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332B1 -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 Google Patents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332B1
KR101882332B1 KR1020180069594A KR20180069594A KR101882332B1 KR 101882332 B1 KR101882332 B1 KR 101882332B1 KR 1020180069594 A KR1020180069594 A KR 1020180069594A KR 20180069594 A KR20180069594 A KR 20180069594A KR 101882332 B1 KR101882332 B1 KR 10188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
attribute information
module
door
digital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종민
황재웅
박종민
조정민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18006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3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a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a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to precisely compare an object image represented by a polygon object type with an actual terrain image located at a corresponding point in a digital map to identify a mismatched point, and to adjust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 or to adjust the object image to a numerical coordinate position. The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includes an entrance door, a ventilation unit,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board.

Description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본 발명은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a change in terrain shape of a gr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in which a ground water image represented by a polygon object type is precisely compared with a real terrain image located at a corresponding poi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improved terrestrial terrain change so as to adjust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s or adjust the terrestrial water image to the numerical coordinate positions.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에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기하학적인 요소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점, 선, 면의 도면요소를 활용한다.Generally, to represent a surface water image expressed in a digital map as a geometric element, points, lines, and facets of the surface are utilized.

구체적으로, 수치지도에서 면으로 표현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로경계면, 건물, 실폭하천, 수부지형경계면 등의 여러 가지 지형지물을 면형으로 표현하고 색상과 패턴으로 표시한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expressing a surface in a digital map, various features such as a road boundary, a building, a broad river, and a terrain boundary are represented as a surface and displayed in a color and a pattern.

즉, 대부분 하나의 면형객체로 하나의 지형지물을 표현하나 두 개 이상의 면형객체가 이루어져 하나의 지형지물을 표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In other words, most of the surface objects are represented by one surface object, but two or more surface objects are required to represent a single feature object.

현재 수치지도를 편집하거나 관리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폴리곤(Polygon) 객체로 면형을 표현하는데, 면형의 내부에 또 다른 면형이 존재할 경우 내부의 면형객체를 홀(Hole)이라고 한다.In most systems that currently edit or manage a digital map, a polygon object is represented by a polygonal object. If another surface exists in the interior of the surface, the inner surface object is called a hole.

또한, 다수의 폴리곤이 이루어져 하나의 객체를 형성하는 것을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이라 한다.Also, forming multiple polygons to form one object is called multi polygon.

이때, 폴리곤의 색상표현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홀(Hole)은 색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구멍난 면형을 나타내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a polygon is expressed in color, a hole does not display a color. That is, it represents a perforated surface.

상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수치지도(DWG 파일) 제작을 위한 입력 및 편집 작업 수행하는 경우 양끝점이 연결된 닫힌 폴리라인(Closed-Polyline)으로만 폴리곤과 다중폴리곤을 표현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input and editing operations for producing a digital map (DWG file)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polygons and polygons can be represented only by closed-polylines connected to both ends.

이때, 폴리곤 객체 및 다중폴리곤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개의 홀을 가진 폴리곤을 표현하는 경우에 닫힌 폴리라인 내부 영역에 또 다른 닫힌 폴리라인을 표시하고, 두 개의 면형을 가진 다중폴리곤은 개별적인 닫힌 폴리라인으로 분리하여 표현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olygon object and the polygon object do not exist. For example, when a polygon with one hole is represented, another closed polyline may be displayed in the closed polyline area, and a polygon having two planes may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closed polylines.

하지만, 단일 지형지물을 여러 개의 객체로 표현할 수 있음으로 수치지도 입력 및 편집 작업을 하거나, 수치지도에서 어떤 지형지물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 연관되어 있는 다른 객체를 같이 고려해야함으로써 작업자의 많은 주의를 요하며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게 된다.However, since a single feature can be represented by several objects, it is necessary to input and edit the digital map, or to consider other objects related to the search for a feature in the digital map,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lowered.

또한, 홀 폴리곤인 경우 색상을 표시할 때 전체가 채워져 있는 게 아니라 내부의 홀은 표시되지 않고 구멍이 생기도록 표현해야 한다.Also, in the case of a hole polygon, when displaying a color, the hole is not displayed but the hole is not displayed.

하지만, 종래의 홀 표시방식은 두 개의 닫힌 폴리라인 즉, 외부 폴리라인과 내부 폴리라인이 겹쳐지게 되어 내부의 폴리라인(홀)이 가려지거나, 두 개의 폴리라인이 각각 선택됨으로써, 구멍난 한 개의 객체로 표현할 수가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le display method, two closed polylines, that is, an outer polyline and an inner polyline are overlapped to cover an inner polyline (hole), or two polylines are selected, It can not be expressed as an object.

그리고, 폴리곤이나 다중폴리곤을 지원하는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 포맷을 불러들이거나, 내보내기 할 때 객체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In addition, additional operations are required to retain the object type when importing or exporting data formats of other systems that support polygons or polygons.

즉, 불러들일 때는 분리된 객체의 정보를 따로 관리하여야 하고 내보내기 수행 시에 저장된 파일의 시스템에서 분리된 객체를 다시 하나의 객체로 편집해 주어야만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importing,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separated object, and the object separated from the system of the stored file at the time of exporting must be edited into a single object again.

한편, 수치지도를 오토캐드(Auto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인 가능한데, 상위 버전의 캐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폴리곤 및 다중폴리곤 객체가 존재하지만, 오토캐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상위 버전에서 작성된 파일은 하위버전에서 확인 불가능하여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 numerical map can be confirmed using an AutoCAD system. However, when using a CAD system of a higher version, polygons and polygon objects exist. However, when using the AutoCAD system, It is impossible to check and compatibility problems occur.

그리고, 타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객체 타입을 새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타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객체를 파일로 저장한 경우 그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갖지 않으면 편집 및 수정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However, if an object created through another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as a file, it is impossible to edit and modify the object without having an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이에, 폴리곤 별로 수치좌표 등의 고유한 속성정보를 입력해서 이를 기준으로 폴리곤들의 식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특허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A polygon generation system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object and a patent technique for the polygon generation system have been disclosed, in which unique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numerical coordinates is input for each polygon, and polygons are automatically identified based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have.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설정된 규칙에 따라 폴리곤 별로 작업자가 직접 해당하는 속성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작업에 번거로움과 곤란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this technique requires the operator to directly input corresponding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lygon in accordance with a set rule, the work is troublesome and difficult.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에는 폴리곤 단위로 영역 또는 사물 등이 구분된 수치지도에서, 작업자가 다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다중폴리곤과, 하나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폴리곤으로 직접 구분하고, 이렇게 구분된 각각의 폴리곤에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속성정보로 입력하거나, 수치좌표가 링크된 자체 고유코드를 속성정보로 입력하는 것이다.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conventionally, in a numerical map in which regions or objects are classified in units of polygons, a polygon in which a plurality of polygons constitute one object and a polygon in which one polygon constitutes one object Directly inputting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 to each of the polygons thus classified, or inputting the inherent code linked with the numerical coordinates as attribute information.

하지만, 이러한 속성정보 입력방식은 수많은 폴리곤에 대한 속성정보 입력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적 부담이 컸고, 더욱이 폴리곤별로 일일이 속성정보를 확인해서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적 부담 또한 컸으며, 작업자의 착오 또는 실수 등에 의해서 잘못된 속성정보가 임의의 폴리곤에 입력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is attribute information input method requires a manual input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a large number of polygons, the work burden is large. Further, since the polygon needs to input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lygon, time burden is also larg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false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input to an arbitrary polygon due to a mistake or a mistake.

더욱이, 이러한 수작업 방식은 항공촬영된 지점의 실제 지형이미지(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지도 내 해당 지상물이미지 간의 위치적 불일치를 일으켜서 정밀한 수치지도 제작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this manual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positional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terrain image (aerial shot image) of the aerial photographing point and the corresponding ground image in the digital map,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a precise digital map.

아울러,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종래 기술은 폴리곤의 객체구조가 단순한 수치지도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object structure of the polygon can not be utilized in a simple numerical map.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59269호(2007.09.17.공고)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9269 (2007.09.17 Announcement) 'Multi-polygon generation system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ob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comparing a ground water image represented by a polygon object type with a real terrain image located at a corresponding poi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system for checking a digital map error according to an improved terrain change so that a numerical coordinate of a corresponding point can be adjusted or a ground image can be adjusted to the numerical coordinate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 폴리라인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폴리라인에 상기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엠폴리곤 객체를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 엠폴리곤 객체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엠폴리곤 객체의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변경모듈부(60); 수치지도 정보, 엠폴리곤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및 객체별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가 추출한 엠폴리곤 객체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를 제어하여 엠폴리곤 객체를 구성하는 폴리곤과, 상기 폴리곤별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부(90); 보드 형태를 갖는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가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함체(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200)는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도어(210)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통풍방식으로 자연냉각하는 통풍유닛(300)과; 내부 천정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20)와; 일측면 상측에 설치되어 온도센서(220)의 검출온도값에 따라 통풍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통풍유닛(300)은 좌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과;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방프레임(320) 및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방프레임(350)을 통해 사각틀 형태를 갖고, 상기 측방프레임(310)과 상방프레임(320) 및 하방프레임(3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각 하단 전면에는 일정크기의 개방구(OPN)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OPN)를 통해 견인와이어(314)가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며; 인출된 견인와이어(314)는 상기 함체(200)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권취드럼(37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길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370)은 권취모터(3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모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모터(372)는 상기 함체(200)의 양측면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동기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측방프레임(310)과 상방프레임(320) 및 하방프레임(350)에 의해 형성된 사각틀 내부에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도어(330)의 상단은 한 쌍의 상부힌지(332)에 의해 상기 상방프레임(320)의 하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도어(330)가 상기 상부힌지(332)를 기점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도어(330)의 하단은 한 쌍의 하부힌지(342)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3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하부도어(340)가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측방프레임(310)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도르레(410)와 하부도르레(4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구(OPN)를 통해 삽입된 견인와이어(314)가 상기 하부도르레(420)를 경우하여 상부도르레(410)에 감긴 후 다시 하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견인와이어(314)의 타단은 측방프레임(310) 내부를 타고 내려와 하부도어(34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유동봉(430)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측방프레임(310)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홈(312)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2)에는 상기 유동봉(430)의 양단이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input module (10) for receiving a digital map produced using a digital map production software (A); A generation module 20 for analyzing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of the polylines to generate an MPolygon object; An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for se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lyline; An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40) link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a polyline; A retrieval extraction module 50 for retrieving an empolygon object existing in the digital map; A change module 60 for adding, removing, or remov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n empolygon object to or from the empolygon object; A database module unit 70 for storing numerical map information, an empiric object, a polygon object, a polyline object, and attribute information per object; A display module unit 80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empolygon object on the output device by the search extraction module unit 50; A control module unit (90) for generating a polygon constituting an empolygon object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10, 20, 30, 40, 50, 60, 70, 80) and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lygon; (200) in which the components (10, 20, 30, 40, 50, 60, 70, 80) having a board shape are mounted in a server rack configuration, the enclosure (200) An entrance door 210 installed at the entrance door 210 so that the worker can enter and exit the entrance door 210; A ventilation unit 300 installed on both sides and naturally cooling in a ventilation mode; A temperature sensor 220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to detect the temperature; And a control board 2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20. The ventilation unit 300 includes a pair of right and left side frames (310); The upper frame 320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and the lower frame 350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The side frames 310 and the upper frames 310 320 and the lower frame 35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barrel having an inner space; An opening (OP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side frames (310); A pulling wire (314) is configured to be drawn through the opening (OPN); The drawn pulling wire 314 is configured to be wound in a state that one end thereof is fixed to a pair of winding drums 370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The winding drum 370 is rotatably fixed to the motor shaft by a winding motor 372; The winding motors 372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and are driven at a synchronous speed with each other. The winding motors 372 are disposed inside the square frame formed by the side frames 310, the upper frame 320 and the lower frame 350 The upper door 330 and the upper door 330 are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20 by a pair of upper hinges 332, 33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from the upper hinge (332);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340 by a pair of lower hinges 342 so that the lower door 340 can be folded when the lower door 340 is moved upward; An upper pulley 410 and a lower pulley 420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respectively. The pulling wire 314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P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310 is arranged so as to be wound on the upper pulley 410 in the case of the lower pulley 420 and then to be lowered again;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wire 314 is fixed to one end of a flow rod 430 which descends in the lateral frame 310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door 340; Guide grooves 31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frames 310 facing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flow rod 43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2 so as to be slid along the guide groove 312.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지도에서 폴리곤 객체 타입으로 표현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제 지형이미지와 정밀비교해서 불일치한 지점을 확인하고 해당 지점의 수치좌표를 조정하거나 상기 수치좌표 위치로 지상물이미지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mpare a ground water image represented by a polygon object type in a digital map with an actual terrain image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to check a mismatch point, adjust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 The effect of adjusting the imag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모듈부가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추가모듈이 폴리곤을 일부 추가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분제거모듈이 폴리곤을 일부 삭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제모듈이 해당 폴리곤의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값을 제거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폴리곤을 검색, 생성 및 편집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모듈부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부가 속성정보를 설정하며,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수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함체에 설치되는 통풍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구성중 롤타입 필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통풍유닛 동작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creating an MPolygon object by a cre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linking attribute information to a polyline of a corresponding polyg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a partial ad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registers a polygon. FIG.
FIG. 2D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partial remov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deletes a polygon. FIG.
FIG. 2E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releas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attribute information values linked to a polyline of a corresponding polygon. FIG.
FIG. 2F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for searching, creating, and editing a polygon by the control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polygon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obj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detailed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ssigning attribute information to a polygon or a polyg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ttribute inform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digital map,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attaches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attachment module links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olygon.
FIG. 6 is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comparis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 terrestrial image and a terrain image of an MPolygon object, a polygon object, and a polyline object type.
7 is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mo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to modify the position of the ground image based on the geographical image.
FIG. 8 is an image showing how an object mo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s a ground image according to a terrain image.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housing constituting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ventilation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of Fig. 9. Fig.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part of Fig. 10. Fig.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ll-type filt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0; FIG.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폴리곤에 속하는 폴리라인에 일정한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작업자로부터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와, 폴리곤 객체를 수치지도에서 작업자가 선택해서 해당 폴리곤에 구성된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와,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의 값을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와, 폴리라인에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와,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엠폴리곤(MPolygon)을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와, 수치지도에 있어서 폴리라인에 링크된 속성정보를 제거 또는 링크상태를 유지시키는 변경모듈부(60)와,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리스트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와,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를 통해서 추출된 엠폴리곤(MPolygon)을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또는 별도로 구비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와,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이 완료된 수치지도와 대상 지형이미지를 서로 비교하는 객체비교모듈부(100)와, 비교결과 위치에 차이가 있는 객체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객체수정모듈부(110)와, 수치지도상에서 폴리곤을 검색,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용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상기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70, 80, 100, 11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부(9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assigning certain attribute information to a polyline belonging to a polygon. In this system, a numerical map produced by an operator using a digital map production software (A) (20) for generating an MPolygon object by analyzing a geometrical relationship of a polyline constituted by the polygon selected by a worker on a numeric map, a polygon object generating unit An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for setting the value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linked to the line, an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40 for linking the set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polyline, and an MPolygon A change module unit 60 for removing attribute information linked to the polyline or maintaining the link state in the numerical map, and an MPolygon object A display module 70 for displaying an MPolygon extracted through the search and extracting module 50 by using a screen or an output device provided separately so that an operator can confirm the extracted MPolygon, An object comparison module 100 for comparing the digital map with the object map data of object types such as an MPolygon object, a polygon object, and a polyline object, and a target terrain image, An object modifying module 110 for modifying an object having a difference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terrain image, and an object modifying module 110 for modifying the object 10, 20, and 20 in accordance with a procedure of the operation program so that a polygon can be searched, 30, 40, 50, 60, 70, 80, 100, 110).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수치지도의 처리과정은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에 의해 수행되며 이하에서는 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일련의 제작 방법은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의 일부 기능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ing of the digital map is performed by the digital mapping software (A),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Howeve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the function is included.

즉, 상기 DWG 파일로 저장되는 수치지도를 입력받아 오토캐드(Autocad)를 이용함으로써 확인 가능하다. That is, the digital map stored in the DWG file is received and can be confirmed by using an AutoCAD.

여기서, 상기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오토캐드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digital map production software (A) is set to auto CA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생성모듈부(20)는 객체선택모듈(21)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상에서 폴리라인을 선택하면, 확인분석모듈(22)이 폴리라인의 폐합(廢合)여부, 폴리곤 간의 공유 폴리라인의 존재여부, 폴리라인의 교차여부 또는 폴리라인 내부에 독립된 폴리라인의 존재여부 등을 고려하여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한 후, 객체생성모듈(23)을 통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을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생성한다.When the polling module 22 selects a polyline on the digital map using the object selection module 21, the verification module 22 determines whether the polylines are closed or not, , The intersection of the polylines or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polylines in the polyline, and then, through the object creation module 23, one polygon or multiple polygons (MultiPolygon) as an MPolygon object.

여기서,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이 하나의 폴리라인을 공유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은 다중폴리곤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하고,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관리한다.Here, if it is confirmed that two or more polygons share one polyline, the two or more polygons are regarded as a polygon, and the two or more polygons are managed as one MPolygon object.

한편, 확인분석모듈(22)은 폴리라인이 폐합되어 있지 않거나 서로 교차가 발생한다면 해당 폴리라인은 폴리곤을 형성할 수가 없으므로 이를 무시하고, 상기 폴리라인 내부에 독립된 폴리라인이 존재하면 해당 HOLE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lyline is not closed or crossing occurs, the confirmation analysis module 22 ignores the polyline because it can not form a polygon, and if there is an independent polyline in the polyline, it is judged as a corresponding HOLE do.

참고로, 다중폴리곤은 다수 개의 폴리곤이 하나의 객체를 이루는 것이다.For reference, a polygon is one in which a plurality of polygons constitute one object.

다시 말하면,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내의 폴리곤 개수가 1개이면 폴리곤(Polygon) 객체가 되고, 1개 이상이면 다중폴리곤(MultiPolygon) 객체가 된다.In other words, if the number of polygons in an MPolygon object is one, it becomes a polygon object, and if more than one polygon is a polygon object, a polygon object becomes a polygon object.

결국, 엠폴리곤(MPolygon) 객체는 하나의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을 하나의 객체로 처리한 것으로서, 폴리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As a result, the MPolygon object is a single polygon or a multi-polygon processed as a single object,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polygon.

본 발명에 따른 생성모듈부(2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generation module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생성모듈부(20)의 객체선택모듈(21)은 수치지도에 도시된 폴리라인을 확인하고, 확인분석모듈(22)은 해당 폴리라인이 폐합되었는지, 두 개 이상의 폴리곤이 하나의 폴리곤을 공유하고 있는지, 다른 폴리라인과 교차하고 있는지, 폴리라인 내부에 다른 폴리라인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서, 도 4(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모듈부의 구성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및 도 5(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부가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부가 속성정보를 설정하며, 속성정보부착모듈부가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에서 보인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고,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객체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한다.The object selection module 21 of the generation module 20 checks the polyline shown in the numerical map, and the confirmation analysis module 22 determines whether the polylines are closed, whether two or more polygons share one polygon 4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other polyline intersects with another polyline, The control modul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ans the digital map,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attaches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attachment module links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olygon) And the MPolygon object in the database module unit 70 as object data of the MPolygon object.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생성모듈부(20)가 인식한 수치지도를 스캔하고,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1, 102, 103, 104, 105)의 위치를 확인한다.The scan module 31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scans the numerical map recognized by the generation module 20 and the polygon position confirmation module 32 reads the MPolygon objects 101, , 104, and 105 are confirmed.

또한,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MID, PID 및 HOLE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테이블을 구성하여 각 폴리라인에 링크되는 속성정보를 설정한다.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3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configures an attribute information table including MID, PID, and HOLE to set attribute information linked to each polyline.

여기서, MID는 수치지도에서 엠폴리곤(MPolygon)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값을 나타내고, PID는 다중폴리곤 내에 속하는 폴리곤들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며, HOLE는 폴리곤내 에 속하는 개별 폴리라인에 대해 홀(Hole)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홀의 값이 1이면 Hole 객체임을 의미하고, 값이 0이면 Boundary(지도나 도면에 명기된 엄밀한 의미로서의 경계선) 객체인 것을 의미한다.Herein, MID represents an eigenvalue for distinguishing MPolygon in a digital map, PID represents a serial number of polygons belonging to a polygon, HOLE represents a hole (hole) for an individual polyline belonging to a polygon If the value of the hole is 1, it means that it is a Hole object. If the value of the hole is 0, it means that the object is a boundary (boundary line as a strict meaning specified in a map or a drawing).

본 발명에 따른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가 수치지도에서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수치지도에서 종방향 스캐닝(111)과 횡방향 스캐닝(112) 중 하나 이상을 진행한다.The process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in the digital map by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can module 31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Proceeding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scanning 111 and the lateral scanning 112.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종방향 스캐닝(111)에 의한 속성정보 자동 설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etting of attribute information by the longitudinal scanning 111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디스플레이모듈부(70)에 출력되는 수치지도를 종방향 스캐닝(111)을 해서, 우선적으로 감지되는 폴리라인을 순서대로 확인한다.4, the scan module 31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performs a longitudinal scan 111 on the digital map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70, Check them in order.

계속해서,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우선적으로 감지된 폴리라인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및 구성 폴리곤의 위치를 확인하며,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확인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순서대로 설정한다.Next, the polygon position determination module 32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polygon object and the constituent polygons of the detected polyg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3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olygon Set attribute information in order.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의 스캔모듈(31)은 종방향 스캐닝(111)을 진행하면서 폴리라인을 순차로 감지하고,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해당 폴리라인이 소속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상기 객체데이터에서 확인해 인지하며,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상기 폴리라인이 소속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MID를 '1'로 설정한다.More specifically, the scan module 31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sequentially detects the polylines while proceeding to the longitudinal scanning 111, and the polygon positioning module 32 detects the poly Line in the object data,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3 sets the MID of the MPolygon object to which the polyline belongs to '1'.

계속해서, 상기 폴리라인은 상기 엠폴리곤(MPolygon) 객체에서 최초로 감지되었으므로 상기 폴리라인의 대상 폴리곤 식별코드인 PID를 '1'로 설정하며, 상기 폴리곤이 홀인지 여부를 확인해서 홀인 경우 HOLE을 '1'로 설정하고 HOLE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Since the polyline is detected first in the MPolygon object, the polyline is set to '1', which is the object polygon identification code of the polyline,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polygon is a hole, 1 'and set it to' 0 'if it is not HOLE.

결국,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상기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1,1,0)으로 자동 설정한다.As a result,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3 automatically set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lygon to (1,1,0).

계속해서, 스캔모듈(31)이 다음으로 새롭게 감지한 폴리라인을 폴리곤위치확인모듈(32)은 다음 폴리곤으로 간주하고, 속성정보설정모듈(33)은 전술한 절차에 따라 상기 폴리곤의 속성정보를 (1,2,0)으로 자동 설정하며, 그 다음의 폴리곤은 (1,3,0)으로 자동 설정한다.Subsequently, the polygon position confirmation module 32 regards the polyline newly sensed by the scan module 31 as the next polygon,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3 set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lygo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1,2,0), and the next polygon is automatically set to (1,3,0).

이러한 과정으로 모든 폴리라인이 감지될 때까지 속성정보를 연속해서 자동 설정하며, 첫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1)는 6개의 폴리라인이 감지되어서 해당 폴리곤에 속성정보가 자동설정된다.In this process, attribut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continuously until all the polylines are detected, and the first polygon (MPolygon) object 101 detects 6 polylines and attribut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to the corresponding polygons.

다음으로, 첫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1)의 폴리곤 별 속성정보가 모두 설정되면, 두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2)를 확인해서, MID를 '2'로 설정한다. Next, when all polygon property information of the first MPolygon object 101 is set, the second MPolygon object 102 is checked to set the MID to '2'.

참고로 두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2)는 1개의 폴리곤으로 구성되므로, 두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2)의 속성정보는 (2,1,0)으로 자동 설정된다.Since the second MPolygon object 102 is composed of one polygo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econd MPolygon object 102 is automatically set to (2,1,0).

다음으로, 세 번째(103), 네 번째(104), 다섯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5)는 유사한 높이 선상에 위치한다.Next, the third (103), fourth (104) and fifth MPolygon objects (105) are located on similar height lines.

그러나, 다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 104, 105)가 유사한 높이 선상에 중첩되어도,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서로 연결된 폴리라인을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간주해서 우선 감지한 후 동일한 MID에 소속시키고, 아울러서 서로 연결된 폴리라인이 이루는 폴리곤을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간주해서 PID를 설정한다.However, even if a plurality of MPolygon objects 103, 104, and 105 are overlapped on a similar height line,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unit 30 regards the connected polylines as one MPolygon object First, it detects the polygon belonging to the same MID, and sets the PID by considering the polygon formed by the connected polylines as one MPolygon object.

따라서, 세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에 구성된 폴리라인 보다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에 구성된 폴리라인이 종방향 스캐닝(111) 과정에서 우선 감지되어도, 서로 연결된 세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의 구성 폴리라인을 하나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로 조합해 속성정보를 설정하고,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의 구성 폴리라인은 이와 병행해서 독립적으로 새로운 속성정보를 설정한다.Therefore, even if the polyline configured in the fourth MPolygon object 104 is detected first in the longitudinal scanning 111 process than the polyline configured in the third MPolygon object 103, The constituent polylines of the MPolygon object 103 are combined with one MPolygon object to set property information and the constituent polylines of the fourth MPolygon object 104 are set in parallel Set new attribute information independently.

결국, 세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3)의 속성정보는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 위치와는 상관없이 (3,n,n)으로 자동 설정되고,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는 (4,n,n)으로 속성정보가 자동 설정된다.As a result,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third MPolygon object 103 is automatically set to (3, n, 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fourth MPolygon object 104, and the fourth emolgon MPolygon) object 104 is automatically set to (4, n, n).

한편,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는 홀 형식의 폴리곤을 갖추며, 따라서 자동 설정되는 속성정보는 (4,1,0)과(4,1,1)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MPolygon object 104 is equipped with a hole-type polygon, and therefore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be automatically set is (4,1,0) and (4,1,1).

물론, 다섯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5)는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에서 (4,1,0)과 (4,1,1)을 속성정보로 하는 폴리곤들 사이에 위치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네 번째 엠폴리곤(MPolygon) 객체(104)와는 상관없이 (5,1,0)으로 속성정보가 자동 설정된다.Of course, the fifth MPolygon object 105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olygons whose property information is (4,1,0) and (4,1,1) in the fourth MPolygon object 104 Position, the propert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to (5, 1, 0) irrespective of the fourth MPolygon object 104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는 수치지도를 스캐닝해서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위치 순서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위치 순서와 생성모듈부(20)가 확인한 엠폴리곤(MPolygon) 객체정보를 조합해서 폴리곤 별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한 후,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unit 30 scans the digital map to check the positional order of the MPolygon object, and checks the position sequence thus confirmed and the MPolygon ) Object information to automatically set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lygon, and stores the attribut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module unit 70. [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종방향 스캐닝(111) 중 동일한 위치 선상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엠폴리곤(MPolygon) 객체들이 감지되면, 상기 엠폴리곤(MPolygon) 객체들을 횡방향 스캐닝(112)해서 해당하는 감지순서로 속성정보를 자동 설정한다.Meanwhile, when two or more MPolygon objects on the same position line of the longitudinal scanning 111 are detect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Polygon objects are scan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12)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t in the detection order.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라인에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속성정보(MID, PID, HOLE)를 구성하여 각각의 폴리곤을 이루는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The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40 links the set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polyline as shown in FIG. 2B. Specifically, the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40 composes the attribute information (MID, PID, HOLE) Link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line.

이는, 사용자가 수치지도에서 선택한 폴리라인이 다중폴리곤(MultiPolygon)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속성정보를 구성하고 각각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This is because, if the user selects a polygon in the digital map and forms a polygon, the polygon composes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links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each polygon.

한편, 수치지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폴리라인이 폴리곤(Polygon)을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MID, PID, HOLE)를 구성하여 각각의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링크한다. 이때, 폴리라인은 홀(Hole)을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polygon in the digital map, the attribute information (MID, PID, HOLE)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linked to each polyline. At this time, the polyline may include a hole.

또한, 검색추출모듈부(50)는 수치지도상에서 폴리라인을 검색하고, 그에 따른 다중폴리곤을 생성하고, 다중폴리곤 내의 폴리라인을 추출한 후, HOLE이 0인 경우에 처리객체를 Boundary 객체로 등록시키고, HOLE이 1인 경우에 처리객체를 HOLE 객체로 등록시킴으로써, 엠폴리곤(MPolygon) 객체의 속성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In addition, the search and extraction module 50 searches for a polyline on a numerical map, generates a polygon corresponding thereto, extracts a polyline in the polygon, registers the processed object as a boundary object when the HOLE is 0 , And registers the processing object as a HOLE object when the HOLE is 1, thereby storing and manag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MPolygon object.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되는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편집 또는 다른 포맷형식으로 변경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Here, the MPolygon object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unit 70 may be edited or otherwise stored and managed in a different format.

변경모듈부(60)는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엠폴리곤(MPolygon)의 모든 속성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일반 폴리라인(Closed Polyline)으로 전환한다.The change module 60 converts the polygon into a closed polyline by adding, removing, or removing all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lygon to the polygon (MPolygon).

구체적으로, 상기 변경모듈부(60)는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에 속하는 폴리라인들과 사용자가 추가하기 위해 선택한 폴리라인들을 함께 확인분석모듈(22)을 이용한 기하학적인 관계를 고려하고 설정모듈부(30)에 의하여 속성정보를 재구성하여 폴리라인에 부착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추가하는 부분추가모듈(51)과,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에서 작업자가 선택한 폴리곤을 일부 삭제하는 부분제거모듈(52)과,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에 속하는 모든 폴리라인에 부착된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해제모듈(53)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hange module unit 60 considers the geometric relationships between the polylines belonging to the already-registered MPolygon and the polylines selected by the user for addition, together with the analysis module 22, A partial adding module 51 for adding a polygon to the MPolygon as shown in FIG. 2C by reconstructing the attribution information by the module unit 30 and attaching it to the polyline, A partial removal module 52 for partially removing the polygon selected by the operator from the pre-registered MPolyg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ttached to all polylines belonging to the already registered polygon MPolygon as shown in FIG. (Not shown).

이때, 해제모듈(53)은 기등록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lease module 53 preferably removes the pre-registered MPolygon object from the database module unit 70.

객체비교모듈부(100)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완성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상기 폴리곤 객체의 대상이 된 지형이미지를 서로 비교한다.The object comparison module 100 compares the terrain image of the object type, such as the completed MPolygon object, the polygon object, and the polyline object, and the terrain image, which is the object of the polygon object, according to the above- do.

이를 위해서 객체비교모듈부(100)는 폴리곤 기술에 의해 완성된 수치지도의 대상 지형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서 검색하고, 수치좌표를 기준으로 지형이미지와 수치지도의 지상물이미지를 도 6(본 발명에 따른 객체비교모듈부가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와 지형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비교한다.To this end, the object comparison module 100 searches the database module 70 for the target terrain image of the digital map completed by the polygon technology, and displays the terrain image and the terrain image of the digital map on the basis of the numerical coordinates, (The object comparis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terrain image of the object type, such as an MPolygon object, a polygon object, and a polyline object, with the terrain image).

비교결과, 제2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제2지상물이미지의 위치가 제 위치를 벗어났음이 확인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ground image is displaced from the second position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terrain image.

객체수정모듈부(110)는 이를 확인하고 도 7(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형이미지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의 위치 수정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 및 도 8(본 발명에 따른 객체수정모듈부가 지상물이미지를 지형이미지에 맞춰 수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상물이미지를 제2지형이미지에 맞춰 이동시켜서 대상이 되는 엠폴리곤(MPolygon)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등의 객체 타입의 지상물이미지를 갱신한다.The object modification module 110 confirms this and displays the image of FIG. 7 (an ima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mod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to modify the position of the ground image on the basis of the terrain image) and FIG. 8 The modification module modifies the groun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terrain image), the second ground image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terrain image so that the MPolygon object, the polygon object , A polyline object, and the like.

결국, 작업자가 객체 타입의 수치지도 초안을 완성한 후 지상물이미지의 위치가 옳은 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할 필요 없이, 객체비교모듈부(100)의 이미지 조합과 객체수정모듈부(110)의 수정을 통해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효율적이면서도 정확한 오차 확인 및 그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fter the operator completes the numerical map draft of the object type, it is not necessary to individually check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ground image is correct, and the image combination of the object comparison module unit 100 and the modification of the object modification module unit 1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precisely check and correct errors.

제어모듈부(90)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생성모듈부(20),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검색추출모듈부(50), 변경모듈부(60),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디스플레이모듈부(80), 객체비교모듈부(100), 객체수정모듈부(110)를 제어함으로써,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이용한 다중폴리곤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2F, the control module 90 includes a data input module 10, a generating module 20, an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an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40, By controlling the module unit 50, the modification module unit 60, the database module unit 70, the display module unit 80, the object comparison module unit 100, and the object modification module unit 110, And generates a polygon using attribute information.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해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object through th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우선, 제어모듈부(9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일 포맷(SHP, NGI등) 형식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을 작업자로부터 수신한다(S2) 본 실시예에서 수지도면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행화면(DWG 면)만을 실행시킨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First, the control module 90 receives a numerical map produced in the form of another file format (SHP, NGI, etc.) from the operator as shown in FIG. 3A (S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work can be performed even when only the execution screen (DWG surface) is executed.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부여한다(S4). 즉, 폴리라인에 속성정보를 부여하는 상기 제 S4 단계를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모듈부(90)는 고유한 id값을 새로 생성한다(S4a). 여기서 id는 폴리곤 또는 다중폴리곤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module unit 90 assigns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polyline (S4). That is, referring to FIG. 3B, the control module 90 newly generates a unique id value (S4a). Where id is a unique value for identifying a polygon or a polygon.

다음,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폴리곤 객체 또는 다중폴리곤 객체를 처리하기 위해 PID의 'count= 0'으로 초기화시킨다(S4b). 여기서 count는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폴리곤 객체 또는 다중폴리곤 객체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Next, in order to process the polygon object or the polygon object constituting the digital map, the control module 90 initializes the PID to 'count = 0' (S4b). Here, count can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the number of polygon objects or polygon objects constituting the numerical map.

우선, 제어모듈부(90)는 속성정보를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내의 Boundary 폴리라인에 링크한다(S4c) 구체적으로,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상에서 엠폴리곤(MPolygon) 객체 내의 폴리곤을 검색한 후(S4c1), 상기 폴리곤에 따른 속성정보(MID, PID, HOLE)를 생성한다(S4c2). 이때, count는 'count+1'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곤의 카운트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속성정보설정모듈(30)의 스캐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정된다.First, the control module 90 links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boundary polyline in the MPolygon object (S4c).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90 adds the polygon in the MPolygon object After searching (S4c1), attribute information (MID, PID, HOLE) according to the polygon is generated (S4c2). In this case, the count is preferably automatically set to 'count + 1', and the counting order of the polygons is sequ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scanning order of the property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as described above.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추출된 폴리곤의 속성정보값을 'MID = id, PID = count, HOLE = 0'으로 설정한 후 (S4c3),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엠폴리곤(MPolygon)내의 Boundary 폴리라인에 링크한다.The control module 90 sets the attribute information value of the extracted polygon to 'MID = id, PID = count, HOLE = 0' (S4c3), and sets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boundary poly Link to the line.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상에서 엠폴리곤(MPolygon) 내의 HOLE 폴리라인을 검색한 후(S4d1), 상기 폴리라인에 따른 속성정보(MID, PID, HOLE)를 생성한다(S4d2).The control module 90 searches the HOLE polyline in the MPolygon on the digital map (S4d1), and generates attribute information (MID, PID, HOLE) according to the polyline (S4d2).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추출된 Hole 폴리라인의 속성정보 값을 'MID = id, PID = count, HOLE = 1'로 설정한 후(S4d3),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를 폴리곤 내의 Hole 폴리라인에 링크한다.The control module 90 sets the attribute information value of the extracted Hole polyline to 'MID = id, PID = count, HOLE = 1' (S4d3) Link.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수치지도에 속성정보가 링크된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검색한 후, 처리된 객체를 선택한다(S6). 이때,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처리된 객체에 링크된 속성정보(MID, PID, HOLE)를 확인한다(S8).Next, the control module 90 searches the MPolygon object linked with the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digital map, and then selects the processed object (S6).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90 checks the attribute information (MID, PID, HOLE) linked to the processed object (S8).

제어모듈부(90)는 상기 속성정보 중 'MI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저장된 객체 중 엠폴리곤(MPolygon)이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0).The control module 90 determines whether an MPolygon among the objects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70 is searched using 'MID' in the attribute information (S10).

상기 제 S10 단계에 있어서, 엠폴리곤(MPolygon)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PID'를 이용하여 엠폴리곤(MPolygon)에서 폴리곤이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2).In step S10, when the MPolygon is searched, the control module 90 determines whether a polygon is searched for in the MPolygon using 'PID' (S12).

상기 제 S12 단계에 있어서, 폴리곤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HOLE=1'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4). 즉,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결과 'HOLE=1'인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처리 객체를 검색된 폴리곤에 Hole 객체로 등록시킨다(S16).In step S12, when the polygon is searched, the control module 90 determines whether 'HOLE = 1' (S14). 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HOLE = 1', the control module 90 registers the processing object as a Hole object in the searched polygon (S16).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등록시킨다(S18). 즉, 새로 생성된 신규 폴리곤인 경우에 엠폴리곤(MPolygon)에 폴리곤을 등록시킨다. 이때, 제어모듈부(90)는 엠폴리곤(MPolygon)의 유일키를 'MID'로 설정한다(S20).Next, the control module unit 90 registers the polygon in the MPolygon (S18). That is, if the new polygon is newly generated, the polygon is registered in the MPolygon.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90 sets the unique key of the MPolygon to 'MID' (S20).

다음으로, 제어모듈부(90)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엠폴리곤(MPolygon) 등록시킨다(S22). 이는, 새로 생성된 엠폴리곤(MPolygon)인 경우에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등록시킨다.Next, the control module unit 90 registers the MPolygon in the database module unit 70 (S22). This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module unit 70 in the case of the newly generated MPolygon.

마지막으로, 제어모듈부(90)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에 신규폴리곤 및 신규폴리곤을 포함하는 신규 엠폴리곤(MPolygon)을 등록 및 관리한다.Finally, the control module unit 90 registers and manages a new polygon (MPolygon) including a new polygon and a new polygon in the database module unit 70.

반면, 상기 제 S14 단계의 판단결과 'HOLE=0'인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처리 객체를 검색된 폴리곤에 Boundary 객체로 등록시킨다(S24). 만일, 상기 제 S12 단계에 있어서, 폴리곤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새로운 폴리곤을 생성한다(S2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HOLE = 0', the control module 90 registers the processing object as a boundary object in the searched polygon (S24). If the polygon is not found in step S12, the control module 90 generates a new polygon (S26).

또한, 상기 제 S10 단계에 있어서, 엠폴리곤(MPolygon)이 검색되는 않는 경우 제어모듈부(90)는 새로운 엠폴리곤(MPolygon)을 생성한다(S28).In step S10, if the MPolygon is not found, the control module 90 generates a new MPolygon (S28).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터입력모듈부(10), 생성모듈부(20),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검색추출모듈부(50), 변경모듈부(60),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디스플레이모듈부(80), 제어모듈부(90), 객체비교모듈부(100) 및 객체수정모듈부(110)는 보드 형태로 구성되고, 도 9의 예시와 같은 함체(200) 내부에 서버랙 형태로 실장된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module 10, the generation module 20, the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the attribute information attachment module 40, and the search extraction module 50, which constitut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dification module unit 60, the database module unit 70, the display module unit 80, the control module unit 90, the object comparison module unit 100, and the object modification module unit 110, And is mounted in the form of a server rack inside the housing 200 as shown in FIG.

이때, 함체(200)는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된 것과 같이 사람 키 정도의 크기를 갖는 하우징이다.At this time, the housing 200 is a housing having a human key size, such as a data center.

그리고, 상기 함체(200)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출입할 수 있는 출입도어(210)가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통풍유닛(300)이 설치된다.An entrance door 2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00 so that the operator can access the entrance door 210 for maintenance, and ventilation units 30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200)의 내부 천정부에는 온도센서(220)가 설치되고, 상기 함체(200)의 일측면 상측에는 제어보드(230)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센서(220)의 검출온도값에 따라 상기 제어보드(230)가 상기 통풍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220 is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of the housing 200 and a control board 2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0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220 The control board 23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300 so that the ventilation unit 300 can be opened and closed.

여기에서, 상기 통풍유닛(300)이 필요한 이유는 서버랙 형태로 함체(200) 내부에 실장된 다수의 모듈들은 고속의 처리속도를 갖기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냉각불량시 열화되게 쉽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자연통풍을 통한 자연냉각이 이루어지게 하여 열화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장수명화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ventilation unit 300 is required is that since a large number of modules mounted in the housing 200 in the form of a server rack have a high processing speed,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and therefor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 cooling through natural ventil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dvance, thereby contributing to achieve longevity.

한편, 상기 통풍유닛(300)은 도 9 내지 도 11의 예시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과,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방프레임(320) 및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방프레임(350)을 포함하며, 이들에 의해 사각틀 형태를 갖는다.9 to 11, the ventilation unit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310, an upper frame 320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And a lower frame 350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lower frame 310, and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그리고, 상기 측방프레임(310)과 상방프레임(320) 및 하방프레임(3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각 하단 전면에는 일정크기의 개방구(OPN)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OPN)를 통해 견인와이어(314)가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며, 인출된 견인와이어(314)는 상기 함체(200)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권취드럼(37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길 수 있게 구성된다.The side frames 310, the upper frame 320 and the lower frame 35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n inner space. In the lower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side frames 310, And a pulling wire 314 is configured to be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OPN and pulled out of the pair of winding drums 314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And one end thereof is fixedly wound on the base 370.

뿐만 아니라, 상기 권취드럼(370)은 권취모터(3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모터축에 고정되고, 상기 권취모터(372)는 상기 함체(200)의 양측면 하단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동기속도로 구동된다.The winding drum 370 is rotatably fixed to the motor shaft by a winding motor 372. The winding motor 372 is fixed to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

특히, 상기 권취드럼(370)의 구동 정지를 위해 상기 제어보드(230)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부재(380)가 상기 권취모터(372) 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권취모터(372)에서 상기 권취드럼(370)의 일측면을 향해 출몰 가능하도록 배치된다.In particular, a latch member 380 operated by the control board 230 is installed on the take-up motor 372 to stop the drive of the take-up drum 370. In the take-up motor 372, (Not shown).

이 경우, 상기 래치부재(380)는 전기신호에 따라 출,몰되는 래치바(384)를 갖는 솔레노이드밸브(382)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atch member 380 may be a solenoid valve 382 having a latch bar 384 which is driven and releas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또한, 상기 래치바(384)의 잠금동작을 위해 래치바(384)가 바라보는 권취드럼(370)의 대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홈(H)과 턱(T)이 반복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grooves H and the tangs T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winding drum 370 viewed by the latch bar 384 for locking the latch bar 384.

따라서, 권취드럼(370)이 견인와이어(314)를 완전히 감은 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보드(230)가 솔레노이드밸브(382)를 구동시키면 래치바(384)가 돌출되면서 홈(H)에 삽입되어 락킹시킴으로써 권취모터(372)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권취드럼(370)이 역회전하면서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When the control board 230 drives the solenoid valve 382 so that the winding drum 370 completely winds the traction wire 314 and then remains fixed, the latch bar 384 protrudes and the groove H, So that even if the power of the winding motor 372 is turned off, the winding drum 370 is fixed so as not to be unwound while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아울러, 상기 측방프레임(310)과 상방프레임(320) 및 하방프레임(350)에 의해 형성된 사각틀 내부에는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접어지는 형태로 개폐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는 합성수지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may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able manner in an upper part of the square frame formed by the side frames 310, the upper frame 320 and the lower frame 350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are preferably formed of synthetic resin.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도어(330)의 상단은 한 쌍의 상부힌지(332)에 의해 상기 상방프레임(320)의 하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도어(330)가 상기 상부힌지(332)를 기점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20 by a pair of upper hinges 332 so that the upper door 330 is moved from the upper hinge 332 Respectively.

이때, 상기 상부힌지(332)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경첩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hinge 332 may be a conventionally known hinge.

또한, 상기 상부도어(330)의 하단은 한 쌍의 하부힌지(342)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3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하부도어(340)가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340 by a pair of lower hinges 342 so that the lower door 340 can be folded when the lower door 340 moves upward. do.

나아가, 도 11의 예시와 같이, 측방프레임(310)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도르레(410)와 하부도르레(4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구(OPN)를 통해 삽입된 견인와이어(314)가 상기 하부도르레(420)를 경우하여 상부도르레(410)에 감긴 후 다시 하향하도록 배열된다.11, an upper pulley 410 and a lower pulley 420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respectively. The pulling wire 314 inserted through the OPN is wound on the upper pulley 410 in the case of the lower pulley 420 and then lowered again.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314)의 타단은 측방프레임(310) 내부를 타고 내려와 하부도어(34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유동봉(430)의 일단에 견고히 고정된다.The other end of the pulling wire 314 is firmly fixed to one end of the flow rod 430 which is downwardly received in the side frame 310 and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door 340.

또한, 상기 측방프레임(310)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홈(312)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12)에는 상기 유동봉(430)의 양단이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guide grooves 312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side frames 310 facing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flow rod 43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312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grooves 312.

뿐만 아니라, 도 11 및 도 12의 예시와 같이,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롤하우징(390)이 고정되고, 상기 롤하우징(390) 내부에는 스파이어럴스프링(392)이 고정되며, 상기 스파이어럴스프링(392)의 단부에는 롤형 필터(394)가 고정되어 롤 형태로 말린 구조로 구비되고, 롤형 필터(394)의 단부에는 고정링(396)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링(396)은 상기 유동봉(430)에 끼워진다.11 and 12, a roll housing 390 i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ide frame 310 and a spiral spring 392 is inserted into the roll housing 390, A filter 394 is fixed to the end of the spiral spring 392 so that the filter 394 is in the form of a roll and the filter 394 is fixed to the end of the filter 394 by a fixing ring 396, The ring 396 is fitted into the flow rod 430.

따라서, 상기 유동봉(430)이 상승하게 되면 롤형 필터(394)가 함께 따라가면서 펼쳐서 함체(200)의 측방이 개방되는 순간 동시에 롤형 필터(394)가 펼쳐지면서 필터링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low rod 430 rises, the roll filter 394 is unfolded so that the roll filter 394 is unfolded and filtered at the same time as the side of the container 200 is opened.

다시 말해, 자연통풍에 의한 냉각작용시 외부공기가 그냥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롤형 필터(394)에 의해 필터링된 상태로 공급되게 되어 내장된 모듈들이 더스트에 의해 쇼트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outside air is not simply supplied in the cooling operation by natural ventilation, but is supplied in a filtered state by the roll-type filter 394, thereby preventing the built-in modules from being short-circuited by the dust.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340)의 일부에는 투명창(360)을 형성함으로서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시 내부를 투영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등의 관리효율성이 향상된다.Since the transparent window 360 is formed on a part of the lower door 340, the interior can be always projected without opening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온도센서(220)의 감지신호에 따라 함체(200) 내부를 통풍시켜 냉각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보드(230)는 권취모터(372)를 회전구동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ool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220 and to cool the control board 230, the control board 230 rotationally drives the winding motor 372.

그러면, 권취드럼(370)이 회전되면서 견인와이어(314)를 감아 당기게 되고, 견인와이어(314)를 당기게 되면 견인와이어(314)는 하부도르레(420)와 상부도르레(410)를 경유하여 당겨지면서 유동봉(430)의 양단이 상방향으로 리프팅되게 된다.When the pulling wire 314 is pulled, the pulling wire 314 is pulled via the lower pulley 420 and the upper pulley 410 Both ends of the flow rod 430 are lifted upward.

이에 따라, 유동봉(430)은 가이드홈(312)에 구속되어 있음에 반해 하부도어(340)의 상단은 하부힌지(342)에 의해 상부도어(330)와 힌지결합되어 있고, 동시에 상부도어(330)의 상단은 또 상방프레임(320)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유동가능한 구조가 되어 하부힌지(342)가 도 13의 (a)에서 (b)와 같이 벌어지면서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의 힌지결합지점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340 is hinged to the upper door 330 by the lower hinge 342 while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the upper door 330, The upper end of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the upper frame 320 so that the lower hinge 342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Is hingedly projected forward.

동시에, 유동봉(430)과 함께 롤형 필터(394)가 펼쳐지면서 개방되는 함체(200)의 양측방을 필터막으로 가리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filter film covers both sides of the enclosure 200, which is opened while the roll filter 394 is unfolded together with the flow rod 430.

이와 같은 형태로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가 움직이면서 상방향으로 리프팅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접어져 최종적으로 도 13의 (c)와 같이 완전히 접어지게 된다.In this manner,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are lifted upward while being upwardly projected, and finally folded as shown in FIG. 13 (c).

이렇게 하여,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가 완전히 접어지면서 측방프레임(310)의 최상단까지 상승하게 되면 함체(200)의 양측방은 롤형 필터(394)로 가려진 상태로 통풍가능하게 되어 통풍에 의한 자연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are completely folded and rais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 310, both sides of the enclosure 200 can be ventilated while being blocked by the roll filter 394 Natural cooling due to ventilation is achieved.

또한, 당겨진 견인와이어(314)는 하부도어(340)가 상사점에 이르면 리미트스위치(미도시)와 같은 검출스위치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신호를 받은 제어보드(230)는 솔레노이드밸브(382)를 동작시켜 래치바(384)로 하여금 권취드럼(370)이 역회전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하게 된다.When the lower door 340 reaches the top dead center, the pulled pull wire 314 is detected by a detection switch such as a limit switch (not shown), and the control board 23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utputs a solenoid valve 382, So that the latch bar 384 is fixed in position so that the winding drum 370 does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그리고, 통풍에 의한 자연냉각이 완료되면 제어보드(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술한 역순으로 동작하여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가 닫히면서 함체(200)의 측방으로 다시 밀폐하게 된다.When the natural cooling by the ventilation is completed,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are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board 230 in the above-described reverse order to seal the side of the enclosure 200 again do.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는 내침식성 및 내구성과 방수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이드로콜로이드 4.5중량%와, 액상파라핀 2.5중량%와, 우레아 4.5중량%와, 1-2cm 길이의 카본파이버 7.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4.5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8.0중량%와, 에폭시수지 5중량%와, 송진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door 330 and the lower door 340 are formed of 4.5 wt.% Of hydrocolloid, 2.5 wt.% Of liquid paraffin, 4.5 wt.% Of urea and 1-2 wt.% Of urea so as to provide corrosion resistance,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By weight of carbon fiber, 4.5% by weight of cresyl glycidether, 8.0% by weight of phenyltrimethoxysilane, 5% by weight of epoxy resin, 1.5% by weight of pine resin and the remaining polycarbonate resin .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을 형성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특히 유연할 뿐만 아니라 방수기능을 강화시켜 젖음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Here, the hydrocolloid is added so as to form a gel and maintain the wet state to thereby confirm the tackiness for a long time, and is added not only to be particularly flexible but also to enhance the waterproof function to prevent wetting.

그리고, 상기 액상파라핀은 합성수지의 성형시 윤활성을 제공하여 성형자유도를 높이고, 방수 및 방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된다.The liquid paraffin is added in order to enhance the degree of molding freedom and to strengthen the waterproof and preservative function by providing lubrication in molding of the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우레아(Urea)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온 고습도 조건에서도 성형이 용이하고, 방수성을 강화시키며,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첨가된다.Further, the urea is added because it has a function of facilitating molding under a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 without using a catalyst, enhancing waterproofness, and controlling viscosity.

아울러, 상기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는 성분들간 바인딩력을 강화시켜 크랙, 파단을 막아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In addition, the cresyl glycidyl ether is added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to prevent cracking and breakage, thereby enhancing durability.

뿐만 아니라, 상기 페닐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화 특성에 따른 내습성은 물론 발수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In addition, the phenyltrimethoxysilane is added to enhance water repellency as well as humidity resistance depending on hydrophobic properties.

또한, 상기 에폭시수지는 기계적 성질을 강화시키면서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첨가된다.Further, the epoxy resin is added in order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moldability.

그리고, 상기 송진은 결합성 및 내슬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And, the above-mentioned rosin is added to enhance the bonding property and the slip resistance.

아울러, 상기 카본파이버는 인장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In addition, the carbon fibers are added to enhance tensile strength and enhance durability.

나아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고경도, 강도 유지 및 내크랙성, 내침식성 향상에 따른 내구성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Further, the polycarbonate resin is added for enhancing the durability as the hardness, the strength maintenance, the crack resistance, and the erosion resistance are improved.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내구성이 우수한 도어를 갖출 수 있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면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설치 운용이 쉬울 뿐만 아니라,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장점이 있다.With this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o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so that it can be lightened without being easily broken or broken,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operate, and has an advantage of longevity.

10 : 데이터입력모듈부 20 : 생성모듈부
30 : 속성정보설정모듈부 40 : 속성정보부착모듈부
50 : 검색추출모듈부 60 : 변경모듈부
70 : 데이터베이스모듈부 80 : 디스플레이모듈부
90 : 제어모듈부 100 : 객체비교모듈부
110 : 객체수정모듈부
10: data input module unit 20:
30: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unit 40: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unit
50: search extraction module module 60: change module module
70: Database module module 80: Display module module
90: control module module 100: object comparison module module
110: object modification module section

Claims (1)

수치지도 제작 소프트웨어(A)를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 수신받는 데이터입력모듈부(10); 폴리라인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분석하여 엠폴리곤(MPolygon) 객체를 생성하는 생성모듈부(20); 폴리라인의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속성정보설정모듈부(30); 폴리라인에 상기 속성정보를 링크하는 속성정보부착모듈부(40); 수치지도에 존재하는 엠폴리곤 객체를 검색하는 검색추출모듈부(50); 엠폴리곤 객체에 폴리곤을 추가, 제거 또는 엠폴리곤 객체의 속성정보를 제거하는 변경모듈부(60); 수치지도 정보, 엠폴리곤 객체, 폴리곤 객체, 폴리라인 객체 및 객체별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부(70); 상기 검색추출모듈부(50)가 추출한 엠폴리곤 객체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부(80);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를 제어하여 엠폴리곤 객체를 구성하는 폴리곤과, 상기 폴리곤별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부(90); 보드 형태를 갖는 상기 구성요소(10,20,30,40,50,60,70,80)가 서버랙 형태로 실장되는 함체(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200)는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도어(210)와; 양측면에 설치되어 통풍방식으로 자연냉각하는 통풍유닛(300)과; 내부 천정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20)와; 일측면 상측에 설치되어 온도센서(220)의 검출온도값에 따라 통풍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통풍유닛(300)은 좌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과;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방프레임(320) 및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방프레임(350)을 통해 사각틀 형태를 갖고,
상기 측방프레임(310)과 상방프레임(320) 및 하방프레임(3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방프레임(310)의 각 하단 전면에는 일정크기의 개방구(OPN)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OPN)를 통해 견인와이어(314)가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며; 인출된 견인와이어(314)는 상기 함체(200)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권취드럼(37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길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권취드럼(370)은 권취모터(3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모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모터(372)는 상기 함체(200)의 양측면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동기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측방프레임(310)과 상방프레임(320) 및 하방프레임(350)에 의해 형성된 사각틀 내부에 상부도어(330)와 하부도어(340)를 구비하되,
상기 상부도어(330)의 상단은 한 쌍의 상부힌지(332)에 의해 상기 상방프레임(320)의 하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상부도어(330)가 상기 상부힌지(332)를 기점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도어(330)의 하단은 한 쌍의 하부힌지(342)에 의해 상기 하부도어(3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하부도어(340)가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측방프레임(310)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도르레(410)와 하부도르레(4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방프레임(31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구(OPN)를 통해 삽입된 견인와이어(314)가 상기 하부도르레(420)를 경우하여 상부도르레(410)에 감긴 후 다시 하향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견인와이어(314)의 타단은 측방프레임(310) 내부를 타고 내려와 하부도어(34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유동봉(430)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측방프레임(310)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홈(312)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2)에는 상기 유동봉(430)의 양단이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의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오차 확인시스템.
A data input module 10 for receiving a digital map produced by using the digital map production software A; A generation module 20 for analyzing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of the polylines to generate an MPolygon object; An attribute information setting module 30 for se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olyline; An attribute information attaching module (40) link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a polyline; A retrieval extraction module 50 for retrieving an empolygon object existing in the digital map; A change module 60 for adding, removing, or remov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n empolygon object to or from the empolygon object; A database module unit 70 for storing numerical map information, an empiric object, a polygon object, a polyline object, and attribute information per object; A display module unit 80 for displaying the extracted empolygon object on the output device by the search extraction module unit 50; A control module unit (90) for generating a polygon constituting an empolygon object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10, 20, 30, 40, 50, 60, 70, 80) and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olygon; A system (200) in which the components (10, 20, 30, 40, 50, 60, 70, 80) having a board shape are mounted in a server rack form,
The enclosure 200 includes an access door 210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llowing an operator to enter and exit the door 200; A ventilation unit 300 installed on both sides and naturally cooling in a ventilation mode; A temperature sensor 220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to detect the temperature; And a control board (2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ntila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220)
The ventilation unit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310; The upper frame 32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and the lower frame 350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The side frame 310, the upper frame 320, and the lower frame 35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 opening (OP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each of the side frames (310); A pulling wire (314) is configured to be drawn through the opening (OPN); The drawn pulling wire 314 is configured to be wound in a state that one end thereof is fixed to a pair of winding drums 370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The winding drum 370 is rotatably fixed to the motor shaft by a winding motor 372; The winding motors 372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200 and are driven at a synchronous speed with each other,
An upper door 330 and a lower door 340 are provided inside a square frame formed by the side frame 310, the upper frame 320 and the lower frame 350,
The upper end of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20 by a pair of upper hinges 332 so that the upper door 330 can be rotated from the upper hinge 332 Configured; The lower end of the upper door 330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door 340 by a pair of lower hinges 342 so that the lower door 340 can be folded when the lower door 340 is moved upward; An upper pulley 410 and a lower pulley 420 are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frames 310, respectively. The pulling wire 314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P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310 is arranged so as to be wound on the upper pulley 410 in the case of the lower pulley 420 and then to be lowered again;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wire 314 is fixed to one end of a flow rod 430 which descends in the lateral frame 310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door 340; Guide grooves 31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frames 310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guide groove (312)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flow rod (430) are inserted and slid along the guide groove (312).
KR1020180069594A 2018-06-18 2018-06-18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KR101882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94A KR101882332B1 (en) 2018-06-18 2018-06-18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94A KR101882332B1 (en) 2018-06-18 2018-06-18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332B1 true KR101882332B1 (en) 2018-07-27

Family

ID=6307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94A KR101882332B1 (en) 2018-06-18 2018-06-18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33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00B1 (en)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Numerical cartography system to prevent numerical map errors
KR102113001B1 (en)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Digital Mapping System by Feature Change
KR102115963B1 (en) * 2020-01-10 2020-05-2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Digital Cartography System Improves Accuracy
KR102128984B1 (en) * 2019-11-28 2020-07-02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3D high precision digital mapping system
KR102128982B1 (en) * 2019-11-28 2020-07-02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Ultra-precision Digital Cartography System
KR102271256B1 (en) * 2020-12-08 2021-07-01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Digital Mapping System Using Modified Feature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9B1 (en) 2007-02-26 2007-09-17 한진정보통신(주) System for creating multipolygon using property information of numerical map the object and method therefor
KR101469087B1 (en) *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69B1 (en) 2007-02-26 2007-09-17 한진정보통신(주) System for creating multipolygon using property information of numerical map the object and method therefor
KR101469087B1 (en) * 2014-07-25 2014-12-12 동아항업주식회사 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984B1 (en) * 2019-11-28 2020-07-02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3D high precision digital mapping system
KR102128982B1 (en) * 2019-11-28 2020-07-02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Ultra-precision Digital Cartography System
KR102113000B1 (en)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Numerical cartography system to prevent numerical map errors
KR102113001B1 (en) * 2020-01-10 2020-05-20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Digital Mapping System by Feature Change
KR102115963B1 (en) * 2020-01-10 2020-05-2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Digital Cartography System Improves Accuracy
KR102271256B1 (en) * 2020-12-08 2021-07-01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Digital Mapping System Using Modified Feature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332B1 (en) Digital map error checking system according to terrain change on the ground
KR101469087B1 (en) 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US10655970B2 (en) Beacon-based indoor wayfinding system with automated beacon placement
US9744671B2 (en) Information technology asset type identification using a mobile vision-enabled robot
KR101507393B1 (en) Management system using polygon for universal editing Digital Map
KR101496317B1 (en) Correcting method for the drawing image by modifing the ground features location in photographing image
KR101494826B1 (en) 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KR102019031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parking lot video object recognition from cctv parking lot video data
CN110348368A (en) A k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tic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the system of floor plan
EP39120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building objects installed within a building
CN110428069A (en) Electric power instrument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equipment and medium
CN112308492A (en) Deep learning and knowledge graph fusion-based warehous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2639824A (en) Intelligent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fiber network
CN111724130A (en) Distribution network machine patro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KR102128982B1 (en) Ultra-precision Digital Cartography System
JP6670580B2 (en) Architectural systems
CN108287845A (en) A kind of Automatic extraction method for road information and device and hybrid navigation system
CN116383797B (en) Non-notch sliding verification code and generation method thereof
CN109839921A (en) Vision positioning air navigation aid, device and terminal
KR102113001B1 (en) Digital Mapping System by Feature Change
CN113794876B (en) Intelligent testing device for household intelligent television
US20230209692A1 (en) System for Checking a Luminaire Status and Method Thereof
JP2008021025A (en) Drawing management system and drawing management method
JPH0883334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guy and strut directions of electric pole from facility drawing
CN114386627A (en) Photovoltaic module fault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