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453B1 -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453B1
KR101882453B1 KR1020180007843A KR20180007843A KR101882453B1 KR 101882453 B1 KR101882453 B1 KR 101882453B1 KR 1020180007843 A KR1020180007843 A KR 1020180007843A KR 20180007843 A KR20180007843 A KR 20180007843A KR 101882453 B1 KR101882453 B1 KR 10188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yringe
cover
holder
h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남복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주)동림의료기
이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림의료기, 이명식 filed Critical (주)동림의료기
Priority to KR102018000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5Syringes comprising radioactive shiel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8Racks for supporting syringes or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782Devices aiding filling of syringes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 용기에서 방사선 약물을 추출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때, 직접 투여에 의한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방사선 약물 용기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 및 방사선 약물에 의한 오염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제1홀딩유닛, 그리고 상기 제1홀딩유닛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사선 약물 용기 내의 방사선 약물을 흡입하는 주사기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에 흡입된 방사선 약물을 계량하는 계량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를 수용하는 제2홀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DISTRIBUTION APPARATUS FOR RADIATION DRUG}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 용기 내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분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 약물 용기에서 방사선 약물을 추출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때, 직접 투여에 의한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방사선 약물 용기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 및 방사선 약물에 의한 오염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약물이란, 방사선 촬영 시 조직이나 혈관 등을 잘 보이게 하는 조영제, PET(양전자 단층 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검사에 사용되는 플루오르 디옥시 글루코오스 등을 비롯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약물들을 모두 포함하는 약물들로, 현재 방사선 약물은 밀봉 처리된 고무 캡을 갖는 정맥 주사용 병에 저장되고 있고, 고무 캡에 밀봉 처리된 주사기를 통해 주입된다.
이러한 방사선 약물은 특정 장기나 질환에 친화성이 크고 반감기가 짧아 환자에게 가해지더라도 피폭량이 적어 큰 문제는 없지만, 이를 항상 취급하는 의료진의 입장에서는 분배와 측정을 일상적으로 다수 반복하는 과정에서 피폭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환자에게 방사선 약물을 투여하거나 필요에 의해 방사선 약물을 다른 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의료진이 방사선 약물을 핸들링하거나 수작업을 통해 주사기 또는 다른 수단으로 흡입하는 것은 방사선에의 노출 또는 심지어 방사선 약물과의 접촉의 위험성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진이 방사선 약물에 직접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방사선 약물의 취급 및 투여를 수행하는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79779호(2012년08월29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방사성 의약품을 제1주입장치부를 통해 컬럼에 주입하고 이어서 제1주입장치부의 후방에 구비된 제2주입장치부를 통해 방사성 안정제를 컬럼에 주입하여 방사성물질이 포함된 의약품을 컬럼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정량 주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입된 의약품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를 통해 환자에게 방사선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방사선 약물의 전량 배출을 위해 방사선 약물 용기를 거꾸로 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이 누출되는 문제, 그리고 이에 의해 파생되는 장치의 오염 및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 문제 발생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에게 방사선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직접 투여에 의한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방사선 약물 용기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줌으로써,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 및 방사선 약물에 의한 오염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홀더의 수용부를 다수 구비하되, 각각이 대칭되게끔 구성하여, 다 종의 방사선 약물에 대한 분배가 가능하도록 하고, 소정 각도의 회전 시마다 방사선 약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고유의 형상을 갖는 커버와 캡을 갖는 홀더의 도입을 통해, 홀더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방사선 약물의 누출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는, 방사선 약물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제1홀딩유닛, 그리고 상기 제1홀딩유닛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사선 약물 용기 내의 방사선 약물을 흡입하는 주사기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에 흡입된 방사선 약물을 계량하는 계량유닛,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를 수용하는 제2홀딩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주사기를 착탈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고정수단을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의 수용부는 상부 제1수용부와 하부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호 대칭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홀더는 상기 수용부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 구비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부에 구비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장착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 및 삽입부는 사다리꼴의 측면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의 분배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직접 투여에 의한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 및 방사선 약물에 의한 오염 방지를 제공하고, 다 종의 방사선 약물에 대한 분배가 가능하도록 하고, 소정 각도의 회전 시마다 방사선 약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홀더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방사선 약물을 추출하도록 하여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평면도).
도 4는 제1홀딩유닛에 관한 부분 구성도.
도 5는 이송유닛에 관한 부분 구성도.
도 6은 계량유닛 및 제2홀딩유닛에 관한 부분 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홀더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 용기에서 방사선 약물을 추출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때, 직접 투여에 의한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방사선 약물 용기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 및 방사선 약물에 의한 오염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이하 본 장치(A))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방사선 약물'이라 함은 방사선 촬영 시 조직이나 혈관 등을 잘 보이게 하는 조영제를 비롯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약물들을 모두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를 기준(사용 상태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를 나누기로 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측면도, 도 3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A)는 크게 제1홀딩유닛(11), 제1홀딩유닛(11)의 상부에 구비된 이송유닛(2), 이송유닛(2)의 하부에 구비된 계량유닛(3), 그리고 이송유닛(2)의 하부에 구비된 제2홀딩유닛(4)을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제1홀딩유닛(11)은 방사선 약물 용기(C)를 수용하고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를 위해 방사선 약물 용기(C)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약물 용기(C)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홀더(6), 그리고 홀더(6)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송유닛(2)은 방사선 약물 용기(C) 내의 방사선 약물을 흡입하는 주사기(5)를 이송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딩유닛(11)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도 1을 기준으로, 수직 이동은 상하 방향 이동을 의미하고, 수평 이동은 좌우 방향 이동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계량유닛(3)은 주사기(5)에 흡입된 방사선 약물의 계량, 보다 명확하게는 방사선 약물의 양, 농도 등을 계량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 하부에 구비되어 이송유닛(2)으로부터 주사기(5)를 전달 받아 계량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2홀딩유닛(4)은 계량을 마친 주사기(5)를 인수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2)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사기(5)를 수용한다. 제2홀딩유닛(4)에 수용된 주사기(5)는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된다.(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벗어나는 구성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 용기(C)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을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로 분배시켜, 의료진이 수작업을 통해 직접 투여하지 않고도 환자에게 방사선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방사선 약물 분배 과정에서, 방사선 약물 용기(C)를 회전시켜 방사선 약물 용기의 역립 없이도 전량 배출이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방사선 약물 용기의 역립 후 다시 직립시켜줌으로써, 방사선 약물 용기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 방지 및 이에 의한 장치의 오염 방지 및 방사선 노출 문제를 해결한다.
추가로, 본 장치(A)는 디스플레이(D)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D)는 방사선 약물의 분배 과정 및 계량 수치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구성에 불과하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장치(A)의 일 구성들을 확대 도시한 부분 구성도로, 도 4는 제1홀딩유닛(11)에 관한 부분 구성도, 도 5는 이송유닛(2)에 관한 부분 구성도, 도 6은 계량유닛(3) 및 제2홀딩유닛(4)에 관한 부분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3,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장치(A)는 제1홀딩유닛(11)이 홀더(6)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고, 이 회동수단이 축설부를 갖는 지지체(111), 그리고 축설부에 결합되고 홀더(6)에 회동 결합된 회동축(112), 그리고 회동축(11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 별로, 지지체(111)는 회동수단의 베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장치(A)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바닥면은 본 장치(A)가 설치된 설치면일 수도 있고, 본 장치(A)의 각 구성이 고정된 고정면일 수도 있는데, 이는 본 장치(A)의 각 구성이 각각 설치면에 고정되는지 또는 하나의 고정면에 모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체(111)의 축설부는 회동축(112)이 회전 가능하게끔 하는 구멍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홀더(6)(특히 바디(61))에도 역시 회동축(112)의 설치를 위한 구멍이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한 것이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회동축(112)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통해 회동축(112)을 회동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다.
상기한 회동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홀더(6)를 회전시켜 방사선 약물 용기(C) 내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도 4에서는 홀더(6)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홀더(6)는 크게 방사선 약물 보관 용기(C)를 수용하는 수용부(611)를 구비한 바디(61), 바디(61)에 결합되는 커버(62), 커버(62)의 내측에 결합 구비되는 캡(63), 커버(62)에 결합되어 캡(63) 및 바디(61)의 내부를 은폐하는 마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마개는 일반적인 뚜껑에 비해 기술적 차이가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홀더(6)의 보다 상세한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다루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A)는 이송유닛(2)이 주사기(5)를 착탈 고정하는 고정수단(21) 및, 고정수단(21)에 결합되어 주사기(5)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2)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 별로, 고정수단(21)은 주사기(5)를 착탈 고정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5)가 수용 및 고정되는 고정부(211)와, 하부에 상기 고정부(211)를 구비하고 이동수단(22)에 결합된 몸체부(212)를 포함한다.
고정부(211)는 주사기(5)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의 형태로 구성되고, 이에 몸체부(212)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211)에 의해 하부가 개구된 형태를 취하게 되며, 개구된 하부 측으로 주사기(5)의 흡입부(바늘)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이동수단(22)은 고정수단(21)을 이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사기(5)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21)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221)와 고정수단(21)을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2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수단(22)의 구성은 도 3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221)는 수평 배치된 제1레일(r221)과 이에 결합된 제1슬라이더(s221)를 포함하고, 수직이동부(222)는 수직 배치된 제2레일(r222)과 이에 결합된 제2슬라이더(s222)를 포함한다.
다시 제1레일(r221)은 도 1, 3,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제1홀딩유닛(11), 계량유닛(3), 제2홀딩유닛(4)들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당연하게도 각 유닛들의 전체 배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제2레일(r222)은 도 2, 3,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각 유닛들의 상부에서 각 유닛들에 인접한 위치까지 수직으로 배치되며, 최소 제1레일(r221)에서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구성(도 1을 참고하면 제1홀딩유닛(11)임을 알 수 있음)에 다다를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아울러 제1슬라이더(s221)와 제2슬라이더(s222)는 각각 제1레일(r221)과 제2레일(r222)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제1슬라이더(s221)와 제2슬라이더(s222)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한 몸체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이동수단(22)의 구성 및 구조를 통해, 본 장치(A)는 주사기(5)를 제1홀딩유닛(11), 계량유닛(3), 그리고 제2홀딩유닛(4) 각각으로 이동시키면서 방사선 약물의 인출, 계량 및 분배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장치(A)의 일부 구성인 계량유닛(3)과 제2홀딩유닛(4)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 6을 참고하면, 계량유닛(3)은 내부에 주사기(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311)를 갖는 하우징(31), 그리고 수용공간부(311)에 수용된 주사기(5)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을 계량하는 계랑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방사선 약물을 계량하는 과정에서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31)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사기(5)의 투입 및 인출 시를 제외하고는 완전 차폐될 수 있도록 뚜껑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계량수단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는데, FDG 측정기를 비롯하여, 방사선 약물의 양이나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측정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어느 한 측정기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을 참고하면, 제2홀딩유닛(4)은 이송수단으로부터 주사기(5)를 인수하는 구성으로, 주사기(5)가 안착되는 안착부(41), 이 안착부(41)를 감싸는 차폐부(42)를 포함하는 제2홀더(40)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1)는 주사기(5)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주사기(5)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시켜 방사선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폐부(42)는 안착부(41)를 감싸는 구성으로, 방사선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출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며, 역시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홀딩유닛(4)은 본 장치(A)의 일 구성이기는 하나,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별도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방사선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의 일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장치(A)와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는 제2홀딩유닛(4)을 공유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제2홀딩유닛(4)은 일 측으로 돌출된 손잡이(H)를 구비하여, 의료진이 제2홀딩유닛(4)을 이동시키거나(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 구비되는 경우) 또는 방사선 약물 주입을 위한 파지를 필요로 할 때(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손잡이(H)를 잡고 해당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방사선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홀더(6)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간략하게 언급하였던 홀더(6)의 구조적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의 바디는 방사선 약물 용기(C)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방사선 약물 용기(C)가 수용되는 수용부(611)를 포함하고, 외면에 커버(62)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612)를 포함한다. 특히 도 8을 참고하면, 수용부(611)와 결합부(612)는 바디(61)의 상부에 구비된 제1수용부(611a)와 제1결합부(612a), 그리고 바디(61)의 하부에 구비된 제2수용부(611b)와 제2결합부(612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수용부(611a)(611b)와 제1 및 제2결합부(612a)(612b)는 상호 대칭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6)의 180도 회전마다 방사선 약물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특히 첨부된 도면에서는 수용부(611)를 2개 구빈한 실시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3개 이상의 수용부(6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홀더(6)의 회전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그 주기를 달리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62)는 바디(61)의 수용부(611)에 수용된 방사선 약물 용기(C)의 이탈을 방지하며, 방사선 약물 용기(C)를 은폐하여 방사선 약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흡수 또는 차단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61)의 반대편 측에 구비된 개구부(제1개구부(621)), 바디(61) 측 외면에 구비된 결합대응부(622), 제1개구부(621)와 연통되고 내부에 구비된 장착부(623)를 포함한다. 특히 도 9를 참고하면, 제1개구부(621)는 주사기(5)가 진입하는 통로를 제공하고, 결합대응부(622)는 바디(61)의 결합부(612)와 함께 결속되어 바디(61)와 커버(62) 간의 결합을 제공하고, 장착부(623)에는 후술하는 캡(63)이 삽입된다. 상기한 커버(62) 역시 바디(6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62A)와 바디(6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커버(6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커버(62A)(62B)는 동일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상호 대칭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62)의 하부에는 통로부(제1통로부(6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방사선 약물의 배출을 위한 주사기(5)가 통과하는 구멍이다.
다음으로, 캡(63)은 커버(62)의 내측에 내장되어 커버(62)의 제1개구부(621)를 일부 차폐하여 제1개구부(621)를 통해 방출되는 방사선을 최소화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62A)에 결합되는 제1캡(63A)과 제2커버(62B)에 결합되는 제2캡(63B)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2)의 장착부(623)에 삽입되는 삽입부(633), 이 삽입부(633)의 상부에 구비되고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632), 그리고 삽입부(633)의 하부 중심에 구비된 통로부(제2통로부(634))와 노출부(632) 상부 중심에 구비된 개구부(제2개구부(631))를 포함한다. 특히 도 10을 참고하면, 삽입부(633)는 커버(62)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이 삽입부(633)만큼 커버(62)의 제1개구부(621)가 차폐되고, 노출부(632)는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상측에 상기 제2개구부(631)를 포함하고, 스토핑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단턱(632a)(632b)을 포함하고, 제2통로부(634)는 제2개구부(631)로 진입하는 주사기(5)가 통과하도록 하는데, 평상시에는 제2개구부(631)를 차폐하고 있다가 주사기(5)에 의한 물리력이 가해지면 뚫리도록 구비된다. 즉, 주사기(5)는 커버(62)와 캡(63)의 제1 및 제2개구부(621)(631)를 통과하여 커버(62)와 캡(63)의 제1 및 제2통로부(624)(634)를 지나쳐(제2통로부(634)는 뚫림) 방사선 약물 용기(C)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2)의 장착부(623)와 캡(63)의 삽입부(633)는 사다리꼴 측면 형상을 갖고, 상기한 제1 및 제2개구부(621)(631)는 사다리꼴의 장변 측에 구비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통로부(624)(634)는 사다리꼴의 단변 측에 구비되고, 양 경사변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50도 내지 80도가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 경사변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70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각도 특징은 회동하는 홀더(6)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주사기(5)를 통해 방사선 약물 용기(C) 내 방사선 약물을 인출하기 위한 설계 조건으로, 만약 장착부(623)와 삽입부(633)의 양 경사변이 이루는 각도가 50도 미만인 경우 주사기(5)의 진입 통로가 너무 좁아서 과도한 동작 정밀성을 필요로 하게 되고, 80도를 초과하는 경우 캡(63)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거나 또는 홀더(6)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추가로, 본 용기(C)는 홀더(6)가 바디(61)와 커버(62) 간의 결속을 제공하는 결속구(도면참조부호 미병기)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결속구는 일단은 바디(61)의 결합부(612)에, 타단은 커버(62)의 결합대응부(622)에 고정되면서 바디(61)와 커버(62) 간의 결속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본 장치(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1: 제1홀딩유닛 11: 회동수단
111: 지지체 112: 회동축
2: 이송유닛 21: 고정수단
211: 고정부 212: 몸체부
22: 이동수단 221: 수평이동부
r221: 제1레일 s221: 제1슬라이더
222: 수직이동부 r222: 제2레일
s222: 제2슬라이더
3: 계량유닛 31: 하우징
311: 수용공간부
4: 제2홀딩유닛 40: 제2홀더
41: 안착부 42: 차폐부
5: 주사기 6: 홀더

Claims (4)

  1. 방사선 약물 용기(C)를 수용하는 수용부(611)를 구비한 홀더(6) 및 상기 홀더(6)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11)을 포함하는 제1홀딩유닛(1);
    상기 제1홀딩유닛(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사선 약물 용기(C) 내의 방사선 약물을 흡입하는 주사기(5)를 이송하는 이송유닛(2);
    상기 이송유닛(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5)에 흡입된 방사선 약물을 계량하는 계량유닛(3); 및
    상기 이송유닛(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주사기(5)를 수용하는 제2홀딩유닛(4);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수단(11)은 축설부를 갖고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체(111), 축설부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6)에 회동 결합된 회동축(112) 및 상기 회동축(11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6)는 상기 수용부(611)를 구비한 바디(61), 상기 바디(61)에 결합되는 커버(62), 상기 커버(62)의 내측에 결합 구비되는 캡(63)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611)는 상부 제1수용부(611a)와 하부 제2수용부(6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611a)와 상기 제2수용부(611b)는 상호 대칭 구비되고,
    상기 바디(61)는 상기 커버(62)가 결합되는 상부 제1결합부(612a)와 하부 제2결합부(612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612a)와 상기 제2결합부(612b)는 상호 대칭 구비되고,
    상기 커버(62)는 상기 바디(61)의 반대편 측에 구비된 제1개구부(621), 상기 바디(61) 측 외면에 구비된 결합대응부(622), 상기 제1개구부(621)와 연통되고 내부에 구비된 장착부(623)를 포함하고,
    상기 캡(63)은 상기 커버(62)의 장착부(623)에 삽입되는 삽입부(633), 이 삽입부(63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632), 상기 삽입부(633)의 하부 중심에 구비된 제2통로부(634) 및 상기 노출부(632)의 상부 중심에 구비된 제2개구부(631)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부(632)는 스토핑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단턱(632a)(632b)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62)의 장착부(623)와 상기 캡(63)의 삽입부(633)는 사다리꼴 측면 형상을 갖되,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621)(631)는 사다리꼴의 장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통로부(624)(634)는 사다리꼴의 단변 측에 구비되고, 양 경사변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50도 내지 80도가 되고,
    상기 홀더(6)는 일단은 상기 바디(61)의 결합부(612)에, 타단은 상기 커버(62)의 결합대응부(622)에 고정되면서 상기 바디(61)와 커버(62) 간의 결속을 제공하는 결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2)은 상기 주사기(5)를 착탈 고정하는 고정수단(21) 및, 상기 고정수단(21)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기(5)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21)은 상기 주사기(5)가 수용 및 고정되는 고정부(211) 및 하부에 상기 고정부(211)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22)에 결합된 몸체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22)은 상기 고정수단(21)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221)와 상기 고정수단(21)을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부(221)는 상기 제1홀딩유닛(1)의 상부에 수평 배치된 제1레일(r221)과 이에 결합된 제1슬라이더(s22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이동부(222)는 수직 배치된 제2레일(r222)과 이에 결합된 제2슬라이더(s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6)의 회전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홀딩유닛(4)은 상기 주사기(5)가 안착되는 안착부(41), 이 안착부(41)를 감싸는 차폐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41)는 상기 주사기(5)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주사기(5)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2홀딩유닛(4)은 일 측으로 돌출된 손잡이(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KR1020180007843A 2018-01-22 2018-01-22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KR10188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43A KR101882453B1 (ko) 2018-01-22 2018-01-22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843A KR101882453B1 (ko) 2018-01-22 2018-01-22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453B1 true KR101882453B1 (ko) 2018-08-30

Family

ID=6345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843A KR101882453B1 (ko) 2018-01-22 2018-01-22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979A (ko) * 2006-09-29 2009-06-08 르메르 쁘로떽시옹 앙띠-엑스 빠르 아브레비아숑 소시에떼 르베르 빡스 주입가능한 방사성 물질의 채취, 보정, 희석 및/또는 주입용 의료기기
KR100923356B1 (ko) * 2008-02-29 2009-10-22 이명식 방사성 의약품 분배 및 방사선량 측정 시스템
JP5224013B2 (ja) * 2011-03-25 2013-07-0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混注装置
KR101283345B1 (ko) * 2011-12-31 2013-07-09 박현미 방사성 의약품 분배 및 방사선량 측정 장치
KR20150010287A (ko) * 2013-07-19 2015-01-28 (주)유니테코 방사성 의약품 분배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010285A (ko) * 2013-07-19 2015-01-28 (주)유니테코 방사선량 측정부를 갖는 방사성 의약품 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979A (ko) * 2006-09-29 2009-06-08 르메르 쁘로떽시옹 앙띠-엑스 빠르 아브레비아숑 소시에떼 르베르 빡스 주입가능한 방사성 물질의 채취, 보정, 희석 및/또는 주입용 의료기기
KR100923356B1 (ko) * 2008-02-29 2009-10-22 이명식 방사성 의약품 분배 및 방사선량 측정 시스템
JP5224013B2 (ja) * 2011-03-25 2013-07-0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混注装置
KR101283345B1 (ko) * 2011-12-31 2013-07-09 박현미 방사성 의약품 분배 및 방사선량 측정 장치
KR20150010287A (ko) * 2013-07-19 2015-01-28 (주)유니테코 방사성 의약품 분배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010285A (ko) * 2013-07-19 2015-01-28 (주)유니테코 방사선량 측정부를 갖는 방사성 의약품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3776B2 (en) Molecular imaging vial transport container and fluid injection system interface
JP6325480B2 (ja) 流体注入ボーラスを患者に送達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並びに有害流体を取り扱う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00331600A1 (en) System for dispensing radio-pharmaceuticals and measuring radiation dosage of it
ES2326313T3 (es) Envase para vial de radiofarmaceutico y conjunto para su infusion en un paciente o para su transferencia a otra parte.
US20110124948A1 (en) Radiolabeled treatment infus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L308794A (en) A device for administering aspiration of radioactive materials
KR101882454B1 (ko)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KR101882453B1 (ko) 방사선 약물 분배 장치
US20210402101A1 (en) Stabilization of hydrogen peroxide solution in filled syringes
KR101864295B1 (ko) 방사선 약물 주입 장치
JP2008093000A (ja) 手動式放射性液体投与装置の補助器具
WO2023159229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y of a therapeutic or diagnostic agent
JP2008092999A (ja) 手動式放射性液体投与装置の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