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977B1 -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977B1
KR101878977B1 KR1020170002241A KR20170002241A KR101878977B1 KR 101878977 B1 KR101878977 B1 KR 101878977B1 KR 1020170002241 A KR1020170002241 A KR 1020170002241A KR 20170002241 A KR20170002241 A KR 20170002241A KR 101878977 B1 KR101878977 B1 KR 101878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se
charging
sens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환
진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7000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02J9/007Detection of the absence of a load
    • H02J2009/00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정확한 정렬을 하도록 함으로써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모바일 단말의 거치시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은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기 위한 상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상면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상면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이 상기 상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ALIGNMENT VERIFICATION AND STANDBY POWER REDUCTION}
본 발명은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에 과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정확한 정렬을 하도록 함으로써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모바일 단말의 거치시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전자 장치에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기술은 특히,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빈번한 충전이 필요한 모바일 단말을 위해 적용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는 무선 충전을 위해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을 충전 거치대 또는 스테이션에 올려둠으로써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하는 불편함 없이 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자기유도 또는 공진과 같이 서로 이격된 두 도체 중 어느 한 쪽에 흐르는 전기를 다른 도체에 무선으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할 필요없이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편리성이 높지만, 정렬상태, 거리와 같은 요소에 크게 구애받아, 상황에 따라 충전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스테이션의 정확한 위치에 두지 않는 경우, 충전효율이 저하되어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며, 충전을 위해 소모되는 전력의 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부 무선 충전 기술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정렬(ALIGNMENT)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구조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사용이 불편하거나,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아 낭비와 비효율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의 경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면 언제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대기전력의 차단을 위해 센싱장치를 이용하거나 스위치를 부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도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보편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은 사용자가 충전을 하고자 할 때마다 스위치를 온오프 해야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켜둔 상태로 사용하여 대기전력 감소가 이루어지 않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의 거치를 인식하도록 센서를 이용하는 기술이 적용되었으나, 센서의 구동을 위해 스테이션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대기전력 못지 않은 전력 소모가 발생되어 대기전력 감소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257676(등록일 2013.04.18.) 무선충전 시스템의 송수신 정렬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정확한 정렬을 하도록 함으로써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모바일 단말의 거치시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은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기 위한 상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상면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상면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이 상기 상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은 상기 돌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상기 돌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단말은 정렬상태에서 상기 돌부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돌부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기울어짐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모바일 단말의 거치여부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면에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는 상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거치되는 모바일 단말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을 가지며, 상기 코일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치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생산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위치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스위치에서 동일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은 사용자가 정렬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정확한 정렬을 하도록 함으로써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모바일 단말의 거치시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스테이션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스테이션의 구성을 블럭형태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와 이에 배치되는 구성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돌부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정렬을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형태를 측면에서 일부 투영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구성을 블럭도 형태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스테이션의 외부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스테이션의 구성을 블럭형태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스테이션은 돌부(13)가 형성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에 설치되는 센서(20), 케이스(11) 내부에 수납되는 제어부(30), 충전부(40), 전원부(50) 및 출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는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거치대의 역할을 하며, 정렬된 상태의 모바일 단말이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을 위한 제어부(30), 충전부(40), 전원부(50) 및 출력부(6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케이스(11)의 표면에는 돌부(13)가 형성되고, 센서(2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11)는 상부케이스(11A)와 하부케이스(11B)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돌부(13)는 모바일 단말이 거치됨과 아울러 정렬이 되지 않은 상태의 모바일 단말이 기울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정렬되지 않은 상태의 모바일 단말을 센서(20)가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11) 내부의 돌부(1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력송신(TX)용 코일이 배치되어 정렬된 상태의 모바일 단말이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즉, 돌부(13)는 상면이 평평하게 케이스(11A)의 상부에서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며, 평평한 면의 폭이 모바일 단말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모바일 단말이 돌부(13)의 상면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돌부(13)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를 센서(20)가 감지하여 정렬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20)는 케이스(11) 특히, 돌부(13) 상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센서는 모바일 단말의 기울어짐을 정확히 감지하고, 평행상태를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돌부(13) 주변에 적어도 2개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20)는 접촉센서,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광센서와 같이 모바일 단말의 기울어짐을 판단할 수 있는 센서들로 구성된다. 일례로 제어부(30)는 센서(20)가 접촉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어느 한 센서(20)에서라도 접촉이 감지되면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고, 접촉센서의 값이 측정되지 않으면 정렬상태 또는 모바일 단말의 미거치 상태로 인지하여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20)를 적외선 센서, 광센서와 같은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거치여부, 모바일 단말의 기울어짐을 판별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는 센서(2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값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정렬 여부를 판별하고, 모바일 단말이 충전이 가능한 정렬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부(40)를 제어하여 충전이 진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30)는 센서(2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값에 따라 정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정렬 상태를 나타내도록 출력부(60)를 제어한다. 특히, 모바일 단말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 출력부(60)를 통해 모바일 단말의 재정렬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광신호,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충전부(40)는 제어부(30)로부터의 충전제어에 따라 전원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코일(41)에 공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충전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충전부(40)는 코일(4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원부(60)와 연결된다.
코일(41)은 충전부(4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코일(41)은 정렬된 상태의 모바일 단말에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모바일 단말과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여 전력송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돌부(13)의 내부 또는 돌부의 하면에 구성된다. 이를 통해 코일(41)은 모바일 단말이 돌부(13) 상에서 정렬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과 최소거리가 되도록 하여 최적의 효율을 충전전력이 모바일 단말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충전 효율을 높이고, 비정렬 상태에서의 충전으로 인한 전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부(13)를 제외한 상부케이스(11A)의 내부에는 차폐재(43)가 구성될 수 있다. 이 차폐재(43)는 송신전력이 모바일 단말 이외의 곳으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정렬되지 않은 모바일 단말이 낮은 효율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차폐재(43)는 가공의 편의를 위하여 소형 사각형 격자 구조가 서로 연속하여 접합된 상태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형태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차폐재(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a)의 일부에만 한정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돌부(13)와 코일(41)을 제외한 상부 케이스(11A)의 전 영역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도면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5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충전이 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부(4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충전부(40)는 소형 변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룰러, 전원부(50)는 케이스(11) 내부에 수납되지 않고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고, 전선을 이용하여 충전부(40)와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6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정렬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특히, 출력부(60)는 모바일 단말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 정렬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60)는 LED와 같은 발광수단, 안내 문구 또는 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한 영상표시 수단 또는 비프음, 음성안내와 같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케이스와 이에 배치되는 구성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돌부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정렬을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은 복잡한 알고리즘, 복잡한 장치를 구성하지 않고도 케이스(11)에 형성되는 돌부(13)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정렬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높은 충전효율을 충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돌부(13)는 상부케이스(11a)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돌부(13)는 상면이 평평한 형태가 되도록 상부케이스(11A)의 표면으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다. 이때 돌부(13)의 상면의 폭은 모바일 단말(1 : 1A, 1B)의 폭이 비해 작은 폭, 예를들어 모바일 단말(1)의 짧은 폭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어 모바일 단말(1)의 배면과 돌부(13)의 상면이 정렬된 상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정렬되지 않은 경우 기울어질 수 있게 모바일 단말(1)읠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돌부(13)의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모바일 단말(1)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경우 충분히 모바일 단말을 지지하게 되어, 모바일 단말이 수평상태(1A)를 이루어게 된다.
반면에 모바일 단말(1)의 무게 중심이 돌부(13)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즉, 모바알 단말(1)의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돌부(13)의 좁은 상면 폭으로 인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모바일 단말(1B)의 배면과 돌부(13)의 상면이 접촉하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울어짐(1B) 또는 수평상태(1A)의 모바일 단말(1)을 센서(20)가 감지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30)는 정렬을 요청하거나, 모바일 단말(1)의 충전을 진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20)를 광센서, 적외선 센서와 같은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이 스테이션 상에 위치하는지 또는 스테이션에 거치되지 않았는지도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션 상에 취하는 경우 센서(20) 중 어느 하나에 는 모바일 단말이 근접한 것으로 인지되고 다른 센서에는 모바일 단말과의 거리가 멀어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1)이 기울어진상태(1B)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센서(20)는 도 3에서와 같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모바일 단말(1)의 용이한 감지를 위해 돌부(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11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재(43)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폐재(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가공성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형태를 측면에서 일부 투영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는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의 구성을 블럭도 형태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은 모바일 단말의 거치여부를 감지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대기전력의 감소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전스테이션은 케이스(111 : 111A. 11B), 센서(20), 출력부(40), 전원부(50), 출력부(60), 제어부(130) 및 스위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 중 돌부(13)와 센서(20)에 의한 구성을 생략하고, 제2실시예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케이스(111)는 상부케이스(111A)와 하부케이스(111B)로 구성되고, 상부케이스(111A)가 이동 또는 승하강 가능하게 하부케이스(111B)에 결합된다. 이 케이스(111)는 상부케이스(111A)가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는 경우 도 1의 (B)와 같이 모바일 단말(1)의 무게에 의해 하부케이스(111B) 방향으로 하강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17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어부(130)가 모바일 단말(1)의 거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케이스(111A) 또는 하부케이스(111B) 중 어느 하나에는 스위치(170)가 마련되고, 다른 케이스에는 스위치(170)의 접점(16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14)가 마련된다. 또한, 케이스(111)로부터 모바일 단말(1)이 제거되는 경우 하강된 상부케이스(111A)를 도 1의 (A)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시켜 가압부(114)와 스위치(170)를 이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17)가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17)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30)는 스위치(170)로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모바일 단말(1)의 거치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1)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부(40)를 제어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출력부(60)를 제어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제1실시예와 결부되어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스위치(170)에 의해 모바일 단말(1)의 거치가 확인되는 경우 센서(20)를 동작시켜 모바일 단말(1)의 정렬여부를 판단하고, 거치 및 정렬이 확인된 경우에 충전부(40)를 제어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스위치(170)는 상부케이스(111A)의 승하강에 의해 가압부(114)에 의해 가압되거나 분리되어 스위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위칭 신호를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한편, 이 스위치(170)와 상부케이스(111A)는 전술한 돌부(13)와 같이 모바일 단말(1)의 정렬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111A)가 모바일단말(1)이 케이스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하강하도록 하고, 스위치(170)는 상부케이스(111A)가 균일하게 하강하는 경우에만 동시에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의 정렬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스테이션 11 : 케이스
20 : 센서 13 : 돌부
30 : 제어부 40 : 충전부
41 : 코일 43 : 차폐수단
50 : 전원부 60 : 출력부
114 : 가압수단 115, 170 : 스위치
117 : 탄성부재

Claims (10)

  1.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기 위한 상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상면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상면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이 상기 상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돌부에 거치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기울어짐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스테이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돌부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상기 돌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스테이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은 정렬상태에서 상기 돌부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스테이션.
  5. 삭제
  6.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모바일 단말의 거치여부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면에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는 상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거치되는 모바일 단말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코일을 가지며, 상기 코일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치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여 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스위칭신호를 생산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스위치에서 동일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스테이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스위치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스테이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스테이션.
  10. 삭제
KR1020170002241A 2017-01-06 2017-01-06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KR101878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241A KR101878977B1 (ko) 2017-01-06 2017-01-06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241A KR101878977B1 (ko) 2017-01-06 2017-01-06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977B1 true KR101878977B1 (ko) 2018-07-16

Family

ID=6304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241A KR101878977B1 (ko) 2017-01-06 2017-01-06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9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1712A (ja) * 2008-06-30 2010-01-14 Sharp Corp 充電台
JP2013005543A (ja) * 2011-06-14 2013-01-07 Sanyo Electric Co Ltd 無接点充電システム、充電台ユニット、電池内蔵機器ユニット、充電台用の位置決めアダプタ、及び充電台
KR101257676B1 (ko) 2012-12-07 2013-05-02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무선충전 시스템의 송수신 정렬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KR20140065090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방법
KR200481061Y1 (ko) * 2015-08-17 2016-08-08 차한얼 무선충전이 가능한 책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1712A (ja) * 2008-06-30 2010-01-14 Sharp Corp 充電台
JP2013005543A (ja) * 2011-06-14 2013-01-07 Sanyo Electric Co Ltd 無接点充電システム、充電台ユニット、電池内蔵機器ユニット、充電台用の位置決めアダプタ、及び充電台
KR20140065090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257676B1 (ko) 2012-12-07 2013-05-02 주식회사 에스엔파워콤 무선충전 시스템의 송수신 정렬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481061Y1 (ko) * 2015-08-17 2016-08-08 차한얼 무선충전이 가능한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6062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43587B1 (ko)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US972244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i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ed therein
KR101317360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KR200467441Y1 (ko)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WO2019142807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ッテリーと給電システム
KR102602642B1 (ko) 무선 충전 장치
JPH10174300A (ja) 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JP2013115978A (ja) 携帯機器及び給電台と携帯機器の給電方法
KR20120092455A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차량용 충전 장치
WO2022205875A1 (zh) 无线充电装置及智能眼镜组件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2012999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KR20150093526A (ko)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KR20210109916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184179B1 (ko) 평판 가구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평판형 가구
KR101878977B1 (ko) 정렬 확인 및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
KR20230136101A (ko) 평판 가구용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평판형 가구
JP2008236887A (ja) 携帯装置用充電装置、携帯装置用充電装置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02850A (ko) 무선 충전 장치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046659B1 (ko) 휴대기기의 배터리 무선 충전 장치
KR102157255B1 (ko)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
JP2023107754A (ja) 無線電力伝送装置及び方法
KR2020004237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