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671B1 -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 Google Patents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671B1
KR101882671B1 KR1020170005382A KR20170005382A KR101882671B1 KR 101882671 B1 KR101882671 B1 KR 101882671B1 KR 1020170005382 A KR1020170005382 A KR 1020170005382A KR 20170005382 A KR20170005382 A KR 20170005382A KR 101882671 B1 KR101882671 B1 KR 10188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hicle
fixing member
vari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3169A (en
Inventor
엄익환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7000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671B1/en
Publication of KR2018008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1/00Vehicle modifications for receiving separate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지지판으로 차량이 진입하도록 차량의 바퀴를 안내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로서, 상기 차량 지지판의 단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진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판은, 상기 차량 지지판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진입판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that guides a vehicle's wheel to a vehicle support plate so as to allow a vehicle to enter the vehicle, comprising: an upper plat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end side of the vehicle support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air of side plate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guide plat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wherein the entrance plate includes: a fixing member coupled with the vehicle support plate; And a variable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from the end side of the fixing member in a sliding manner so as to vary the length of the entry plate.

Description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0001]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0002]

본 발명은 차량 리프트에 진입하는 차량에 따라 진입판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of an entrance plate in accordance with a vehicle entering a vehicle lift.

일반적으로 차량 리프트는 자동차 검사 및 정비시에 자동차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장비 또는 부품의 성능과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부품을 장착하거나 교환하기 위해 차량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리는 장치이다.Generally, a vehicle lift is a device for checking the performance or abnormality of an equipment or parts located under the vehicle at the time of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vehicle, and lifting the vehicle to a certain height in order to mount or exchange parts.

이러한 차량 리프트는 지지 기둥(support post)의 개수에 따라 2 주식 리프트와 4 주식 리프트로 분류되고, 지지 기둥의 형태에 따라 기둥형 리프트와 대문형 리프트로 분류되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암(arm)의 형태에 따라 매립형 타입과 저상고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Such a vehicle lift is classified into a two-stock lift and a four-stock lift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pport posts, and is classified into a column-type lift and a gate-type lif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column,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flush type and a low flush type.

차량 리프트는 기본적으로 차량을 지지하는 지지판, 지지판에 진입한 차량을 승강시키는 승강판,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유입 실린더 및 지지판으로 차량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입판은 지지판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차량의 바퀴가 지지판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vehicle lift basically includes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vehicle, a lift plat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support plate, an inflow cylinder for lifting and descending the lift plate, and an access plate for guiding the entry of the vehicle into the support plate. Here, the entry plate extends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toward the outside, and serves to guide the wheels of the vehicle to enter the support plate.

그런데, 최근에는 차량 바퀴와 차량 하부 상의 간격이 좁은 저상형 차량의 보급이 늘면서, 기존 차량 리프트용 진입 장치가 저상형 차량의 하부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곤 하였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spread of the low-profile type vehicle with a narrow gap between the vehicle whee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has been increasing,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existing vehicle lift entry device damages the lower portion of the low-

구체적으로, 도 1과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리프트는 지지 기둥(1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한 지지판(20)을 구비하고, 지지판(20)의 단부측에 진입판(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리프트는 진입판(20)에 저상형 차량(1)이 진입하는 경우, 지지판(20)과 진입판(30)의 경계에 있는 소정 높이의 단턱(21)에 차량의 하부가 간섭되어 차량 하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1 and 2, a conventional vehicle lift includes a support plate 20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by a hydraulic cylinder provided on a support column 10, and an entrance plate 30 . Such a conventional vehicle lif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low-profile type vehicle 1 enters the entrance plate 20,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is interfered with the step 21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entrance plate 3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may be damaged.

또한, 종래의 차량 리프트는 진입판(30)이 지지판(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정비가 끝난 후에도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고, 이는 차량 정비 공간의 제약을 초래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lift occupies a predetermined space even after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because the entrance plate 30 extends outside the support plate 20, which may cause a restriction on the vehicle maintenance space.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2198호Prior Art Document 1: 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92198

선행기술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8202호Prior Art Document 2: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48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진입판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량 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entry pl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진입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진입판을 접어서 차량 정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which can efficiently utilize a vehicle maintenance space by folding an entry plate when an entry plate is not used.

또한, 본 발명은 진입판의 내하중을 유지하면서도 진입판을 경량화할 수 있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 vehicle lift which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entrance plate while maintaining the load resistance of the entrance pl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지지판으로 차량이 진입하도록 차량의 바퀴를 안내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로서, 상기 차량 지지판의 단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진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판은, 상기 차량 지지판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진입판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that guides a wheel of a vehicle so as to allow a vehicle to enter a vehicle support plate, the variable entry device comprising: An entrance plate having an upper plate in contact with the wheels and a pair of side plate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upper plat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he entry plate including: a fixing member coupled with the vehicle support plate; And a deformable member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in a sliding manner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to vary the length of the access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한 쌍의 측판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xing member includes guide rail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pl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ariable member includes a sliding guide that engages with the guide rails and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끼워져 상기 가변 부재의 슬라이딩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guide rail has a guide slit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liding guide has a stopper protrusion that is fitted in the guide slit and restricts the sliding length of the variable member.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가변 부재와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대면하는 상판의 단부측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의 상부에 포개어지도록 절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coupled with the support plate and a second member coupled with the variable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hinged to an end side of the upper plate facing each other, Two members are foldable so as to be super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또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평판 및 상기 평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판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경사판의 단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가변 부재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member includes a flat plate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a swash plate extending outward from the flat plate and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e upper plat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swash plate facing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to limi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variable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보강 리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강 리브들의 단부는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평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x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that are hollow inside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reinforcing ribs are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Is supported on the flat plate.

추가적으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평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보강 리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formable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rib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t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종류에 따라 진입판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량 하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derside of the vehicle from being damag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entry board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진입판을 접어서 차량 정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cess plate is not used, the access plate can be folded to efficiently use the vehicle maintenanc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판의 내하중을 유지하면서도 진입판을 경량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ntrance plate while maintaining the load resistance of the entrance plate.

도 1과 2는 종래의 차량 리프트에 저상형 차량이 진입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구비한 차량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도 3b의 가변 진입 장치가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가변 진입 장치가 연장된 차량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도 3b의 가변 진입 장치를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가 접혀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가변 진입 장치가 접혀 있는 차량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
1 and 2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where a low-lift type vehicle enters a conventional vehicle lift,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lift including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entry device of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lift in which the variable entry device is extended,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entry apparatus of FIG. 3B,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5A,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hicle lift in which the variable entry device is folded,
7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는 차량의 검사 및 정비를 위해 차량을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리는 차량 리프트(100)의 차량 지지판(110)으로 차량이 진입하도록 차량의 바퀴를 안내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이다. The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 vehicle lift that guides the wheels of a vehicle so that the vehicle enters the vehicle support plate 110 of the vehicle lift 100 that lifts the vehicle at a constant height f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vehicle It is a variable entry device.

도 3a 내지 5b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 리프트(100)는 4개의 지지 기둥(101)을 구비한 4주식 차량 리프트로서, 4개의 지지 기둥들(101)의 내측에 차량을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인 형태의 지지판(110)을 구비하고, 한 쌍의 지지판(110) 사이에는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판(120)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4주식 차량 리프트를 도시하였지만, 차량 리프트는 2주식 리프트, 기둥형 리프트와 대문형 리프트, 그리고매립형 타입과 저상고 타입의 공지의 리프트들이 모두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3A to 5B, a vehicle lift 100 is a four-car lift including four support columns 101, and includes a pair of lanes (not shown) for supporting a vehicle inside four support columns 101 And a lifting plate 12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ing plates 110. [ Although a four-car lift is shown in the drawings, a vehicle lift can be applied to a two-stock lift, a column lift, a gate lift, and a known lift type of a buried type and a low lift typ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는 한 쌍의 지지판(120)의 단부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진입판(130)을 포함한다. 이 진입판(130)은 차량의 바퀴가 진입판(130)을 밟고 지지판(120)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trance plate 130 extending outwardly from an end side of a pair of support plates 120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entry plate 130 serves to allow the wheels of the vehicle to enter the support plate 120 by stepping on the entry plate 130.

구체적으로, 진입판(130)은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상판(131) 및 상판(131)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132)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부재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try plate 130 comprises an upper plate 131 which contacts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a pair of side plates 132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upper plate 131 and supported on the ground, Which may be a hollow member.

여기서, 진입판(130)은 차량의 지지판(120)과 직접 결합되는 고정 부재(140) 및 고정 부재(140)의 단부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입판(13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 부재(150)를 포함한다.The access plate 130 includes a fixing member 140 directly engaged with the supporting plate 120 of the vehicle and a connecting member 130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40 so as to be slidably inserted and withdrawn, And a variable member 150 for varying the angle.

먼저, 고정 부재(140)는 한 쌍의 측판(132)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1)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변 부재(150)는 가이드 레일(141)에 맞물려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51)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1)은 고정 부재(140)의 측판(132)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이고, 슬라이딩 가이드(151)는 가이드 레일(141)의 노출단을 감싸도록 'ㄷ'자 형태의 홈을 구비하여, 슬라이딩 가이드(151)가 가이드 레일(141)의 노출단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가변 부재(150)가 고정 부재(14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First, the fixing member 140 has a pair of guide rails 14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side plates 132. The variable member 150 has a sliding guide 151 that engages with the guide rail 141 and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ir of guide rails 141 are formed in a flange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32 of the fixing member 1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liding guide 151 covers the exposed end of the guide rail 141 Shaped groove and the sliding guide 151 slides along the exposed end of the guide rail 141 so that the deformable member 150 can slide in the fixing member 140.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리프트의 진입판(130)이 고정 부재(140) 및 고정 부재(14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변 부재(150)로 구성됨으로써, 도 4a와 4b에 도시된 것처럼 진입판(13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바퀴와 차량 하부 상의 간격이 좁은 저상형 차량이 리프트로 진입하는 경우, 진입판(130)의 시작 지점과 지지판(120) 사이에 충분한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차량의 하부가 지지판(120)의 단턱(121)과 접촉하여 차량 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plate 130 of the vehicle lift is constituted by the fixing member 140 and the deformable member 150 slidable from the fixing member 140, so that the entrance plate 130 Can be extended. Therefore, when a low-profile vehicle having a narrow space on the vehicle whee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enters the lift, a sufficient length is secured between the start point of the entry plate 130 and the support plate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m being damag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는 가변 부재(150)의 슬라이딩 길이, 즉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스토퍼 수단은 가이드 레일(141)에 구비된 가이드 슬릿(142) 및 슬라이딩 가이드(151)에 구비된 스토퍼 돌기(152)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릿(142)은 가이드 레일(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고, 스토퍼 돌기(152)는 슬라이딩 가이드(15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슬릿(142)에 끼워진다. Preferably, the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topper means for limiting the sliding length, i.e., the moving distance, of the deformable member 150. The stopper means includes a guide slit 142 provided on the guide rail 141 and a stopper projection 152 provided on the sliding guide 151. The guide slit 14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41 and the stopper protrusion 15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liding guide 151 and is fitted in the guide slit 142.

이에 따라, 가변 부재(150)가 슬라이딩될 때, 스토퍼 돌기(152)는 가이드 슬릿(142)의 길이만큼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토퍼 돌기(152)는 슬라이딩 가이드(151)에 구비된 볼트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eformable member 150 is slid, the stopper projection 152 can slide only by the length of the guide slit 142. [ Here, the stopper protrusion 152 may be a bolt provided on the sliding guide 151.

도 6a와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는 진입판(130)이 접혀서 리프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진입판(130)의 길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A and 6B, the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entry plate 130, in which the entry plate 130 is fold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ft.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40)는 지지판(120)과 직접 결합되는 제1 부재(140a) 및 가변 부재(150)를 수용하면서 가변 부재(150)와 결합되는 제2 부재(14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부재(140a)와 제2 부재(140b)는 서로 대면하는 상판(131)의 단부측이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xing member 140 includes a first member 140a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0 and a second member 140b coupled to the deformable member 150 while receiving the deformable member 150. [ The first member 140a and the second member 140b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H on the end side of the upper plate 131 facing each other.

따라서, 고정 부재(140)의 제1 부재(140a)와 제2 부재(140b)는 서로 회동되어 가변 부재(150)를 수용하는 제2 부재(140b)가 제1 부재(140a)의 상부에 포개어지도록 절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40)의 절첩 구성에 의해, 차량 리프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진입판(130)을 접어서 차량 정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40a and the second member 140b of the fixing member 140 are rotated so that the second member 140b accommodating the deformable member 150 is superposed on the first member 140a, As shown in Fig. With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140, when the vehicle lift is not used, the access plate 130 can be folded to efficiently use the vehicle maintenance space.

한편, 7a 및 7b를 참조하면, 가변 부재(150)는 평판(150a) 및 경사판(150b)을 포함한다. 평판(150a)은 고정 부재(140)의 내부에 삽입되고, 고정 부재(1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경사판(150b)은 평판(150a)으로부터 고정 부재(14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고정 부재(140)의 상판(131)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7a and 7b, the deformable member 150 includes a flat plate 150a and a swash plate 150b. The flat plate 150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40,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140,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per. The swash plate 150b extends from the flat plate 150a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member 140 and has the same inclination as the top plate 131 of the fixing member 140. [

따라서, 가변 부재(150)가 고정 부재(140)의 내부에 있을 때, 즉 진입판(13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변 부재(150)와 고정 부재(140)는 동일한 경사를 갖는 일체의 구조물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도 3b 참조). 그리고, 가변 부재(150)가 고정 부재(140)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즉 진입판(130)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가변 부재(150)와 고정 부재(140)는 완만한 계단을 구비한 구조물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도 4a 참조).Therefore, when the variable member 150 is inside the fixing member 140,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entry plate 130 is not variable, the variable member 150 and the fixing member 140 have the same inclination And has the same shape as an integral structure (see Fig. 3B). When the variable member 150 slides outward from the fixing member 140,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entry plate 130 is extended, the variable member 150 and the fixing member 140 are moved in a gentle step (See Fig. 4A).

여기서, 가변 부재(150)가 고정 부재(140)의 내부에 수용될 때, 고정 부재(140)와 대면하는 가변 부재(150)의 경사판(150b)의 단부는 고정 부재(140)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140) 내부로의 가변 부재(150)의 삽입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가변 부재(150)의 단부와 고정 부재(140)의 단부가 접촉할 때, 전술한 스토퍼 돌기(152)가 가이드 슬릿(142)의 측단에 접촉하도록 진입판(130)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of the swash plate 150b of the deformable member 150 facing the stationary member 140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tationary member 140 when the swashable member 150 is accommodated in the stationary member 140, . Thus, the insertion length of the deformable member 150 into the fixing member 140 can be limited.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entry plate 130 so that the above-described stopper projection 15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guide slit 142 when the end of the variable member 150 and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4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o.

유익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는 진입판(130)의 내하중을 유지하면서도 진입판(130)을 경량화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Advantageously, the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rance plate 130 while maintaining the load resistance of the entrance plate 1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는 고정 부재(140)의 내부가 비어 있고, 고정 부재(140)는 상판에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보강 리브들(145)을 구비한다. 이 제1 보강 리브들(145)에 의해, 고정 부재(140)는 판상의 구조로도 수직방향의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더욱이, 제1 보강 리브들(145)은 가변 부재(150)가 고정 부재(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변 부재(150)의 평판(150a)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가변 부재(150)가 고정 부재(140)에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140)는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of the fixing member 140 is empty, and the fixing member 140 has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145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late . With the first reinforcing ribs 145, the fixing member 140 can withstand a sufficient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n a plate-like structure. The first reinforcing ribs 145 are extended by a length capable of being held in contact with the flat plate 150a of the deformable member 150 while the deformable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40 .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deformable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40, the fixing member 140 can support a larger load.

이와 마찬가지로, 가변 부재(150) 역시 평판(150a)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보강 리브들(155)을 구비한다. 이 제2 보강 리브들(155) 역시 가변 부재(150)의 내하중을 유지하면서도 가변 부재(150)를 경령화시킬 수 있게 한다.Similarly, the deformable member 150 also has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ribs 155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lat plate 150a. These second reinforcing ribs 155 also allow the variable member 150 to be aged while maintaining the load resistance of the deformable member 150.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

100: 차량 리프트 101: 지지 기둥
110: 지지판 120: 승강판
130: 진입판 131: 상판
132: 측판 140: 고정 부재
140a: 제1 부재 140b: 제2 부재
141: 가이드 레일 142: 가이드 슬릿
145: 제1 보강 리브 150: 가변 부재
150a: 평판 150b: 경사판
151: 슬라이딩 가이드 152: 스토퍼 돌기
155: 제2 보강 리브
100: vehicle lift 101: support column
110: support plate 120:
130: entry plate 131: top plate
132: side plate 140: fixing member
140a: first member 140b: second member
141: guide rail 142: guide slit
145: first reinforcing rib 150: variable member
150a: Flat plate 150b: Swash plate
151: sliding guide 152: stopper projection
155: second reinforcing rib

Claims (7)

차량 지지판으로 차량이 진입하도록 차량의 바퀴를 안내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로서,
상기 차량 지지판의 단부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진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판은,
상기 차량 지지판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단부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진입판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평판 및 상기 평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판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대면하는 상기 경사판의 단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가변 부재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1. A variable entry device for a vehicle lift that guides a vehicle ' s wheel so that the vehicle enters into a vehicle support plate,
And an entrance plate extending from an end side of the vehicle support plate toward an outer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cluding an upper plate contact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a pair of side plates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upper plat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he entrance plate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vehicle support plate; And
And a deformable member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in a sliding manner so as to be able to be pulled out and to vary the length of the access plate,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includes a flat plate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an inclined plate extending outward from the flat plate and having the same inclination as the upper plate of the fixing member,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swash plate facing the stop member contacts the fixing member to restric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variabl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한 쌍의 측판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has a guide rail formed at a lower end of a pair of side pl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ariable member includes a sliding guide that engages with the guide rail and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끼워져 상기 가변 부재의 슬라이딩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ide rail includes a guide slit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liding guide includes a stopper protrusion that is fitted in the guide slit and restricts the sliding length of the variable memb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가변 부재와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대면하는 상판의 단부측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의 상부에 포개어지도록 절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coupled with the support plate and a second member coupled with the variable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hinged to an end side of the upper plate facing each other, Is foldable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보강 리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강 리브들의 단부는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평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ribs that are hollow inside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and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reinforcing ribs are connected to the flat plate with the variable member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Wherein the guide member is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평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보강 리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formable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rib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lat plate.
삭제delete
KR1020170005382A 2017-01-12 2017-01-12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KR101882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382A KR101882671B1 (en) 2017-01-12 2017-01-12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382A KR101882671B1 (en) 2017-01-12 2017-01-12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69A KR20180083169A (en) 2018-07-20
KR101882671B1 true KR101882671B1 (en) 2018-07-27

Family

ID=6307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382A KR101882671B1 (en) 2017-01-12 2017-01-12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6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873B1 (en) * 2019-07-12 2021-01-25 이진현 Four post type vehicle lift with improved safe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0751A1 (en) * 2008-12-18 2010-06-24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Ramp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648A (en) *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 씨엔에스티 Car carrier's load up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0751A1 (en) * 2008-12-18 2010-06-24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Ramp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69A (en)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82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US20090053024A1 (en) Vehicle lift device including scissor lift and telescopic upper platform
US8627925B2 (en) Foldable work platform
US8973712B2 (en) Inground superstructure and integrated third stage arm for vehicle lift
US20090114647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101882671B1 (en) Variable entry apparatus for automotive lift
CN110203798B (en) Car roof platform
EP3604174A1 (en) Vehicle transporting frame
CN105431367A (en) Retractable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JP6532311B2 (en) Home fence
KR101709147B1 (en) Roof carrier apparatus for car
US9365247B1 (en) Tailgate for extending the bed of a vehicle
EP1044629A2 (en) Extendable table
KR101478780B1 (en) Vehicle lifting apparatus
KR101724827B1 (en) Movement device for car window glass
KR200480134Y1 (en) System for accommodation ladder and pilot rope ladder reel of ship
KR102215267B1 (en) Carriage car lubrication device of the ladder unit
EP4286314A1 (en) Elevator car with blocking member for foldable working platform
KR102230539B1 (en) Aerial Ladder Truck with Moving Member
CN209835341U (en) E-shaped guide rail assembly of diagonal elevator
CN220334446U (en) Protection device for entrance and exit platform of construction elevator cage floor
KR101465955B1 (en) Guard structure for access hole
KR100634485B1 (en) Apparatus measuring the sag of a bridge
US20230227296A1 (en) Material handling lift
KR101681470B1 (en) Method to fold a collapsible container and collapsible contain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