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71B1 -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71B1
KR101832971B1 KR1020160118291A KR20160118291A KR101832971B1 KR 101832971 B1 KR101832971 B1 KR 101832971B1 KR 1020160118291 A KR1020160118291 A KR 1020160118291A KR 20160118291 A KR20160118291 A KR 20160118291A KR 101832971 B1 KR101832971 B1 KR 10183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channel
channels
message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음수빈
이광억
서원기
이지봉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1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mmon w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에서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1 무전기가,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2 무전기가,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2 채널들 중, 상기 제1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3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무전기가,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4 채널들 중, 상기 제3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채널들 중 상기 제1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전기와 제2 무전기가, 상기 제2 채널들 중 상기 제1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과, 상기 제4 채널들 중 상기 제3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에 근거하여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RADIO SET SYSTEM AND SETTING CHANNEL METHOD FOR THE RADIO SET SYSTEM}
본 발명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에서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스펙트럼 자원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인지 무선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인지 무선 기술은 정해진 주파수가 없이, 채널 센싱을 통해 비어있는 주파수를 찾아서 단말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로, 단말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 간에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주로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에 적합한 방식만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에서 공통 채널 설정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보다 적합한 공통 채널 설정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들로 이루어지는 무전기 시스템에서, 상기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공통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 및,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에 따라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무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무전기와 제2 무전기의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전기가,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전기가,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2 채널들 중, 상기 제1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3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무전기가,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4 채널들 중, 상기 제3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채널들 중 상기 제1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전기와 제2 무전기가, 상기 제2 채널들 중 상기 제1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과, 상기 제4 채널들 중 상기 제3 채널들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에 근거하여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간 간섭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전기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2 무전기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채널들 중 현재 상기 요청 메시지가 송신된 채널과 다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변경된 채널을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전기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무전기로부터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3 채널들 중 현재 상기 요청 메시지가 송신된 채널과 다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변경된 채널을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무전기(caller)가 송출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대응되는 채널을 통해 상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채널 설정이 시작되면,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채널들을 통해 요청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4 채널들 중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따른 중 어느 하나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1 무전기, 및, 상기 공통 채널 설정이 시작되면, 기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2 채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생성 및,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의 제3 채널들 각각을 통해 송신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채널로부터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무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무전기는, 상기 요청 메시지 또는 확인 메시지가 전송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상기 제1 및 제2 무전기 공통의 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간 간섭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전기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채널들 중 다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상기 채널 변경 및 상기 요청 메시지의 재송신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전기는, 상기 확인 메시지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채널들 중 다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며,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상기 채널 변경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재송신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가 인지 무선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무전기 간의 공통 채널을 효율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통신 채널을 설정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의 무전기에 할당되는 주파수의 예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에서,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가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에서,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가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 과정을 보이고 있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은, FDD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무전기(제1 무전기 : 110, 제2 무전기 : 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전기(110)는 제2 무전기(120)는 쌍방간에 서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전기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무전기들 중, 공통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무전기를 제1 무전기(caller : 110)라고 칭하기로 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송출 및 상기 제1 무전기(caller : 110)과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무전기를 제2 무전기(calee : 120)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무전기(caller : 110)와 제2 무전기(calee : 120)는 미리 정해져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무전기는 송신부(제1 무전기 송신부(111),제2 무전기 송신부(121))와 수신부(제1 무전기 수신부(112), 제2 무전기 수신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무전기(110)와 제2 무전기(120)는 FDD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FDD 방식의 무전기이다. 여기서 상기 FDD 방식의 무전기는 송수신 주파수를 달리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무전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을 서로 분리하여(Frequency Divisio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전기(110)가 송신 주파수로 제1 주파수(130)를 사용하고, 수신 주파수로 제2 주파수(14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무전기(120)는 제1 무전기(110)와 반대로, 송신 주파수로 상기 제1 주파수(140)를 사용하고, 수신 주파수로 제1 주파수(13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의 무전기에 할당되는 주파수의 예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의 예시도를 참조하면 FDD 방식의 무전기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210)과 제2 주파수 대역(220)으로 나누어 무전기에서 송수신 주파수를 이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무전기(110)가 제1 주파수 대역(210)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130)를 송신 주파수로 사용하면, 수신 주파수인 제2 주파수(140)는 제2 주파수 대역(220)에 포함되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해야 한다. 반대로 제2 주파수 대역(220)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130)를 송신 주파수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수신 주파수인 제2 주파수(140)는 제1 주파수 대역1(210)에 포함되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FDD 무전기가 송수신 주파수를 이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송수신 주파수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송수신 주파수가 할당되면 무전기에서 송신한 신호가 해당 무전기에도 입력되어 통신하고자 하는 무전기의 송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210) 및 제2 주파수 대역(220)은 상기 주파수간 간섭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 간격 만큼 이격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FDD 방식의 무전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와 달리,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FDD 방식의 무전기는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통신하고자 하는 무전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FDD 방식의 무전기에서의 공통 채널 설정 방법은 TDD 방식의 무전기에서의 공통 채널 설정 방법과 달리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채널은, 상기 FDD 방식의 무전기들이 서로 간에 송신 또는 수신을 하기 위해 공통으로 설정하는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FDD 방식의 무전기들이 효율적으로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에서,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가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의 제1 무전기(110)의 송신 채널은 제1 무전기(110)의 송신부(111)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채널들을 시간축상에 표시하고 있는 것이며, 수신 채널은 제1 무전기(110)의 수신부(112)에서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들을 시간축상에 표시하고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의 제2 무전기(120)의 송신 채널은 제2 무전기(120)의 송신부(121)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채널들을 시간축상에 표시하고 있는 것이며, 수신 채널은 제2 무전기(120)의 수신부(122)에서 신호가 수신되는 채널들을 시간축상에 표시하고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제1 무전기(110)는 제1 주파수 대역(도 2 : 210)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도 1 : 130)를 송신 주파수로 사용 및, 제2 주파수 대역(도 2 : 220)에 포함되는 제2 주파수(도 2 : 140)를 수신 주파수로 사용하고, 제2 무전기(120)는 제2 주파수 대역(도 2 : 220)에 포함되는 제2 주파수(도 2 : 140)를 송신 주파수로 사용 및, 제1 주파수 대역(도 2 : 210)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도 1 : 130)를 수신 주파수로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주파수(130)는 도 3의 Ch 1 ~ 6 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주파수(140)은 도 3의 Ch 11 ~ 14 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는 것을 가정하였다.
먼저, 공통 채널 설정이 시작되면 제1 무전기(caller)(110)는 응답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채널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210 : 도 2) 중, 공통 채널 설정 시작 전에 미리 제1 무전기(caller)(110)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무전기(caller)(110)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설정된 채널은 ch1, ch3, ch4, ch6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무전기(110)의 송신부(111)는 상기 사용가능한 채널들을 바꾸어가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무전기(callee)(120)의 수신부(121)는 제1 무전기(caller)(110)에서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받기 위해, 제2 무전기(callee)(120)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을 바꾸어 가면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무전기(callee)(120)가 신호의 수신을 위해 사용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채널은 ch2 또는 ch3 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2 무전기(calee)(120)는 ch2 또는 ch3을 계속 전환하며 상기 제1 무전기(caller)(11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무전기(caller)(110)가 요청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 사용가능한 채널이 ch1, ch3, ch4, ch6 인 경우, 제2 무전기(calee)(120)는 ch3을 통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에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300).
즉, 제2 무전기(callee)(120)가 ch2에 있을 때는 제1 무전기(caller)(110)의 사용 채널에 ch2가 포함되지 않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었으나, ch3으로 채널이 전환된 후에는 제1 무전기(caller)(110)가 ch3를 통해 송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무전기(callee)(120)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채널은 제2 무전기(callee)(120)가 송신 가능한 채널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무전기(callee)(120)가 신호의 송신을 위해 사용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채널은 ch11, ch12, ch14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무전기(callee)(120)의 송신부(122)는 상기 송신 가능한 채널, 즉 ch11, ch12, ch14을 계속 전환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무전기(caller)(110)는 수신 가능한 채널에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무전기(caller)(110)가 신호의 수신을 위해 사용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채널은 ch13, ch14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무전기(callee)(120)는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 즉 ch13, ch14를 계속 전환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릴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무전기(caller)(110)의 수신 가능 채널들과, 제2 무전기(callee)(120)의 송신 가능 채널들은 공통적으로 ch14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무전기(caller)(110)는, 상기 제2 무전기(calee)(120)의 ch14로부터 송출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302).
한편 제2 무전기(callee)(12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수신부(121)에서 상기 제1 무전기(caller)(110)로부터 송신된 확인 메시지를 기다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채널은 최초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무전기(callee)(120)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304). 즉, 상기 제2 무전기(callee)(120)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무전기(caller)(110)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메시지 수신 채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내는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요청 메시지가 ch3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제2 무전기(callee)(120)는 ch3에서, 상기 제1 무전기(caller)(110)로부터 수신되는 확인 메시지(304)를 기다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은 제1 무전기(caller)(110)가 제1 주파수 대역(210)의 송신 가능한 채널을 통해, 제2 무전기(callee)(120)에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무전기(callee)(120)가 응답 메시지를 제2 주파수 대역(220)의 송신 가능한 채널을 통해 제1 무전기(caller)(110)로 전달한 후, 응답 메시지를 받은 제1 무전기(caller)(110)가 제1 주파수 대역(210)의 요청 메시지가 전달된 채널을 통해 확인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공통 채널 설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양 무전기 간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을 확인한 두 무전기는 상기 확인된 공통채널 정보, 즉 도 3의 경우 ch3(306), ch14(308)를 바탕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전기 시스템에서,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가 공통 채널을 설정하는 동작 과정을 보이고 있는 흐름도이다.
공통 채널 설정이 시작되면 먼저 제1 무전기(110)는 사용 가능하게 기 설정된 송신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400). 그리고 상기 제2 무전기(120)는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S402). 여기서 상기 공통 채널 설정의 시작은, 상기 제1 및 제2 무전기(110, 120)가 모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통신 연결을 시작할 때, 또는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된 때 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송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S404). 그리고 제2 무전기(120)는 사용 가능하게 기 설정된 수신 채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06). 그리고 상기 S406 단계의 감지 결과 일정 시간 동안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수신 채널로 수신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S408). 그리고 다시 S402 단계로 진행하여 요청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릴 수 있다.
한편 상기 S406 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제2 무전기(120)는 사용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송신 채널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410). 그리고 상기 송신된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전기(120)에서 현재 설정된 송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S412).
한편 제1 무전기(110)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제2 무전기(120)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14).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2 무전기(120)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상기 제2 무전기(120)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14 단계의 감지 결과 제1 무전기(110)가 일정 시간 동안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무전기(110)는 제2 무전기(120)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송신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S416). 그리고 다시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환된 송신 채널을 통해 다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414 단계의 감지 결과, 제2 무전기(120)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라면, 제1 무전기(110)는 상기 응답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2 무전기(120)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송신 채널을 통해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418). 그러면 상기 확인 메시지는 제2 무전기(120)로 전송될 수 있다(420). 그리고 제1 무전기(110)는 상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채널을 송신 채널로 설정 및,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을 각각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S422).
한편 상기 제2 무전기(120)는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채널을 통해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24). 그리고 상기 S424 단계의 감지 결과 일정 시간 동안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S426). 그리고 다시 S41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변경된 채널을 통해 다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424 단계의 감지 결과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제2 무전기(120)는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채널을 수신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채널을 송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S428). 이에 따라 상기 요청 메시지 및/또는 확인 메시지가 전송된 채널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된 채널이 상기 제1 무전기(110) 및 제2 무전기(120)의 공통 채널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가 임의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얼마든지 제1 및 제2 무전기가 미리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특정 조건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공통 채널 설정 시작 전에 상기 제1 및 제2 무전기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제1 무전기
111 : 제1 무전기 송신부 112 : 제1 무전기 수신부
120 : 제2 무전기
121 : 제2 무전기 송신부 122 : 제2 무전기 수신부
130 : 제1 주파수 140 : 제2 주파수

Claims (10)

  1.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서로 간에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무전기와 제2 무전기가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전기가,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1 송신 채널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2 수신 채널 중, 상기 복수의 제1 송신 채널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2 송신 채널 각각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1 수신 채널 중, 상기 복수의 제2 송신 채널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복수의 제2 수신 채널 중 상기 복수의 제1 송신 채널과 공통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채널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전기와 제2 무전기가, 상기 복수의 제2 수신 채널 중 상기 복수의 제1 송신 채널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과, 상기 복수의 제1 수신 채널 중 상기 복수의 제2 송신 채널과 공통되는 어느 하나의 채널에 근거하여 제1 공통 채널과 제2 공통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통 채널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간 간섭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전기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2 무전기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송신 채널 중 상기 요청 메시지가 현재 송신된 채널과 다른 채널로 송신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변경된 송신 채널을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전기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무전기로부터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송신 채널 중 상기 요청 메시지가 현재 송신된 채널과 다른 채널로, 송신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변경된 송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응답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1 무전기(caller)가 송출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전기가, 상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대응되는 채널을 통해 상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채널 설정 방법.
  6.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며 서로 간에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제1 무전기 및 제2 무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 채널 설정이 시작되면, 기 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1 송신 채널 각각을 통해 요청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기 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1 수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요청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제1 송신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1 무전기; 및,
    상기 공통 채널 설정이 시작되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2 수신 채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채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생성 및,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채널로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제2 송신 채널 각각을 통해 송신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채널로부터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무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무전기는,
    상기 요청 메시지 또는 확인 메시지가 전송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상기 제1 및 제2 무전기의 공통 채널들로 설정 및 상기 설정된 공통 채널들을 통해 서로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간 간섭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파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전기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송신 채널 중 다른 채널로 송신 채널을 변경하여 상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상기 채널 변경 및 상기 요청 메시지의 재송신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전기는,
    상기 확인 메시지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송신 채널 중 다른 채널로 송신 채널을 변경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며,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상기 채널 변경 및 상기 응답 메시지의 재송신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채널들 중, 상기 제2 무전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채널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시스템.
KR1020160118291A 2016-09-13 2016-09-13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KR10183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91A KR101832971B1 (ko) 2016-09-13 2016-09-13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91A KR101832971B1 (ko) 2016-09-13 2016-09-13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971B1 true KR101832971B1 (ko) 2018-04-13

Family

ID=6197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291A KR101832971B1 (ko) 2016-09-13 2016-09-13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481B1 (ko) * 2018-02-02 2018-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주변 주파수 탐색 호출 및 아이디 탐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481B1 (ko) * 2018-02-02 2018-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부대 운용을 위한 디지털 무전기에서 주변 주파수 탐색 호출 및 아이디 탐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1536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11800219B (zh) 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控制节点
KR101521095B1 (ko) 무선 통신 채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9531637A5 (ko)
KR100489154B1 (ko) 동적 스펙트럼 할당 방법, 통신 방법 및 트랜시버 장치
CN110830975A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20080088572A (ko) 대역 외 채널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RU2012151154A (ru)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беспровод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873698A (zh) 信号传送方法及其相关设备
KR20080005295A (ko) 무선 장치
WO2020066696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23315A1 (en) Bwp frequency hopping configur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JPWO2020012540A5 (ja) 端末、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834626B (zh) 一种移动终端、基站及通信系统
KR101832971B1 (ko) 무전기 시스템 및 그 무전기 시스템의 채널 설정 방법
US20130107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KR101590378B1 (ko)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8282894B (zh) 一种小区接入的方法、基站及终端
KR101036435B1 (ko) 혼잡 상황 동안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의 다이내믹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1529447A (ja) 無線rf伝送する方法及び無線rf受信機
EP1717967A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nd method
CN106664698B (zh) 终端装置、集成电路以及通信方法
KR101571633B1 (ko) 다자간 동시 통화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무전기
CN110537383B (zh) 信道探测信号的发送方法及终端设备
WO2016015252A1 (zh) 一种频谱资源配置方法,主基站及辅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