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515B1 -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 Google Patents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515B1
KR101881515B1 KR1020170117500A KR20170117500A KR101881515B1 KR 101881515 B1 KR101881515 B1 KR 101881515B1 KR 1020170117500 A KR1020170117500 A KR 1020170117500A KR 20170117500 A KR20170117500 A KR 20170117500A KR 101881515 B1 KR101881515 B1 KR 10188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bracket
deck
guardrai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이피
Priority to KR102017011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5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2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road guardrail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 slope angle to solve problems of conventional structures that are constructed in a stepped type since it is difficult to vertically construct a guardrail post along a slope when a guardrail structure is constructed on a slope and that are hard and crude and are not refined aesthetically since guardrail posts and guardrail ribs are formed by rectangular posts. The deck road guard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rizontal beam (101), a frame (102), a deck (110), a guardrail post (140), a guardrail horizontal bar (170), a guardrail rib (180), a guardrail post bracket (190), a guardrail horizontal bar bracket (200), and a guardrail rib bracket (210). A lower end of the guardrail post (14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guardrail post bracket (190) is formed in a U-shape of which both sides are opened, so that the deck road guardrail structure can be vertically constructed along the slope surface by angle adjustment of the guardrail pos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road guardrail structure can adjust the angle of the guardrail post according to the slope surface, provide beautiful appearance since the guardrail post and the guardrail rib are formed in a curved line, and remarkably reduce working hours and construction costs since the deck road guardrail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construct and dismantle.

Description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본 발명은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에서 난간기둥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시공이 간단하며 작업시간과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a railing of a railing, simplifying construction, and greatly reducing work time and installation cost.

일반적으로, 데크 구조물은 건축물의 외곽, 공원, 산책로, 둘레길 등에 설치되어 휴식공간이나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데크 구조물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지만, 크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평판형 구조와, 상하 오르내림을 용이하기 위한 계단 구조 또는 경사판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Generally, the deck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outskirts of a building, a park, a promenade, a perimeter road, and provides a rest space or convenience of movement. The deck structure is install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its use, but it is provided with a flat structure to provide a large rest space and a step structure or a slope structure to facilitate up and down movement.

상기 데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지면 상에 프레임 기둥을 설치한 후 프레임을 설치하고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사각파이프를 고정 설치한다. 이 후, 설치된 사각파이프 상에 데크를 조립하여 설치하고, 경우에 따라 데크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deck structure, a frame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place to be installed first, and then a frame is installed and a square pipe for supporting a deck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ixed to the frame. Thereafter, a deck is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installed square pipe, and a parapet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eck structure as the case may be.

그러나, 종래의 난간이 설치된 데크 구조물은 경사면에 설치할 경우 난간기둥을 수직으로 설치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설치면이 수평이 되도록 공구를 사용하여 지면을 성형한 후 앙카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어렵고,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vertically install a railing of a deck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railing is installed when it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Therefore, since the ground is formed by using a tool so that the installation surface is horizontal, and then fixed by using an anchor bolt or the like, the installation work is difficult and the installation work takes a lot of time.

그리고, 난간기둥이 목재로 되어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기온, 우수, 햇볕 등의 영향으로 기둥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since the railing is made of wood,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column due to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excellent weather, sunlight, etc. over time.

또한, 종래의 데크 구조물은 난간기둥과 난간종대가 사각형으로 각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딱딱하고 투박한 느낌을 주어 미관상 보기에도 세련되고 아름다운 느낌을 주지 못하였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ck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ailing pillars and the railing extension are formed with a square angle, which gives a hard and rugged feeling, which does not give a sophisticated and beautiful feeling to the cosmetic view.

또한, 종래의 데크 구조물은, 바닥의 목재데크가 나사로 프레임 위에 체결되기 때문에 목재데크 위로 나사가 보이게 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드릴로 구멍을 천공한 후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이 많이 필요하여 공사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eck structure, since the wooden deck at the bottom is fastened onto the frame, screws are visible on the wooden deck, and the appearance is not so good. After drilling the hole with the dri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또한, 나사 체결시 나사가 잘못 체결되어 목재데크가 손상되거나 나사의 사용으로 한번 사용된 목재데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나사 체결된 부분에 시공 후 습기나 빗물 등이 스며들어 나사가 부식되거나 목재데크에 형성된 구멍에서 부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ood deck is damaged when the screw is tightened and the wooden deck is damaged. Once used, the wood deck can not be reused. When the screwed portion is wetted with moisture or rain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corruption occurs in the hole formed in the ho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125919호(2012.11.1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125919 (published on November 19, 2012)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사면에서도 자유롭게 설치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that can be freely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간기둥의 하단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난간기둥브라켓을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1
형태로 양쪽 옆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여 경사면을 따라 난간기둥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함으로써, 경사면에서 난간기둥을 수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구현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lway railing comprising: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1
And the angle of the railing can be adjusted along the slope so that the railing can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slop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간기둥과 난간살을 곡선으로 형성하여 미관이 좋도록 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in which a curved rail and a railing are formed to provide a good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개의 기둥을 하나로 합쳐서 하나의 난간기둥을 형성하고, 난간기둥의 사방 4개소에 각각 크랙방지홈(예를 들어, V자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난간기둥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handle, comprising the steps of: arranging two pillars together to form one parapet; and forming crack preventing grooves (for example, V-shaped grooves) And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cracking of the railing pillar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간기둥의 하단에 난간기둥브라켓을 삽입하는 홈을 하단 안쪽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홈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좋도록 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lustrade bracket for a balustrade for a balustrade, the balustrade balustrade comprising: To present th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간횡대의 양쪽 측면에 난간횡대브라켓을 삽입하는 홈을 측단 안쪽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홈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좋도록 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cargo handling system in which a groove for inserting a railing transverse bracket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railing transverse band inwardly from the inside of a side end to prevent a groove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It is to present a rai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난간살의 상단 및 하단에 난간살브라켓을 삽입하는 홈을 측단 안쪽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홈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좋도록 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lustrade bracket for a railway carving machine, comprising: a rail for receiving a railing bracket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a railed carpet; It is to present a rail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공이 간단하고 쉬우며 작업시간과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which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and which can dramatically reduce work time and installation cost.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바닥이나 벽체에 목재데크를 시공할 때 볼트나 못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끼워서 시공할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using fixing means such as bolts or nails when a wooden deck is installed on a floor or a wall.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공 및 해체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타사 제품과의 가격 및 제품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which is simple and easy to disassemble and disassemble so that it can be advantageous in price and product competitiveness with other product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재데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wooden decks, and is beautiful in appearance an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은, 지면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평보(101)가 평행하게 설치된 프레임(102); 상기 수평보(101) 상에 조립되며, 사각형 판재 형태를 가지며 양쪽 측면에 끼움홈(112)이 형성된 데크(110); 상기 프레임(102) 또는 수평보(101) 상에 설치되며,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1
형상으로 양쪽 옆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난간기둥(140)을 고정하는 난간기둥브라켓(190);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에 삽입한 후 양쪽 개방된 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도록 하단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사방 4개소에 각각 V자 형태의 크랙방지홈(143)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기둥이 하나로 합쳐서 형성된 난간기둥(140); 상기 난간기둥(140)의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볼트(205)에 의해 베이스(201)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201)의 중앙에 관통구(204)가 형성된 삽입부(203)가 수직으로 형성된 난간횡대브라켓(200);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삽입부(203)를 삽입하는 브라켓삽입구(171)가 양쪽 측면의 안쪽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에 삽입된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관통구(204)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의 수직 방향으로 볼트공(172)이 형성된 난간횡대(170); 상기 난간횡대(17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각각 볼트에 의해 베이스(211)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211)의 중앙에 관통구(214)가 형성된 삽입부(213)가 수직으로 형성된 난간살브라켓(210);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삽입부(213)를 삽입하는 브라켓삽입구(181)가 양쪽 측면의 안쪽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에 삽입된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관통구(214)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의 수직 방향으로 볼트공(182)이 형성된 난간살(180); 상기 수평보(101)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2
형상의 몸체를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설치되며, 사각형의 하부면(123)의 양쪽에 사각형의 측면(121,122)이 수직으로 형성된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3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쪽 측면(121,122) 상부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4
형상의 끼움부(12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5
형상의 끼움부(125) 양쪽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서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제1걸림쇠(120); 및 상기 수평보(101)의 한 곳 이상에, 상기 수평보(101)의 상부에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상기 수평보(101)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6
형상의 몸체를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설치하며, 사각형의 하부면(133)의 양쪽에 사각형의 측면(131,132)이 수직으로 형성된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7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쪽 측면(131,132) 상부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8
형상의 끼움부(13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9
형상의 끼움부(135) 양쪽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서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제2걸림쇠(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2 installed on a ground and having a horizontal beam 101 arranged in parallel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deck 110 assembled on the horizontal beam 101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fitting grooves 112 on both sides thereof; (102) or the horizontal beam (101)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1
A railing pillar bracket 190 which is formed in an open shape on both sides and fastens the bolts on both sides to fix the railing pillars 140;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190 is curved so as to vertically adjust the angle along the inclined surfaces in the both opened directions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V-shaped crack preventing grooves 143 are formed at four places in each direction A railing 140 formed vertically and formed by combining two columns; The base 201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surface of the railing 140 by bolts 205 and the insertion portion 203 having the through hole 20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201 is vertically A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A bracket inserting port 171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203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arrel inserting port 171, A railing transverse bar 170 formed with a bolt hole 172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insertion port 171 to fasten the bolt to the through hole 204; An insertion portion 213 having a through hole 214 at the center of the base 211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by a bolt, A flesh bracket 210; A bracket insertion port 181 for inserting an insertion portion 213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is formed inwardly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on port 181, A handrail 180 having a bolt hole 18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insertion port 181 to fasten the bolt to the through hole 214; In the horizontal beam 101,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2
Shaped bod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rectangular side surfaces 121 and 122 ar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123 of the square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3
And is formed on both sides (121, 122)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4
Shaped fitting portion 125 are integrally formed,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5
(120) for mounting the deck (110) by sandwiching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art (125) of the shape. And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beams 101 is weld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beam 101 or welded to the horizontal beam 101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6
Shaped bod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rectangular side surfaces 131, 132 ar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133 of the square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7
Shaped, and is formed on both sides (131, 132)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8
Shaped fitting portion 135 are integrally formed,
Figure 112018012229986-pat00059
And a second bracket 130 for mounting the deck 110 by sandwiching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135 of the shape.

상기 난간기둥(140)과 상기 난간살(180)은 상부 및 하부의 중간에 소정의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비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기둥(140)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캡(150)과 하부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ailing 140 and the railing 180 are formed in a nonlinear or curv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in the midd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ails 140 and the upper cap 150 And a lower cover 160. As shown in FI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간기둥의 하단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난간기둥브라켓을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7
형태로 양쪽 옆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여 경사면을 따라 난간기둥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함으로써, 경사면에서 난간기둥을 수직으로 설치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s of the railing pillars are formed as curved surfaces, and the railing pillar brackets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7
So that the angle of the railing can be adjusted along the rails so that the railing can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rails.

그리고, 난간기둥과 난간살을 곡선으로 형성하여 미관이 우수하다.And, it has a beautiful appearance by forming a curved line between the railing and the railing.

또한, 2개의 기둥을 하나로 합쳐서 하나의 난간기둥을 형성하고, 난간기둥의 사방 4개소에 각각 크랙방지홈(예를 들어, V자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난간기둥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racks of the railing pillars by forming a single railing pillar by joining the two pillars together to form crack preventing grooves (for example, V-shaped grooves) at four places in each side of the railing pillars.

또한, 난간기둥의 하단에 난간기둥브라켓을 삽입하는 홈을 하단 안쪽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홈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좋도록 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제시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in which a groove for inserting a railing pillar bracket at the lower end of a railing pillar is formed inward from the bottom inside to prevent the groove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또한, 난간횡대의 양쪽 측면에 난간횡대브라켓을 삽입하는 홈을 측단 안쪽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홈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grooves for inserting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road transverse band are formed inward from the inside of the side edge to prevent the grooves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 good aesthetic feeling.

또한, 난간살의 상단 및 하단에 난간살브라켓을 삽입하는 홈을 측단 안쪽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홈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감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grooves for inserting the railing bracket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rapet are formed inward from the inside of the side edges, so that the grooves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또한, 바닥이나 벽체에 목재데크를 시공할 때 볼트나 못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끼워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고 쉬우며 작업시간과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ooden deck is installed on the floor or the wall,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simply fitting it without using fixing means such as bolt or nail,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easy, and the working time and installation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시공 및 해체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타사 제품과의 가격 및 제품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In addition,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are simple and easy, which can be advantageous in price and product competitiveness with other products.

또한, 목재데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자연친화적이다. 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wooden decks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appearance is good, and it is environment-friendl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또한, 걸림쇠를 이용하여 목재데크를 간단히 끼워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이 쉽고 힘이 들지 않으며, 작업시간을 기존에 비해 10배 이상 단축시킬 수가 있다. 기존에는 목재데크를 나사나 볼트 등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1시간에 10m 이상을 나가지 못했는데, 본 발명의 걸림쇠를 이용하여 목재데크를 조립하는 경우 5분만에 10m 이상을 진행하였다. In addition, since the wooden deck is easily assembled with the use of the latch, it is easy to work and does not work, an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by more than 10 tim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Conventionally, since the wooden deck is fixed by screws or bolts, the wooden deck can not be released more than 10m in one hour. However, when the wooden deck is assembled by using th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등산로, 공원 내의 산책로, 하천 주변의 보도, 테라스, 다리의 인도, 도로의 인도, 둘레길 등에 사용될 수 있다.It can also be used for hiking trails, walking trails in parks, sidewalks around rivers, terraces, bridges, roads, roads, etc.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정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난간횡대(170)와 난간기둥(14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난간기둥(14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난간횡대(17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난간살(18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난간기둥브라켓(190)의 정면도(a), 좌측면도(b), 우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난간살브라켓(21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데크(110)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제1걸림쇠(120)를 이용한 데크(110)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제1걸림쇠(120)에 고정된 데크(110)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사각파이프(101)에 끼워진 제1걸림쇠(120)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제2걸림쇠(130)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도 19에 설치된 난간기둥브라켓(19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2는 도 19에 설치된 난간횡대브라켓(20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3은 난간살(180)을 제품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4는 도 19에 설치된 난간살브라켓(21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5는 데크(110)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걸림쇠(120,130)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6은 제1걸림쇠(120)의 설치 모습을 확대한 사진이다.
1 to 26 are views showing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2 is a plan view,
3 is a side view,
Fig. 4 is a block diagram,
5 is a plan view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and the railing 140,
6 is a front view (a), a top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railing 140,
7 is a front view (a), a top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8 is a front view (a), a plan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balusters 180,
9 is a front view (a), a left side view (b), and a right side view (c) of the railing bracket 190,
10 is a front view (a), a plan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11 is a front view (a), a plan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12 is a side view of the deck road railing structure,
1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the deck 110,
14 and 15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deck 110 using the first pawl 120,
16 is a front view of the deck 110 fixed to the first pawl 120,
17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awl 120 fitted in the square pipe 101,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awl 130,
19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is installed,
Figs. 20 and 21 are photographs showing the railing bracket 190 installed in Fig. 19,
Fig. 2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installed in Fig. 19,
2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parapet 180,
FIG. 2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installed in FIG. 19,
2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awls 120 and 130 for fixing the deck 110,
26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wl 120 is install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Example

도 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정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난간횡대(170)와 난간기둥(14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난간기둥(14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난간횡대(17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난간살(18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난간기둥브라켓(190)의 정면도(a), 좌측면도(b), 우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난간살브라켓(210)의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목재데크(110)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제1걸림쇠(120)를 이용한 목재데크(110)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제1걸림쇠(120)에 고정된 목재데크(110)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사각파이프(101)에 끼워진 제1걸림쇠(120)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제2걸림쇠(130)의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FIG. 2 is a plan view, FIG. 3 is a side view, FIG. 4 is a structural view, and FIG. 5 6 is a front view (a), a top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railing 140, and FIG. 7 is a side elevational view (A), a plan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parapet 170, and FIG. 8 is a front view 9 is a front view (a), a left side view (b), and a right side view (c) of a railing bracket 190.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railing cross bracket 200, A plan view (b) and a side view (c) of the railing bracket; Fig. 11 is a front view (a) Fig. 13 is a side view of a railed structure, 14 and 15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wooden deck 110 using the first pawl 120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deck 120 fixed to the first pawl 120. FIG. 17 is a side view of the first pawl 120 fitted to the square pipe 101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awl 130. FIG.

그리고, 도 19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도 19에 설치된 난간기둥브라켓(19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2는 도 19에 설치된 난간횡대브라켓(20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3은 난간살(180)을 제품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4는 도 19에 설치된 난간살브라켓(210)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5는 목재데크(110)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걸림쇠(120,130)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6은 제1걸림쇠(120)의 설치 모습을 확대한 사진이다.19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eck road railing structure is installed, Figs. 20 and 21 are photographs showing a railing pillar bracket 190 installed in Fig. 19, Fig. 22 is a photograph showing a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FIG. 2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parapet 180, FIG. 24 is a photograph showing a parapet bracket 210 installed in FIG. 19, FIG. 2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arapet 180 fixed to the wood deck 110 And FIG. 26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pawl 12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보(101), 프레임(102), 테크(110), 제1걸림쇠(120), 제2걸림쇠(130), 난간기둥(140), 상부캡(150), 하부커버(160), 난간횡대(170), 난간살(180), 난간기둥브라켓(190), 난간횡대브라켓(200), 난간살브라켓(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26, the deck road rai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beam 101, a frame 102, a tee 110, a first pawl 120, a second pawl 130, The column 140, the upper cap 150, the lower cover 160,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the railing 180, the railing bracket 190,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

먼저, 상기 수평보(101)는 도 1, 도 3, 도 13,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2)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보(101)는 사각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2)에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1, 3, 13, and 25, the horizontal beam 101 is installed on the frame 102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eam 101 may be a square pipe, and may be fixed to the frame 102 by welding.

상기 수평보(101)는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장소의 바닥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크(110)를 이용하여 인도나 둘레길 또는 산책로 등을 만들기 위해, 설치장소의 바닥에 기둥(104)을 박고 그 위에 사각형의 틀 형태를 갖는 프레임(102)을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2)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상기 수평보(101)를 설치하게 된다.The horizontal beam 101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lace where the deck 110 is installed. For example, in order to make a walkway, a perimeter road, a walkway or the like using the deck 110, the frame 104 is put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place, and a frame 102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is formed thereon . The horizontal beam 101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frame 10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프레임(102)은 상기 데크(110)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평보(101)가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2)은 기둥(10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기둥(104)은 지중에 타설된 기초콘크리트(105)에 고정 설치된다.The frame 102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place where the deck 110 is installed, and the horizontal beam 101 is installed in parallel on the upper part. The frame 102 is supported by a column 104, and the column 104 is fixed to the foundation concrete 105 placed in the ground.

상기 데크(110)는 도 2, 도 13,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판재 형태의 목재데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크(110)는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111)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양쪽 측면에 내측으로 끼움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크(110)는 합성목재데크, 인조목재데크, 친환경 천연목재데크 등을 모두 포함한다.2, 13, and 15, the deck 110 may be formed of a wooden deck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110, grooves 111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tting groove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ck 110 inwardly. The deck 110 includes all of synthetic wood decks, artificial wood decks, eco-friendly natural wood decks, and the like.

상기 끼움홈(112)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홈의 안쪽 끝부분이 타원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fitting groove 11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an inner end portion of the groove may be formed in an ellipse or a circular shape, or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한편,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이 상기 홈(111)이 형성된 전방 측면에서부터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전방 측면에서는 상기 끼움홈(112)이 보이지 않도록 측면의 소정 부분부터 상기 끼움홈(1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is formed from the front side where the groove 111 is formed. However, at the front side, (112) may be formed.

상기 제1걸림쇠(120)는 도 13 내지 도 17, 도 25,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보(101)에 끼운 후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에 끼움부(125)를 끼워서 상기 데크(110)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13 to 17, 25, and 26, the first pawl 12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25 of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eam 101, So that the deck 110 is fixed and installed.

상기 제1걸림쇠(120)는 사각형의 하부면(123)의 양쪽에 사각형의 측면(121,122)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121,122)의 상부에 목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124) 상부에 끼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면(123)의 상부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엠보싱(12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pawl 120 has rectangular side surfaces 121 and 122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a lower surface 123 of the quadrangle and a neck 124 formed on the side surfaces 121 and 122. The neck 124 (Not shown). At least one or more embossings 126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123.

이에 따라, 상기 제1걸림쇠(120)는 상기 사각형의 측면(121,122)과 하부면(122)에 의해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8
형상의 몸체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양쪽 측면(121,122) 상부에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9
형상의 끼움부(1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125)는 양쪽 단부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양쪽 단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awl 120 is supported by the side surfaces 121, 122 and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quadrangle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8
It forms the body of the figure. On both sides 121 and 122 of the body,
Figure 112017089196814-pat00009
Shaped fitting portions 125 are forme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itting portion 125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both ends may be circular, elliptical or inclined.

상기 끼움부(125)는 상기 목부(124)에 의해 양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돌출된 부분은 상기 목재데크(110)의 끼움홈(112)에 끼워져서 상기 목재데크(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목재데크(110)의 끼움홈(112)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tting portion 125 protrudes on both sides by the neck portion 124. The protruding portion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wooden deck 110 to thereby fix the wooden deck 1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wooden deck 110. [

상기 제1걸림쇠(120)는 상기 수평보(101)에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0
형상의 몸체를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도 14 참조). The first pawl 12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eam 101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0
(See Fig. 14).

이 후, 상기 수평보(101)에 상기 제1걸림쇠(120)가 끼워지게 되면 도 15와 같이, 상기 수평보(101)의 위로 상기 제1걸림쇠(120)의 끼움부(125)만이 돌출되게 된다.15, when the first brace 12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eam 101, only the fitting portion 125 of the first brace 120 is protruded above the horizontal beam 101 do.

이 후, 상기 수평보(101) 위에 상기 수평보(101)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데크(110)를 배치한 후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에 상기 제1걸림쇠(120)의 끼움부(125)를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쇠(120)의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1
형상의 끼움부(125)의 양쪽에는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이 끼워져서 2개의 데크(110)를 고정시키게된다.Thereafter, the deck 110 is disposed on the horizontal beam 10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eam 101, and then the fitting of the first latch 120 into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So that it is fixed by sandwiching the part 125. At this time, the first latch 120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1
The fitting grooves 112 of the deck 110 are fitt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125 of the shape so that the two decks 110 are fixed.

상기 제1걸림쇠(120)의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2
형상의 끼움부(125)의 양쪽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제1걸림쇠(120)의 목부(124) 또는 끼움부(125)에 의해 상기 데크(110)와 상기 데크(1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pawl 120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2
The deck 110 is inserted into the deck 110 by the neck portion 124 or the fitting portion 125 of the first pawl 120, 110 and the deck 110 can be maintained constant.

또한, 상기 수평보(101)에 상기 제1걸림쇠(120)를 끼워 설치한 후에 상기 제1걸림쇠(120)의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3
형상의 끼움부(125)의 양쪽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 설치할 때, 상기 제1걸림쇠(120)의 하부면(123)에 형성된 상기 엠보싱(126)에 의해 상기 제1걸림쇠(120)와 상기 데크(110)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After the first pawl 12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awl 101, the first pawl 120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3
When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is fitt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art 125 of the shape, the embossing 126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23 of the first pawl 120, 1 coupling between the brace 120 and the deck 110 to prevent the flow.

상기 제1걸림쇠(120)의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4
형상의 끼움부(125)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 설치했는데도 상기 데크(110)가 단단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걸림쇠(120)의 하부면(123)에 상기 엠보싱(126)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엠보싱(126)은 상기 제1걸림쇠(120)와 상기 데크(110)의 결합시에도 약간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밀착력을 높여주어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awl 120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4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wl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wl 120 may be fixed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deck 110 from being firmly fixed and moving even though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25 of the shape. And the embossing 126 is formed on the base 123. That is, when the first pawl 120 and the deck 1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embossing 126 enhances the adhesion of the first pawl 120 and the deck 110, thereby tightly coupling the first pawl 120 and the deck 110.

상기 제1걸림쇠(120)는 상기 수평보(101)에 각각 끼워서 양쪽에 배치되는 상기 데크(110)를 고정시키게 된다.The first pawl 12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eam 101 to fix the deck 110 disposed on both sides.

계속해서, 상기 제2걸림쇠(130)는 사각형의 틀 또는 프레임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수평보(101) 상부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쇠(130)는 상기 제1걸림쇠(120)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틀 또는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된 수평보(101)에 끼워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걸림쇠(130)는 상기 수평보(101)의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결합된다.Subsequently, the second pendant 130 may be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eam 101 located at both edges of the frame or frame. Also, the second pawl 130 may be installed in a rectangular frame or a horizontal pillar 101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like the first pawl 120. At this time, the second pendant 130 is inserted and coupled from below the horizontal beam 101.

상기 제2걸림쇠(130)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하부면(133)의 양쪽에 사각형의 측면(131,132)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131,132)의 상부에 목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134) 상부에 끼움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18, quadrangular side surfaces 131 and 132 are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133 of the quadrangle, and a neck 1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s 131 and 132 And a fitting portion 135 is formed on the neck portion 134.

이에 따라, 상기 제2걸림쇠(130)는 상기 사각형의 측면(131,132)과 하부면(132)에 의해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5
형상의 몸체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양쪽 측면(131,132) 상부에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6
형상의 끼움부(1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135)는 양쪽 단부가 뽀쪽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끼움부(135)의 뽀쪽한 부분이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에 끼워 삽입됨으로써 상기 데크(110)가 전후로 움직이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second pendant 130 is supported by the sides 131, 132 and the lower surface 132 of the square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5
It forms the body of the figure. On both sides 131 and 132 of the body,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6
Shaped fitting portions 135 are forme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itting portion 135 have a pore shape. A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135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so that the deck 110 is firmly fixed without moving back and forth.

또한, 상기 제2걸림쇠(130)는 상기 제1걸림쇠(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면(133)의 상부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엠보싱(미도시; 126 참조)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Also, the second pawl 13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embossing (not shown) (see FIG. 126)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133, like the first pawl 120.

계속해서, 상기 난간기둥(140)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크(110)의 양쪽 끝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난간기둥(140)은 상기 프레임(102) 또는 수평보(101) 상에 설치된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에 설치되게 된다.1 to 4, the railing pillars 140 are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deck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railing 140 is installed on the railing bracket 190 installed on the frame 102 or the horizontal beam 101.

또한, 상기 난간기둥(14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100)이 경사면에 설치될 경우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의 양쪽 개방된 방향으로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조절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lower end of the parapet 140 is curved. The reason is that when the deck road railing structure 100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it is vertically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n both open directions of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상기 난간기둥(140)은 사각기둥의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기둥(140)은 크랙(crack)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사각기둥을 하나로 합쳐서 형성될 수 있다.The railing 140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illar. At this time, the railing pillars 14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wo rectangular pillars in order to prevent cracks.

상기 난간기둥(140)은 상부 및 하부의 중간에 소정의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비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보기에 좋고 세련된 느낌을 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6, 도 19의 난간기둥(140)은 중간 부분이 한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The parapet 140 may be formed as a non-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in the middl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parapet 140 can be formed to give a good and stylish impression. For example, the railing 140 of Figs. 3, 6, and 19 has an intermediate portion formed to be convex on one side.

또한, 상기 난간기둥(140)은 크랙(crack)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각기둥의 사방 4개소에 각각 크랙방지홈(143)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기둥(140)이 두 개의 사각기둥을 하나로 합쳐서 형성된 것이면, 도 6의 (c)와 같이 두 개의 기둥이 합쳐지는 부분에도 다른 면과 같이 동일하게 크랙방지홈(143)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랙방지홈(143)은 ‘자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과 모양으로 얼마든지 형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cracks, the railing pillars 140 may be vertically formed with crack preventing grooves 143 at four positions in each of the square pillars. In this case, if the railing 140 is formed by joining two rectangular columns together, the crack preventing grooves 143 are form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6 (c) . At this time, the crack preventing grooves 143 may be formed as a 'shaped groov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ut it may be formed in any shape and shape.

상기 상부캡(150)은 상기 난간기둥(140)의 상부에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150)은 소정의 모양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난간기둥(140)의 상단에 씌워서 미관을 좋게 하고 비나 눈, 태양광으로부터 상기 난간기둥(140)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The upper cap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railing 140. The upper cap 15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The upper cap 150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railing 140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protect the railing 140 from rain, snow, and sunlight .

상기 상부캡(15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ap 15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하부커버(160)는 상기 난간기둥(14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좋게 하고 비나 눈, 태양광으로부터 상기 난간기둥(140)과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The lower cover 160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railing 140 so as to prevent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lso protects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계속해서, 상기 난간횡대(17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난간기둥(140)과 난간기둥(140) 사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난간횡대(170)는 상기 난간기둥(140)의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1 to 4, the parapet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parapet 140 and the parapet 140 in parallel.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is installed on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ailing 140, respectively.

상기 난간횡대(17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측면의 안쪽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삽입부(203)를 삽입하는 브라켓삽입구(171)와, 상기 난간횡대(170)의 일 면에서 상기 브라켓삽입구(171)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에 삽입된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관통구(204)에 볼트를 체결하는 볼트공(17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includes bracket insertion holes 171 which are formed inwardly on both sides and insert the insertion portion 203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A bolt for fastening the bolt to the through hole 204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on port 171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bracket insertion port 171 on one side of the rail 170, A hole 172 is formed.

상기 난간횡대(170)의 브라켓삽입구(171)는 상기 난간횡대(170)의 측면 안쪽에 형성하여 외부에서 볼때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24의 사진과 같이, 상기 브라켓삽입구(171)가 상기 난간횡대(170)의 측면까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bracket insertion port 171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may b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so as not to be see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However,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24, the bracket insertion port 171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side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상기 난간횡대(170)는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에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삽입부(203)를 삽입한 다음,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에 삽입된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관통구(204)를 관통하도록 상기 볼트공(172)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ng port 171 and then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ng port 171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And the bolts are fastened to the bolt holes 172 so as to pass through the holes 204.

계속해서, 상기 난간살(180)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난간횡대(170)와 난간횡대(17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난간살(180)은 상기 난간횡대(17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1 to 4, the parapet 180 is vertic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araproflex 170 and the paraproflex bar 170. As shown in FIG. The parapet 180 is installed on the parapet bracket 210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parapet 170.

상기 난간살(18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측면의 안쪽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삽입부(213)를 삽입하는 브라켓삽입구(181)와, 상기 난간살(180)의 일 면에서 상기 브라켓삽입구(181)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에 삽입된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관통구(214)에 볼트를 체결하는 볼트공(182)이 형성되어 있다.8, the parapet 180 includes a bracket insertion port 18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thereof to insert the insertion portion 213 of the parapetrial bracket 210, A bolt for fastening the bolt to the through hole 214 of the railing bracket 210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on hole 181, the bolt being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on hole 181, A hole 182 is formed.

상기 난간살(180)의 브라켓삽입구(181)는 상기 난간살(180)의 측면 안쪽에 형성하여 외부에서 볼때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24의 사진과 같이, 상기 브라켓삽입구(181)가 상기 난간살(180)의 측면까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bracket insertion port 181 of the parapet 18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arapet 180 so as not to be see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However, as shown in FIG. 24, the bracket insertion port 181 may be exposed to the side of the parapet 180.

상기 난간살(180)은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에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삽입부(213)를 삽입한 다음,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에 삽입된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관통구(214)를 관통하도록 상기 볼트공(182)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parapet 18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ng hole 181 and then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ng hole 181 of the parapacking bracket 210, A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hole 182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hole 214.

상기 난간살(180)은 상부 및 하부의 중간에 소정의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비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보기에 좋고 세련된 느낌을 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8, 도 19의 난간살(180)은 중간 부분이 한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The parapet 180 may be formed as a non-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in the midd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parapet 180 can be formed to give a good and stylish impression. For example, the parapet 180 shown in Figs. 3, 8, and 1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mediate portion is convex on one side.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은 도 9, 도 20,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측면(121,122)과 하부면(122)에 의해 양쪽 옆이 개방된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7
형상의 몸체를 이루고 있으며, 양쪽 측면(191,192)에 볼트를 체결하여 난간기둥(140)을 고정하도록 볼트공(194,19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쪽 측면(191)에 형성된 볼트공(194)은 아랫쪽에 형성되고, 다른 측면(192)에 형성된 볼트공(195)은 윗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20 and 21,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has rectangular side surfaces 121, 122 and a lower surface 122,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7
And bolt holes 194 and 195 are formed to fasten the railing pillars 140 by fastening the bolts to both side surfaces 191 and 19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bolt hole 194 formed on one side surface 19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bolt hole 195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19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ce each other.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은 상기 프레임(102) 또는 수평보(101) 상에 용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은 상기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양쪽 옆이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100)이 경사면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의 양쪽 개방된 쪽으로 상기 난간기둥(140)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가 있다.The railing bracket 190 may be welded on the frame 102 or the horizontal beam 101. The railing pillar brackets 190 are install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railing pillar brackets 190 ar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 the deck road railing structure 100 is installed. Accordingly, even if the deck road railing structure 100 is installed on the inclined plane, the angle of the railing 140 can be adjusted vertically to both open sides of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계속해서,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은 도 10, 도 19,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난간기둥(140)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볼트(205)로 체결 고정된다. 10, 19, and 22,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s 200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s of the railing pillars 140 with bolts 205, respectively.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볼트공(202)이 형성된 베이스(201)와, 상기 베이스(201)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구(204)가 형성된 삽입부(203)를 포함하고 있다.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includes a base 201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formed with a bolt hole 202 and an insertion portion 203 form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base 201 and having a through hole 20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은 상기 난간기둥(140)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볼트(205)로 체결 고정한 다음, 상기 난간횡대(170)의 브라켓삽입구(171)에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삽입부(203)를 삽입한 후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볼트공(202)에 볼트(205)를 체결하여 상기 난간횡대(170)를 고정하게 된다.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s 200 are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railing pillars 140 by bolts 205 and then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s 200 are fastened to the bracket insertion holes 171 of the railing transverse frames 170, And then the bolts 205 are fastened to the bolt hole 202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to fix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마지막으로,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은 도 11, 도 19,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난간횡대(17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Finally, as shown in FIGS. 11, 19, and 24, the railing bracket 210 is bol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respectively.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볼트공(212)이 형성된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211)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구(214)가 형성된 삽입부(213)를 포함하고 있다.The barrel bracket 21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ncludes a base 211 formed with a bolt hole 212 and an insertion portion 213 form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base 211 and having a through hole 214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은 상기 난간기둥(140)의 상측에 설치된 상기 난간횡대(170)의 하부와 상기 난간기둥(14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난간횡대(170)의 상부에 각각 볼트로 체결 고정한 다음, 상기 난간살(180)의 브라켓삽입구(181)에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삽입부(213)를 삽입한 후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볼트공(212)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난간살(180)를 고정하게 된다.The railing bracket 210 is bol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ing pillar 140 and the upper side of the railing side bar 170 provided below the railing pillar 140 The insertion part 213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on hole 181 of the railing 180 and then the bolt is fastened to the bolt hole 212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Thereby fixing the parapet 18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은, 수평보(101), 프레임(102), 데크(110), 난간기둥(140), 난간횡대(170), 난간살(180), 난간기둥브라켓(190), 난간횡대브라켓(200), 난간살브라켓(210)을 포함하며, 난간기둥(140)의 하단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난간기둥브라켓(190)을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8
형태로 양쪽 옆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여 경사면을 따라 난간기둥(140)의 각도 조절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ck road rai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beam 101, a frame 102, a deck 110, a railing 140, a railing line 170, a railing 180, The lower end of the parapet 140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parapet column bracket 19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ailing bracket 190. [
Figure 112017089196814-pat00018
And can be vertically install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railing pillars 140 along the sloped surfaces,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t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101 : 수평보
102 : 프레임 103 : 처마도리
104 : 기둥 105 : 기초콘크리트
110 : 테크 111 : 홈
112 : 끼움홈 120 : 제1걸림쇠
121 : 측면 122 : 측면
123 : 하부면 124 : 목부
125 : 끼움부 126 : 엠보싱(embossing)
130 : 제2걸림쇠 131 : 측면
132 : 측면 133 : 하부면
134 : 목부 135 : 끼움부
140 : 난간기둥 141 : 곡면부
142 : 곡면부 143 : 홈
144 : 접합면 150 : 상부캡
160 : 하부커버 170 : 난간횡대
171 : 브라켓삽입구 172 : 볼트공
180 : 난간살 181 : 브라켓삽입구
182 : 볼트공 183 : 곡면부
190 : 난간기둥브라켓 191 : 측면
192 : 측면 193 : 하부면
194 : 볼트공 195 : 볼트공
196 : 용접부 197 : 볼트
200 : 난간횡대브라켓 201 : 베이스
202 : 볼트공 203 : 삽입부
204 : 관통구 205 : 볼트
210 : 난간살브라켓 211 : 베이스
212 : 볼트공 213 : 삽입부
214 : 관통구
100: deck road rail structure 101: horizontal beam
102: frame 103: eaves
104: column 105: foundation concrete
110: Tech 111: Home
112: fitting groove 120: first latch
121: side 122: side
123: lower surface 124: neck
125: fit portion 126: embossing
130: second shackle 131: side
132: side surface 133: bottom surface
134: neck 135:
140: railing pole 141:
142: curved portion 143: groove
144: joint surface 150: upper cap
160: lower cover 170: railing line
171: Bracket insertion hole 172: Bolt hole
180: Railing 181: Bracket insert
182: bolt hole 183: curved portion
190: railing pillar bracket 191: side
192: side surface 193: bottom surface
194: Bolt Ball 195: Bolt Ball
196: welding part 197: bolt
200: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1: base
202: bolt hole 203: insertion part
204: through hole 205: bolt
210: railing bracket 211: base
212: bolt hole 213: insertion portion
214: Through hole

Claims (4)

지면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수평보(101)가 평행하게 설치된 프레임(102);
상기 수평보(101) 상에 조립되며, 사각형 판재 형태를 가지며 양쪽 측면에 끼움홈(112)이 형성된 데크(110);
상기 프레임(102) 또는 수평보(101) 상에 설치되며,
Figure 112018012229986-pat00019
형상으로 양쪽 옆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난간기둥(140)을 고정하는 난간기둥브라켓(190);
상기 난간기둥브라켓(190)에 삽입한 후 양쪽 개방된 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도록 하단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사방 4개소에 각각 V자 형태의 크랙방지홈(143)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기둥이 하나로 합쳐서 형성된 난간기둥(140);
상기 난간기둥(140)의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볼트(205)에 의해 베이스(201)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201)의 중앙에 관통구(204)가 형성된 삽입부(203)가 수직으로 형성된 난간횡대브라켓(200);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삽입부(203)를 삽입하는 브라켓삽입구(171)가 양쪽 측면의 안쪽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에 삽입된 상기 난간횡대브라켓(200)의 관통구(204)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상기 브라켓삽입구(171)의 수직 방향으로 볼트공(172)이 형성된 난간횡대(170);
상기 난간횡대(17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각각 볼트에 의해 베이스(211)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211)의 중앙에 관통구(214)가 형성된 삽입부(213)가 수직으로 형성된 난간살브라켓(210);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삽입부(213)를 삽입하는 브라켓삽입구(181)가 양쪽 측면의 안쪽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에 삽입된 상기 난간살브라켓(210)의 관통구(214)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상기 브라켓삽입구(181)의 수직 방향으로 볼트공(182)이 형성된 난간살(180);
상기 수평보(101)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0
형상의 몸체를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설치되며, 사각형의 하부면(123)의 양쪽에 사각형의 측면(121,122)이 수직으로 형성된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1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쪽 측면(121,122) 상부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2
형상의 끼움부(12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3
형상의 끼움부(125) 양쪽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서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제1걸림쇠(120); 및
상기 수평보(101)의 한 곳 이상에, 상기 수평보(101)의 상부에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상기 수평보(101)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4
형상의 몸체를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설치하며, 사각형의 하부면(133)의 양쪽에 사각형의 측면(131,132)이 수직으로 형성된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5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쪽 측면(131,132) 상부에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6
형상의 끼움부(13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7
형상의 끼움부(135) 양쪽에 상기 데크(110)의 끼움홈(112)을 끼워서 상기 데크(110)를 설치하는 제2걸림쇠(130);
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A frame 102 installed on the ground and provided with a horizontal beam 101 in parallel at its upper portion;
A deck 110 assembled on the horizontal beam 101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fitting grooves 112 on both sides thereof;
(102) or the horizontal beam (101)
Figure 112018012229986-pat00019
A railing pillar bracket 190 which is formed in an open shape on both sides and fastens the bolts on both sides to fix the railing pillars 140;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190 is curved so as to vertically adjust the angle along the inclined surfaces in the both opened directions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ailing pillar bracket 190. V-shaped crack preventing grooves 143 are formed at four places in each direction A railing 140 formed vertically and formed by combining two columns;
The base 201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surface of the railing 140 by bolts 205 and the insertion portion 203 having the through hole 20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201 is vertically A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A bracket inserting port 171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203 of the railing transverse bracket 20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arrel inserting port 171, A railing transverse bar 170 formed with a bolt hole 172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insertion port 171 to fasten the bolt to the through hole 204;
An insertion portion 213 having a through hole 214 at the center of the base 211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ing transverse bar 170 by a bolt, A flesh bracket 210;
A bracket insertion port 181 for inserting an insertion portion 213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is formed inwardly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ing release bracket 210 inserted into the bracket insertion port 181, A handrail 180 having a bolt hole 18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insertion port 181 to fasten the bolt to the through hole 214;
In the horizontal beam 101,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0
Shaped bod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rectangular side surfaces 121 and 122 ar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123 of the square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1
And is formed on both sides (121, 122)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2
Shaped fitting portion 125 are integrally formed,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3
(120) for mounting the deck (110) by sandwiching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art (125) of the shape. And
The horizontal beam 101 is weld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eam 101 or to one or more of the horizontal beams 101,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4
Shaped body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rectangular side surfaces 131, 132 ar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133 of the square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5
Shaped, and is formed on both sides (131, 132)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6
Shaped fitting portion 135 are integrally formed,
Figure 112018012229986-pat00067
A second latch 130 for mounting the deck 110 by fitting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deck 110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135;
A deck load balancer structur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140)과 상기 난간살(180)은 상부 및 하부의 중간에 소정의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비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기둥(140)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캡(150)과 하부커버(160)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apet 140 and the parapet 180 are formed in a nonlinear or curv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hape in the midd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top cap (150) and a bottom cover (160) on top and bottom of the railing pillars (14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17500A 2017-09-14 2017-09-14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KR101881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00A KR101881515B1 (en) 2017-09-14 2017-09-14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500A KR101881515B1 (en) 2017-09-14 2017-09-14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515B1 true KR101881515B1 (en) 2018-08-16

Family

ID=6344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500A KR101881515B1 (en) 2017-09-14 2017-09-14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5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699B1 (en) * 2022-03-17 2022-07-05 (유) 휴먼테크 Prefabricated multifunctional guardrail po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919A (en) 2011-05-09 2012-11-1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Connective structure of natural wooddeck
KR101498268B1 (en)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An assembly type baniste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synthetic wood and deck-road system using the same
KR101499040B1 (en) * 2014-06-02 2015-03-05 최규웅 Wood type guardrail for preventing transformation of wood outer cover
KR200480718Y1 (en) * 2016-02-19 2016-06-28 수풍산업 주식회사 Railing assembl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919A (en) 2011-05-09 2012-11-19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Connective structure of natural wooddeck
KR101499040B1 (en) * 2014-06-02 2015-03-05 최규웅 Wood type guardrail for preventing transformation of wood outer cover
KR101498268B1 (en)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An assembly type baniste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synthetic wood and deck-road system using the same
KR200480718Y1 (en) * 2016-02-19 2016-06-28 수풍산업 주식회사 Railing assembl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699B1 (en) * 2022-03-17 2022-07-05 (유) 휴먼테크 Prefabricated multifunctional guardrail p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351B2 (en) Compression post mount
US10760298B2 (en) Fence brace system adapted for use with cylindrical fence posts
CA2225216C (en) Fence system
US4324388A (en) Fence structure
US8640420B1 (en) Pergola system
US7475479B1 (en) Method for anchoring a hollow fence post
KR100933528B1 (en) Prefabricated structure using profile
KR101820684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loor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54261B1 (en) Angle adjusting joint of design fence between parapet and rail
KR101991026B1 (en) Deck road handrai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HU212217B (en) Balkony-construction
KR102087547B1 (en) Deck road system using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reof
KR101348920B1 (en) Fence coupling device
KR101881515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road adjustable slope angle
US20140332745A1 (en) Rail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200277792A1 (en) Railing System With Concealed Anchor System
US3617028A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post and rail assembly
KR102135147B1 (en) A Safety Railing
US4753420A (en) Railing system
KR101712376B1 (en) Wood type support for guardrail
KR102273524B1 (en) Wood fence
KR102139094B1 (en) Pillar and handrail fixing structure of design fence
KR20190030292A (en) Clip assembing deck and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using thereof
AU2017206266B2 (en) Fence assembly
KR102365828B1 (en) Design Type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