스톤(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1)는 결합관(22)에 삽입되는 주입구(311)가 전방에 형성되며, 내부에 주입재(5)가 채워진다.
이때, 상기 주입재(5)는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2)은 실린더(31)의 후방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방에 폭이 확장되는 플랜지(32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21)의 외측에는 제2걸림돌기(3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링(4)을 주입좌대(2)의 제1걸림돌기(23)와 피스톤(32)의 제2걸림돌기(322)에 걸 수 있다.
상기 탄성링(4)은 주입기 본체(3)의 좌우 양측에 구비한다.
상기 탄성링(4)은 주입좌대(2)의 일측과 플랜지(321)의 일측을 연결하여 피스톤(32)을 전진시킨다.
상기 실린더(31)의 후단에는 수용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2)에는 케미컬라이트(33)의 일단이 삽입된다.
상기 케미컬라이트(33)는 일단이 수용홈(312)에 삽입되고, 타단은 수용홈(312)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케미컬라이트(33)는 수용홈(31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케미컬라이트(33)는 수지재 튜브 내부에 유리앰퓰이 구비된 이중관 구조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수지재 튜브에는 외용액으로 디페닐 옥살레이트 등의 형광성 중간 물질(intermediate)이 수용되고, 유리앰퓰 내부에는 내용액으로 과산화수소와 같은 반응촉매(catalyst)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재 튜브가 외력에 의해 꺾이면, 내부의 유리앰퓰이 깨지면서 내용액인 과산화수소 등이 흘러나와 외용액인 디페닐 옥살레이트 등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빛을 내게 된다.
상기 케미컬라이트(33)는 어느 방향에서나 식별이 용이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실린더(31) 내에 주입재(5)가 채워진 상태, 즉 피스톤(32)이 실린더(31)에서 후퇴한 상태에서는 피스톤(32)의 플랜지(321)와 케미컬라이트(33)의 타단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콘크리트 균열 내부로 주입재(5)의 주입이 시작되면 피스톤(32)이 전진하게 되고, 주입재(5)의 주입이 거의 완료된 상태에서는 피스톤(32)의 플랜지(321)가 케미컬라이트(33)의 타단을 가압하여 케미컬라이트(33)가 절곡된다.
일반적으로 주입재(5)의 주입 압력은 4~6kgf/cm2의 범위 내외로, 이 압력에 의해 케미컬라이트(33)가 절곡된다.
이에 따라 케미컬라이트(33)가 발광하여 주입재(5)의 주입이 완료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는 주입재(5)의 주입 여부를 근접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조명설비뿐 아니라 모든 주입장치의 설치 위치에 가설비계를 설치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활성화된 케미컬라이트(33)의 빛을 먼 거리나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과 같이 별도의 조명 시설이나 작업자의 육안 확인을 위한 가설비계를 전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케미컬라이트(33)가 발광된 주입장치를 선별적으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주입장치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하여 주입재(5) 주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가사시간 준수에도 유리하다.
아울러 현장 검사 면에서도 용이하고, 주입재(5)의 주입 확인이나 코어 채취 등과 같은 품질 검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부실시공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4는 케미컬라이트의 설치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미컬라이트(33)가 수용홈(31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일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케미컬라이트(33)의 외측 돌출 부분이 꺾인 형상으로 기울어진 실시예이고, 도 4의 (b)는 케미컬라이트(33)가 길이 전체에 걸쳐 기울어진 실시예이다.
즉, 상기 케미컬라이트(33)는 중앙이 꺾인 상태로 수용홈(312)에 삽입될 수도 있고(도 4의 (a)), 수용홈(312) 자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케미컬라이트(33) 전체가 기울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4의 (b)).
상기 피스톤(32)의 플랜지(321)가 케미컬라이트(33)를 가압하여 케미컬라이트(33)의 타단이 플랜지(321)의 전면과 수직으로 맞닿게 되면, 케미컬라이트(33)가 꺾이지 않아 발광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미컬라이트(33)가 플랜지(321)의 전면과 비스듬하게 맞닿아 플랜지(321)의 가압에 의해 쉽게 꺾일 수 있도록 케미컬라이트(33)는 수용홈(312) 외부로 돌출된 타단을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보조케미컬라이트가 구비된 주입재 주입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전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1)의 후단에는 보조수용홈(3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용홈(313)에는 상기 케미컬라이트(33)보다 돌출 길이가 더 길고 발광색이 상이한 보조케미컬라이트(34)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넓은 면적에 걸쳐 콘크리트 구조물에 주입장치를 설치할 경우, 주입장치의 설치 개소가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러면 주입재(5)의 주입 작업이 완료된 후 주입장치를 교체할 때, 교체 시기가 늦어질 수 있다. 또한, 교체될 주입장치의 소요량 파악에도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주입재(5)의 주입이 완료되기 전 일정 시점에 주입량 상태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보조케미컬라이트(3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b)와 같이, 길이가 긴 보조케미컬라이트(34)가 활성화되어 케미컬라이트(33)보다 먼저 발광하게 되면, 주입장치의 교체 시기를 대략 예측하여 주입장치의 소요량을 사전 파악 가능하다. 이후, 도 5의 (c)와 같이, 케미컬라이트(33)까지 발광하면 주입재 주입장치를 교체한다.
상기 보조케미컬라이트(34)는 케미컬라이트(33)와의 구분을 위해 서로 다른 발광색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균열 보수 공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 균열 보수 공법은 전술한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공법이다.
본 발명 균열 보수 공법에서는 먼저 (a)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가 실시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균열 폭, 길이, 깊이, 형상 등을 육안 또는 초음파 탐지 장치 등의 장비에 의해 조사한다.
다음으로, (b) 보수할 균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b) 단계에서 균열 주위 표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하여야 후술할 주입좌대(2)를 균열부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보수할 균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고압 석션기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균열부 표면 이물질 제거시 블로우(blow) 방식으로 표면을 불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 경우 이물질이 균열 내로 들어가 균열을 막게 되고 오히려 주입재(5)의 주입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압의 석션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균열부 외부의 이물질뿐 아니라 균열 내 이물질까지 제거되어 주입시간이 10% 이상 단축되고 균열 보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c) 상기 균열부의 표면을 실링한다.
상기 (c) 단계에서는 균열부 표면을 실링 처리함으로써, 주입 구멍을 통해 주입된 주입재(5)가 균열부를 통해 다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실링재는 실리콘계 폴리머 모르타르나 에폭시 실링재 등 경화 속도가 빠르고 부착강도가 큰 실링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d)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주입재 주입장치의 주입좌대(2)를 균열부에 부착한다.
상기 주입좌대(2)는 고정판(21)을 균열면(1)에 부착한다.
그리고 (e) 실린더(31) 내부에 주입재(5)가 채워진 상기 주입기 본체(3)를 상기 주입좌대(2)에 결합하고, 탄성링(4)으로 주입좌대(2)와 피스톤(32)을 연결하여 주입재(5)를 주입한다.
상기 탄성링(4)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32)이 전진하면서 4~6kgf/㎠의 압력으로 주입재(5)가 균열 부분에 주입된다.
상기 (e) 단계 이후에는, (f) 상기 피스톤(32)의 플랜지(321)가 케미컬라이트(33)를 가압 절곡하여 케미컬라이트(33)의 색이 변화되면 주입기 본체(3)를 제거하고, 상기 (e) 단계를 반복하여 재충전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f) 단계에서는 피스톤(32)이 전진을 완료하여 실린더(31) 내의 주입재(5)가 모두 주입되면 케미컬라이트(33)가 활성화되어 발광된다.
이에 케미컬라이트(33)의 발광을 확인하고 바로 신속하게 주입기 본체(3)를 제거한 후 주입재(5)가 완충된 다른 주입기 본체(3)를 주입좌대(2)에 결합하여 (e) 단계를 반복하여 해당 균열 부위의 주입재(5) 주입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g) 상기 주입재(5)의 주입 완료 후 주입기 본체(3) 및 주입좌대(2)를 제거하고 실링재를 제거한 후 보수면에 보호마감재를 도포한다.
상기 (g) 단계에서는 더 이상 주입재(5)가 주입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주입기 본체(3)와 주입좌대(2)를 제거하고, (c) 단계에서 시공한 실링재를 제거한 후 보수면에 보수마감재를 도포하여 마무리한다.
1: 균열면 2: 주입좌대
21: 고정판 22: 결합관
23: 제1걸림돌기 24: 주입공
3: 주입기 본체 31: 실린더
311: 주입구 312: 수용홈
313: 보조수용홈 32: 피스톤
321: 플랜지 322: 제2걸림돌기
33: 케미컬라이트 34: 보조케미컬라이트
4: 탄성링 5: 주입재
21: 고정판 22: 결합관
23: 제1걸림돌기 24: 주입공
3: 주입기 본체 31: 실린더
311: 주입구 312: 수용홈
313: 보조수용홈 32: 피스톤
321: 플랜지 322: 제2걸림돌기
33: 케미컬라이트 34: 보조케미컬라이트
4: 탄성링 5: 주입재
Claims (5)
- 균열면(1)에 부착되는 고정판(21) 및 상기 고정판(21)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관(22)으로 구성되는 주입좌대(2); 및
상기 결합관(22)에 삽입되는 주입구(311)가 전방에 형성되어 내부에 주입재(5)가 채워지는 실린더(31) 및 상기 실린더(31)의 후방에 삽입되는 것으로 후방에 플랜지(321)가 형성된 피스톤(32)으로 구성되는 주입기 본체(3); 및
상기 주입좌대(2)의 일측과 플랜지(321)의 일측을 연결하여 피스톤(32)을 전진시키는 탄성링(4); 으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31)의 후단에는 수용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2)에는 케미컬라이트(33)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재 주입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케미컬라이트(33)가 수용홈(31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일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재 주입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실린더(31)의 후단에는 보조수용홈(3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용홈(313)에는 상기 케미컬라이트(33)보다 돌출 길이가 더 길고 발광색이 상이한 보조케미컬라이트(3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재 주입장치.
- (a)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
(b) 보수할 균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균열부의 표면을 실링하는 단계;
(d) 제1항의 주입좌대(2)를 균열부에 부착하는 단계;
(e) 실린더(31) 내부에 주입재(5)가 채워진 제1항의 주입기 본체(3)를 상기 주입좌대(2)에 결합하고 탄성링(4)으로 주입좌대(2)와 피스톤(32)을 연결하여 주입재(5)를 주입하는 단계;
(f) 상기 피스톤(32)의 플랜지(321)가 케미컬라이트(33)를 가압 절곡하여 케미컬라이트(33)의 색이 변화되면 주입기 본체(3)를 제거하고, 상기 (e) 단계를 반복하여 재충전하는 단계; 및
(g) 상기 주입재(5)의 주입 완료 후 주입기 본체(3) 및 주입좌대(2)를 제거하고 실링재를 제거한 후 보수면에 보호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보수 공법.
- 제4항에서,
상기 (b) 단계에서, 보수할 균열부 표면의 이물질을 고압 석션기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보수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4253A KR101882870B1 (ko) | 2018-05-11 | 2018-05-11 |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4253A KR101882870B1 (ko) | 2018-05-11 | 2018-05-11 |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2870B1 true KR101882870B1 (ko) | 2018-07-27 |
Family
ID=6307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4253A KR101882870B1 (ko) | 2018-05-11 | 2018-05-11 |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287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6395B1 (ko) | 2003-12-09 | 2006-06-09 | 김천만 | 시멘트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
KR100976846B1 (ko) * | 2009-06-08 | 2010-08-20 | 주식회사 케이피지 | 균열보수용 패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 |
-
2018
- 2018-05-11 KR KR1020180054253A patent/KR101882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6395B1 (ko) | 2003-12-09 | 2006-06-09 | 김천만 | 시멘트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
KR100976846B1 (ko) * | 2009-06-08 | 2010-08-20 | 주식회사 케이피지 | 균열보수용 패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5581B1 (ko) | 터널 배면 공동의 그라우팅 채움 시공 방법 | |
KR10105537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액 주입방법 | |
KR101882870B1 (ko) | 주입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 |
KR20190063842A (ko) | 미관 및 공기단축, 작업환경을 개선한 균열보수공법 | |
KR100677899B1 (ko) | 균열보수공법 | |
KR101594576B1 (ko) | 콘크리트 댐 구조물의 누수 예방 방법 | |
KR20180034725A (ko) |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 |
CN112360518B (zh) | 一种隧道环向施工缝的快速维修结构及维修方法 | |
JP2017214707A (ja) | コンクリート壁面のひび割れを補修する注入プラグ及び補修工法 | |
KR101658738B1 (ko) |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 |
KR101014198B1 (ko) | 하이브리드 탄소섬유판과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방법 | |
KR20010097976A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균열보수 시공방법 | |
KR101631037B1 (ko) | 핀포트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수액주입장치 | |
JP5819245B2 (ja) | 注入装置及び注入方法 | |
CN210622371U (zh) | 止逆流注胶头 | |
KR20020074664A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인젝터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 |
KR100454605B1 (ko) | 신/구 구조물 이음부 누수에 대한 고밀도 가압 보수 공법 | |
CN109869008B (zh) | 一种墙面裂缝处理装置及使用该装置的裂缝处理方法 | |
KR20210105091A (ko) | 옥상 바닥의 누수 부위 보수 방법 | |
KR10062894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 |
KR200254776Y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장치 | |
KR100917425B1 (ko) | 콘크리트균열 보수보강공법 | |
KR101157838B1 (ko) |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약제 주입장치 | |
KR100259324B1 (ko) | 에폭시수지주입방법 | |
CN210086890U (zh) | 混凝土墙体注胶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