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674B1 -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 Google Patents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674B1
KR101879674B1 KR1020160158969A KR20160158969A KR101879674B1 KR 101879674 B1 KR101879674 B1 KR 101879674B1 KR 1020160158969 A KR1020160158969 A KR 1020160158969A KR 20160158969 A KR20160158969 A KR 20160158969A KR 101879674 B1 KR101879674 B1 KR 10187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rotor
refrigerant
back pressure
cam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004A (ko
Inventor
주도재
전찬대
류희도
Original Assignee
영신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압축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냉매가 출입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인가되어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의 방경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베인과; 상기 로터와 편심되어 상기 베인이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캠링과, 상기 캠링과 상기 로터 사이에서 냉매가 흡입되어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가능 하게 상기 로터, 상기 베인 및 상기 캠링의 양측에 결합된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펌프부;를 구비하되, 상기 베인이 상기 캠링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도되도롤 형성된 배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성능 및 압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베인과 캠링이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따라 유발되는 불필요한 토크를 억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Vehicl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Vane Back-pressure Configu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압축기의 베인측 후방으로 압축된 냉매가 유도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많은 부품이 소요되고 있으며 운전자나 승객의 편안함과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 내부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조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공조설비 부품 중 냉매를 압축하는 수단으로 축전지 또는 엔진과 결합되어 회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압축기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매압축기는 기어 타입, 베인 타입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베인 타입과 관련되어 있다.
베인 타입의 냉매압축기에서는 베인이 로터를 출입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베인이 보다 효과적으로 출입하여 캠링과 접촉하면서 흡입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과도한 마찰력 등에 따른 회전축의 흔들림, 베인과 캠링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해 소착되는 현상이 예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 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0209호 (2015.05.08.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9890호 (2015.05.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성능 및 압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인과 캠링이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따라 유발되는 불필요한 토크를 억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시 구동축의 흔들림이나 베인의 소착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압축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냉매가 출입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인가되어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의 방경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베인과; 상기 로터와 편심되어 상기 베인이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캠링과, 상기 캠링과 상기 로터 사이에서 냉매가 흡입되어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가능 하게 상기 로터, 상기 베인 및 상기 캠링의 양측에 결합된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베인이 상기 캠링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도되도록 형성된 배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배압라인은, 상기 압축실과 상기 토출구 사이의 압축된 냉매를 상기 구동축에 가까운 베인 후방으로 유도하는 배압홀과, 상기 배압홀과 연통되어 상기 베인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판면에서 함몰 형성된 배압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압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상기 구동축의 중심과 이루는 각도는 52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 사이의 각도인 72도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압그루브가 시작하는 각도는 상기 구동축의 중심에서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상기 베인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실과 연통된 흡입포트가 시작되는 각도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압축실로 각각 흡입 및 토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흡입포트와 토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압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각 단부와 회전방향으로 보아 상기 흡입포트가 시작되는 점 및 상기 토출포트가 끝나는 점이 상기 구동축의 중심을 이루는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성능 및 압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베인과 캠링이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따라 유발되는 불필요한 토크를 억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시 구동축의 흔들림이나 베인의 소착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압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사시도 및 요부 부분 확대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펌프부의 종단면도, 횡단면도 및 캠링 내외부로 냉매가 출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흡입측 및 토출측 사이드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c는 도 4b에 흡입포트를 오버랩시킨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냉매압축기(100, 이하에서 '냉매압축기'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압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 사시도 및 요부 부분 확대사시도이며, 도 3a, 도 3b 및 도 3c는 펌프부의 종단면도, 횡단면도 및 캠링 내외부로 냉매가 출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흡입측 및 토출측 사이드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c는 도 4b에 흡입포트를 오버랩시킨 평면도이다.
압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냉난방을 위한 공소설비에 사용되며 외관을 형성하고 냉매가 출입하는 흡입구(115a)와 토출구(115b)가 형성된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인가되어 회전하는 모터(131)를 포함하는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부(130)와 결합된 구동축(151)의 회전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구동부(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터(152)와; 상기 로터(1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152)의 방경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상기 로터(152)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베인(153)과; 상기 로터(152)와 편심(도 3의 'e' 참조)되어 상기 베인(153)이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캠링(157)과, 상기 캠링(157)과 상기 로터(152) 사이에서 냉매가 흡입되어 압축되는 압축실(156)을 형성가능 하게 상기 로터(152), 상기 베인(153) 및 상기 캠링(157)의 양측에 결합된 사이드플레이트(155);를 포함하되, 상기 베인(153)이 상기 캠링(157)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5)에 상기 압축실(156)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도되도롤 형성된 배압라인(1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1)는 압축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구동부(130)를 지지하는 하우징본체(111a)와 하우징본체(111a)와 결합되어 펌프부(150)를 수용 가능하게 지지지하는 하우징커버(111b)를 구비한다. 하우징(111)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흡입구(115a)와 펌프부(150)에서 가압되어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115b)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1)은 다양한 금속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차량의 경량화, 연비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부(150) 상부에는 토출구(115b)로 가압된 냉매가 토출되기 전에 냉매 등에 혼입된 오일을 냉매로부터 분리하는 세퍼레이터(113)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130)는 하우징(111)에 수용되어 밀폐된 구조로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133)에 결합된 미도시된 회전자, 회전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미도시된 고정자와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를 포함한다.
펌프부(150)는, 베인 타입으로 구비되어 흡입구(115a)에서 유입된 냉매가 흡입구측 사이드플레이트(115a)에 형성된 흡입포트(158a)를 통해 압축실(156)로 유입되어 베인(153)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어 토출측 사이드플레이트(115b)에 형성된 토출포트(158b)로 배출되어 토출구(115b)를 통해 하우징(111) 외부로 유도된다.
펌프부(150)는, 통상의 베인 타입 압축기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어 모터축(133)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축(151)과, 로터(152)와, 로터(152)에 결합된 베인(153)과, 베인(153)이 출입 가능하도록 로터(152)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슬롯(154)과, 슬롯(154)에서 로터(152)의 최내측 하단부에 베인(153)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압축된 냉매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롯배압홈(154a)과, 로터(152) 및 캠링(157)의 양측에 결합되어 압축실(156)을 형성하는 흡입측 및 토출측 사이드플레이트(155a, 155b)와, 배압라인(170)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배압라인(170)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베인 타입 펌프부(150)와 동일하므로 펌프부(15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배압라인(170)은 상기 압축실(156)과 상기 토출구(115b) 사이의 압축된 냉매를 상기 구동축(151)에 가까운 베인(153) 후방으로 유도하도록 사이드플레이트(155)에 관통 형성된 배압홀(171)과, 상기 배압홀(171)과 연통되어 상기 베인(153)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55)의 판면에서 함몰 형성된 배압그루브(173, 173a, 173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배압그루브(173)의 가압된 냉매는 회전하는 베인(153)의 슬롯배압홈(154a)과 연통하여 베인(153)을 캠링(157)측으로 가압하여 베인(153)이 캠링(157)의 내측에 밀착하도록 한다. 이러한 베인(153)의 가압에 의해 특히 초기 흡입 영역에서 냉매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압그루브(173)가 시작하는 각도는 상기 구동축의 중심에서 상기 로터(152)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상기 베인(153)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실과 연통된 흡입포트(158a)가 시작되는 위치 내지 각도보다 빠른 것(도 4a에서 'α open' 참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베인(153)은 흡입포트(158a)보다 빨리 캠링(157) 내주면으로 가압되어 캠링(157)과 접촉된 상태에서 흡입포트(158a)로 진입할 수 있어 베인(153)과 캠링(157) 사이가 밀착되어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고 회전하면서 흡입포트(158a)를 통과하면서 베인(153)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리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여 흡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압그루브(173)가 형성되지 않은 각도(도 4a 내지 4c에서 'α gap' 참조, X1에서 X2 사이)는, 상기 구동축(151)을 중심으로 '52'도를 포함하며, 이러한 각도 52도는 상기 베인(153) 사이의 각도(도 3b에서 'α vane' 참조)인 '72'도보다 작아 바람직하다. 즉, 베인(153)이 1 회전하는 과정에서 두 개의 슬롯배압홈(154a)이 동시에 배압그루브(173)에 걸쳐 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베인(153)과 캠링(157)이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따라 유발되는 불필요한 토크를 억제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배압라인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경우 특히 편심량이 제일 적은 측(도 3b의 'e min' 참조)에서 배압이 작용하여 구동축(151)이 흔들릴 수 있는 흔들림이나 베인(153)의 소착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편심량이 제일 적은 영역('e min')에서는 베인(153)과 캠링(157) 사이에 윤활 작용이나 냉각 작용을 할 수 있는 냉매의 량이 적어 과도하게 베인(153)을 캠링(157)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베인(153) 등이 가열되어 소착될 우려가 있어 이러한 영역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베인(153)에 배압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심량이 제일 적은 영역 'e min'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압그루브(173)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배압그루브(173)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α gap)는 52도이고 베인(153) 사이 각도와 베인 두께, 회전속도 등을 고려한 경우 이 보다 더 크거나 작은 경우 초기의 흡입능력과 회전축의 흔들림 소착 현상 등을 고려하였을 때 최적임을 고려한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도 2의 'e max'은 로터(152)의 외주와 캠링(157)의 내주 사이에 편심된 거리가 최대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4b의 사이드플레이트(155)를 평면으로 본 도면에서 도시된 두 개의 점(도 4b 'Point' 참조)은 가압 된 냉매를 배압그루브(173)로 안내하는 관통 홀인 배압홀(171)이 형성된 부분을 표시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 되게 180도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점('Point')을 이은 선은 항상 배압그루브(173)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 개의 점은 흡입 영역의 큰 영역 또는 중앙과 토출 영역의 중앙 또는 큰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배압이 빠른 속도로 베인(153)에 작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측 및 토출측 배압그루브(173a, 173b)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 4b의 'α gap')의 일측 단부와 두 개의 점(Point)를 이은 선이 중심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 중 적은 각도(도 4b에서 X1과 Xp 사이의 각도)를 'α point'로 표시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측 및 토출측 배압그루브(173a, 173b)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 4b의 'α gap')의 흡입포트(158a) 단부(도 4c의 'X2' 참조)와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흡입포트(158a)가 시작되는 단부(도 4c의 'Xo' 참조)가 이루는 각도(도 4c의 'α open' 참조)는 8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측 및 토출측 배압그루브(173a, 173b)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 4b의 'α gap')의 토출포트(158c)측 단부(도 4c의 'X1' 참조)와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토출포트(158c)가 끝나는 단부(도 4c의 'Xc' 참조)가 이루는 각도(도 4c의 'α close' 참조)는 8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는 베인(153)의 두께(예를 들면, 3.5mm), 베인(153) 사이의 각도(72도), 펌프 효율, 소음 등을 고려하면 다양한 조건, 실시한 시험을 고려하여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흡입이 시작되기 전에 베인(153)에 배압이 작용하고, 토출이 끝나고 나서 배압의 공급이 차단 되도록 배압그루브(173a, 173b)가 형성되어 있어 압력실에서 흡입 및 토출 되는 압력과 같거나 높은 압력으로 베인(153)을 캠링(157)측으로 밀어주어서 펌프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소음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배압그루브(173a, 173b)가 형성되지 않은 각 단부(X1, X2)와 회전방향으로 보아 상기 흡입포트(158a)가 시작되는 점(Xo과 만나는 점) 및 상기 토출포트(158c)가 끝나는 점(Xc과 만나는 점)이 상기 구동축(151)의 중심과 이루는 각도(αopen 및 α close)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구동축(151)에 작용하는 배압에 의한 모멘트가 동일하여 구동축(151)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3c를 참조하여 펌프부(150) 내측의 냉매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흡입측 사이드플레이트(155a)의 흡입포트(158a)를 통과한 냉매는 흡입포트(158a)의 크기로 대응하여 캠링(157)으로 연통되어 회전축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공간(미도시)과 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공간(미도시)를 통해 압축실(156)과 연결('Inlet' 화살 표시 참조)되어 있다.
압축실(156)에 흡입된 냉매는 베인(153)의 회전에 따라 압축되어 압축된 냉매는 캠링(157)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홀(158b)를 통해 하우징커버(111b)와 공간(158b1)을 통과('Outlet' 화살 표시 참조)하여 토출측 사이드플레이트(155b)이 토출포트(158c)를 거쳐 토출구(117)로 토출되고 일부는 배압라인(170)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성능 및 압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베인과 캠링이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따라 유발되는 불필요한 토크를 억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시 구동축의 흔들림이나 베인의 소착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압축기 111 : 하우징
111a : 하우징본체 111b : 하우징커버
113 : 세퍼레이터 115 : 흡입구
117 : 토출구
130 : 구동부 131 : 모터
133 : 모터축 150 : 펌프부
151 : 구동축 152 : 로터
153 : 베인 154 : 슬롯
154a : 슬롯배압홈 155, 155a, 155b : 사이드플레이트
156 : 압축실 157 : 캠링
170 : 배압라인 171 : 배압홀
173 : 배압그루브

Claims (5)

  1. 자동차용 압축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냉매가 출입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인가되어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터의 방경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베인과; 상기 로터와 편심되어 상기 베인이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캠링과, 상기 캠링과 상기 로터 사이에서 냉매가 흡입되어 압축되는 압축실을 형성가능 하게 상기 로터, 상기 베인 및 상기 캠링의 양측에 결합된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펌프부;를 구비하되,
    상기 베인이 상기 캠링측으로 가압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도되도록 형성된 배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배압라인은, 상기 압축실과 상기 토출구 사이의 압축된 냉매를 상기 구동축에 가까운 베인 후방으로 유도하는 배압홀과, 상기 배압홀과 연통되어 상기 베인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판면에서 함몰 형성된 배압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압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상기 구동축의 중심과 이루는 각도는 52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 사이의 각도인 72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그루브가 시작하는 각도는 상기 구동축의 중심에서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으로 보아 상기 베인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실과 연통된 흡입포트가 시작되는 각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압축실로 각각 흡입 및 토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흡입포트와 토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배압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각 단부와 회전방향으로 보아 상기 흡입포트가 시작되는 점 및 상기 토출포트가 끝나는 점이 상기 구동축의 중심을 이루는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160158969A 2016-11-28 2016-11-28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KR10187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69A KR101879674B1 (ko) 2016-11-28 2016-11-28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69A KR101879674B1 (ko) 2016-11-28 2016-11-28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04A KR20180060004A (ko) 2018-06-07
KR101879674B1 true KR101879674B1 (ko) 2018-08-02

Family

ID=6262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69A KR101879674B1 (ko) 2016-11-28 2016-11-28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080A (ja) 2000-08-07 2002-02-15 Seiko Instruments Inc 気体圧縮機
JP2014190263A (ja) 2013-03-27 2014-10-06 Valeo Japan Co Ltd ベーン型圧縮機
JP2016121560A (ja) 2014-12-24 2016-07-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気体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389U (ja) * 1993-03-22 1994-10-18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080A (ja) 2000-08-07 2002-02-15 Seiko Instruments Inc 気体圧縮機
JP2014190263A (ja) 2013-03-27 2014-10-06 Valeo Japan Co Ltd ベーン型圧縮機
JP2016121560A (ja) 2014-12-24 2016-07-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気体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04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7136B (zh) 具有旁路孔的涡旋式压缩机
US11225968B2 (en) Scroll compressor
US8128387B2 (en) Discharge chamber for dual drive scroll compressor
JP5901446B2 (ja) 回転型圧縮機
US9341064B2 (en) Vane rotary compressor having a hinge-coupled vane
JP6320811B2 (ja) 気体圧縮機
US20150267717A1 (en) Turbo type fluid machine
US20110142705A1 (en) Rotary compressor
US20090148314A1 (en) Scroll Fluid Machine
JP6115228B2 (ja) ベーン型圧縮機
CN109751242A (zh) 一种用于汽车空调压缩机的动力转换装置
US9033675B2 (en) Rotary vane compressor
KR101879674B1 (ko) 베인 배압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냉매압축기
CN203532255U (zh) 一种汽车空调电动旋转式压缩机
CN103362809B (zh) 级联式叶片压缩机
JP2016003606A (ja) 気体圧縮機
JP3821028B2 (ja) 車両用回転圧縮機
US20090175739A1 (en) Dual drive compressor
CN207568833U (zh) 一种汽车空调电动压缩机反向孔用弹性挡圈
KR100590650B1 (ko) 차량용 진공펌프
JP2000161256A (ja) スクロール型コンプレッサ
US10253773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mpressor
JP2020186660A (ja) ロータリ圧縮機
JP2004308428A (ja) 気体圧縮機の開閉弁、及び気体圧縮機
JPS5851425Y2 (ja) ベ−ン型回転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