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879B1 - Flexible LED module for car - Google Patents

Flexible LED module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879B1
KR101880879B1 KR1020180059483A KR20180059483A KR101880879B1 KR 101880879 B1 KR101880879 B1 KR 101880879B1 KR 1020180059483 A KR1020180059483 A KR 1020180059483A KR 20180059483 A KR20180059483 A KR 20180059483A KR 101880879 B1 KR101880879 B1 KR 10188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ed
weight
fixed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후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형후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후, 김민성 filed Critical 김형후
Priority to KR102018005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1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module used in vehicles, which is easily applied to various non-planar configurations.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includes: a plurality of LED packages having an LED chip, two or more leads extending from the LED chip corresponding to respective polariti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provided between the LED packages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wo adjacent LED packages. Each of the connection frames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with a first cutout part into which a first polarity lead of one of the adjacent LED packages is inserted and fixed;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with a second cutout part into which a second polarity lead of a remaining LED package is inserted and fixed; and a connec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on sheet. The heat dissipation sheet includes: a graphit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0.05 mm to 0.7 mm; and a thermally-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raphite sheet, containing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 to 7 nm, and having a thickness of 0.1 mm to 0.3 mm.

Description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 {Flexible LED module for ca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LED module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 등의 비평면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고 엘이디 패키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which can realize various non-planar structures such as curves and is easy to replace an LED package.

발광 다이오드(LED)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 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 일종의 광전소자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 청색 LED가 개발되면서 총천연색 디스플레이(display)가 가능하게 되었다.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 junction between a p-type and an n-type semiconductor, and when the voltage is applied, it is a type of photoelectric device that emits energy corresponding to a band gap of a semiconductor by combining electrons and holes . Since the mid-1990s, blue LEDs have been developed, enabling full-color displays.

발광다이오드(LED)광원은 열손실이 작은 광원으로서 백열전구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매우 작아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며, 수명 및 유지보수 면에서도 우수한 특징을 나타내고, 무수은으로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LED)는 일반 조명등, 건물장식등, 무드등, 교통 신호등, 실내 및 실외 전광판, 유도등, 경고등, 각종 보안 장비용 광원, 살균 또는 소독용 광원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자동차 실내외 조명에 있어서, 사용수명이 길고 내충격성이 뛰어난 고강도의 엘이디 (LED) 램프를 사용하는 추세이다.The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is a light source with a small heat loss, which is very small in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an incandescent lamp, and can exhibit energy saving, excellent in life and maintenance,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Is widely used for general lighting, building decoration, mood lighting, traffic signal, indoor and outdoor signs, guidance lights, warning lights, light sources for various security devices, and light sources for sterilization or disinfection. Particularly, in recent years, there is a tendency to use a high-intensity LED lamp having a long service life and excellent impact resistance in indoor and outdoor lighting of automobiles.

자동차의 전면에 부착되는 램프는, 야간 전조등 외에 좌우 깜박이 작동시 동작하는 시그널 램프 및 주간에 점등시키는 DRL(Daytime Running Lamp)가 있으며, 자동차의 후면에 부착되는 램프는, 브레이크 작동시 동작하는 스탑램프, 좌우 깜박이 작동시 동작하는 시그널램프, 후진기어시 작동하는 백업램프 등이 있다. 현재, 이러한 램프들은 엘이디로 구현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각각의 램프가 개별적인 모듈로 제작되어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The lamp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ncludes a signal lamp that operates in the left and right flickering operation and a daytime running lamp that lights in the daytime in addition to the night light, and the lamp attach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is a stop lamp , A signal lamp that operates when the left and right fl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backup lamp that operates when the reverse gear is operated. Currently, these lamps are implemented as LEDs. However, it is often the case that each of these lamps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module.

또한, 자동차용 엘이디 램프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곡선 형태 등 다양한 비평면 형태로 구현되어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엘이디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실장을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이 일반적을 사용되고 있는데, 인쇄회로기판은 주로 에폭시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와 같이 구부림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연성이 부족한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특정 한도 이상의 외력에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엘이디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곡선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엘이디 실장시 대부분 납땜을 사용하고 있어서 이러한 기판의 제작 또는 폐기처분시에 사람이나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n automotive LED lamp,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various non-planar shapes such as a curved shape as necessary. In general, a printed circuit board is generally used for mounting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n LED. Since a printed circuit boar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ductility, such as epoxy or bakelite resin, which is restricted by bending, It is prone to breakage. Therefore, when the LED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the LED in the same shape as the curv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oldering is mostly used in the case of mounting an LED,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may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people or the environment when manufacturing or disposing such a substrate.

이를 위해, 종래에는 엘이디의 각 극성에 대응하는 2개의 모선(母線)을 마련하고 엘이디의 각 리드를 각 모선에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를 순각적으로 녹여 이들을 결합하거나, 리드와 모선을 버튼 잠금식으로 압박하는 클린칭(clinching) 작업을 통해 결합(미국특허 제5,404,282호)하거나, 리드 또는 모선에 후크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를 강제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58454호)이 사용되었다.For this purpose, conventionally, two buses corresponding to the polarities of the LEDs are provided, and each lead of the LEDs is melted by using a laser device on each bus line to join them together, (US Pat. No. 5,404,282), or a method of forming a hook on a lead or a bus bar and fixing the other by forcibly inserting i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58454) is used by a clinching operation .

그러나, 첫번째 방법의 경우 결합된 엘이디를 다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워 일부 엘이디가 파손된 경우 엘이디 모듈 전체를 교체하여야하며, 레이저 장치가 고가이기 때문에 모듈 구성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두번째 방법의 경우에도 클린칭 작업은 재작업이 불가능하여 일부 엘이디의 교체시 전술한 레이저 용접등 다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세번째 방법의 경우에도, 엘이디측 리드에 후크를 형성해야 하므로 일반적이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결합시 후크에 다른 하나를 강제로 밀어넣어 수용시켜야 하는데, 후크의 수용력은 엘이디의 고정력과 비례하므로 불가피하게 수용력을 크게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수용력이 단자의 변형력보다 큰 경우에는 단자가 구부러지면서 수용이 되지 못하며, 반대로 수용이 낮은 경우에는 수용 후에 엘이디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단점이 었다.However, in case of the first method,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combined LEDs again. Therefore, if some LEDs are broken, the entire LED module must be replaced, and the cost of the module configuration is increased because the laser device is expensive. In case of the second method, since the clining operation can not be rework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ther methods such as the laser welding described above must be used when replacing some LEDs. In the case of the third method, since the hook is formed on the LED side lead, it is generally not applicable.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is engaged, the other one must be forcedly pushed into the hook, and the capacity of the hook is proportional to the clamping force of the LED. Inevitably, the capacity of the hook is inevitably increased. In this case, It can not be accommodated by bending. On the contrary, when the housing is low, it is difficult to securely fix the LED after the reception.

전술한 각 방법 공히 엘이디 소자를 2개의 모선이 병렬적으로 지지하므로 일측방향으로의 구부림만 가능하여 다양한 비평면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It is impossible to form various non-planar structures because it is possible to bend in only one direction by supporting the two elements in parallel in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methods.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하게 구현되어 다양한 비평면 형상에 적용이 용이한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에 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otive flexible LED module which is flexibly implemented and is easy to apply to various non-planar shap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방향 또는 다측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엘이디 패키지를 순차적으로 고정할 때 곡선 등 비평면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that can flex in one direction or in a multi-sided direction, and can realize various non-planar structures such as curved lines when sequentially fixing a plurality of LED packag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납땜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손상된 엘이디의 교체시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otive flexible LED module that can be omitted from soldering or the like and is easy to replace when a damaged LED is replaced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로, 엘이디(LED) 칩과, 상기 엘이디 칩으로부터 각 극성에 대응하여 연장된 2이상의 리드를 갖는 복수의 엘이디 패키지와; 상기 각 엘이디 패키지 사이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2개의 엘이디 패키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각 연결프레임은,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패키지 중 어느 하나의 제1극성 리드가 삽입고정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된 제1접속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엘이디 패키지의 제2극성 리드가 삽입고정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된 제2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에는 방열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시트는 두께가 0.05mm 내지 0.7mm인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되고 평균직경이 5 내지 7 nm인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고 두께가 0.1mm 내지 0.3mm인 열전도성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성 점착층은 상기 카본나노튜브를 용매에 혼합하고 초음파로 분산시킨 카본나노튜브 분산액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에틸케톤인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module for use in an automobile, the LED module including: an LED chip; a plurality of LED packages having two or more leads extended from the LED chip in correspondence with respective polarities; ;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provided between the LED packages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wo neighboring LED packages, wherein each of the connection frames includes a first polarity lead of any one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a first incision portion to be fixe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having a second cutout portion in which the second polarity lead of the other LED package is inserted and fixed; An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re provided with a heat radiation sheet, and the heat radiation sheet has a thickness of 0.05 mm to 0.7 mm Graphite sheet; And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graphite sheet and containing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 to 7 nm and having a thickness of 0.1 mm to 0.3 mm,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liquid in which nanotubes are mixed with a solvent and dispersed by ultrasonic waves, and an acrylate polymer, and the solvent is a flexible LED module for automobiles such as isopropyl alcohol, toluene, ethyl acetate, or methyl ethyl ketone do.

상기 각 접속부의 상부에서 상기 엘이디 패키지가 고정될 때, 상기 각 리드가 상기 각 절개부를 밀어내며 관통한 후에 상기 각 절개부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각 접속부의 하부에 압착고정될 수 있다.When the LED package is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the respective leads push the respective cut-out portions and then are bent together with the cut-out portions and can be press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에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연결하는 스프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와 말단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과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Wherein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first and second wires respectively exten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and a spr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And can be fastened with the spring by screwing.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의 측면에는 각각 탄성을 갖는 고리형태의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히트싱크가 고정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부에 물결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방열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단에서 L자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a side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ix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and each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inwardly reces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The heat sink is fixed to the base, and the heat sink includes a support plate made of aluminum,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provided in a wave form on the support plate, and an L-shape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It can be made of fixed hooks.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고정부를 당겨서 삽입하여 고정시켜 상기 히트싱크의 걸이부가 상기 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걸이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면에는 점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Wherein the heat sink is inserted and fixed by pulling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of the heat sink is seated in the groove portion and fixed by the fixing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is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supporting plate,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support plate in the vertical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provided.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및 무기 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300만이고, 상기 무기 입자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입자가 입경이 5 내지 8㎛인 질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탄화물, 탄산염, 금속산염 및 금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composed of a mixture of an acrylic copolymer, a crosslinking agent and inorganic particles, and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000,000, and the inorganic particle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trides, hydroxides, oxides, carbides, carbonates, metalates and metal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5 to 8 탆.

상기 방열핀은 금속분말 65 ~ 85 중량부와, 탄소복합소재 10 ~ 30 중량부 및 고분자수자 5 ~ 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복합소재는 단일벽 카본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카본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카본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금속분말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Wherein the radiating fin comprises 65 to 85 parts by weight of a metal powder,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c material, wherein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is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 A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and a rope carbon nanotube, Aluminum, and the polymer resin may be polyethylene glycol.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하게 구현되어 다양한 비평면 형상에 적용이 용이한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which is flexibly implemented and is easy to apply to various non-planar shap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방향 또는 다측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엘이디 패키지를 순차적으로 고정할 때 곡선 등 비평면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flexible flexible LED module for automobiles that can be flexibly formed in one direction or in a multifaceted direction, thereby variously implementing a non-planar structure such as a curve when sequentially fixing a plurality of LED pack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납땜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손상된 엘이디의 교체시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which can be omitted from soldering or the like and is easy to replace when a damaged LED is replaced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에서 리드와 절개부의 삽입고정 과정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의 제조 및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프레임에 히트싱크가 구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fixing a lead and a cut por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nufacture and connection of the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sink provided in the connection frame of FIG. 6. FIG.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medi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에서 리드와 절개부의 삽입고정 과정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의 제조 및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LE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fixing a lead and a cut por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nufacture and connection of the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에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로, 상기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은 엘이디(LED)(101)과, 상기 엘이디 칩(101)으로부터 각 극성에 대응하여 연장된 2이상의 리드(102a, 102b)를 갖는 복수의 엘이디 패키지(100)와; 상기 각 엘이디 패키지(100) 사이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2개의 엘이디 패키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20);을 포함한다.The Flexible LED modul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101 and two LEDs 101 extending from the LED chip 101 corresponding to polarities A plurality of LED packages (100) having leads (102a, 102b);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20) provided between the LED packages (100)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wo adjacent LED packages (100).

상기 각 연결프레임(20)은,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패키지(100) 중 어느 하나의 제1극성 리드(102b)가 삽입고정되는 제1절개부(36)가 형성된 제1접속부(31)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엘이디 패키지(100)의 제2극성 리드(102a)가 삽입고정되는 제2절개부(37)가 형성된 제2접속부(32)와; 상기 제1접속부(31) 및 제2접속부(32)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연결부(35);를 포함한다.Each of the connection frames 2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31 having a first cutout portion 36 into which one of the first polarity leads 102b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s 100 is inserted and fixed; A second connection part (32) having a second cutout (37) into which the second polar lead (102a) of the other LED package (100) is inserted and fixed; And a connection part 35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each other.

상기 리드(102a, 102b)는 상기 엘이디 패키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로, 예컨대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102a, 102b)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극 및 음극에 대응하여 2개로 마련 될 수도 있고, 각 극성에 2개씩 4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leads 102a and 102b are conductor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ED package 100, for example, copper or aluminum. The leads 102a and 102b may be variously provided as needed, for example, two lead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r four lead wires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two leads.

제1접속부(31) 및 제2접속부(32)는 각각 이웃하는 엘이디 패키지(100)의 리드(102a, 102b)가 삽입됨으로써 각 엘이디 패키지(100)를 고정한다. 제1접속부(31)에는 이웃하는 엘이디 패키지(100) 중 어느 하나의 제1극성 리드(102b)가 삽입고정되는 제1절개부(36)가 형성되고, 제2접속부(32)에는 다른 하나의 엘이디 패키지(100)의 제2극성 리드(102a)가 삽입고정되는 제2절개부(37)가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2 fix the respective LED packages 100 by inserting the leads 102a and 102b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 100, respectively. A first cutout portion 36 in which one of the first polarity leads 102b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s 10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and a second cutout portion 36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The second cutout portion 37 in which the second polar lead 102a of the LED package 10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상기 제1절개부(36)와 제2절개부(37)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및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cision 36 and the second incision 37 may be rectangular, triangular, circular, and polygonal, preferably pentagonal.

상기 제1접속부(31) 및 제2접속부(32)의 상부에서 상기 엘이디 패키지(100)가 고정될 때, 상기 각 리드(102a, 102b)가 상기 각 상기 제1절개부(36)와 제2절개부(37)를 밀어내며 관통한 후에 상기 각 상기 제1절개부(36)와 제2절개부(37)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각 상기 제1접속부(31) 및 제2접속부(32)의 하부에 압착고정될 수 있다.When the LED package 100 is fixed o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the leads 102a and 102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rst cutouts 36 and second The first cutout portion 37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37 are bent together and then bent together with the first cutout portion 36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37, And can be press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상기 연결프레임(30)의 상부에서 리드(102b)가 하방으로 삽입되면, 제2절개부(37)는 리드(102b)에 밀려 하방으로 젖혀진다. 이후,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과정을 통하여 다시 리드(102b)와 함께 절곡되어 연결프레임(30)의 하부면에 압착고정된다.When the lead 102b is inser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frame 30, the second cutout portion 37 is pushed downward by the lead 102b. Thereafter, as shown in FIG. 2 (c), it is folded again with the lead 102b through the bending process and is fixed by press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30.

여기서, 각 절개부(36, 37)은 젖혀지는 부분 없이 접속부(31,32)에 홀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리드(102b)가 절개부(37)를 통과한 후에 절곡되어 제2접속부(32) 하방에 압착고정될 것이나,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절개부(36, 37)에 젖혀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접속부(32)와 제2절개부(37) 사이에 리드(102b)가 압착되며 고정되므로 압착고정의 신뢰성이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Here, each cutout portion 36, 37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in the connecting portions 31, 32 without a portion to be bent. In this case as well, the lead 102b is bent after passing through the cutout portion 37, and is pressed and fixed unde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However, the portion to be bent by the cutout portions 36 and 37 as in the above- The lead 102b is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37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mpression bonding and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리드(102b)와 제2절개부(37)의 절곡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102b)의 삽입후에 해머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각각 절곡시킬 수도 있고, 삽입된 리드(102b)와 연결프레임(30) 사이에 지지구를 삽입하여 이격거리를 고정한 후에 절곡될 형상이 마련된 다이 등에 하방으로 가압하여 함께 절곡되도록 할 수도 있다.Bending of the lead 102b and the second cutout 37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fter inserting the leads 102b, they may be bent by using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hammer, or by inserting a support between the inserted leads 102b and the connection frame 30 to fix the spacing distance It may be pressed downward on a die provided with a shape to be bent and bent together.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을 원판 코일로부터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성형하는 경우, 연결프레임(30)이 아직 스크랩(200) 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엘이디 패키지(100)를 삽입한 후, 각 절개부(36, 37)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금형에 절곡을 위한 오목한 절곡부를 절곡 각도를 달리하여 복수 개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를 거치며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절곡 압착 시킬 수도 있다.4, when the connection frame 30 is molded from the disk coil through a press operation, the connection frame 30 is still fixed to the scrap 200 or the like, A plurality of concave bent portions for bending may be formed on the lower mol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ut portions 36 and 37 at different bending angles and then sequentially pressed and bended by passing through the bent portions.

이 경우, 스크랩(200)은 각 연결프레임(30)과 엘이디 패키지(100)가 상호 고정된 후에 절단 과정을 거쳐 제거함으로써 도 4의 (c) 또는 (d)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연결프레임(30)의 제작 및 엘이디 패키지(100)와의 고정 작업을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진행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scrap 200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4 (c) or (d) by cutting the connection frame 30 and the LED package 100 after they are fixed to each other. The above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mass production can be performed because the connection frame 30 and the fixing operation with the LED package 100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rough a press operation.

한편,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드(102a, 102b)에는 스토퍼(10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각절개부(36, 37)에 삽입되는 리드(102a, 102b)의 삽입깊이가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엘이디 패키지(100)가 연결프레임(30)에 고정될 때에는 엘이디 패키지(100)가 연결프레임(3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고정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d), a stopper 105 may be further provided on each of the leads 102a and 102b. This is because when the respective LED packages 100 are fixed to the connection frame 30 by making the insertion depths of the leads 102a and 102b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utouts 36 and 37 the same, So that they are spaced the same distance from the frame 30 and fixed.

스토퍼(105)는 다양한 모양 및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리드(102a, 102b)의 전후방측(즉, 연결프레임(30)의 길이방향)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stopper 105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positi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eads 102a and 102b Longitudinal direction), or may be provided on the side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프레임(30)은 각 엘이디 패키지(100) 사이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2개의 엘이디 패키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한다. 상기 연결프레임(30)은 전기적으로 도체인 플레이트(31a, 35, 32a)와 상기 플레이트(31a, 35, 32a) 상에 일부에 구비되는 방열시트(31b, 32b)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31a, 35, 32a)는 일방향으로 제1접속부(31), 연결부(35) 및 제2접속부(3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열시트(31b, 32b)는 상기 제1접속부(31)와 상기 제2접속부(32)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엘이디 패키지(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30 is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LED packages 100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he adjacent two LED packages 100. The connection frame 30 includes electrically conductive plates 31a, 35 and 32a and heat radiating sheets 31b and 32b provided on the plates 31a, 35 and 32a. The plates 31a, 35 and 32a may be formed of a first connection part 31, a connection part 35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2 in one direction, and the heat radiation sheets 31b and 32b may be forme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to efficiently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in the LED package 100. FIG.

상기 연결부(35)는 제1접속부(31) 및 제2접속부(32)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한다. 연결부(35)는 제1접속부(31)와 제2접속부(32)를 상호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연성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엘이디 모듈이 플렉서블하게 소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3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 35 physically or electrically supports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LED module can be flexibly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레서블 엘이디 모듈은 각 연결프레임(30)이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격구조에 의해 휨이 가능함은 물론, 연결프레임(30) 자체에서도 휨이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nection frames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warp by the spacing structure, and also to warp in the connection frame 30 itsel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엘이디 모듈은, 이웃하는 2개의 엘이디 패키지(100)를 상호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지지하는 연결프레임(30)을 마련함으로써, 연결프레임(30) 사이에서 또는 연결프레임(30) 자체에서 일측방향 또는 다측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엘이디 패키지(100)를 순차적으로 고정할 때 곡선 등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30)의 제작 및 엘이디 패키지(100)의 고정이 순차적인 작업에 의하여 생산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 및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frame 30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supporting the two neighboring LED packages 100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30 or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30 The LED package 100 can be flexed in one direction or in a multi-lateral direction, so that various shapes such as a curve can be realized when the plurality of LED packages 100 are sequentially fixed.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frame 30 and the LED package 100 can be manufactured sequentially, it is advantageous in mass production and workability.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31, 23)에는 방열시트(31b, 32b)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방열시트(31b, 32b)는 두께가 0.05mm 내지 0.7mm인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되고 평균직경이 5 내지 7 nm인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고 두께가 0.1mm 내지 0.3mm인 열전도성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Heat-radiating sheets 31b and 32b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s 31 and 23 and the heat-radiating sheets 31b and 32b are graphite sheets having a thickness of 0.05 mm to 0.7 mm. And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raphite sheet and containing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 to 7 nm and having a thickness of 0.1 mm to 0.3 mm.

상기 열전도성 점착층은 상기 카본나노튜브를 용매에 혼합하고 초음파로 분산시킨 카본나노튜브 분산액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에틸케톤일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be composed of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liquid and an acrylate polymer in which the carbon nanotubes are mixed with a solvent and dispersed by ultrasonic waves, and the solvent may be isopropyl alcohol, toluene, ethyl acetate, or methyl ethyl ketone .

상기 방열시트(31b, 32b)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상기 점착층을 지지하고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두께가 0.05mm 미만이면 상기 열전도성 점착층을 구비시키는 과정에서 그라파이트 시트라 손상되는 등 불량이 다수 발생하고, 0.1mm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방열시트(31b, 32b)의 전체부피를 불필요하게 증가시켜 문제된다. 상기 열전도성 점착층은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엘이디 패키지(100)를 고정하는 점착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상기 열전도성 점착층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카본나노튜브를 고정하기 충분하기 어려워 문제되고, 두께가 0.3mm이면 카본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고정하기 충분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초과인 경우에는 불필요한 생산비를 증가시킨다.In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graphite sheet is less than 0.05 mm, the graphite sheet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0.1 mm, the total volume of the heat-radiating sheets 31b and 32b is unnecessarily increased. Whe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0.1 mm, the adhesive force for fixing the LED package 100 is insufficient and it is difficult to fix the carbon nanotu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When the thickness is 0.3 mm, the carbon nanotubes can be uniformly dispersed and fixed, and sufficient adhesion can be provided. If the thickness exceeds 0.3 mm, unnecessary production costs are increased.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Except for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ents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에서 엘이디 패키지는 연결프레임(300) 상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엘이디 패키지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이웃하는 엘이디 패키지 중 어느 일측의 리드가 연결되는 제1절개부(360)가 구비된 제1접속부(310)와 상기 이웃하는 엘이디 패키지 중 다른 일측의 리드가 연결되는 제2절개부(370)가 구비된 제2접속부(320) 및 상기 제1접속부(310)와 제2접속부(3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Flexible LED module for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D package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3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neighboring LED packages. The connection frame 3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310 having a first cutout part 360 to which a lead of one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s is connecte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10 having a lead A second connection part 320 provided with two cutouts 370 and a connection part 350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to each other.

상기 연결부(350)는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310, 320)에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351)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351)를 연결하는 스프링부(3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351)와 말단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부(351a)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부(352)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50 includes first and second wires 351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310 and 320 and a spring part 352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351 ).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351 and 351 may have a threaded coupling portion 351a and may be screwed into the spring portion 352.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300)에서 상기 연결부(350)는 와이어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이웃하는 엘이디 패키지의 연결을 보다 플렉서블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50)에 구비되는 탄성이 있는 스프링부(352)에 의하여 엘이디 패키지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352)는 상기 연결부(35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351) 사이에 가역적으로 탈부착이되므로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connection fram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350 is provided in a wire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 can be flexibly controlled. 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LED packages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driver 352. In addition, since the spring portion 352 is reversibly attached and deta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s 351 constituting the connection portion 350, assembly of the connection frame 300 can be facilita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프레임에 히트싱크가 구비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sink provided in the connection frame of FIG. 6.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프레임(400)은 상기 제1접속부(410)와 제2접속부(420)의 측면에 각각 탄성을 갖는 고리형태의 고정부(4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0) 및 제2접속부(42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480)에 대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481)가 구비될 수 있다.6 and 7, the connection frame 400 may be provided with an annular fixing part 480 having elasticity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0 . The first connection part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0 may have a groove part 481 recessed inwardly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480.

상기 홈부(481)는 상기 고정부(48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480)에는 히트싱크(490)가 고정되어 상기 히트싱크(490)는 상기 홈부(481)와 상기 고정부(480)에 의하여 상기 제1접속부(410)와 제2접속부(4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heat sink 490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480 so that the heat sink 490 is fixed to the groove portion 481 and the heat sink 492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480. [ And may be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0 by the fixing part 480.

상기 히트싱크(49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지지플레이트(491), 상기 지지플레이트(491) 상부에 물결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방열핀(493)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91)의 일단에서 L자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48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이부(49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 sink 490 includes a support plate 491 made of aluminum,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493 formed in a wave form on the support plate 491, And a hook portion 492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480.

상기 방열핀(493)는 말단이 물결형태로 구비되어 열의 흐름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방열효과를 보다 향상시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핀(493)은 금속분말 65 ~ 85 중량부와, 탄소복합소재 10 ~ 30 중량부 및 고분자수자 5 ~ 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복합소재는 단일벽 카본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카본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카본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금속분말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일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490)에서 지지플레이트(491)는 상기 금속분말과 동일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91)를 상기 방열핀(493)과 동일한 금속으로 구비시킴으로써 히트싱크(490)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열의 흐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ins 493 are provided in the form of corrugations so that the flow of heat can be easily controlled to further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The radiating fin 493 is composed of 65 to 85 parts by weight of a metal powder,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c material, and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is a 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 walled carbon nanotubes (DWCNTs),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and rope carbon nanotubes (MWCNTs) , The metal powder is aluminum, and the polymer resin may be polyethylene glycol. In the heat sink 490, the support plate 491 may be made of the same aluminum as the metal powder. By providing the support plate 491 with the same metal as the radiating fin 493,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heat sink 490 can be improved and the flow of heat can be more efficiently controlled and the heat radiating effect can be improved.

상기 방열핀(493)에서 상기 금속분말이 65 중량부 미만으로 구비되어 상기 방열핀(490)의 강도가 저하되어 문제되고 85 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열성능이 높은 탄소복합소재의 함량이 감소되어 문제된다. 또한, 상기 탄소복합소재가 10중량부 미만이면 방열효과 향상이 미미하고 30중량부 초과이면 상기 방열핀(493)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수지는 상기 금속분말과 상기 탄소복합소재를 바이딩시킬 수 있는데, 5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금속분말과 상기 탄소복합소재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문제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방열핀(493)의 전체적인 방열성능을 저하시켜 문제된다.The metal powder is less than 65 parts by weight in the radiating fins 493 to lower the strength of the radiating fins 490. When the amount of the metal powder is more than 85 parts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improvement in the heat radiation effect is insufficient. If the amount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adiating fin 493 may be lowered. When the amount of the metal powder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metal powder and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is lowered, an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metal powder and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may bind. The overall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heat sink is deteriorated.

상기 히트싱크(490)는 상기 고정부(480)를 당겨서 삽입하여 고정시켜 상기 히트싱크(490)의 걸이부(492)가 상기 홈부(481)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48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heat sink 490 pulls the fixing portion 480 to be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fixing portion 492 of the heat sink 490 is seated in the groove portion 481 and fixed by the fixing portion 480 .

상기 걸이부(49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9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480)와 결합되는 수직부(492a)와, 상기 수직부(492a)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91)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410, 420)의 하단과 접촉하는 수평부(49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oking portion 492 includes a vertical portion 492a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support plate 491 and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480 and a vertical portion 492b parallel to the support plate 491 in the vertical portion 492a And a horizontal portion 492b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0 and conta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410 and 420.

상기 수평부(492b)는 상기 제1접속부(410)와 제2접속부(420)의 하면과 접촉하는데, 상기 수평부(492b)에서 상기 제1접속부(410)와 상기 제2접속부(420)와 접촉하는 상면에서 점착제(492b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직부(492a)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수평부(492b)는 상기 수직부(492a)와 연결되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부분(492b1)과 그 위에 구비되는 접착제(492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part 492b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0 at the horizontal part 492b. An adhesive 492b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be in contact. For example, the vertical part 492a is made of aluminum, while the horizontal part 492b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art 492a to further include an aluminum part 492b1 and an adhesive 492b2 provided thereon .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및 무기 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300만이고, 상기 무기 입자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입자가 입경이 5 내지 8㎛인 질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탄화물, 탄산염, 금속산염 및 금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며,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composed of a mixture of an acrylic copolymer, a crosslinking agent and an inorganic particle.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000,000 and the inorganic particles contain 3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have a particle diameter of 5 to 8 占 퐉, , An oxide, a carbide, a carbonate, a metal salt and a metal,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루는 단량체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지지 않은 단량체 85 내지 99 중량%와,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가진 단량체 1 내지 15 중량%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작용기를 가지지 않은 단량체가 8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용기의 수가 많아짐으로 인한 점착제의 저장안정성의 문제, 및 작은 분자량으로 인한 점착제의 응집력의 저하로 박리시 잔사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99 중량%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작용기의 반응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반응이 잘 이뤄지지 않을 수가 있고, 그로 인해 가교도의 저하로 응집력이 떨어지게 된다.Specifical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acrylic copolymer, 85 to 99% by weight of a monomer having no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nd 1 to 15% by weight of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re copolymerized. When the amount of the monomer having no functional group in the acrylic copolymer is less than 85% by weight, the problem of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ue to the relatively larg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99% by weight, the reactivity of the functional group is remarkably lowered, so that the reaction may not be performed well and the cohesion is deteriorat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degree of crosslinking.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10만~30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00만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 미만일 경우에는 응집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반면, 300만을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 상승으로 인해 작업성이 나빠지게 된다.The acrylic copoly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000,000, more preferably 40,000 to 1,000,000. When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00,000, cohesive failure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exceeds 3,000,000, viscosity may be increased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에폭시계 가교제 또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교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경우에는, 아크릴 공중합체에 포함된 작용기와의 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점착제의 내부 응집력을 강하게 만들 수가 없다. 반면, 가교제가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반응성의 증가로 인해 점착제의 가공 중경시 변화가 일어나 도포된 점착층이 일정한 물성을 발현시킬 수가 없고, 추가적으로 반응을 지연시켜 주는 지연제를 첨가해야 하는 추가 관리가 포함되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dded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acrylate-based copolymer. The crosslinking agent is characterized in that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ate-based copolymer contains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rosslinking agent or a polyfunctional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f the crosslink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reaction with the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acrylic copolymer can not be performed well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adhesive can not be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oss-linking ag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dergoes a change during processing due to the increase in reactivity, so that the appli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not exhibit constant physical properties and additionally a retarding agent This is not appropriate because it involves additional management.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트리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epoxy crosslinking agent include epoxy resin of the bisphenol A-epichlorohydrin typ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glycerin diglycidyl ether, glycerin triglycidyl ether, And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nclude tolu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thylol propane adduct of toluene diisocyanate,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무기입자는 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고, 입경 5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의 입경이 5㎛ 보다 작을 경우, 입자 분산이 어려워져 입자간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열전도율 및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는 반면, 입자 크기가 8㎛ 보다 클 경우, 제품 성형시 입자 알갱이가 점착층 위로 돌출되어 나와 접착 면적 및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provided to impart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have a particle diameter of 5 to 8 탆.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5 탆, the particles may become difficult to disperse and aggregation may occur between the particles,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and adhesiven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ticle size is larger than 8 탆, So that the adhesion area and adhesion may be deteriorated.

상기 무기 입자는 방열시트용 점착제 조성물에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 함유할 경우에는, 입자의 충전밀도가 낮아 우수한 열전도성을 나타내기 힘든 반면, 무기 입자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충전밀도가 높아 점착제의 유동성을 저해하고 점착층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피착체와 충분한 접착이 이루어지기 힘들다.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heat-radiating sheet in an amount of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filling density of the particles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exhibit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exceeds 40 parts by weight, the filling density is high, And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smooth, so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adhere to the adheren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30 : 연결프레임 31 : 제1접속부
32 : 제2접속부 35 : 연결부
36 : 제1절개부 37 : 제2절개부
100 : 엘이디 패키지 101 : 엘이디 칩
102a, 102b : 리드 105 : 스토퍼
30: connection frame 31: first connection
32: second connection part 35: connection part
36: first incision part 37: second incision part
100: LED package 101: LED chip
102a, 102b: lead 105: stopper

Claims (7)

자동차에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로,
엘이디(LED) 칩과, 상기 엘이디 칩으로부터 각 극성에 대응하여 연장된 2이상의 리드를 갖는 복수의 엘이디 패키지와;
상기 각 엘이디 패키지 사이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2개의 엘이디 패키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은,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패키지 중 어느 하나의 제1극성 리드가 삽입고정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된 제1접속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엘이디 패키지의 제2극성 리드가 삽입고정되는 제2절개부가 형성된 제2접속부와;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에는 방열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시트는
두께가 0.05mm 내지 0.7mm인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되고 평균직경이 5 내지 7 nm인 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고 두께가 0.1mm 내지 0.3mm인 열전도성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성 점착층은 상기 카본나노튜브를 용매에 혼합하고 초음파로 분산시킨 카본나노튜브 분산액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필알콜,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에틸케톤인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As an LED module used in automobiles,
A plurality of LED packages each having at least two leads extended from the LED chip in correspondence to the respective polariti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provided between the LED packages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wo neighboring LED packages,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having a first cutout portion in which any one of the neighboring LED packages is inserted and fixe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having a second cutout portion in which the second polarity lead of the other LED package is inserted and fixed;
An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 electrically connect and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re provided with a heat radiation sheet,
The heat-
A graphit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0.05 mm to 0.7 mm; And
And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graphite sheet and containing carbon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5 to 7 nm and a thickness of 0.1 mm to 0.3 mm,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liquid and an acrylate polymer in which the carbon nanotubes are mixed with a solvent and dispersed by ultrasonic waves, and the solv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propyl alcohol, toluene, ethyl acetate, Flexible LED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는 상부에서 상기 엘이디 패키지가 고정될 때, 상기 제1극성 리드 및 제2극성 리드가 상기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를 밀어내며 관통한 후에 상기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각 접속부의 하부에 압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when the LED package is fixed on the upper portion, the first polarity lead and the second polarity lead push the first and second cut portions, And the second incision portion, and is press-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onnection por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에서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연결하는 스프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와 말단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부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wires respectively exten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and a spr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es and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module have a threaded coupling portion and are screwed into the spr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의 측면에는 각각 탄성을 갖는 고리형태의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히트싱크가 고정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부에 물결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방열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단에서 L자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ring-shaped fix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inwardly reces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A heat sink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The heat sink includes a support plate made of aluminum,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provided in a wave form on the support plate, and a flexible member for a vehicle, which is protruded in an L shape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Flexible) LED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고정부를 당겨서 삽입하여 고정시켜 상기 히트싱크의 걸이부가 상기 홈부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걸이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서 상기 제1접속부 및 제2접속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면에는 점착제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t sink is inserted and fixed by pulling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of the heat sink is seated in the groove portion and fixed by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hook portion include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plate and coupled with the fixing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support plate in the vertical portion and contacti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Where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및 무기 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300만이고, 상기 무기 입자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입자가 입경이 5 내지 8㎛인 질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탄화물, 탄산염, 금속산염 및 금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es a mixture of an acrylic copolymer, a crosslinking agent and inorganic particles,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000,000 and the inorganic particles contain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have a particle diameter of 5 to 8 占 퐉, , A mixtur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ides, carbides, carbonates, metal salts and met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은 금속분말 65 ~ 85 중량부와, 탄소복합소재 10 ~ 30 중량부 및 고분자수지 5 ~ 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복합소재는 단일벽 카본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카본나노튜브(DWCNT,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카본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rope carbon nanotube)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금속분말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인 자동차용 플렉서블(Flexible) 엘이디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adiating fin comprises 65 to 85 parts by weight of a metal powder,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polymer resin,
The carbon composite material may be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a double-walled carbon nanotube (DWCNT),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Wherein the metal powder is aluminum, and the polymer resin is polyethylene glycol. 2. The flexible LED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bon nanotubes are carbon nanotubes.
KR1020180059483A 2018-05-25 2018-05-25 Flexible LED module for car KR101880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483A KR101880879B1 (en) 2018-05-25 2018-05-25 Flexible LED module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483A KR101880879B1 (en) 2018-05-25 2018-05-25 Flexible LED module for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79B1 true KR101880879B1 (en) 2018-07-23

Family

ID=6310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483A KR101880879B1 (en) 2018-05-25 2018-05-25 Flexible LED module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11B1 (en) * 2022-03-07 2023-05-10 금문산업(주)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3018A (en) * 2004-06-24 2006-01-12 Koito Mfg Co Ltd Fixing structure of electronic element
KR20110109007A (en) * 2010-03-30 2011-10-06 (주)썬웨이브 Flexible led module
KR101276326B1 (en) * 2013-01-16 2013-06-18 주식회사 한동테크 Pcb with via hole, led module and led ligh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3018A (en) * 2004-06-24 2006-01-12 Koito Mfg Co Ltd Fixing structure of electronic element
KR20110109007A (en) * 2010-03-30 2011-10-06 (주)썬웨이브 Flexible led module
KR101125063B1 (en) * 2010-03-30 2012-03-21 (주)썬웨이브 Flexible led module
KR101276326B1 (en) * 2013-01-16 2013-06-18 주식회사 한동테크 Pcb with via hole, led module and led 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11B1 (en) * 2022-03-07 2023-05-10 금문산업(주)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4801B2 (en) Lighting device with one or more removable heat sink elements
US7753560B2 (en) LED lamp with a heat sink assembly
US20090103308A1 (en) Led lamp with a heat sink
US20080290363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CN104006321B (en) A kind of 3D COB LED luminescence component and LED
US20110317437A1 (en) Led illuminating device
CN101749669A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module array
TWM345342U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ing structure and light-emitting diode packaging module
CN202469638U (en) Straight-tube-shaped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
KR101880879B1 (en) Flexible LED module for car
US20110211339A1 (en) Light emitter diode module
CN106352249B (en) High-efficiency heat-dissipation LED lamp
US20080304270A1 (en) Light emitting diode heat dissipation module
CN201137901Y (en) LED lamp radiation structure
CN108302344B (en) LED bulb and car light module
JP3159619U (en) Light bulb type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or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reof
CN210073917U (en) Light-emitting diode support structure
CN209782272U (en) Novel LED lamp bead structure
JP2007066906A (en) Light emitting diode bulb
KR101889260B1 (en) LED module for car
US7394109B2 (en) LED lighting device
CN206191466U (en) Car LED headlight
TWI325640B (en) Led device module with high heat dissipation
CN212618187U (en) LED lamp bead radiator
CN216719978U (en) 6050LED packaging support and LED lamp b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