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05B1 -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05B1
KR101879405B1 KR1020180044031A KR20180044031A KR101879405B1 KR 101879405 B1 KR101879405 B1 KR 101879405B1 KR 1020180044031 A KR1020180044031 A KR 1020180044031A KR 20180044031 A KR20180044031 A KR 20180044031A KR 101879405 B1 KR101879405 B1 KR 10187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acket
delay time
collections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재
오주현
정용원
김도경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26Details of "hello" or keep-aliv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7Interaction among intermediate nodes, e.g. hop by h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1Substitution permutation network [SPN], i.e. cipher composed of a number of stages or rounds each involving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s, e.g. AES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라우팅 정보와 사용자 운용모드에 따른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음성 수집 개수 또는 새롭게 산출한 음성 수집 개수를 기반으로 음성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음성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통화 품질 향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무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Voice Delay Time in Digital Walkie-Talkie for Small Combat Opera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군용 소부대(소대-분대, 분대-분대) 운용 환경에서 기존의 무전기는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 서비스만 가능하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상용 무선 통신 장비가 주로 사용자 편리성과 확장성을 요구하는 것과 달리, 군용 무선 통신 장비는 아군 부대의 전략 수행 및 전투원의 생존에 직결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보안성과 안정성을 요구한다. 군용 무선 통신 장비는 상용 무선 통신 장비보다 제한된 통신 자원(예컨대, 대역폭, 전송 속도 등)을 사용하여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협대역 주파수(저속 전송속도, 저속망) 환경에서 상호 중계를 위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에 따른 음성 지연 시간은 통화를 위한 오버헤드 과다와 상호 중계 홉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단방향 지휘 통신을 위한 음성 서비스에서는 초기 음성 지연보다 정확한 의사 전달이 중요하지만, 대화식 음성 서비스에서는 통화의 실시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통신과 달리 음성 통신은 통화 품질 측정 지표 중 하나인 음성 지연 시간을 일정 시간 미만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음성 지연 시간은 음성 수집 시간과 음성 송신 시간을 합한 시간이다. 음성 수집 시간은 음성 신호를 음성 패킷으로 변환하는 시간이고, 음성 송신 시간은 음성 패킷을 소스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 전송하는 시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노드(101 ~ 105)가 제2 노드와 통신 거리 내에 위치하여, 제2 노드(102)와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이웃 노드들(101, 103, 104, 105, 106)이 존재한다. 제1 노드(101)에서 제2 노드(102)를 거쳐 제3 노드(103)까지 음성 패킷을 전송할 때, 제2 노드(102)와 같은 중계 노드는 제1 노드(101)의 음성 수집 시간 내에 음성 패킷을 중계 전송해야 한다.
기존의 저속 디지털 무전기 방식은 음성 수집 시간을 최대치로 설정하여 고정된 음성 수집 시간 값으로 운용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4819호 (2015.08.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우팅 정보와 사용자 운용모드에 따른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음성 수집 개수 또는 새롭게 산출한 음성 수집 개수를 기반으로 음성 수집 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음성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통화 품질 향상을 향상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무전기에 의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에 있어서, 라우팅 테이블과 사용자 운용모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음성 수집 개수에 따라 음성 수집 시간을 가변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수집 시간을 기준으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하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라우팅 테이블과 사용자 운용모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고, 상기 음성 수집 개수에 따른 음성 수집 시간 단위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성 수집 시간을 기준으로 생성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전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지털 무전기가 라우팅 정보와 사용자 운용모드에 따른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음성 수집 개수 또는 새롭게 산출한 음성 수집 개수를 기반으로 음성 수집 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음성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통화 품질 향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가 상호 무선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가 처리하는 통신 프로토콜 계층 및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전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된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화된 지연으로 음성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된 모의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무전기들이 상호 무선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무전기는 음성뿐만 아니라, 문자, 영상, 위치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무전기는 PTT(Push To Talk)를 사용하는 단방향(Half Duplex) 방식으로 특정 무전기가 정보를 송신하는 동안 다른 무전기는 정보를 수신하며, 무전기 간의 전송 방향은 전환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필요에 따라 양방향(Full Duplex)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주소를 정의하여 패킷을 전달하고 라우팅을 수행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개별 통신(일대일), 그룹 통신(일대다), 및 방송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스스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주파수 대역폭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전송 대역폭(전송속도)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이동하면서 연결(Connectivity)이 끊기지 않도록 자동으로 중계 단말을 연결할 수 있어 통신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무전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무전기(200)는 제어부(210), 무선 송수신부(220), 저장부(230), 스피커(240), 마이크(250), 표시창(260), 및 키패드(270),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무전기(2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디지털 무전기(2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컨대, 제어부(210)는 주파수를 변경하고, 채널을 설정하고,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20)는 전기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거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디지털 무전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30)는 디지털 무전기(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명령어 세트,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240)는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무전기(200)는 진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진동부는 디지털 무전기(200)의 내부에 반추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회전시켜 디지털 무전기(200)를 진동시킨다.
마이크(25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250)는 PTT(Push To Talk)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PTT 회로를 통하여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일정 크기 이하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디지털 무전기(200)는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표시창(260)은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표시창은 화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며,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200)는 라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는 색을 변화시키거나 깜박거림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키패드(270)는 하나의 키를 눌러 입력받는 버튼, 복수의 키를 눌러 입력받는 키보드,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패드(270)는 문자, 방향, 숫자 등에 매칭되고, 두 개의 키가 조합되어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키패드(270)는 누름 방식뿐만 아니라 회전 방식,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는 디지털 무전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지털 무전기(200)는 라우팅 정보(경로 정보)를 교환하여 라우팅을 수행한다. 디지털 무전기(200)는 미리 설정된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 라우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라우팅 정보는 저장부(230)에 마련된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되며, 라우팅 정보에 따라 패킷 또는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디지털 무전기가 처리하는 통신 프로토콜 및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은 물리 링크 레이어, 데이터 링크 레이어, 네트워크 레이어, 전송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구분된다.
물리 링크 레이어는 시스템 간의 연결로 전자 파장을 전달하는 공간 등의 물리적 매체를 통해 비트 흐름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조정하고, 물리적인 장치와 인터페이스가 전송을 위해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물리 계층으로의 전송을 위한 매체 접근제어 기능을 담당하며, 주소로서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레이어는 패킷을 발신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갱신 하여,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이다. 패킷 전달 및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IP 주소체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이고 절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전송 레이어는 양 끝단(End to End)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도록 한다. 서비스 형태에 따라 호스트 내의 프로세스 간 또는 호스트 간에 세션 연결을 통해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의 안전하고 투명한 전송을 위한 연결 지향성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비 연결지향성 서비스를 지원한다.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근하게 하고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계층이다.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무전기의 이중 정보 보안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암호화 레이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정보 보안을 수행한다. 이중 정보 보안을 위해, 정보 생성기,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 및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가 상호 동작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패킷 단위로 인증하고 세션키를 이용하여 패킷 단위로 암호화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시드 획득 경로와 난수 전송 경로를 분리하여 탈취 위험을 분산시킨다.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패킷 단위로 새로운 난수를 발생시키고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로 패킷마다 난수를 전송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가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와 동일한 시드 및 난수를 보유하지 않으면 패킷을 인증할 수 없고,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다.
정보 생성기는 시드 생성시마다 가변되는 변동 잡음원(예컨대, 프로세서 사용율, 메모리 사용율, 또는 마우스 움직임 등)을 기반으로 엔트로피를 상승시켜 난수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기는 패킷 단위로 가변되지 않는 고정 잡음원(예컨대, 식별자 정보)을 고려하여 시드를 생성한다. 즉, 정보 생성기는 송신측 식별자 정보, 수신측 식별자 정보, 및 난수를 조합하고, 송신측 식별자 정보, 수신측 식별자 정보, 및 난수의 조합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시드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기는 시드를 배열하여 시드 테이블을 구축한다. 시드 테이블은 개별 통신, 그룹 통신, 방송 통신에 따라 다르게 구축될 수 있고, 개별 통신을 위한 시드는 송신측 식별자 정보 및 수신측 식별자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되고, 그룹 및 방송 통신을 위한 시드는 그룹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정보 생성기는 시드 테이블을 암호화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정보 생성기가 생성한 시드를 수신하고, 정보 생성기로부터 수신한 시드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키를 생성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정보 생성기로부터 암호화된 시드 테이블을 수신하고 시드 테이블을 복호화한 후 시드를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변동 잡음원(예컨대, 음성 데이터의 일부)과 고정 잡음원(예컨대,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난수를 생성한다.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시드, 생성한 난수, 및 송신측 식별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키를 생성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시드 테이블에서 송신측 식별자 및 수신측 식별자 정보를 고려하여 시드를 선택하고, 시드, 생성한 난수, 송신측 식별정보, 및 수신측 식별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세션키를 생성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세션키를 이용하여 패킷마다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즉, 패킷마다 독립적인 세션키를 사용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세션키를 기반으로 데이터에 블록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로 인증키(311), 난수(312), 송신측 식별자 정보(313), 및 암호화된 데이터(321)를 암호화 레이어를 통하여 전송한다. 암호화 레이어는 헤더(310)와 페이로드(320)로 구분되며, 헤더(310)는 인증키(Message Authorization Code, MAC, 311), 난수(Rand, 312), 송신측 식별정보(Id, 313)으로 정의된다.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정보 생성기로부터 수신한 시드,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로부터 수신한 난수(312), 및 송신측 식별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인증키를 생성한다.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로부터 수신한 인증키(311)와 생성한 인증키를 비교하여 패킷 인증을 수행한다.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정보 생성기로부터 수신한 시드,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로부터 수신한 난수(312), 송신측 식별정보, 및 수신측 식별 정보에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세션키를 생성하고, 세션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패킷을 복호화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무전기의 주파수 도약 및 동기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패킷 단위로 변동하는 주파수 도약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보안을 수행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프레임 영역에 대하여 주파수를 도약시키고 채널을 변경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난수 발생기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테이블에서 도약 주파수에 관한 메타 정보(예컨대, 인덱스 정보 등)를 랜덤하게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동기 시퀀스 테이블에서 동기 시퀀스에 관한 메타 정보(예컨대, 인덱스 정보 등)를 랜덤하게 추출한다. 주파수 테이블에는 난수와 주파수 목록이 배열되고, 동기 시퀀스 테이블에는 난수와 동기 시퀀스 목록이 배열된다.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로 공통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정보 공유를 위한 공통 프레임(350)을 전송하며, 공통 프레임(350)은 (i) 제1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51), (ii) 제1 동기화 프리앰블(352), 및 (iii) 제어 프리앰블(353)을 포함한다.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로 도약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실제 음성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약 프레임(360)을 전송하며, 도약 프레임(360)은 (i) 뮤타임 프레임(361), (ii) 제2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62), (iii) 제2 동기화 프리앰블(363), 및 (iv) 페이로드 프레임(364)을 포함한다.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51, 362)은 이득 제어 시퀀스를 포함한다. 주파수 도약 통신 환경에서 도약 구간별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채널의 이득값이 변하기 때문에, 수신측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득 제어 시퀀스는 주파수 도약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제1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51)에는 공통 프레임(350)의 수신측 이득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이득 제어 시퀀스가 삽입되고, 제2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62), 362)은 도약 프레임(360)의 수신측 이득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이득 제어 시퀀스가 삽입된다.
동기화 프리앰블(352, 363)은 프레임의 시작 부분을 검출하여 복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앰블이며, 동기 시퀀스를 포함한다. 동기 시퀀스로는 자기 상관(Auto Correlation) 특성이 뛰어난 유사 잡음 코드(PN Code, Pseudo Random Noise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51)에는 고정된 제1 동기 시퀀스가 삽입되고, 제2 자동 이득 제어 프리앰블(362)에는 패킷 단위로 가변되는 제2 동기 시퀀스가 삽입된다.
제어 프리앰블(353)은 고정 주파수 또는 도약 주파수를 구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도약 주파수 모드에서는 (i) 도약 프레임의 도약 주파수에 관한 메타 정보와 (ii) 제2 동기화 프리앰블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공통 주파수 채널에서 대기하다가 공통 프레임을 수신하면 공통 프레임을 복조하고, 제어 프리앰블(353) 내의 (i) 도약 프레임의 도약 주파수에 관한 메타 정보와 (ii) 제2 동기화 프리앰블에 관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도약을 수행한다. 저장된 주파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주파수를 검출하고, 저장된 동기 시퀀스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2 동기화 프리앰블을 검출한다.
뮤타임 프레임(361)은 도약 주파수로 변경하기 위한 시간을 나타내며, 수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일정 시간 내에 주파수를 변경하여야 한다.
페이로드 프레임(364)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파일롯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제어 프리앰블에 각종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페이로드 프레임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는 음성, 문자, 이미지, 비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운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운용자는 운용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해서 디지털 무전기를 주변 주파수를 탐색하는 주파수 탐색 모드, 주변 주파수를 호출하는 주파수 호출 모드, 및 네트워크에 할당된 노드 아이디를 탐색하는 아이디 탐색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는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주파수 탐색 모드, 주파수 호출 모드, 및 아이디 탐색 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한다. 무선 송수신부는 선택된 모드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된 복수의 주파수를 통하여 기 설정된 통신 거리 내에 위치하는 주변 디지털 무전기와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실시간이 요구되는 대화식 음성 통화 서비스는 지연시간 최소화를 위해, 디지털 무전기는 음성 수집 개수를 고정하지 않고 다양한 운용 모드에 따라 최적화된 음성 수집 개수를 선택하여 운용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i) 룩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개수를 산출하는 제1 모드, (ii) 송신시마다 자동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집 개수를 산출하는 제2 모드, (iii) 제1 모드와 제2 모드가 혼용된 제3 모드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음성 코덱에서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는 음성 신호(음성 프레임)의 수집 개수를 결정하고, 수집 개수 기반의 음성 수집 시간 단위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코덱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음성 코덱은 인코더와 디코더를 구성하며, 저장, 전송 또는 다른 처리 목적으로 음성 신호를 가공한다. 음성 코덱은 비트율(전송율), 음질, 복잡도(하드웨어, 전력 소모), 지연 시간,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음성 신호를 가공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무전기는 음성 코덱으로 MELP(Mixed Excited Linear Prediction)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무전기가 제1 모드에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시간을 최소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라우팅 테이블과 사용자 운용모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한다. 제어부는 음성 수집 개수에 따라 음성 수집 시간 단위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하며, 무선 송수신부는 생성된 음성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한다. 예컨대, 음성 수집 시간 단위는 x ms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룩업 테이블은 (i)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홉수, (ii) 패킷 전송 속도, (iii) 캐스트 모드, (iv) 암호화 여부, 및 (v) 주파수 도약 여부를 기초로 인덱스와 음성 수집 개수가 매칭되어 있다. 제1 룩업 테이블은 N 개의 인덱스를 갖고 N1부터 NM까지의 범위에서 수집 개수가 매칭되어 있다.
인덱스 최소값(0)부터 최대값(N-1)까지 배열을 이용하여 수집 개수가 일정 범위에서 설정된다. 각각의 인덱스마다 (i) 홉수, (ii) 패킷 전송 속도, (iii) 캐스트 모드, (iv) 암호화 여부, 및 (v) 주파수 도약 여부에 관한 값이 정의된다. 홉수는 1홉과 2홉으로 구분되고, 패킷 전송 속도는 16 kbps, 32 kbps, 64 kbps로 구분되고, 캐스트 모드는 개별 모드, 그룹 모드, 방송 모드로 구분되고, 암호화는 평문과 비문으로 구분되고, 주파수 도약은 고정 주파수 운용 모드와 도약 주파수 운용 모드로 구분된다. 물리 계층의 제어 프리앰블에는 운용 모드에 관한 정보인 패킷 전송 속도 및 고정/도약 주파수 등에 관한 정보가 삽입되어 패킷이 전송되면, 패킷을 수신한 단말은 제어 프리앰블을 해석하여 복호화 할 수 있는 각각의 모뎀이 적용된다. 암호화 및 주파수 도약에 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송신측 디지털 네트워크 무전기는 라우팅 테이블 정보에서 목적지까지의 홉수를 획득한다. 단계 S52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사용자 운용모드 정보인 도약 여부, 암호화 여부, 캐스트 모드, 전송 속도를 획득한다.
단계 S53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홉수 및 사용자 운용모드 정보 기반으로 룩업 테이블에 관한 플래그 생성한다. 단계 S531에서 제어부는 홉수 플래그를 0 또는 1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32에서 제어부는 도약 플래그를 0 또는 2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33에서 제어부는 암호 플래그를 0 또는 4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34에서 제어부는 캐스트 플래그를 0, 8, 또는 16으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35에서 제어부는 속도 플래그를 0, 24, 또는 48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운용 모드에 따른 플래그 값은 설정 가능한 모든 운용 모드가 구분 될 수 있도록 등록된 룩업 테이블 구성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결정된 플래그를 합하여 인덱스를 결정한다. 단계 S55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제1 룩업 테이블에서 인덱스에 매칭되는 수집 개수를 추출한다.
송신측 디지털 무전기는 룩업 테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시스템 운용의 음성 수집 개수 기반으로 음성 수집 시간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룩업 테이블 방식에서 음성 패킷 송신간 이웃 노드수에 따라 변동되는 헬로우(Hello) 패킷을 피기백(Piggyback)하는 기능은 제외된다. 즉, 무선 송수신부는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 이웃 노드의 수에 따라 변동되는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Piggyback)하지 않는다. 헬로우 패킷과 음성 패킷의 송신이 동시에 발생하면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하게 된다. 송신 우선 순위가 높은 음성 송신시 헬로우 패킷은 일시 정지되어 운용된다. 참고로 망 내 운용되는 노드 수가 적다면 노드 수가 포함된 제1 룩업 테이블을 구성하여 헬로우 패킷 피기백 기능을 포함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무전기가 제2 모드에서 홉 수와 운용 모드에 따른 최적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자동 알고리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는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마다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음성 수집 개수를 새롭게 추출할 수 있다. 최적의 음성 수집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고정화된 패킷의 크기와 지연 시간 상수를 기초로 음성 수집 개수를 증가시키면서 라우팅 테이블 상의 목적지까지의 홉 수와 사용자 운용모드에 따라 변동되는 패킷 크기 기반의 누적 지연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는 음성 수집 개수에 매칭된 기준 지연 시간의 범위를 만족하는 누적 지연 시간을 최적 지연 시간으로 산출하고, 최적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음성 수집 개수를 산출한다.
단계 S61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패킷 크기 변수와 지연 시간 변수의 초기치를 설정하고 운용모드 및 진행상황에 따른 고정화된 패킷 크기 상수와 지연 시간 상수를 설정한다. 단계 S615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음성 코덱에서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는 음성 신호의 수집 개수를 기반으로 패킷 크기 변수, 지연 시간 변수, 및 기준 지연 시간을 설정한다. 단계 S62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지연 시간 변수에 송신측 S/W 프로세싱 처리 지연 시간을 추가한다.
단계 S625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암호화 여부에 따른 패킷 크기를 산출하여 패킷 크기 변수에 추가한다. 단계 S63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캐스트 모드에 따른 패킷 크기를 산출하여 패킷 크기 변수에 추가한다.
단계 S635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헬로우 패킷 송신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40에서 제어부는 헬로우 패킷 크기를 라우팅 테이블 상의 이웃 노드의 수를 고려하여 산출하고 패킷 크기 변수에 추가한다.
단계 S645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지연 시간 변수에 데이터 링크 레이어의 지연 시간을 추가한다. 데이터 링크 레이어의 지연 시간은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처리에 따른 지연 시간이다.
단계 S65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지연 시간 변수에 주파수 운용모드(고정/도약)에 따른 물리 계층에서 생성하는 프리앰블 프레임의 지연 시간을 추가한다. 고정 주파수 운용 대비 도약 모드 운용 시에는 고정 주파수 프리앰블 시간 대비 주파수 도약을 위한 프리앰블 지연 시간이 추가된다.
단계 S655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지연 시간 변수에 전송 속도 모드에 따라 최종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데 소요되는 송신 지연 시간을 홉 수를 고려하여 산정하고 추가한다. 홉 단위의 전송속도 별 송신 지연은 물리 계층에서 생성하는 페이로드 프레임의 최소 전송 단위인 슬롯 타임 주기에 전송할 수 있는 패킷 크기가 전송속도 별 차이에 기인하므로, 보내고자 하는 음성 패킷 크기를 모드에 따른 슬롯 단위로 전송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로 나눈 정수화(소수점에서 올림)된 값에 슬롯 타임 주기를 곱한 후 전달하는데 필요한 홉 수를 곱한다. 단, 홉 수 증가에 따라 중계 지연(프로세싱 처리 지연과 데이터링크 처리 지연) 시간은 비례적으로 추가된다.
단계 S660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지연 시간 변수에 수신측 S/W 프로세싱 처리 지연 시간을 추가한다.
단계 S665에서 디지털 무전기는 누적된 지연 시간 변수가 기준 지연 시간(현재 수집 개수에 비례하여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디지털 무전기는 수집 개수를 증가시키고(S670), 단계 S615부터 단계 S660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조건을 만족하면 디지털 무전기는 현재 수집 개수를 출력한다(S680).
디지털 무전기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가 혼용된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3 모드의 제어부는 새롭게 추출한 음성 수집 개수를 기반으로 제2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고 제1 모드로 운용 중 음성 패킷 송신 시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할 경우 제2 모드를 구동하여 홉 수 및 운용 모드 외에도 이웃 노드의 수를 고려한 최적 음성 수집 개수를 재 산출하고 산출된 수집 개수 기반의 수집 시간 단위로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 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한다. 무선 송수신부는 생선된 음성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한다.
디지털 무전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도 2에서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디지털 무전기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무전기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화된 지연으로 음성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은 디지털 무전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은 라우팅 테이블과 사용자 운용모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S710), 음성 수집 개수에 따라 음성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S720), 및 생성된 음성 패킷을 계층화된 프로토콜 처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S730)를 포함한다. 디지털 무전기가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된 모의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된 음성 수집 시간은 지연 시간이 가장 긴 운용 모드(비문, 그룹, 도약, 16 kbps, 2홉 통화)에서의 수집 개수에 따른 음성 수집 시간과 일치한다. 도 8은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전송 속도는 16 kbps, 고정 주파수 모드에서 캐스트 및 홉수에 따라 개선된 지연 시간을 나타낸다. 특히, 1홉 통화에서 지연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타 운용모드에 비해 상대적인 지연 시간이 가장 긴 운용 모드(비문, 그룹, 도약, 16 kbps, 2홉 통화)에 적용된 음성 수집 개수를, 고정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최적의 음성 수집시간을 적용한 경우를 비교 시, 전송 속도 32 kbps에서 지연 시간을 180 ms 정도 단축시키고, 전송 속도 64 kbps에서 지연 시간을 225 ms 정도 단축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송 속도가 높아질수록 지연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 내지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디지털 무전기 210: 제어부
220: 무선 송수신부 230: 저장부
240: 스피커 250: 마이크
260: 표시창 270: 키패드

Claims (12)

  1. 디지털 무전기에 의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에 있어서,
    라우팅 테이블과 사용자 운용모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음성 수집 개수에 따라 음성 수집 시간 단위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수집 시간을 기준으로 생성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i) 상기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홉수, (ii) 패킷 전송 속도, (iii) 캐스트 모드, (iv) 암호화 여부, 및 (v) 주파수 도약 여부를 기초로 인덱스와 상기 음성 수집 개수가 매칭된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이웃 노드의 수에 따라 변동되는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Piggyback)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마다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음성 수집 개수를 새롭게 추출하며,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패킷의 크기와 지연 시간 상수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과 상기 사용자 운용모드에 따라 누적 지연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음성 수집 개수에 매칭된 기준 지연 시간의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누적 지연 시간을 최적 지연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최적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음성 수집 개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이웃 노드의 수에 따라 변동되는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Piggyback)할 수 있고, 상기 패킷의 크기에 상기 이웃 노드의 수를 기초로 산출한 상기 헬로우 패킷의 크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새롭게 추출한 음성 수집 개수를 제2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이웃 노드의 수가 변동되면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다시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할 때 저장된 음성 수집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7. 라우팅 테이블과 사용자 운용모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 수집 개수를 추출하고, 상기 음성 수집 개수에 따라 음성 수집 시간 단위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기준으로 생성된 계층화된 음성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무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은 (i) 상기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홉수, (ii) 패킷 전송 속도, (iii) 캐스트 모드, (iv) 암호화 여부, 및 (v) 주파수 도약 여부를 기초로 인덱스와 상기 음성 수집 개수가 매칭된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 이웃 노드의 수에 따라 변동되는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Piggyback)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마다 상기 제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음성 수집 개수를 새롭게 추출하며,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패킷의 크기와 지연 시간 상수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 테이블과 상기 사용자 운용모드에 따라 누적 지연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음성 수집 개수에 매칭된 기준 지연 시간의 범위를 만족하는 상기 누적 지연 시간을 최적 지연 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최적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음성 수집 개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 이웃 노드의 수에 따라 변동되는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Piggyback)할 수 있고, 상기 패킷의 크기에 상기 이웃 노드의 수를 기초로 산출한 상기 헬로우 패킷의 크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새롭게 추출한 음성 수집 개수를 제2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이웃 노드의 수가 변동되면 상기 음성 수집 개수를 다시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헬로우 패킷을 피기백할 때 저장된 음성 수집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전기.
KR1020180044031A 2018-02-02 2018-04-16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KR101879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3156 2018-02-02
KR1020180013156 2018-02-02
KR1020180013155 2018-02-02
KR20180013155 2018-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405B1 true KR101879405B1 (ko) 2018-07-18

Family

ID=6304902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44A KR101901999B1 (ko) 2018-02-02 2018-03-16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이중 보안 수단을 이용하는 데이터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0033796A KR101908034B1 (ko) 2018-02-02 2018-03-23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주파수 도약 및 동기화를 이용하여 이중보안한 음성/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0038598A KR101902000B1 (ko) 2018-02-02 2018-04-03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전송 속도 가변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2585A KR101893481B1 (ko) 2018-02-02 2018-04-12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주변 주파수 탐색 호출 및 아이디 탐색 방법
KR1020180044031A KR101879405B1 (ko) 2018-02-02 2018-04-16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6024A KR101879406B1 (ko) 2018-02-02 2018-04-20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네트워크 수렴 시간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7726A KR101902001B1 (ko) 2018-02-02 2018-04-25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적응형 IP/Non-IP 기반 음성 통화 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44A KR101901999B1 (ko) 2018-02-02 2018-03-16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이중 보안 수단을 이용하는 데이터 패킷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0033796A KR101908034B1 (ko) 2018-02-02 2018-03-23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주파수 도약 및 동기화를 이용하여 이중보안한 음성/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180038598A KR101902000B1 (ko) 2018-02-02 2018-04-03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전송 속도 가변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2585A KR101893481B1 (ko) 2018-02-02 2018-04-12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주변 주파수 탐색 호출 및 아이디 탐색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24A KR101879406B1 (ko) 2018-02-02 2018-04-20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네트워크 수렴 시간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0180047726A KR101902001B1 (ko) 2018-02-02 2018-04-25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적응형 IP/Non-IP 기반 음성 통화 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19019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905A1 (en) 2018-09-18 2020-03-26 Roku, Inc.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CN111356112A (zh) * 2018-12-21 2020-06-30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机的通信方法及无人机
CN111385625A (zh) * 2018-12-29 2020-07-0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Non-IP数据传送的同步方法和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098B1 (ko) * 2018-11-15 2019-07-2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추적 재밍에 강인한 주파수 도약 통신 방법
KR102005097B1 (ko) * 2018-11-15 2019-10-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추적 재밍에 강인한 주파수 도약 통신 장치
KR102211566B1 (ko) * 2019-05-20 2021-02-0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디지털 무전기의 최적 중계단말 선택방법
KR102124134B1 (ko) * 2019-05-20 2020-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디지털 무전기의 지정중계 제어방법 및 장치
US20220209949A1 (en) * 2020-12-30 2022-06-30 Psdl Secure communication device and secure communication program
KR20220126520A (ko) * 2021-03-09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820A (ko) * 2012-02-03 2014-11-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동적 라우팅 방법 및 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KR101544819B1 (ko) * 2014-07-07 2015-08-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회피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373B1 (ko) * 1995-03-31 1999-02-01 김광호 이동국간 통화로 설정방법
KR100551634B1 (ko) * 2003-11-20 2006-0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Ad-hoc 네트워크의 라우팅 메시지 수명시간제어 방법
KR100854495B1 (ko) 2006-09-07 2008-08-26 주식회사 휴니드 테크놀러지스 주파수 도약형 단파 무전기에서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장치와,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송수신 모듈
KR20070114672A (ko) * 2007-10-15 2007-12-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에서 적응적 헬로우 메시지주기제어를 통한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
US8442092B2 (en) * 2007-12-27 2013-05-14 Silver Spring Networks, Inc. Creation and use of unique hopping sequences in a 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 (FHS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0986187B1 (ko) 2010-03-16 2010-10-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
KR101029499B1 (ko) * 2011-03-09 2011-04-1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패킷 기반 주파수 도약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동기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9455B1 (ko) * 2011-08-10 2014-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시지 전송 주기 결정 방법
KR101438529B1 (ko) 2013-01-28 2014-09-05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동형 무전기의 우선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1571633B1 (ko) * 2014-09-15 2015-11-25 안운기 다자간 동시 통화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무전기
KR101639149B1 (ko) * 2015-01-07 2016-07-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모바일네트워크에서 측정오차가 있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정보 전송방법
KR101832971B1 (ko) * 2016-09-13 2018-04-13 국방과학연구소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820A (ko) * 2012-02-03 2014-11-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동적 라우팅 방법 및 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KR101544819B1 (ko) * 2014-07-07 2015-08-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회피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905A1 (en) 2018-09-18 2020-03-26 Roku, Inc.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EP3854104A4 (en) * 2018-09-18 2022-06-01 Roku, Inc. DYNAMIC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CN111356112A (zh) * 2018-12-21 2020-06-30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机的通信方法及无人机
CN111385625A (zh) * 2018-12-29 2020-07-0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Non-IP数据传送的同步方法和设备
CN111385625B (zh) * 2018-12-29 2021-12-10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Non-IP数据传送的同步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001B1 (ko) 2018-11-08
KR101893481B1 (ko) 2018-08-30
KR101908034B1 (ko) 2018-12-05
KR101879406B1 (ko) 2018-07-18
KR101902000B1 (ko) 2018-11-08
KR101901999B1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05B1 (ko)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음성 지연 시간 최소화 방법 및 장치
EP1484856B1 (en) Method for distributing encryption keys in wireless lan
US20180278625A1 (en) Exchang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s for additional secur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187941B2 (en) Secure network-routed voice processing
EP20222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ellular assisted secure communications of a plurality of ad hoc devices
KR100532150B1 (ko) 셀룰러 통신망용 코뮈니케 무선 가입자 장비
CN101523796B (zh) 用于使用广播的随机噪声来增强无线装置的加密能力的方法和系统
US20150350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association
US201501279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esh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US20060117174A1 (en) Method of auto-configuration and auto-prioritizing for wireless security domain
WO2017213971A1 (en) Network-visitability detection control
CN110547031A (zh) 通信装置、基站装置、方法和记录介质
KR20170129762A (ko) 주변 인식 네트워크들에서의 개인 서비스 식별자들
KR101877919B1 (ko) Nan 데이터 링크 그룹 형성 및 데이터 프레임 어드레스 설정들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20170134457A (ko) 재연관 오브젝트를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 고속 인증/연관
US20240107313A1 (en) Control frame processing method, control frame generating method, station, access point, and storage medium
KR102211566B1 (ko) 디지털 무전기의 최적 중계단말 선택방법
KR102370197B1 (ko)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의 통화품질 제어방법 및 장치
CN102857918A (zh) 一种车载通信系统
Li et al. Multi-channel authentication for secure D2D using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Nasiraee et al. A new three party key establishment scheme: Applicable for internet-enabled sensor networks
KR102124134B1 (ko) 디지털 무전기의 지정중계 제어방법 및 장치
Annur et al. Review on Secure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in LTE
US115892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 voice communications
KR10061780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