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41B1 -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41B1
KR101879441B1 KR1020160174223A KR20160174223A KR101879441B1 KR 101879441 B1 KR101879441 B1 KR 101879441B1 KR 1020160174223 A KR1020160174223 A KR 1020160174223A KR 20160174223 A KR20160174223 A KR 20160174223A KR 101879441 B1 KR101879441 B1 KR 10187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frame
frame
cap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512A (ko
Inventor
최동건
박양재
Original Assignee
최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건 filed Critical 최동건
Priority to KR102016017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비상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차폐하는 배면판(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에 의해 글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비상 깜빡이가 점멸되도록 하는 LED판(4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이 타 부품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5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자성을 가져 본체프레임(100)이 금속물체의 상면에 직립되도록 하는 설치자석(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등과 글자 표시로 인하여 2차 교통사고가 방지되는 한편, 본체의 설치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Display device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의 비상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여 외부에 비상 상태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길가에 삼각대를 설치하여 후방에서 오는 운전자에게 알리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삼각대는 도로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운전자의 시야에 띄기 어려우며, 특히 야간에는 어두워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후방으로 일정 거리 전진한 다음 수작업으로 세워야 하므로, 운전자가 위험에 빠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특허 제10-1653949호에서와 같이 발광 방식을 이용하여 야간에도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도록 하는 안전표지판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선된 기술에서도 안전표지판의 보관가 설치가 어려워, 긴급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설치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165394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등과 글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구비되어 뒤따르는 운전자에게 비상 상태와 이상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이 가능한 본체가 차량에 고정되는 설치프레임에 용이하게 착탈되고, 차량 외부에 설치가 편리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차폐하는 배면판(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에 의해 글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비상 깜빡이가 점멸되도록 하는 LED판(4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이 타 부품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5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자성을 가져 본체프레임(100)이 금속물체의 상면에 직립되도록 하는 설치자석(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차량의 일단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설치프레임(700)과;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단이 체결되는 캡(800)과; 상기 캡(8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캡(8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수단(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면판(200)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판(200)이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부착자석(22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5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누름버튼(510)과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버튼(510)을 지지하는 버튼부재(520)와; 상기 버튼부재(52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30)와;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53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버튼부재(5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기부재(54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돌기부재(5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링크(550)와; 상기 돌기부재(5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버튼(510) 및 걸림돌기(5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스프링(56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900)은, 상기 캡(800)의 내면에 고정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브라켓(910)과;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일단이 탄성브라켓(9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재(920)와; 상기 돌출부재(9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돌출부재(920)의 일단이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부재스프링(9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를 순차적으로 발광하는 비상등과 글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동시에 구비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운전자가 긴급 상황과 비상상태 내용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가 설치프레임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측 등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된다. 따라서, 차량의 트렁크 등에 고정 설치하는 외에, 본체만을 분리하여 차량의 상면 등에 직립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되어, 원터치 동작에 의해 본체가 설치프레임과 연결된 캡에 착탈된다. 따라서, 보관과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상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하방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캡과 탄성수단의 상방 분해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캡과 탄성수단의 후방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수단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상방 및 하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캡과 탄성수단의 상방 및 후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수단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는, 크게 비상등과 글자 등을 직접 외부로 표시하는 본체(10)와 이러한 본체(10)를 차량의 트렁크 등에 장착되도록 하는 설치프레임(700)과 캡(8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체(10)는,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차폐하는 배면판(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에 의해 글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상 깜빡이가 점멸되도록 하는 LED판(4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프레임(100)이 타 부품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5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자성을 가져 본체프레임(100)이 금속물체의 상면에 직립되도록 하는 설치자석(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여기에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과 배면판(200) 등이 결합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에는 설치자석(6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에는 좌우로 길게 설치자석(600)이 내장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자석(600)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량의 상면 지붕과 같이 금속재질에는 상기 설치자석(600)이 자력에 의해 끌리게 되므로, 상기 본체(10)를 차량의 지붕에 세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설치홀(1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설치홀(110)은 내면에 탭이 형성된 홈으로, 이러한 설치홀(110)은 카메라 삼각대(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삼각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를 직립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면 좌우 양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버튼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홀(1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수단(500)의 누름버튼(510)이 돌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저면 좌우 양단에는 돌기홀(1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돌기홀(1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수단(500)의 걸림돌기(530)가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면판(2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면판(2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외형과 같은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면판(200)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배면판(200)과 본체프레임(1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방수패킹(21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배면판(200)의 상면 후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LED판(400)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LED판(400)은 적색LED와 파랑색LED로 각각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번갈아 발광되도록 구성된다. 즉, 외부에서 타 운전자가 비상 상황을 인식하도록 반복적으로 적색과 파랑색을 깜박이게 구성된다. 이러한 비상깜박이 구성은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LED판(400)에서 생성된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된 LED창(410)을 통해 외부로 보여지게 된다.
상기 배면판(200)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배면판(200)이 아래에서 설명할 설치프레임(700)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부착자석(220)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200)의 저면에는 좌우에 쌍으로 다수의 부착자석(22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부착자석(220)은 상기에서 설명한 설치자석(600)과 같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자석(220)은, 자력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아래에서 설명할 설치프레임(70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설치프레임(700)이 차량의 트렁크나 후면 유리 등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부착자석(220)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설치프레임(700)에 쉽게 부착 설치되고, 본체(10)를 일정 힘 이상으로 당기면 설치프레임(700)으로부터 분리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링크지지대(7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 또는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 또는 자체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글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LED 등에 의해 외부로 글자나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LED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글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은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LED판(400)은,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후측, 즉 상기 배면판(200)의 상면 후측에 구비되며, 비상 깜빡이가 점멸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LED판(400)에서 생성되는 빛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후측에 구비되는 LED창(410)을 통해 상방으로 투시된다.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이 타 부품에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좌우 양단에 각각 내장되어 상기 본체(10)가 아래에서 설명할 캡(800)에 착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자석(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앞측에 내장되거나 전면이 본체프레임(10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를 세우게 되면, 상기 설치자석(600)이 차량의 상면에 부착되므로 본체(10)가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차량의 일단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설치프레임(700)과,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단이 체결되는 캡(800)과, 상기 캡(8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캡(8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수단(900) 등이 더 구비된다.
상기 설치프레임(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각기둥이 연결된 사각 형상의 뼈대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트렁크 내부 상면 등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프레임(700)에 상기 본체(1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후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링크지지대(710)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러한 링크지지대(710)의 상단에는 설치링크(7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설치링크(7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지지대(7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8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설치링크(720)는 상기 캡(800)이 상기 설치프레임(7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링크(720)는 상기 캡(800)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한,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링크지지대(710)에 고정되거나, 아래에서 설명할 캡(800)의 측면판(85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800)은,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후단이 체결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캡(800)은 전방이 개구되고 상면과 하면이 서로 라운드지게 결합된 '⊂'형상(좌측에서 볼 때) 및 '⊃'형상(우측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을 제외하고는 개방되어 '
Figure 112016124769932-pat00001
'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800)의 상면이 개방된 이유는, 여기에 상기 LED창(410)이 위치되어 상기 LED판(400)에서 점멸되는 비상등 불빛이 상방으로 투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캡(800)의 저면 좌우 양단에는 돌기홈(810)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8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수단(500)의 걸림돌기(53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홈(810)은 걸림돌기(530)가 충분히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되거나,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800)의 좌우는 개구되어 있으며, 이러한 캡(800)의 좌우에는 한 쌍의 측면판(850)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캡(800)의 좌우를 차폐한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판(850)에는 상기 설치링크(720)가 삽입되는 링크공(852)이 형성된다.
상기 캡(800)에는 한 쌍의 탄성수단(900)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800)의 내부 후면에는 탄성지지부(820)가 형성되고, 이러한 탄성지지부(820)에 상기 탄성수단(90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탄성수단(900)은, 상기 캡(8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캡(8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캡(800)의 내부에 상기 본체(10)가 수용된 후, 본체(10)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으로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전방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수단(900)은, 상기 캡(800)의 내면에 고정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브라켓(910)과,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일단이 탄성브라켓(9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재(920)와, 상기 돌출부재(9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돌출부재(920)의 일단이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부재스프링(9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브라켓(910)은, 상기 캡(800)의 내면 후측에 고정되며,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브라켓(9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은 상기 캡(800)의 후면과 같이 후방으로 돌출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브라켓(910)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부재(920)가 출입 가능한 사각형상의 부재홀(912)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전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후면과 대응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탄성브라켓(910)의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920)의 선단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홀(91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홀(914)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이 개구된 사각통상의 돌출부재(920)의 단면보다는 더 크고, 돌출부재(920)의 부재테두리(922) 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920)가 상기 돌출홀(914)을 통해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부재테두리(922)에 걸려 돌출부재(920)가 탄성브라켓(910)의 전방으로는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재(920)의 내부는 후방이 개구되어 스프링홈(924)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홈(924)에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스프링(930)이 수용되어 상기 돌출부재(920)가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돌출홀(914)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92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핀공(926)이 형성되고, 이러한 핀공(926)에 상기 부재스프링(9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스프링핀(932)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스프링핀(932)이 상기 스프링홈(924)을 상하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러한 스프링핀(932)에 상기 부재스프링(930)이 설치되며, 부재스프링(930)의 후단은 상기 탄성지지부(820)에 접하고 선단은 상기 돌출부재(920)에 접하게 되어 탄성으로 돌출부재(920)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920)는,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내측에 수용되며, 선단이 탄성브라켓(9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을 전방으로 탄성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재스프링(930)은, 상기 돌출부재(920)의 후측에 구비되어 돌출부재(920)의 선단이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외측(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압축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좌우에 내장되어 본체(10)가 상기 캡(800)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500)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5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누름버튼(510)과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버튼(510)을 지지하는 버튼부재(520)와, 상기 버튼부재(52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30)와,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53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버튼부재(5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기부재(54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돌기부재(5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링크(550)와, 상기 돌기부재(5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버튼(510) 및 걸림돌기(5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스프링(5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버튼(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12)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51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버튼홀(120)을 통해 본체프레임(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510)의 단면 크기는 상기 버튼홀(120)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512)의 테두리 크기는 상기 버튼홀(12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500)의 누름버튼(510) 부분만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부재(5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누름버튼(510)과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버튼(5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520)는, 상기 누름버튼(5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걸림돌기(5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재(52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걸림돌기(530)는 상기 버튼부재(520)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돌기(530)는 돌기부재(5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걸림돌기(5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및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530)의 선단(전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후면은 아래로 갈수록 점차 전면에 접하는 곡률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돌기(530)는 전면은 수직 평면을 가지면서도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30)의 후단과 하단이 라운드지게 점차 좁아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걸림돌기(5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상기 캡(800) 내부로 밀어넣으면 자동으로 본체(10)가 캡(80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돌기부재(540)는, 전후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단은 상기 걸림돌기(5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버튼부재(5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재(540)에는 중심링크(550)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중심링크(55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돌기부재(5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돌기부재(540)와 상기 버튼부재(52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연결링크(570)가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재(540)의 선단과 상기 버튼부재(520)의 하단은 연결링크(57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돌기부재(540)의 상측에는 복귀스프링(5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복귀스프링(560)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돌기(5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800)의 돌기홈(810)에 수용되도록 한다. 즉, 상기 복귀스프링(560)은 상기 누름버튼(510) 및 걸림돌기(5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으로 강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면에는 레이더 발사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레이더 전파를 활용하여 후방에서 차량이 진입하고 있음을 운전자 등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모터 등을 더 구비하여 리모컨 등으로 상기 본체(10)가 상기 설치링크(720)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설치프레임(7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겹쳐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과 LED판(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작동버튼 등이 더 구비되며, 자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과 LED판(40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도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도 1 및 도 3과 같이 전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프레임(700)은 차량의 트렁크 내부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트렁크를 열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도 1과 같이 본체(10)와 설치프레임(70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트렁크의 천정에 메달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본체(10)가 상기 설치링크(720)를 축으로 회전하여 본체(10)가 직립되도록 하거나, 손으로 상기 본체(10)의 설치자석(600) 부분을 잡은 다음 당기면, 상기 부착자석(2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설치프레임(700)에 밀착되어 있던 본체(10)가 상하로 직립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이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상기 LED판(400)이나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을 작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LED판(400)에서 빨강과 파랑색 빛이 번갈아 켜지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을 통해서는 '고장' , '사고중', '공사중' 등의 글자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므로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이를 인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5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체결수단(500)을 구성하는 걸림돌기(530)가 상기 캡(800)의 돌기홈(81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본체(10)의 상단은 상기 캡(800) 내부로부터 이탈되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본체(10)를 상기 설치자석(600)이 아래를 향하도록 세운다. 즉, 차량의 지붕에 상기 설치자석(600)이 아래를 향하도록 세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설치자석(600)의 자력이 금속재질을 가지는 차량 지붕에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본체(1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설치홀(110)에 삼각대를 연결하여 차량의 상부에 설치하거나, 도로상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800)으로부터 분리된 본체(10)를 다시 캡(8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본체(10)의 후단을 캡(800)의 전방으로부터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가능하다. 즉, 상기 본체(10)의 후단을 캡(800)의 전방으로부터 밀어넣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30)가 상기 캡(800)의 선단에 접하면서 상기 복귀스프링(560)의 탄성을 이기게 되어, 상기 걸림돌기(530)가 위로 올라가게 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 내부로 들어간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후단이 점차 캡(8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걸림돌기(530)가 상기 캡(800)의 돌기홈(810)에 이르게 되면, 상기 복귀스프링(5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기 걸림돌기(530)가 본체프레임(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캡(800)의 돌기홈(8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본체(10)가 상기 캡(80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상기 캡(800)에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분리된 본체(10)가 캡(800)에 자동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100. 본체프레임
110. 설치홀 120. 버튼홀
200. 배면판 210. 방수패킹
220. 부착자석 300. 디스플레이수단
400. LED판 410. LED창
500. 체결수단 510. 누름버튼
520. 버튼부재 530. 걸림돌기
540. 돌기부재 550. 중심링크
560. 복귀스프링 570. 연결링크
600. 설치자석 700. 설치프레임
800. 캡 810. 돌기홈
900. 탄성수단 910. 탄성브라켓
920. 돌출부재 930. 부재스프링
932. 스프링핀

Claims (5)

  1.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차폐하는 배면판(2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에 의해 글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비상 깜빡이가 점멸되도록 하는 LED판(4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이 타 부품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수단(5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자성을 가져 본체프레임(100)이 금속물체의 상면에 직립되도록 하는 설치자석(60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차량의 일단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설치프레임(700)과,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단이 체결되는 캡(800)과, 상기 캡(8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이 캡(8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탄성수단(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200)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판(200)이 상기 설치프레임(700)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부착자석(22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50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프레임(100)의 상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누름버튼(5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누름버튼(510)과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버튼(510)을 지지하는 버튼부재(520)와;
    상기 버튼부재(52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면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30)와;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53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버튼부재(5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기부재(540)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내장되며, 상기 돌기부재(5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링크(550)와;
    상기 돌기부재(5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버튼(510) 및 걸림돌기(5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복귀스프링(56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900)은,
    상기 캡(800)의 내면에 고정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브라켓(910)과;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일단이 탄성브라켓(9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재(920)와;
    상기 돌출부재(9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돌출부재(920)의 일단이 상기 탄성브라켓(9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강제하는 부재스프링(9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KR1020160174223A 2016-12-20 2016-12-20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KR10187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23A KR101879441B1 (ko) 2016-12-20 2016-12-20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23A KR101879441B1 (ko) 2016-12-20 2016-12-20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512A KR20180071512A (ko) 2018-06-28
KR101879441B1 true KR101879441B1 (ko) 2018-07-17

Family

ID=6278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223A KR101879441B1 (ko) 2016-12-20 2016-12-20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800A (ja) * 2004-06-03 2005-12-15 Shinei Kk 表示パネル
KR20090075382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 장치
KR20100112807A (ko) * 2009-04-10 2010-10-2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상품 표시기 어셈블리
KR20110083266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광고용 패널
JP2012007977A (ja) * 2010-06-24 2012-01-12 Panasonic Corp 超音波式流量計測装置
KR20120000560U (ko) * 2010-07-14 2012-01-20 길상원 차량 부착형 경고 표시판
KR20160141995A (ko) * 2015-06-02 2016-12-12 에이치와이이엔지 주식회사 팔레트 지지용 로드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49B1 (ko) 2015-05-11 2016-09-05 홍철진 고장차량 표시용 도로 비상상태 발광 안전교통표지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800A (ja) * 2004-06-03 2005-12-15 Shinei Kk 表示パネル
KR20090075382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 장치
KR20100112807A (ko) * 2009-04-10 2010-10-2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 상품 표시기 어셈블리
KR20110083266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광고용 패널
JP2012007977A (ja) * 2010-06-24 2012-01-12 Panasonic Corp 超音波式流量計測装置
KR20120000560U (ko) * 2010-07-14 2012-01-20 길상원 차량 부착형 경고 표시판
KR20160141995A (ko) * 2015-06-02 2016-12-12 에이치와이이엔지 주식회사 팔레트 지지용 로드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512A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839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20150000092U (ko) 차문개폐 시의 자동조명강화 및 경고용 안전장치
US10556537B2 (en) Vehicle messaging system
KR200460364Y1 (ko) 차량 부착형 경고 표시판
US20070109145A1 (en) Lighted display device with user selectable message
US10086755B2 (en) Mat including LED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US8021029B2 (en) LED emergency light safety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879441B1 (ko) 차량용 상태 표시장치
KR101894723B1 (ko) 인플랫터블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KR20160123582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KR200329139Y1 (ko) 자동차 안전삼각대
KR20160112400A (ko) 방향 유도 표시등
KR101579383B1 (ko) 차량용 led 안전표시판
KR101995580B1 (ko) 주의력을 부여하면서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한 어린이 보호차량의 안전표시장치
JP3159243U (ja) バックミラー警告指示装置
CN205344703U (zh) 一种可拆式汽车盲区后视镜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RU146996U1 (ru) Сиг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азания аварийного состояния автомобиля
KR101519763B1 (ko) 차량의 사각지역 감시장치 인디케이터
KR200443943Y1 (ko) 안전 삼각대
CN216331765U (zh) 一种汽车用基于人眼定位的a柱盲区实时显示装置
JPH0623471Y2 (ja) 表示装置
KR101588453B1 (ko)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광섬유 시인장치
KR20220013132A (ko) 핸드폰 거치용 경광등 표시장치
KR20180081882A (ko) 돌돌마는 fpcb led 위험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