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80B1 -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80B1
KR101879380B1 KR1020170052309A KR20170052309A KR101879380B1 KR 101879380 B1 KR101879380 B1 KR 101879380B1 KR 1020170052309 A KR1020170052309 A KR 1020170052309A KR 20170052309 A KR20170052309 A KR 20170052309A KR 101879380 B1 KR101879380 B1 KR 10187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orehole
main body
rod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경식
이영동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08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injection test; by analysing pressure variations in an injection or production test, e.g. for estimating the skin fact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05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or the formation by using drilling mud or cutting dat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는, 시추공에 삽입된 로드(rod) 및 코어배럴(core barrel)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시추공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 및 하측에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분사를 위한 분사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추공에서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시추공에서 수리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밀폐된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패커부재; 및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본체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Hydraulic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pth limits}
본 발명은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시추공의 입구측에 삽입된 로드 및 코어배럴의 내부로 직접 본체를 통과시키면서 시추공에 삽입하여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도중에 암반 불량구간에서의 암편 등에 의해 주입관의 걸림 및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심부의 수리지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조사 지역의 결정질 암반에 굴착된 시추공을 통하여 수리시험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해진 구간의 보다 상세한 수리지질특성의 도출을 위해 팽창을 통해 시험구간을 격리(밀폐)할 수 있는 싱글 또는 더블 패커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지하 심부의 수리지질특성을 파악하는 종래의 수리시험 장치는 기본적으로 측정 센서(압력계, 유량계 등), 압력전달 펌프, 주입관, 시험구간 확보를 위한 패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수리시험 장치는 수리시험에서 대부분 시추공 내 설치되는 주입관 및 패커에서 많은 공내 사고 및 기타 여러 가지 현장상황으로 인하여 원활한 시험이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수리시험 장치는 시추공의 입구측에 삽입된 로드를 인양한 후에, 수리시험 장치를 삽입하여 수리시험을 실시하기 때문에 암반 불량구간에서의 암편 등에 의해 주입관의 걸림 및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2012-0112961호(공고일자 2012.10.1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시추공의 입구측에 삽입된 로드 및 코어배럴의 내부로 직접 본체를 통과시키면서 시추공에 삽입하여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도중에 암반 불량구간에서의 암편 등에 의해 주입관의 걸림 및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는, 시추공에 삽입된 로드(rod) 및 코어배럴(core barrel)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시추공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 및 하측에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분사를 위한 분사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시추공에서 수리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밀폐된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패커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패커부재 또는 분사구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유입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추공에서 상기 패커부재 또는 시험구간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본체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시추공에 삽입하거나 상기 시추공에 삽입된 상기 본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커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부재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분사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부재의 팽창에 의해 구획된 시험구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패커부재의 팽창이 완료되어 상기 토출구가 상기 분사구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관이 하강할 경우, 상기 분사구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시험구간에 분사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는 분기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밸브; 상기 공급배관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기;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패커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은, (a) 외주면에 패커부재가 설치된 본체를 시추공에 삽입된 로드(rod) 및 코어배럴(core barrel)의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시추공에 삽입하는 공정; (b)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입관으로 유체를 주입시키고, 상기 유입관의 토출구를 통해 유체가 상기 패커부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패커부재를 팽창시켜 상기 시추공에서 밀폐된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공정; (c) 상기 (b)공정을 통해 구획된 시험구간에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입관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공정; 및 (d) 상기 (c)공정을 통해 실시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패커부재를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은, (e) 상기 시추공에서 시험구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시추공에서 상기 로드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e)공정을 실시할 경우, 상기 (e)공정 이후에 상기 (b)공정, (c)공정 및 (d)공정을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입관의 상측에는 상기 로드로 공급되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유체 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부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b)공정은, (b1)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본체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유체를 주입시키는 공정; 및 (b2) 상기 (b1)공정을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입관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패커부재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패커부재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공정;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c) 공정은, (c1) 상기 (b)공정을 통해 상기 시험구간의 구획이 완료되면, 상기 유입관에 형성된 토출구가 상기 분사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을 하강시키는 공정; (c2)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구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구간에 분사시키는 공정; 및 (c3) 유량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c2)공정을 통해 상기 시험구간에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d)공정은, (d1) 상기 (c)공정을 통해 실시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유량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 공급을 차단하는 공정; 및 (d2) 상기 본체의 위치를 상기 시추공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패커부재를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추공의 입구측에 삽입된 로드 및 코어배럴의 내부로 직접 본체를 통과시키면서 시추공에 삽입하여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도중에 암반 불량구간에서의 암편 등에 의해 주입관의 걸림 및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내 패커부재의 팽창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내 유입관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내 패커부재의 수축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의 상승이동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의 제어유닛 및 센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중 패커부재 팽창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중 수리시험 실시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중 패커부재 수축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에 관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내 패커부재의 팽창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내 유입관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내 패커부재의 수축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의 상승이동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의 제어유닛 및 센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는 본체(10), 유입관(15), 센서부(20), 패커부재(30), 필터부(40), 제어유닛(50) 및 연결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시추공(H)에 삽입된 로드(R)(rod) 및 코어배럴(C)(core barrel)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시추공(H)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R)의 내부로 공급된 유체(시험수)가 주입되는 주입구(11) 및 하측에 상기 주입구(11)를 통해 주입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12)가 형성된 구성이다.
여기서, 코어배럴(C)은 시추조사시 내부에 이너배럴(inner barrel) 및 코어캐처(core catcher)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코어배럴(C) 내 이너배럴 및 코어캐처를 제거한 뒤에, 시추공(H)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를 로드(R) 및 코어배럴(C)의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시추공(H)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추공(H)의 심도에 따라 본체(10)의 상측은 로드(R) 또는 코어배럴(C)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나머지 본체(10)의 하측은 코어배럴(C)의 하측을 통과하면서 시추공(H) 내에 위치함으로써 본체(10)가 코어배럴(C)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코어배럴(C)의 일측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CF)가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부(CF)는 주입구(11)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접촉되어 시추공(H)에 삽입된 본체(1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관(15)은 본체(10)의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11)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패커부재(30) 또는 분사구(12)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토출구(16)가 형성된 구성이다.
센서부(20)는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추공(H)에서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센서(22) 및 제 2 센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센서(22)는 패커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패커부재(30)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 2 센서(23)는 상기 분사구(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부재(30)의 팽창에 의해 구획된 시험구간(A)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패커부재(30)는 상기 센서부(2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11)를 통해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시추공(H)에서 수리시험(예 : 투수도 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밀폐된 시험구간(A)을 구획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1)를 통해 유입관(15) 내로 주입된 유체는 유입관(15)의 토출구(16)를 통해 패커부재(3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패커부재(30)가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공(H)의 입구측에 삽입된 로드(R)를 인출한 후 본체(10)를 주입하여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반면, 본 발명은 로드(R)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시추공(H)에 본체(10)를 설치함에 따라 로드(R)에 직접 유체를 주입하여 수리시험을 실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드(R) 및 유입관(15)이 기존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관의 역할을 하게 되어 로드(R)의 내부에 공급된 유체가 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 도중에 암반 불량구간에서의 암편 등에 의해 종래 주입관의 걸림 및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패커부재(30)는 실시하기에 따라 하나의 패커부재(30)가 설치될 경우, 패커부재(30)의 팽창을 통해 시추공(H)의 바닥과 패커부재(30) 사이에 시험구간(A)을 확보하는 방식과, 두 개의 패커부재(30)가 설치될 경우, 두 개의 패커부재(30)의 팽창을 통해 그 사이에 시험구간(A)을 확보하는 방식을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커부재(30)의 팽창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5)을 하강시켜 토출구(16)를 본체(10)의 분사구(12) 측에 위치시킴으로써 토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가 분사구(12) 측으로 유입됨에 따라 분사구(12)를 통해 시험구간(A)에 대한 유체(시험수)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필터부(40)는 상기 본체(10)의 주입구(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되는 유체 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이다. 즉, 필터부(4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패커부재(30)의 팽창과 시험구간(A)에서의 수리시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어유닛(50)은 시추공(H)이 형성된 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R)를 통해 상기 본체(10)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2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50)은 상기 로드(R)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51)과, 상기 공급배관(51)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는 분기배관(52) 및 상기 공급배관(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51)을 통해 상기 로드(R)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밸브(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0)은 상기 공급배관(51)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51)을 통해 상기 로드(R)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기(54) 및 센서부(20)를 통해 측정된 상기 패커부재(3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계(5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급배관(51)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유량 조절밸브(53)를 통해 로드(R)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분기배관(52)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어 로드(R)의 내부로 유체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험구간(A)에 대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유량 조절밸브(53)를 통해 로드(R)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로드(R)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팽창된 패커부재(30)를 수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R)가 시추공(H)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승함에 따라 본체(10)가 함께 상승하여 주입구(11)를 통해 패커부재(30)의 압력이 배출됨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패커부재(30)가 수축될 수 있다.
연결부(6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10)를 상기 시추공(H)에 삽입하거나 수리시험이 완료될 경우, 상기 시추공(H)에 삽입된 상기 본체(10)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연결부(60)는 대심도에 시추공(H)을 형성시키는 장비(시추기)의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패커부재(30)가 구비된 본체(10)를 시추공(H)에 삽입하거나 시추공(H)에 삽입된 본체(1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부(60)는 시추공(H)에 본체(10)가 삽입작업이 완료되면, 본체(10)의 상단부에서 분리시키며, 이후에 시험구간(A)의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본체(10)의 상단부에 다시 결합되어 시추공(H)에서 본체(10)를 외부로 인출하는데 활용되는 것이다.
<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에 관한 설명>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중 패커부재 팽창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중 수리시험 실시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중 패커부재 수축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이 어떠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 본체 삽입공정
본 공정에서는 외주면에 패커부재(30)가 설치된 본체(10)를 시추공(H)에 삽입된 로드(R)(rod) 및 코어배럴(C)(core barrel)의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시추공(H)에 삽입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코어배럴(C)은 시추조사시 내부에 이너배럴(inner barrel) 및 코어캐처(core catcher)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코어배럴(C) 내 이너배럴 및 코어캐처를 제거한 뒤에, 시추공(H)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를 로드(R) 및 코어배럴(C)의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시추공(H)에 삽입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공정에서는 시추공(H) 내에서 시험구간(A)을 선정하고, 이와 같이 선정된 시험구간(A)에 적합하도록 시추공(H) 내에 본체(10)를 위치시키게 된다.
즉, 시추공(H)의 심도에 따라 본체(10)의 상측은 로드(R) 또는 코어배럴(C)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나머지 본체(10)의 하측은 코어배럴(C)의 하측을 통과하면서 시추공(H) 내에 위치함으로써 본체(10)가 코어배럴(C)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로드(R)의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주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1)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되는 유체 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b) 패커부재 팽창공정
본 공정에서는 상기 로드(R)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입관(15)으로 유체를 주입시키고, 상기 유입관(15)의 토출구(16)를 통해 유체가 상기 패커부재(3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패커부재(30)를 팽창시켜 상기 시추공(H)에서 밀폐된 시험구간(A)(A)을 구획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공정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유체 주입공정 및 (b2) 시험구간 구획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b1)공정에서는 상기 로드(R)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본체(10)의 주입구(11)를 통해 상기 유입관(15)으로 유체를 주입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 (b2)공정에서는 상기 (b1)공정을 통해 상기 유입관(15)으로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입관(15)에 형성된 토출구(16)를 통해 상기 패커부재(30)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패커부재(30)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시험구간(A)을 구획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시추공(H)의 입구측에 삽입된 로드(R)를 인출한 후 본체(10)를 주입하여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반면, 본 발명은 로드(R)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시추공(H)에 본체(10)를 설치함에 따라 로드(R)에 직접 유체를 주입하여 수리시험을 실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드(R)가 기존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관의 역할을 하게 되어 로드(R)의 내부에 공급된 유체가 본체(10)의 내부로 주입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 도중에 암반 불량구간에서의 암편 등에 의해 종래 주입관의 걸림 및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커부재(30)는 본체(10)에 주입된 유체에 의해 팽창하게 되어 시추공(H) 내에 밀폐된 시험구간(A)을 구획한다. 즉, 시험구간(A)은 시추공(H)의 바닥과 팽창된 패커부재(30)의 사이에 확보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공정에서의 패커부재(30)는 실시하기에 따라 하나의 패커부재(30)가 설치될 경우, 패커부재(30)의 팽창을 통해 시추공(H)의 바닥과 패커부재(30) 사이에 시험구간(A)을 확보하는 방식과, 두 개의 패커부재(30)가 설치될 경우, 두 개의 패커부재(30)의 팽창을 통해 그 사이에 다른 시험구간을 확보하는 방식을 적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공정에서의 패커부재(30)는 유량 조절밸브(53)를 이용하여 600 내지 1000psi의 압력으로 시추공(H)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수리시험 실시공정
본 공정에서는 상기 (b)공정을 통해 구획된 시험구간(A)에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된 분사구(12)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된 센서부(20)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구간(A)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공정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 유입관 하강공정, (c2) 유체 분사공정 및 (c3) 수리시험 실시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c1)공정에서는 상기 (b)공정을 통해 상기 시험구간(A)의 구획이 완료되면, 상기 유입관(15)에 형성된 토출구(16)가 상기 분사구(12)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15)을 하강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 (c2)공정에서는 상기 유입관(15)의 토출구(16)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구(12)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구간(A)에 분사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 (c3)공정에서는 유량 조절밸브(53) 및 유량 측정기(54)를 이용하여 상기 (c2)공정을 통해 상기 시험구간(A)에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상기 시험구간(A)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센서부(20)는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추공(H)에서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센서(22) 및 제 2 센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센서(22)는 패커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패커부재(30)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 2 센서(23)는 상기 분사구(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부재(30)의 팽창에 의해 구획된 시험구간(A)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d) 패커부재 수축공정
본 공정에서는 상기 (c)공정을 통해 실시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패커부재(30)를 수축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공정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 유체 공급차단공정 및 (d2) 본체 상승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d1)공정에서는 상기 (c)공정을 통해 실시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유량 조절밸브(53)를 이용하여 상기 로드(R)의 내부로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량 조절밸브(53)는 로드(R)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51)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배관(51)의 일측에는 분기되어 마련되는 분기배관(5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배관(51)의 타측에는 상기 공급배관(51)을 통해 상기 로드(R)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기(54)와, 유량 측정기(54)의 일측에는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측정된 상기 패커부재(3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계(55)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공급배관(51)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유량 조절밸브(53)를 통해 로드(R)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분기배관(52)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어 로드(R)의 내부로 유체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d2)공정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상기 시추공(H)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패커부재(30)를 수축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d2)공정에서는 상기 패커부재(30)가 수축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기 로드(R)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함께 시추공(H) 내에서 상승하여 패커부재(30)의 압력이 낮아져 수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패커부재(30)의 수축이 충분히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e) 로드 상승공정
본 공정에서는 상기 시추공(H)에서 시험구간(A)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시추공(H)(H)에서 상기 로드(R)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본 공정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시험구간(A)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적합한 높이까지 상기 로드(R)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시추공(H) 내에서 본체(10)가 함께 상승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공정을 실시할 경우, 이후에 상기 (b)공정, (c)공정 및 (d)공정을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음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추공(H)의 내 심도가 깊은 하부에서부터 상향식으로 시험구간(A)을 구획하면서 각 시험구간(A)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함에 따라 시추공(H) 전체에 대한 수리시험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주입구
12 : 분사구 15 : 유입관
16 : 토출구 20 : 센서부
22 : 제 1 센서 23 : 제 2 센서
30 : 패커부재 40 : 필터부
50 : 제어유닛 51 : 공급배관
52 : 분기배관 53 : 유량 조절밸브
54 : 유량 측정기 55 : 압력계
60 : 연결부 H : 시추공
R : 로드 C : 코어배럴
CS : 고정부 A : 시험구간

Claims (11)

  1. 시추공에 삽입된 로드(rod) 및 코어배럴(core barrel)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시추공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된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 및 하측에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의 분사를 위한 분사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유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시추공에서 수리시험을 실시하기 위한 밀폐된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패커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유체를 상기 패커부재 또는 분사구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된 유입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추공에서 상기 패커부재 또는 시험구간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본체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패커부재의 팽창이 완료되어 상기 토출구가 상기 분사구 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관이 하강할 경우, 상기 분사구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시험구간에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시추공에 삽입하거나 상기 시추공에 삽입된 상기 본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패커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부재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분사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커부재의 팽창에 의해 구획된 시험구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는 분기배관;
    상기 공급배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밸브;
    상기 공급배관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로드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기;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패커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6. (a) 외주면에 패커부재가 설치된 본체를 시추공에 삽입된 로드(rod) 및 코어배럴(core barrel)의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시추공에 삽입하는 공정;
    (b)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유입관으로 유체를 주입시키고, 상기 유입관의 토출구를 통해 유체가 상기 패커부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패커부재를 팽창시켜 상기 시추공에서 밀폐된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공정;
    (c) 상기 (b)공정을 통해 구획된 시험구간에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입관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공정; 및
    (d) 상기 (c)공정을 통해 실시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패커부재를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은,
    (e) 상기 시추공에서 시험구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시추공에서 상기 로드를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e)공정을 실시할 경우, 상기 (e)공정 이후에 상기 (b)공정, (c)공정 및 (d)공정을 다시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상측에는 상기 로드로 공급되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주입되는 유체 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은,
    (b1)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본체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유체를 주입시키는 공정; 및
    (b2) 상기 (b1)공정을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주입된 유체를 상기 유입관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패커부재의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패커부재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시험구간을 구획하는 공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은,
    (c1) 상기 (b)공정을 통해 상기 시험구간의 구획이 완료되면, 상기 유입관에 형성된 토출구가 상기 분사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을 하강시키는 공정;
    (c2)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상기 분사구를 이용하여 상기 시험구간에 분사시키는 공정; 및
    (c3) 유량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c2)공정을 통해 상기 시험구간에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시험구간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공정은,
    (d1) 상기 (c)공정을 통해 실시된 수리시험이 완료되면, 유량 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로드의 내부로 유체 공급을 차단하는 공정; 및
    (d2) 상기 본체의 위치를 상기 시추공에서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상기 패커부재를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심도용 수리시험 방법.
KR1020170052309A 2017-04-24 2017-04-24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87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09A KR101879380B1 (ko) 2017-04-24 2017-04-24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09A KR101879380B1 (ko) 2017-04-24 2017-04-24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380B1 true KR101879380B1 (ko) 2018-07-18

Family

ID=6304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309A KR101879380B1 (ko) 2017-04-24 2017-04-24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3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932B2 (ko) * 1982-01-08 1992-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H0791165A (ja) * 1993-03-01 1995-04-04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水圧式パッカー及びその拡張・収縮方法
JP2010174559A (ja) * 2009-01-30 2010-08-12 Sanko Consultant Kk 水圧破砕試験方法及びその測定装置
JP2011026880A (ja) * 2009-07-28 2011-02-1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孔口昇降装置
KR20120112961A (ko) * 2011-04-04 2012-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수리시험 장치
KR101205445B1 (ko) * 2012-05-29 2012-11-27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지하수 양수시험 장치 및 방법
KR20150085415A (ko) * 2014-01-15 2015-07-23 한국원자력연구원 더블패커를 이용한 수리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932B2 (ko) * 1982-01-08 1992-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H0791165A (ja) * 1993-03-01 1995-04-04 Power Reactor & Nuclear Fuel Dev Corp 水圧式パッカー及びその拡張・収縮方法
JP2010174559A (ja) * 2009-01-30 2010-08-12 Sanko Consultant Kk 水圧破砕試験方法及びその測定装置
JP2011026880A (ja) * 2009-07-28 2011-02-10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孔口昇降装置
KR20120112961A (ko) * 2011-04-04 2012-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수리시험 장치
KR101205445B1 (ko) * 2012-05-29 2012-11-27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지하수 양수시험 장치 및 방법
KR20150085415A (ko) * 2014-01-15 2015-07-23 한국원자력연구원 더블패커를 이용한 수리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0713B (zh) 一种套管破损修复方法
US5165276A (en) Downhole measurements using very short fractures
BR112019009294A2 (pt) método de tamponamento e teste de pressão de um poço
MX2011006115A (es) Barrera anular y sistema de barrera anular.
CN107191165A (zh) 孔内双端封堵注水装置
CN113107469B (zh) 一种井下长钻孔测定瓦斯压力装置及方法
US2018017179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mented multi-zone completions
CN110984900A (zh) 钻孔止水的装置及方法
CN111577257B (zh) 一种水平井分段坐封式流量计量找水管柱及其找水方法
CN107290223B (zh) 坚硬煤层注水弱化实验装置的使用方法
WO2021034914A1 (en) Measuring horizontal stress in an underground formation
CA120463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ruptures in drill pipe above and below the drill collar and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such ruptures to prevent loss of drilling mud
CN111456721A (zh) 一种多级气囊快速封孔瓦斯压力测定装置及测定方法
US6430990B1 (en) Pipe testing apparatus
RU261048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уемой закачки жидкости по пластам 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м замером параметров процесса
KR101879380B1 (ko) 대심도용 수리시험 장치 및 방법
CN112557279A (zh) 一种风化基岩孔-裂隙垂向渗透性测试装置及方法
CN115929286A (zh) 钻井套管的密封检测系统及密封检测方法
WO2017108789A1 (en) Smart well plug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integrity of a barrier in an underground wellbore
CN109403936B (zh) 用于对高温高压漏失井进行封层封窜的工艺方法及装置
KR101223473B1 (ko) 기밀특성 측정 장치 및 시스템
JP2733000B2 (ja) 水圧式パッカー及びその拡張・収縮方法
RU2678745C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нагнетательной скважины малого диаметра с однолифтовой двухпакерной компоновкой
RU2655547C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нагнетательной скважины с однолифтовой многопакерной компоновкой
KR20050103754A (ko) 지반 수압 시험 장치 및 지반 수압 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