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438B1 -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 Google Patents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438B1
KR101880438B1 KR1020170048783A KR20170048783A KR101880438B1 KR 101880438 B1 KR101880438 B1 KR 101880438B1 KR 1020170048783 A KR1020170048783 A KR 1020170048783A KR 20170048783 A KR20170048783 A KR 20170048783A KR 101880438 B1 KR101880438 B1 KR 10188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imaging
nanoparticles
phosphate
ucnp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일
미르코밀 샤리포브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438B1/ko
Priority to PCT/KR2018/004254 priority patent/WO2018190639A1/ko
Priority to US16/467,770 priority patent/US111035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5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5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 A61K49/0067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luminescent/fluorescent agent having itself a special physical form, e.g. gold nanoparticle quantum dots, fluorescent nano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76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dispersion, suspension, e.g. particles in a liquid, colloid, emulsion
    • A61K49/0082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dispersion, suspension, e.g. particles in a liquid, colloid, emulsion micelle, e.g. phospholipidic micelle and polymeric micel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nc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 및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가 로딩된(loaded)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는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미셀(micel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는, 생체 내의 특정 위치에서 업컨버젼 나노 입자(UCNP)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농도로 UCNP를 전달할 수 있어 생체 내에서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생체 내의 분산성이 향상되며, 전립선 암세포 등 특정 세포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바이오 이미징용 표지 물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PARTICLE INCLUDING UCNPs-LOADED PHOSPHATE MICELLE AND BEING USED FOR BIOIMAGING }
본 발명은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에 관한 것이다.
암세포의 진단, 특히, 초기 단계의 암세포 진단은 매년 전 세계적으로 천 4백만 건 이상의 암이 발병하여 연구자들의 엄청난 관심을 받았다. 간 조직과 관련된 질병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널리 알려진 조영제 나노 입자 중 하나는 덱스트란으로 코팅된 초전도 산화철 나노 입자인 페리덱스(Feridex)이다.
최근에는 업컨버젼 나노 입자(upconversion nanopartilce, UCNP)를 이용한 대체 영상 기법이 유망한 진단 도구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입자는 근적외선(NIR)을 흡수하고 다중 광자(multiple photons)의 흡수를 통해 상향 변환 과정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킨다. 생물학적 조직은 650 ~ 1350nm 범위의 광학 창(optical window)을 가지고 있으며 NIR의 파장은 생물학적 조직에 보다 효율적으로 침투 할 수 있고 광 손상(photodamage)이 적기 때문에, 상기한 UCNP의 특징은 바이오 이미징 응용 분야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나노 입자는 광표백(photobleaching)에 대해 보다 안정하며 낮은 자체 소광(self-quenching)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생물학적 시스템에 이러한 나노 입자를 적용함에 있어서 독성과 낮은 분산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특정 종양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증가시키고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비암성(non-cancerous)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생체 적합성 화학 물질 및 압타머, 항체, 당 및 엽산과 같은 생물학적 실체(entity)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 표면 개질(surface modification)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간단한 표면 개질을 통해서는 생체 적합성 나노 입자를 얻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전달 시스템(delivery system)이 상기한 문제를 푸는 열쇠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타겟에 대한 약물의 분배, 신진 대사 및 방출의 복잡한 방법을 고려할 때, 완벽한 전달 시스템의 설계는 복잡한 문제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외과적(exogenous) 또는 내인성(endogenous) 자극을 사용하여 방출이 조절된 전달 시스템에 대해 여러 가지 중요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며, 이에 따르면 질병과 직접 관련이 있는 특정 효소의 변형된 발현은 진보된 전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 V Groman, L. Josephson, Biologically Degradable Superparamagnetic Particles for Use 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gents, 1988, US 4770183 A. M. V DaCosta, S. Doughan, Y. Han, U. J. Krull, Anal. Chim. Acta 2014, 832, 1-33. C. Wang, H. Tao, L. Cheng, Z. Liu, Biomaterials 2011, 32, 6145-6154. A. Gnach, T. Lipinski, A. Bednarkiewicz, J. Rybka, J. A. Capobianco, Chem. Soc. Rev. 2015, 44, 1561-1584. S. Mura, J. Nicolas, P. Couvreur, Nat Mater 2013, 12, 991-1003. K. H. Min, J.-H. Kim, S. M. Bae, H. Shin, M. S. Kim, S. Park, H. Lee, R.-W. Park, I.-S. Kim, K. Kim, et al., J. Control. Release 2010, 144, 259-266.
본 발명은 업컨버젼 나노 입자를 바이오 이미징 용도로 사용할 경우 문제가 되는 독성과 낮은 분산성을 해결할 수 있는 전달 시스템을 구비한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 및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가 로딩된(loaded)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는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미셀(micel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를 인산화(phosphorylation)한 후, 페그화(PEGylation)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Ethylene glycol stea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화학식]
Figure 112017036929720-pat00001
.
또한, 전립선 종양 세포에 대해 상기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를 담체로부터 선택적 방출(selective releas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전립선 종양 세포에서 과발현된 분비형 포스포리파아제 A2(sPLA-2)에 의해 상기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에스테르기(ester group)가 가수분해되어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가 담체로부터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는, NaAF4:B1/B2/B3 (단, 상기 A는 란탄족 원소이고, 상기 B1 , B2 및 B3는 서로 다른 희토류 원소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A는 Y, Tb, Dy, Ho, Tm, Lu, La, Ce, Pr, Nd, Pm, Sm 및 E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B1, B2 및 B3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Yb, Er, Sc,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Tm, 및 L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는 750 내지 1500 nm 파장의 광(light)을 흡수하여 400 내지 700 nm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를 포함하는 바이오 표지 물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는, 생체 내의 특정 위치에서 업컨버젼 나노 입자(UCNP)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농도로 UCNP를 전달할 수 있어 생체 내에서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생체 내의 분산성이 향상되며, 전립선 암세포 등 특정 세포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바이오 이미징용 표지 물질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이미지용 입자에 포함된 업컨버젼 형광 나노 입자가 전립선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메카니즘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d)는 각각 카르복실로 관능화된 NaLuF4:Gd3+/Yb3+/Er3+ 업컨버젼 나노 입자의 XRD 패턴, FT-IR 스펙트럼. 광 발광(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 및 주사전자 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은 인산염 계면활성제의 3단계 합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EGS), 2-(포스포노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 및 페그화되어 최종적으로 얻어진 인산염 계면활성제의 FT-IR 스펙트럼이며, 도 4(b)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EGS) 및 2-(포스포노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에 대한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메탄올로 세척하는 시간을 1분, 5분 또는 10분으로 각각 달리할 경우에 있어서의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6은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단일 인산화(monophosphorylation) 후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EDAX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인산염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를 결정하기 위해, 인산염 계면활성제 농도의 대수(logarithm)에 대한 형광 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인산염 계면활성제에 sPLA-2를 첨가할 때, 소화(digestion) 후의 물리적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a) 및 (b)는 각각 sPLA-2 효소에 의한 소화 전 및 소화 후의 인산염 계면활성제의 질량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NaLuF4:Gd3+/Yb3+/Er3+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미셀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11은 NaLuF4:Gd3+/Yb3+/Er3+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미셀의 EDAX 분석 결과이다.
도 12(a) 및 (b)는 각각 업컨버젼 나노 입자 로딩 전후의 미셀에 대한 투과전자 현미경(TEM) 이미지이다.
도 13(a) 내지 (c)는 각각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미셀로 처리된 22Rv1 세포, HeLa 세포. 및 KB 세포에 대한 형광 이미지이다.
도 14(a) 및 (b)는 각각 계면활성제 미셀로 캡슐화되지 않은 업컨버젼 나노 입자로 처리된 HeLa 세포 및 KB 세포에 대한 형광 이미지이다.
도 15는 22Rv1 세포, HeLa 세포. 및 KB 세포에 대한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미셀의 세포 독성 분석(MTT assay)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는, 업컨버젼(upconversion) 발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 나노 입자와 이를 내부에 로딩(loading)하여 캡슐화시키는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담체는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미셀(micell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를 인산화(phosphorylation)한 후, 페그화(PEGylation)시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스테아르산(SA) 및 에틸렌 글리콜(EG)과 같은 생체 친화성 양친매성 화합물로부터 합성되어 생체 적합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염 계면활성제는 생체 내 타겟 주변에 존재하는 효소(enzyme) 등에 의해 그 구조가 붕괴되어, 미셀 내에 캡슐화되어 있던 업컨버젼 나노 입자를 특정 타겟 주변에서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이미지용 입자에 포함된 업컨버젼 형광 나노 입자가 전립선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메카니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해 설명하면, 전립선 암세포 주변에 다량 존재하는 분비형 포스포리파아제 A2(sPLA-2)에 의해 상기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에스테르기(ester group)가 가수분해되어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담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되어, 전립선 암세포 영상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분비형 포스포리파아제 A2(sPLA-2)는 sn-2 위치에서 인지질(phospholipid) 가수분해의 촉매 작용을 해 지방산(fatty acid)과 리소포스포리피드(lysophospholipid)를 생성하는 효소인데, 그 과발현(overexpression)은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는 NaAF4:B1/B2/B3 (단, 상기 A는 란탄족 원소이고, 상기 B1 , B2 및 B3는 서로 다른 희토류 원소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A는 Y, Tb, Dy, Ho, Tm, Lu, La, Ce, Pr, Nd, Pm, Sm 및 E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고, 또한, 상기 B1 및 B2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Yb, Er, Sc,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Tm, 및 L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UNCP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 입자의 제조
(1) UCNP의 합성
먼저, 수용액을 사용하는 손쉬운 단일 단계 수열합성법(hydrothermal method)을 통해, 카르복실로 관능화된 고품질의 NaLuF4:Gd3+/Yb3+/Er3+ 업컨버젼 나노 입자를 준비하였다. NaCl, 말론산(MA) 및 미리 제조된 RECl3 용액을 함유하는 잘 교반 된 탈이온수 용액에 화학양론적 양의 NH4F를 첨가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액을 테프론 라이닝된 오토클레이브로 옮기고 200 ℃에서 8, 12 및 24 시간 동안 가열하고, 얻어진 나노 입자를 원심 분리를 통해 수집하고, 에탄올 및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하고, 50 ℃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특성 분석 결과, 12 시간 동안 수열 반응시켜 얻어진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카르복실로 관능화된 고품질의 NaLuF4:Gd3+/Yb3+/Er3+ 업컨버젼 나노 입자에 대해 XRD, FT-IR, Photoluminescence, Fe-SEM을 이용한 특성 분석이 이루어졌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NaLuF4:Gd3+/Yb3+/Er3+ UCNP의 XRD 패턴의 피크는 기준 입방정상 NaLuF4 패턴(JCPDS-27-0725)으로 인덱싱되고 다른 불순물 피크는 검출되지 않았다. NaLuF4:Gd3+/Yb3+/Er3+ 나노 입자의 카르복실 기능화된 표면은 FT-IR 스펙트럼에 의해 확인되었다. 3435 cm-1 부근의 넓은 흡수 밴드는 O-H 신장 진동에 해당한다. 1632 cm-1을 중심으로 한 날카로운 피크는 나노 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에 기인한다. 1434 cm-1의 밴드는, 카르복실기의 적색 편이를 일으키는 란탄족 이온으로 킬레이팅된 카르복실기(-COO-)의 비대칭 신장 진동과 연관되어 있다. 말론산의 단일 -CO 신장 밴드는 1125 cm-1에 위치한다. 광 발광(Photoluminescence)는 근적외선의 녹색 및 적색 발광으로의 상향 변환(upconversion)을 보여준다. 540 nm에서의 녹색 방출은 적색 방출보다 상대적으로 강하다. Fe-SEM 사진은 UCNP의 입방정상을 확인시켜주며, 또한 UCNP의 크기는 50 nm에서 80 nm의 범위에 있음을 보여준다.
(2) 인산염 중합체(phosphate polymer)의 합성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산염 계면활성제는 3단계 합성 과정을 통해 합성되었으며, 아래에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1 단계 :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합성 및 정제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합성은 카르복실산의 슈테글리히 에스테르화(Steglich esterification)를 통해 이루어졌다. 해당 방법은 낮은 반응 온도(0 내지 실온(RT)) 때문에 녹색 합성 경로(green synthesis route)로 여겨진다. 스테아르 산(SA) 0.005 몰(1.422g)을 디클로로메탄(DCM) 30 ml에 용해시킨 후, 에틸렌글리콜(EG) 3 당량(0.9310g)을 첨가하고 빙수 조(ice-water bath)에서 교반하여 반응 매질을 냉각시켰다.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을 촉매로 사용하였다. 반응 매질을 0 ℃로 냉각시킨 후, 20 ml DCM 내에 2.27 g의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를 함유하는 미리 제조된 용액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DCC를 모두 첨가한 후, 빙수 조를 제거하고 반응 매질을 실온에서 이틀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멈추었을 때, 디시클로헥실우레아(DCU)에 해당하는 고체가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다. 반응 매질을 정제하기 위해 먼저 여과시킨 다음 탄산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각각의 세척 후에, 생성된 고체를 제거하고 유기상과 수성상의 분리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성물을 여과했다. 그 후 생성물을 희석된 염산 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생성물의 재결정화는 빙수 조에서 수행되었다. 얻어진 생성물에는 DCM에도 용해될 수 있는 DCU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메탄올에 대한 DCU의 용해도는 매우 높은 반면, 에스테르는 메탄올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재결정된 생성물을 메탄올로 5 분 동안 세척했다.
합성된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분자 구조는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과 양성자 NMR(1H NMR)으로 확인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FT-IR 스펙트럼은1650cm-1에서 1737cm-1로 피크 이동을 나타내며, 이는 카르복실산기의 에스테르기로의 변환에 해당한다.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양성자 NMR(1H NMR)은 예상되는 구조를 확인시켜준다.
도 4(b)에서,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1H NMR은 1.26 내지 1.31 ppm 사이의 넓은 일중항(singlet)은 지방산으로부터의 수소를 나타내고, 0.88 ppm에서의 삼중항(triplet)은 스테아르산의 메틸기와 관련된다. 1.64 ppm에 존재하는 다중항(multiplet)은 β 탄소상의 수소와 관련이 있는 반면, α 탄소상의 수소는 2.32 ppm에서의 삼중항에 나타난다. 3.65와 4.20 ppm에서의 삼중항은 에틸렌 글리콜 부분의 메틸렌 수소와 관련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시클로헥실우레아(DCU)는 중탄산 나트륨 및 염산 희석 용액으로 세척한 후에도 생성물 중에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결정 형태로 얻어진 생성물을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DCU은 메탄올에 대해 높은 용해도를 가지지 때문에, 메탄올로 생성물을 여러 번 세척했다. 도 5는 5 분 미만으로 교반하면 DCU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메탄올에서 5 분간 교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보여 주며, 5 분 이상 교반하면 역으로 생성물이 손상된다. FT-IR 스펙트럼에서 3326cm-1의 피크는 EGS의 O-H 스트레치와 중첩되는 DCU의 N-H 스트레치와 관련되어 있다.
2) 제2 단계 : 2-(포스포녹시)에틸 스테아레이트(2-(phosphonooxy)ethyl stearate)의 합성 및 정제
인산염 모노 에스테르의 합성을 위해 친핵성 염기(트리부틸아민)에 의해 촉진되는, 인산과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탈수 축합을 사용했다. 해당 방법은 등몰량(equimolar) 인산과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를 직접 응축시켜 인산 모노 에스테르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높은 반응 온도는 녹색 합성(green synthesis)에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공비 용매(DMF/EtNO2)가 선택되었다. 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EGS) 3 mmol(1.18g)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저열로 교반하여 EGS를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후, 반응 매질에 트리부틸아민(Bu3N) 3 mmol (0.71ml)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10 mol%(0.037g)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산(PA) 3,04 mmol(3.46ml)을 가하고 가열 환류 시켰다. Dean-Stark 장치는 물을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반응 시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었다. 반응 매질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액상의 재결정화를 수행 하였다.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미반응 2-(포스포노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를 제거 하였다.
생성물의 특성화는 FT-IR 및 1H NMR에 의해 수행되었다.
도 4(a)에서 1737cm-1에 나타나는 피크는 에스테르기와 연관되어 있다. 920cm-1과 1088cm-1 사이에 나타나는 다른 피크는 P-O-C 결합의 존재를 확인시켜준다. 또한, 1600 cm-1에서 1700 cm-1 사이에 위치한 피크는 O=P-OH기의 존재를 나타낸다.
도 4(b)에서, 양성자 NMR은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형성을 나타낸다. 0.75 ppm의 삼중항은 스테아르산의 메틸기와 연관되고, 1.12와 1.16 ppm 사이의 넓은 일중항은 지방산으로부터의 수소를 나타낸다. 피크는 용매가 다르기 때문에 낮은 ppm으로 천이하였다.
3) 제3 단계 : 페그화된 2-(포스포노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PEGylated 2- (phosphonooxy) ethyl stearate)의 합성 및 정제
슈테글리히 에스테르화(Steglich esterification)를 통해 2-(포스포노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 중합체에서 인산염기의 페그화가 이루어졌다. 스테아린산 2-(포스포노 옥시)에틸 스테아레이트 0.1 mol(0.195g)을 디클로로메탄(DCM) 30 ml에 녹인 후 폴리에틸렌글리콜(PEG) 2 당량(0.9310g)을 넣고 빙수 조에서 교반하여 반응 매질을 냉각시켰다.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10 mol%를 촉매로 사용하였다. 반응 매질을 0 ℃로 냉각시킨 후, DCM 20 ml에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0.227g을 함유하는, 미리 제조된 용액을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DCC를 모두 첨가한 후, 빙수 조를 제거하고 반응 매질을 실온에서 질소 존재 하에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매질을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 증발기로 증발시켰다. 유성(oily)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미량의 촉매를 제거하였다.
도 4(a)에 따르면, 성공적인 페그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3000cm-1에서 2820cm-1 사이에 위치한 강한 피크는 지방족 탄화수소 개수의 증가를 나타낸다. 1737cm-1에서의 피크는 지방산과 에틸렌글리콜 사이의 에스테르기의 존재를 확인시켜준다. 1000cm-1과 1100cm-1 사이에 위치한 피크는P-O-C기의 존재와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이 인(P)에 존재함을 확인시켜준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이 인산염의 수산기를 대체하기 때문에 1600 cm-1 내지 1700 cm-1의 범위에 위치한 피크는 낮은 파장으로 이동하고 강도가 감소한다.
또한, 로다민 B(Rhodamine B)를 이용한 염료 미셀화법을 통해, 계면 활성제의 주요 특성을 나타내는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를 측정하였다. 로다민 B 용액에 인산염 폴리머 용액을 섞은 후 각 용액에 대해 광발광(photoluminescence)을 측정하였다. 시료는 510 nm에서 여기 되었다. 염료 미셀화법은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후 염료의 형광 강도의 변화를 기반으로 한다. 계면 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하면 강도가 떨어진다. 도 7은 농도 6.38x10-4M에서 미셀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며, 기존 문헌과 비교하면 새로운 단량체 계면 활성제의 CMC가 다른 단량체 계면 활성제와 비교적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산염 계면활성제에 대한 봉독 sPLA-2(bee venom sPLA-2)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소화(digestion)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탠덤 질량 분석(LC/MS)을 실시하였다. 활성 봉독(bee venom) sPLA-2는 중합체의 소화에 사용되었고, 이후 절단된 단편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결합 질량 분석기(LC/MS)을 통해 확인되었다. 기질(substrate)로는 페그화된 중합체와 비교하여 더 낮은 분자량을 가지는 제2 단계의 중합체가 사용되었다.
도 8에 따르면, 인산염-계면 활성제에 효소를 첨가한 후에 용액에서 물리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sPLA-2 효소를 인산염-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용액에 첨가한 후에, 튜브의 상부로 이동하는 수분에 불용성 물질의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소화 후에, 물에 불용성이고 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스테아르산이 튜브의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LC/MS에 주입하기 전에 디클로로메탄(DCM) 내에 샘플을 추출하는 동안, 처리된 샘플의 수성상이 훨씬 더 깨끗하고 투명하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인산염-계면 활성제가 DCM에 잘 용해되는 스테아르산으로 효소에 의해 소화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합체만을 함유하는 용액의 질량 스펙트럼은 인산염 계면활성제에 상응하는 407.90 m/z에서 피크를 갖는다. 노이즈 피크와 비교하여 407.90 m/z에서의 피크의 강도는 매우 낮다. 이는 디클로로메탄(DCM) 이용해 추출하는 동안에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물에 대한 용해성 때문에 많은 양의 인산염-계면 활성제가 수성 상에 남아, 인산염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매우 낮음을 의미한다. 반면, 주입 후 질량 스펙트럼은 407.90 m/z에서의 피크가 사라짐을 보여주며, 이는 효소에 의한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가수 분해되어, 284 m/z에서 나타나는 스테아린산을 형성함을 나타낸다.
(3) UCNP의 미셀 내 캡슐화(encapsulation)
미셀 내에 UCNP을 캡슐화하기 위해 UCNP를 인산염-계면 활성제로 30 분 동안 실온에서 간단히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달성되었다. 그 후 UCNP 로딩된 미셀에 대해 FT-IR, EDAX 및 TEM을 통해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산염-계면 활성제는 PEG 사슬로 인해 물에 잘 녹기 때문에 UCNP는 계면 활성제와 함께 매우 빠르게 분산된다. UCNP가 성공적으로 미셀에 로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FT-IR를 이용해 확인했다(도 10). 해당 FT-IR 스펙트럼은 UCNP와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작용기의 존재를 확인시켜준다. 약 3435 cm-1 부근의 넓은 흡수 밴드는 UCNP에서 나오는 O-H 신장 진동에 해당하고 1737 cm-1의 피크는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에스테르기와 관련이 있다. 또한, 원소 분석(EDAX)을 실시한 결과(도 11), 예상한대로 모든 원자에 대한 피크가 존재했다 인(P)의 백분율이 PEG와 계면 활성제의 긴 탄화수소 사슬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인(P) 원자에 대한 피크는 상대적으로 낮다. 계면 활성제가 구리 테이프에 증착되어, 구리(Cu) 이온도 EDAX 스펙트럼에도 나타났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TEM 이미지는 입자의 표면이 메조포러스(mesoporous)인 것으로 나타나 UCNP가 미셀 내로 로딩 되었음을 확인시켜준다. TEM 이미지는 미셀의 크기가 50nm에서 200nm 사이인 반면 UCNP가 로딩된 미셀은 60nm에서 100nm의 범위에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입자를 이용한 세포 이미징
sPLA-2를 발현하는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UCNP 로딩된 미셀의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해 3 개의 상이한 세포가 선택되었다. HeLa(인간 자궁 경부암, 선암)는 가장 흔하고 가장 단단한 세포주이다. 또한, 비교적 취약한 세포 인 KB 세포주(HeLa contaminant, 암종)를 택했다. 위에서 전술한 두 세포주 모두 sPLA-2 효소를 과발현하지 않는다. 반면, 22Rv1(전립선 암종) 세포주는 sPLA-2 효소를 과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 결과, 서로 다른 3가지 세포주에 있어서 22Rv1 세포주에 대한 나노 입자의 선택성을 볼 수 있었다. 생체 외(In vitro) 바이오 이미징 분석 결과, 캡슐화된 UCNPs는 모든 세포, 특히 sPLA-2 비발현 세포주에 대한 독성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했다. UCNP의 방출은 HeLa 세포 및 KB 세포에서 과발현되지 않는 sPLA-2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UCNP가 로딩된 미셀은 계면 활성제로부터의 보호 쉘(shell)로 인해 이러한 유형의 세포에는 친화성이 없다. 도 13은 이러한 두 세포에서 매우 약한 업컨버젼 형광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그러나 22Rv1 세포주는 계면 활성제를 분해 할 수 있는 sPLA-2 효소를 과발현하므로 전립선 암세포의 표면에서 UCNP를 유리시키고 강렬한 업컨버젼 형광을 통해 전립선 암세포의 영상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러나, 캡슐화되지 않은 UCNP는 모든 세포에 친화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미셀 내에 캡슐화되지 않은 UCNP로 수행된 HeLa 및 KB 세포주에 대한 체내(in vitro) 바이오 이미징 결과를 도시하며, 이로부터 두 세포는 모두 UCNP로 둘러싸였으며 강한 업컨번젼 형광 이미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UCNP로 처리된 세포에서만 confluency에서 상대적인 손실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UCNP가 미셀이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았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입자 및 캡슐화되지 않은 UCNP의 세포 독성 분석(Cell Cytotoxicity Assay)
세포 독성은 모든 새로운 나노 물질, 특히 나노 의약에 적용되는 나노 물질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아래 표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MTT 분석 결과, 3가지 상이한 세포에 대해 UCNP는 독성의 감소를 나타냈다. UCNP 300 μg/mL 및 인산염-계면 활성제 0.002 M의 농도인 경우, 세포 독성은 HeLa, KB 및 22Rv1 세포주 각각 7.98 %, 13.16 % 및 6.47 %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22Rv1 세포주의 경우 세포 독성은 여전히 높으며, 이는 인산염-계면 활성제의 절단과 세포 표면 상에 고농도로 UCNP가 유리됨(liberation)에 따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HeLa KB 22Rv1
UCNP로 처리 86.23% 76.49% 71.60%
UCNP 로딩된 미셀로 처리 94.21% 89.65% 78.07%

Claims (11)

  1.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 및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가 로딩된(loaded)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업컨버젼 형광체 나노 입자는, NaAF4:B1/B2/B3 (단, 상기 A는 란탄족 원소이고, 상기 B1 , B2 및 B3는 서로 다른 희토류 원소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담체는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미셀(micelle)이며, 상기 인산염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암 세포 진단용 입자:
    [화학식]
    Figure 112018033881501-pat00018
    .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전립선 종양 세포에 대해 상기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를 담체로부터 선택적 방출(selective releas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암 세포 진단용 입자.
  6. 제5항에 있어서,
    전립선 종양 세포에서 과발현된 분비형 포스포리파아제 A2(sPLA-2)에 의해 상기 인산염(phosphate)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에스테르기(ester group)가 가수분해되어 업컨버젼(upconversion) 형광체 나노 입자가 담체로부터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암 세포 진단용 입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Y, Tb, Dy, Ho, Tm, Lu, La, Ce, Pr, Nd, Pm, Sm 및 E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암 세포 진단용 입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1 , B2 및 B3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Yb, Er, Sc,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Tm, 및 L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암 세포 진단용 입자.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48783A 2017-04-14 2017-04-14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KR101880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83A KR101880438B1 (ko) 2017-04-14 2017-04-14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PCT/KR2018/004254 WO2018190639A1 (ko) 2017-04-14 2018-04-11 전립선암 세포 표적 치료 및/또는 진단용 나노담체
US16/467,770 US11103599B2 (en) 2017-04-14 2018-04-11 Nanocarriers for prostate cancer cell targeted therapy and/or diagnosi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83A KR101880438B1 (ko) 2017-04-14 2017-04-14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438B1 true KR101880438B1 (ko) 2018-07-20

Family

ID=6310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83A KR101880438B1 (ko) 2017-04-14 2017-04-14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03599B2 (ko)
KR (1) KR101880438B1 (ko)
WO (1) WO201819063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873A (ko) * 2015-06-10 2016-12-21 한국화학연구원 친수성 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영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183A (en) 1986-07-03 1988-09-13 Advanced Magnetics Incorporated Biologically degradable superparamagnetic particles for use 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gents
EP2921179A1 (en) * 2014-03-17 2015-09-23 Fundación Centr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ardiovasculares Carlos III (CNIC) Micellar nanoparticles containing antitumoral glycosi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873A (ko) * 2015-06-10 2016-12-21 한국화학연구원 친수성 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영제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Gnach, T. Lipinski, A. Bednarkiewicz, J. Rybka, J. A. Capobianco, Chem. Soc. Rev. 2015, 44, 1561-1584.
C. Wang, H. Tao, L. Cheng, Z. Liu, Biomaterials 2011, 32, 6145-6154.
E. V Groman, L. Josephson, Biologically Degradable Superparamagnetic Particles for Use 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gents, 1988, US 4770183 A.
J. Mater. Chem. B. 5, 제2425-2435쪽 (2017.02.27.) 1부. *
K. H. Min, J.-H. Kim, S. M. Bae, H. Shin, M. S. Kim, S. Park, H. Lee, R.-W. Park, I.-S. Kim, K. Kim, et al., J. Control. Release 2010, 144, 259-266.
Langmuir. 26, 제1157-1164쪽 (2009.10.07.) 1부. *
M. V DaCosta, S. Doughan, Y. Han, U. J. Krull, Anal. Chim. Acta 2014, 832, 1-33.
S. Mura, J. Nicolas, P. Couvreur, Nat Mater 2013, 12, 991-1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3599B2 (en) 2021-08-31
WO2018190639A1 (ko) 2018-10-18
US20190321491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Nd 3+-sensitized NaLuF 4 luminescent nanoparticles for multimodal imaging and temperature sensing under 808 nm excitation
Chen et al. Preparation and photodynamic therapy application of NaYF4: Yb, Tm–NaYF4: Yb, Er multifunctional upconverting nanoparticles
US10179177B2 (en) Coated up-conversion nanoparticles
US6277841B1 (en) Quinoline ligands and metal complexes for diagnosis and therapy
Wang et al. Simultaneous synthesis and functionalization of water-soluble up-conversion nanoparticles for in-vitro cell and nude mouse imaging
Guo et al. Color-tunable Gd-Zn-Cu-In-S/ZnS quantum dots for dual modality magnetic resonance and fluorescence imaging
JP6861643B2 (ja) テキサフィリン−リン脂質複合体及びその調製方法
Pradeepkumar et al. Natural solvent-assisted synthesis of amphiphilic co-polymeric nanomicelles for prolonged release of camptothecin delivery
CN112480925B (zh) 基于x射线激发的近红外二区发光长余辉纳米探针、制备方法及其在活体成像分析上的应用
KR102395946B1 (ko) 마이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체
Sun et al. Biocompatible Gd III-functionalized fluorescent gold nanoclusters for optica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N114854415B (zh) 一种稀土光学探针及其制备方法与应用
Chen et al. Theranostic system based on NaY (Mn) F 4: Yb/Er upconversion nanoparticles with multi-drug resistance reversing ability
CN109180715B (zh) 一种硼-二吡咯亚甲基衍生物、纳米粒子、制备方法及应用
Doan et al. Fluorescence conjugated nanostructured cobalt-doped hydroxyapatite platform for imaging-guided drug delivery application
KR101880438B1 (ko) 업컨버젼 나노 입자가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바이오 이미징용 입자
Liu et al. Multilayered upconversion nanocomposites with dual photosensitizing functions for enhanced photodynamic therapy
KR102413027B1 (ko) 고강도집중초음파 감응성 나노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일산화질소 전달 시스템
CN109568675A (zh) 降解速率可荧光标记的聚酯/周期性介孔骨填充复合材料的制备及产品和应用
Chen et al. Ligand‐functionalization of BPEI‐coated YVO4: Bi3+, Eu3+ nanophosphors for tumor‐cell‐targeted imaging applications
Wang et al. Quaternary alloy quantum dots with widely tunable emission–a versatile system to fabricate dual-emission nanocomposites for bio-imaging
CN114805397B (zh) 可在体内长时间循环的有机荧光小分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920793B (zh) 一种可见光/近红外二区发射增强的稀土发光材料
KR102087847B1 (ko) 약물이 로딩된 인산염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전달체
CN115141358A (zh) 一类具有长余辉发光性质的有机聚合物分子或有机聚合物纳米粒子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