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894B1 -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894B1
KR101878894B1 KR1020180040905A KR20180040905A KR101878894B1 KR 101878894 B1 KR101878894 B1 KR 101878894B1 KR 1020180040905 A KR1020180040905 A KR 1020180040905A KR 20180040905 A KR20180040905 A KR 20180040905A KR 101878894 B1 KR101878894 B1 KR 10187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eight
parts
acute angl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준
이진호
유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황상준
이진호
유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황상준, 이진호, 유종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면과 전,후면 및 양 측면을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상,하면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면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의 좌우폭과 후면의 좌우폭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은, 두 개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되, 전면 또는 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 및 후면 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좌우측 중 예각수직면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옹벽 블록에는, 상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옹벽 블록은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석분 295 ~ 313 중량부; 모래 199 ~ 2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3.03 ~ 3.05 중량부; 혼화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유용 미생물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및 배합수 21.7 ~ 23.9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Environment-friendly block for earthwall}
본 발명은 옹벽축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 2~3종의 블록만으로도 직선형이나 곡선형의 수직 또는 경사 옹벽은 물론 각종 조경 구조물을 현장의 입지조건에 맞게 자유롭게 축조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옹벽 블록이 토양과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사나 돌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데, 옹벽은 보통 콘크리트나 천연석재, 블록 등의 여러 가지 소재와 형태로 된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옹벽 블록의 대표적인 예들이 특허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자연석 벽의 외관을 갖추도록 다양한 블록면의 크기를 가지고 임의의 자연적 외관을 가진 벽을 축조할 수 있는 벽 블록인데, 이는 형태와 크기가 다른 3종 이상의 블록이 혼용되어야 하고, 블록의 양 측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생산과 운반 및 실제 축조시 이를 육안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2 및 3도 최소 3종의 블록이 혼용되어야 하고, 여기에 추가하여 2종 이상의 부 블록이 더 추가되어야만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콘크리트 블록에 의해 도시의 표면이 형성되는데, 백화 현상으로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고, 전체 구조물의 내구성에도 악영향이 생기며, 치산, 치수를 위해 비탈면, 호안, 해안 등에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는데,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독성에 더하여 자연 원래의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되어 콘크리트를 사용하면서도 자연의 자정능력, 수질정화 기능을 회복해야할 필요성이 증대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32363호(2004.05.10) 유럽특허공개 EP2 148 019 A2(2010.01.27) PCT국제공개 WO 03/006749 A2(2003.01.23)
본 발명은 직선형이나 곡선형은 물론 수직옹벽이나 경사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되 주택 경계나 정원 조경용의 나아가서 도로 등의 토목공사용으로 범용이 가능한 옹벽 블록을 제공하되 1종 또는 2종의 기본 블록만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기본 블록의 치수와 동일하되 육안으로 그 형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단순한 변형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좀 더 세련된 외관을 갖는 옹벽, 조경구조물 또는 호안 블록 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는 석축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블록에 일라이트, 유용 미생물을 혼입하여, 콘크리트에 의한 자연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블록이 설치되는 지역의 토양을 개선하고,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 하면과 전, 후면 및 양 측면을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 후면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의 좌우폭과 상기 후면의 좌우폭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상, 하면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은, 두 개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되, 전면 또는 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 및 후면 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좌우측 중 예각수직면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옹벽 블록에는,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옹벽 블록은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석분 295 ~ 313 중량부; 모래 199 ~ 2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3.03 ~ 3.05 중량부; 준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트리에톡시옥틸실란(Triethoxyoctylsilane)과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함유하고 있는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유용 미생물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배합수 21.7 ~ 23.9 중량부; 및 안료 3.03 ~ 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핀공과 연통하는 핀머리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면(11,12)과 전,후면(13,14) 및 측면(1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11,1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13,14)과 상기 측면(18)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7)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핀공(15)이 형성된 직사각블록(10); 상,하면(21,22)과 전,후면(23,24) 및 측면(2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21,2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23,2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측면 중 하나에는, 후면(24)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28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23)측에는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281)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2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2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27)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핀공(25)이 형성되고, 예각수직면(282)이 없는 측면(28)과 직각수직면(281) 사이의 거리가, 전면(23)과 후면(24) 사이의 거리보다 큰 일단돌출장폭블록(20); 상,하면(31,32)과 전,후면(33,34) 및 측면(3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31,3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33,3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측면 중 하나에는, 후면(34)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38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33)측에는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381)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3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3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핀공(35)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382)이 없는 측면(38)과 직각수직면(381) 사이의 거리가, 전면(33)과 후면(3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일단돌출단폭블록(30); 상,하면(41,42)과 전,후면(43,44) 및 측면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41,4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43,4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측면 모두에, 후면(44)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481)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43)측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482)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4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4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핀공(45)이 형성되며, 돌출부(49) 끝 사이의 거리가, 전면(43)과 후면(44) 사이의 거리보다 큰 양단돌출장폭블록(40); 상,하면(51,52)과 전,후면(53,54) 및 측면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51,5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53,5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측면 모두에, 후면(54)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581)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53)측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582)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5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5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핀공(55)이 형성되며, 돌출부(59) 끝 사이의 거리가, 전면(53)과 후면(5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양단돌출단폭블록(50); 중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직사각블록(10), 일단돌출장폭블록(20), 일단돌출단폭블록(30), 양단돌출장폭블록(40), 양단돌출단폭블록(50)은,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석분 295 ~ 313 중량부; 모래 199 ~ 2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3.03 ~ 3.05 중량부; 준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트리에톡시옥틸실란(Triethoxyoctylsilane)과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함유하고 있는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유용 미생물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배합수 21.7 ~ 23.9 중량부; 및 안료 3.03 ~ 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
상기 옹벽 블록 세트는 상기 핀공에 삽입되는 핀(6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블록(10), 일단돌출장폭블록(20), 일단돌출단폭블록(30), 양단돌출장폭블록(40), 양단돌출단폭블록(50)의 하면에는 상기 핀공(15, 25, 35, 45, 55)과 연통하는 핀머리홈(16, 26, 36, 46, 56)이 형성되어 핀머리(61)가 수용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경친화형 블록 세트를 사용하여 축조하는 옹벽 축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경친화형 블록 세트를 사용하여 축조하는 옹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의 블록의 내부에는 유용 미생물이 활착되어 있어 질소, 인 등의 수질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강우시 흘러내리는 강우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블록을 호안블록으로 사용하거나, 블록이 수중에 위치할 경우에는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수질을 깨끗하게 정화시켜 생태계를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백화방지 첨가제에 의해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옹벽 구조물 전체의 미관과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셋째, 본 발명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일라이트를 포함함으로써, 광물질의 미립 물질 흡착효과에 의하여 시멘트의 강한 독성을 흡착하여 중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토양 및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넷째, 일라이트는 독성물질을 흡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유용 미생물은 유해성분을 분해하여 토양과 수질을 정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인데, 이 두 성분이 콘크리트 배합 속에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일라이트의 독성물질 흡착효과와 유용 미생물의 유해성분 분해효과가 상승작용을 일으켜, 일라이트가 없을 때에 비해 현저히 큰 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블록 전면의 좌우 양측 또는 일측에 삼각 형태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도브테일 방식의 결합에 의해 인접한 블록이 전후방향으로 어긋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옹벽 배면으로 돌출된 블록이 토체에 매립되어 옹벽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옹벽의 내구성 향상 등 앵커링 효과가 우수하다.
여섯째, 옹벽 전면으로 만입부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조류 등의 서식 공간으로 사용이 가능한 생태형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고, 블록의 축조에 의해 생긴 벽체 전면의 요철공간에 식생토층을 조성할 수 있고, 초목류의 식생도 가능한데, 이때 블록에는 유용 미생물이 활착되어 있고, 일라이트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에 의한 자연환경에의 악영향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유용 미생물과 일라이트가 토양을 개선하여 식물에 우수한 식생환경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블록 세트는 요철형태로 축조가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옹벽구조에 비해 토양이나 대기, 물과의 접촉 면적이 커서 정화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곱째, 한 종류 또는 두개의 블록만을 사용하여 옹벽이나 기타 조경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생산 및 물류 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현장 여건에 따른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등의 장점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블록 자체의 무게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중력식 옹벽을 축조하거나 토체에 보강재를 포설하고 블록에 연결하는 보강토식 옹벽을 선택적으로 축조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5종류의 블록들은 전면과 후면 뿐만 아니라 하나의 수직면으로 된 측면까지도 벽체의 정면으로 배치될 수 있어, 5종류의 블록들을 블록 세트로 모듈화하여 생산할 경우, 간단한 생산설비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된 블록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손쉽게 결합하고 적층하여 다양한 형태의 옹벽 내지 벽체를 건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사각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직사각블록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단돌출장폭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단돌출장폭블록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단돌출단폭블록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단돌출단폭블록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양단돌출장폭블록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양단돌출장폭블록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양단돌출단폭블록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양단돌출단폭블록의 저면도와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블록세트의 조적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일자형으로 쌓은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블록을 계단식으로 쌓은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블록세트의 치수를 정한 일 실시예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 블록세트 및 이 블록들에 의해 축조된 옹벽 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록들은 총 5종류가 있다.
전체적인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직사각블록(도 1, 2), 직사각형에서 측면의 일단에 직각삼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일단돌출장폭블록(도 3, 4)과 일단돌출단폭블록(도 5, 6), 직사각형에서 측면의 양단에 직각삼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양단돌출장폭블록(도 7, 8)과 양단돌출단폭블록(도 9, 10)이다.
옹벽이나 벽체를 건설할 현장의 규모, 지형, 요구되는 벽체의 선형, 높이 등에 따라 이들 블록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블록세트로 적절히 활용하여 건설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5종류의 블록들의 구조에 대해 하나씩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직사각블록(10)은, 상,하면(11,12)과 전,후면(13,14) 및 측면(1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11,1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13,14)과 상기 측면(18)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직사각블록(10)의 가운데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공은 블록과 옹벽 구조물의 강도, 안정성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블록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이 관통공을 사용한 블록의 효율적인 운반이나 인양도 가능하고, 생태형 옹벽의 축조시 별도의 토낭 등을 채워 넣어 초목류의 식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고, 작은 조류(鳥類)를 비롯한 소동물의 은신처로 사용될 수도 있다.
관통공이 초목류의 식생공간이나 소동물의 은신처로 사용될 경우, 블록의 유용 미생물과 일라이트 성분이 초목류의 생장에 도움을 주고, 보다 친환경적인 소동물 은신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으로 관통되지 않는 홈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관통공의 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이 아닌 원형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7)의 좌우측에는 일렬로 세 개씩의 핀공(15)이 형성되어 있다(핀공의 갯수를 3개로 설명하였으나, 핀공의 개수는 블록의 크기, 핀의 크기 등에 따라 그 수와 위치를 달리 할 수 있다).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해 핀(60)을 꽂게 되는데, 핀공(15)은 핀몸체(62)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핀공(15) 역시 관통공(17)과 마찬가지로 직사각블록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게 된다.
도 2에는 직사각블록의 하면(12)이 도시되어 있는데, 하면(12)에는 전, 후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핀머리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핀공(15)에 핀(60)을 꽂을 때, 핀이 핀공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핀에는 핀머리(61)를 두는데, 핀머리(61)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블록의 하면에 핀머리홈(16)을 두는 것이다.
핀머리홈(16)은 핀머리를 수용해야 하고,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을 견고하게 결속해야 하므로, 핀머리홈의 폭은 당연히 핀공의 직경보다 커야 되고, 핀머리(61)의 외경보다 조금만 크게 한다.
핀머리홈은 관통공(17) 및 핀공(15)과 연통되어 있는데, 핀머리홈이 직사각블록의 측면(18)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벽체를 쌓을 때, 직사각블록의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측면이 벽체의 정면을 바라보게 쌓을 수도 있는데, 이때 벽체의 정면에 핀머리홈이 드러나 있으면 벽체의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이다.
도 3, 4에는 일단돌출장폭블록(20)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3,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단돌출장폭블록(20)은, 예각수직면이 없는 측면(28)과 직각수직면(281) 사이의 거리가, 전면(23)과 후면(24) 사이의 거리보다 큰 형태(폭이 긴 형태)이다.
일단돌출장폭블록(20)은, 상,하면(21,22)과 전,후면(23,24) 및 측면(2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21,2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23,24)은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일단돌출장폭블록(20)의 두 개의 측면(28) 중 하나에는, 후면(24)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28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23)측에는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28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단돌출장폭블록(20)은 측면 중 하나에 일종의 귀(ear)와 같은 돌출부(29)가 일체로 형성된 점에서 일반적인 육면체형 블록과 차이점이 있으며, 이 돌출부(29)는 대체로 직각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곡선형, 직선형 옹벽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일단돌출장폭블록(20)에도 상기 직사각블록(10)과 같은 형태의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27)의 좌우측에는 일렬로 세 개씩의 핀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일단돌출장폭블록(20)의 관통공(27)과 핀공(25)은 상기 직사각블록(10)의 관통공(17) 및 핀공(15)과 동일한 형태이다.
일단돌출장폭블록(20)의 하면(22)에도 핀머리홈(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직사각블록(10)의 핀머리홈(16)은 그 길이방향 양단이 측면까지 이어지지 않은데 비해, 일단돌출장폭블록(20)의 핀머리홈(26)은 측면(28) 쪽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직각수직면(281)과 예각수직면(282) 쪽으로는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배합한 콘크리트를 몰드에 부어 블록을 만들 때 핀머리홈이 측면까지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제작상 편리하기는 하나, 하나의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측면(28)은 벽체의 정면을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벽체의 미관을 위해 핀머리홈이 벽체의 정면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직각수직면(281)과 예각수직면(282)이 벽체의 정면을 형성하지는 않으므로 직각수직면(281)과 예각수직면(282) 쪽으로는 핀머리홈이 드러나도록 하여 제작상 편리함을 얻기 위한 것이다.
도 5, 6에는 일단돌출단폭블록(30)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5,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단돌출단폭블록(30)은, 측면(38)과 직각수직면(381) 사이의 거리가, 전면(33)과 후면(3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형태(폭이 짧은 형태)이다.
일단돌출장폭블록(20)과 달리, 일단돌출단폭블록(30)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일렬로 핀공(35)을 형성하는데, 핀공(35)으로부터 측면(38)과 직각수직면(381)까지의 거리를 같도록 형성한다.
일단돌출단폭블록(30)의 하면(32)에도 핀머리홈(36)을 두는데, 일단돌출장폭블록(20)의 핀머리홈(26)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일단돌출단폭블록(30)은, 상,하면(31,32)과 전,후면(33,34) 및 측면(3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31,3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33,34)은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일단돌출단폭블록(30)의 두 개의 측면(38) 중 하나에는, 후면(34)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38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33)측에는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381)을 구비하고 있으며, 돌출부(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8에는 양단돌출장폭블록(40)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7,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양단돌출장폭블록(40)은, 돌출부(49) 끝 사이의 거리가, 전면(43)과 후면(44) 사이의 거리보다 큰 형태(폭이 긴 형태)이다.
양단돌출장폭블록(40)에는 양측의 측면 모두에, 후면(44)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481)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43)측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482)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단돌출장폭블록(40)은 양측면에 일종의 귀(ear)와 같은 돌출부(4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곡선형, 직선형 옹벽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양단돌출장폭블록(40)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블록의 가운데에 일렬로 핀공(45)을 형성한다.
양단돌출장폭블록(40)의 하면(42)에도 핀머리홈(46)을 두는데, 양단돌출장폭블록(40)의 양 측면이 벽체의 정면을 향하지는 않으므로 핀머리홈(46)이 양측의 직각수직면(481) 및 예각수직면(482)까지 이어져도 무방하다.
양단돌출장폭블록(40) 역시 상,하면(41,42)과 전,후면(43,44)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41,4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43,44)은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9, 10에는 양단돌출단폭블록(50)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9,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양단돌출단폭블록(50)은, 돌출부(59) 끝 사이의 거리가, 전면(53)과 후면(5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형태(폭이 짧은 형태)이다.
양단돌출장폭블록(40)과 비교하여, 양단돌출단폭블록(50)은 폭의 길이만 다르고, 직각수직면(581), 예각수직면(582), 돌출부(59), 핀공(55), 핀머리홈(56)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1에는 일종의 생태 옹벽 또는 도로 방음(흡음)벽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옹벽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양단돌출장폭블록(40)과 양단돌출단폭블록(50)을 서로 반대방향(전면과 후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접하도록 적층하면서 상기 돌출부(49, 59)가 서로 맞닿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면부가 입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는 직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 우측 하부를 옹벽의 전면으로 하고 좌측 상부를 옹벽의 배면이라고 하면, 옹벽의 전면에 오목한 만입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옹벽의 전면부 표면적이 대폭 증가하게 되는데, 옹벽의 전면부 표면적이 증가함으로 인해 도로변에 옹벽을 축조한 경우 자동차의 주행소음을 옹벽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차음과 방음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은 흡음기능의 옹벽으로 사용되는 경우 오목한 만입부에 별도의 흡음재를 추가로 채워넣음으로써 흡음기능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옹벽은 옹벽의 후면부에 양단돌출단폭블록이 돌출되게 되므로 옹벽의 후면부에 토체를 채우게 될 경우, 상기 양단돌출단폭블록의 후면(54)이 토체(도시 생략됨)에 매립되어 일종의 뿌리 또는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양단돌출단폭블록과 양단돌출장폭블록은 그 측면부가 삼각형 돌출부에 의해 서로 일종의 도브테일 방식의 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양단돌출장폭블록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옹벽면의 지지력을 보완하게 되어 토체의 횡압력이 옹벽면에 작용하거나 기타 옹벽 외부에서의 의도하지 않던 당김력(pulling force)이 작용하더라도 옹벽면이 쉽게 허물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옹벽은 상술한 바와 같은 흡음벽 용도 외에도 상기 만입부가 조류(鳥類) 등의 소동물이 서식하거나 은신할 수 있으며, 상기 만입부에 식생용 토낭(土囊)을 채워서 여기에 초목류를 식재함으로써 녹화(綠化)옹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옹벽을 도면에서 우측 하부를 옹벽의 배면으로 하고 좌측 상부를 옹벽의 전면이라고 하면, 옹벽의 전면에 양단돌출단폭블록의 후면(54)이 돌출되어 옹벽의 전면부 표면적이 증가되게 되며, 돌출에 의해 독특한 옹벽면의 외관을 제공하게 되고, 이 경우에도 만입부에 토체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옹벽의 지지력이 보강되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위에서 상술한 블록세트를 활용한 적층 실시예들이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데, ㄱ 모양, ~ 모양, 원형, 코너부가 라운드진 ㄱ자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적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세트는 핀(60), 핀공, 핀머리홈을 이용하여 수직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을 견고하게 쌓는 것 뿐만 아니라, 핀을 꽂는 핀공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부 블록을 하부 블록보다 뒷물림하는 것에 의해 곡선형 경사 옹벽, 계단식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다(도 16, 17).
도 18에는 본 발명의 블록세트의 일 실시예로 5종류 블록들의 치수를 정하고 있는데(단위 mm), 블록들의 두께(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를 150 mm로 하고, 도 18과 같은 정해진 치수로 대량 생산할 경우 블록이 모듈화되어 옹벽을 설치하는 현장의 지형에 맞도록 쉽게 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들은 도면상으로는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블록은 콘크리트로 성형되므로 표면의 질감은 매끄럽거나 일반 천연석의 거친 질감을 내도록 성형 또는 가공할 수 있으며, 모서리 부분 또한 성형 후 텀블링이나 기타 후가공 공정 등을 거쳐 장기간 풍화작용을 받은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구조의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친환경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배합재료로 시멘트, 석분, 모래, 일라이트, 혼화제, 백화방지 첨가제, 물, 유용 미생물 등이 포함된다.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Portland Cement Clinker)에 제철소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고로슬래그 적량을 혼합하여 분쇄하거나,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에 고로슬래그와 석고를 가해 혼합분쇄하거나,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 고로슬래그 및 석고를 따로 분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시멘트를 말한다.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장기 강도 발현이 우수하고, 수화열이 낮아 수화열로 인한 콘크리트의 균열이 아주 적으며, 화학적 저항성, 내해수성, 방수성이 우수하고, 안정도가 좋으며, 일반적인 시멘트에 비해 이산화탄소 발생이 줄어들게 되어 환경적으로 우수하다.
본 발명의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잔골재로 석분과 모래를 사용한다.
석분의 입경은 0.15 ~ 6 mm를 사용하고,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석분은 295 ~ 313 중량부를 배합한다.
모래의 입경은 0.1 ~ 5 mm를 사용하고,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모래는 199 ~ 212 중량부를 배합한다.
골재는 입형이 안좋을수록, 각형일수록 실적율이 작게 되는데, 실적율이 커지면 시멘트 페이스트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건조수축과 수화열을 및 수화열을 줄일 수 있고, 골재의 입형과 입도분포가 양호하면 콘크리트가 균질하게 되어 재료분리가 감소되고, 동일한 슬럼프 내에서도 단위수량이 감소하게 되며, 건조수축이 감소되어 내구성 향상 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의 강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좋게 만들기 위해서는 석분, 모래 등 잔골재를 고를 때 입형과 입도분포가 좋은 것을 골라야 한다.
본 발명의 옹벽 블록에는 토양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일라이트를 첨가한다.
일라이트는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와 같은 점토 광물의 일종이고, 일라이트의 종류로는 수화운모, 수화백운모, 함수된 운모, K-운모, 운모질 점토 및 세리사이트 등이 있다.
백색 또는 황색을 띄고,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다량 방사되며, 흡착성능이 뛰어나 오염된 토양 또는 하천 속에 함유된 중금속과 유해물질 및 공기 중의 유독가스 등을 흡수하는 기능이 우수하므로, 토양과 하천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라이트를 분말형태(200 메시 내외)로 가공하여 사용하게 된다.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불소, 염소이온, 황산이온 등이 배출되게 되고, 시멘트 내에 잔류되어 있는 이러한 성분들이 토양이나 하천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는데, 블록에 일라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이들 성분들을 저감시켜 자연에의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자동차 도로의 인근에 일라이트를 함유한 블록을 설치할 경우 자동차 배기가스를 블록이 흡착할 수 있으며, 금붕어를 이용한 어독성 시험 결과 일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수질정화 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라이트는 오염된 토양 또는 빗물 속에 함유된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므로, 옹벽 블록이 시공된 지역의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전체적인 배합설계에서,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 대비 3.03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일라이트의 성분이 부족하여 유해물질 흡수효과가 너무 적게 되고, 3.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일될 경우 수축이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옹벽 블록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일라이트를 포함한 모든 배합재료의 성분량은 그 기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각 배합재료들은 시멘트와의 상대적인 양에 의해서만 그 성질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배합재료가 합쳐진 전체로서 각 성분량이 의미를 가지는 것이며, 모든 배합재료가 합쳐진 전체가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굳기 전 콘크리트와 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시멘트, 물, 골재 이외에 콘크리트에 계획적으로 혼화제를 첨가하게 된다.
콘크리트를 배합할 때 여러가지 목적을 위해 다양한 혼화제를 첨가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하나의 혼화제가 여러가지 목적과 기능을 겸하고 있는 것이 많다. 혼화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분산제(分散劑)와 AE제(air entraining agent)이고, 이외에도 방수제(防水劑), 팽창제, 방수제(防銹劑), 발포제(發泡劑), 소포제(消泡劑), 착색제(着色劑) 등이 있으며, 내구성의 개선과 강도의 증진, 시행성(施行性)의 향상 또는 철근의 발수(發銹)의 개량 등의 목적으로 각종의 혼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혼화제로, 준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FLOWMIX 3000E)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감수성능이 우수하여 단위수량을 줄이게 되어 건조수축을 감소시켜 고내구성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고, 슬럼프 및 공기량의 경시변화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동안 작업성(workability)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재료분리 저항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이 높으면서도 재료분리나 블리딩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표면의 미관 역시 우수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블록의 외관을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단, 고성능 AE 감수제를 필요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워커빌리티는 증가하나 응결지연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배합의 다른 성분들과 반응하여 침전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른 배합재료들의 성분과 양을 고려하여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여야 한다.
고성능 AE 감수제를 균질하게 혼합시키기 위해 희석하여 사용하는데, 물과 고성능 AE 감수제의 비율은 물 100kg 기준으로 고성능 AE 감수제 3.6kg를 섞어 희석액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을,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6 ~ 2.18 중량부를 배합한다.
콘크리트의 백화현상은 시멘트,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물 세가지가 화학반응을 일으킨 결과, 콘크리트의 표면에 불용성 탄산칼슘(CaCO3)이 맺히는 현상을 말하는데, 콘크리트가 굳어가는 과정에서 수분의 증발에 의해 시공한지 1~2일 후에 발생하는 1차 백화와 사용 중에 수분의 침투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용성 성분이 표면으로 같이 이동하여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2차 백화로 나뉜다.
백화의 발생 자체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은 아니나, 결국 백화는 수분이 이동한 결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수밀성이 저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균열부에서는 철근이 쉽게 부식하게 되며, 구조물의 표면에 하얗게 발생하는 것이므로 구조물의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백화를 억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백화방지 첨가제로, 트리에톡시옥틸실란(Triethoxyoctylsilane)과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함유하고 있는 Z-100S를 사용한다.
백화방지 첨가제를 균질하게 혼합시키기 위해 희석하여 사용하는데, 물과 백화방지 첨가제의 비율을 물 100kg 기준으로 백화방지 첨가제 1.8kg를 섞어 희석액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을,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6 ~ 2.18 중량부를 배합한다.
유용 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은 유산균, 효모,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등을 중심으로한 복수의 유용한 미생물을 발효시킨 것으로, 유용 미생물이 토양이나 하천에 흡수되면 땅의 힘이 강해지고 수질이 개선되며, 강력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산화환원반응에 따른 유해성분 분해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용 미생물은 토양 속에 원래 존재하는 좋은 미생물의 활동을 활성화시켜 주기 때문에 식물이 잘 자라게 하고, 병충해로부터의 저항성도 길러주게 된다.
유용 미생물은 토양뿐만 아니라 수질정화에도 크게 이용되는데, 수질을 악화시키는 인, 질소를 제거하고, 오염된 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해준다.
이하에서는 유용 미생물 활성액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유용 미생물 원액 40리터를 준비한다.
유용 미생물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들은 제주도의 청정지역에서 발견되는 미생물로서 수질 정화 능력을 갖는다. 특히, SS(Suspended Solids), T-N(Total-Nitrogen), T-P(Total-Phosphorous)에 대해 우수한 제거 능력을 갖기 때문에, 수질정화 기능을 주로 필요로 하는 수중블록에 사용할 수 있다.
유용 미생물 원액,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는 직접 제조하여도 되고, 시판되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유용 미생물 활성액은, 유용 미생물 원액 40리터, 당밀 20리터를 물 1000리터에 섞어 31℃를 유지하면서 교반기로 혼합하여 10일을 배양하여 얻는다.
이렇게 배양된 유용 미생물 활성액을 콘크리트 배합에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대로 사용하면 그 양이 적어 콘크리트에 균질하게 섞이지 않으므로 물에 희석하여 배합에 투입하는데, 물 : 유용 미생물 활성액을 100 kg : 3.6 kg의 비율로 희석하여 투입한다.
위와 같은 비율로 물에 희석된 유용 미생물 희석액은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6 ~ 2.18 중량부를 배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옹벽 블록에는 다양한 색상의 발현을 위해 안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안료로는 산화철 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3 ~ 3.05 중량부만큼 사용한다.
그리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비빌 때, 상기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유용 미생물 희석액과 함께 배합수는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7 ~ 23.9 중량부를 배합한다.
콘크리트의 배합수가 너무 많아지면 작업성은 좋아지나, 건조수축이 많아져 결국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배합수는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유용 미생물 희석액의 투입량을 고려하여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1.7 ~ 23.9 중량부를 배합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석분, 모래,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유용 미생물 희석액의 투입량을 고려할 때, 배합수가 21.7 중량부보다 적게 되면, 된반죽이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23.9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성은 좋아지나 건조수축이 많아져 결국 블록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배합비대로 재료를 준비하고, 콘크리트 믹서에 넣어 고르게 비빈 후,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형틀에 넣어 옹벽 블록으로 제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콘크리트의 배합비율은 발명자가 다년간에 걸친 연구와 노력으로 얻어낸 것으로, 백화 방지 효과, 토양 및 수질에의 악영향 감소, 토양 및 수질 정화, 대기오염 저감, 일라이트와 유용 미생물의 유기적 작용에 의한 정화 기능의 상승 효과 등은 일반적인 배합설계에서는 전혀 예상할 수 없는 현저한 것이고, 고성능 AE 감수제, 백화방지 첨가제, 유용 미생물 활성액을 희석하는 비율과 희석하여 얻은 각각의 희석액을 2.16 ~ 2.18 중량부의 비율로 일라이트를 포함한 다른 구성들과 혼합하는 혼합비율은,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인 반복시험에 의해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직사각블록
11. 상면 12. 하면
13. 전면 14. 후면
15. 핀공 16. 핀머리홈
17. 관통공 18. 측면
20. 일단돌출장폭블록
21. 상면 22. 하면
23. 전면 24. 후면
25. 핀공 26. 핀머리홈
27. 관통공 28. 측면
281. 직각수직면 282. 예각수직면
29. 돌출부
30. 일단돌출단폭블록
31. 상면 32. 하면
33. 전면 34. 후면
35. 핀공 36. 핀머리홈
38. 측면
381. 직각수직면 382. 예각수직면
39. 돌출부
40. 양단돌출장폭블록
41. 상면 42. 하면
43. 전면 44. 후면
45. 핀공 46. 핀머리홈
48. 측면
481. 직각수직면 482. 예각수직면
49. 돌출부
50. 양단돌출단폭블록
51. 상면 52. 하면
53. 전면 54. 후면
55. 핀공 56. 핀머리홈
58. 측면
581. 직각수직면 582. 예각수직면
59. 돌출부
60. 핀
61. 핀머리 62. 핀몸체

Claims (10)

  1. 전, 후면, 상, 하면 및 양 측면을 포함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 후면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의 좌우폭과 상기 후면의 좌우폭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상, 하면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은, 두 개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되, 전면 또는 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 및 후면 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좌우측 중 예각수직면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옹벽 블록에는,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관통하는 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옹벽 블록은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석분 295 ~ 313 중량부;
    모래 199 ~ 2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3.03 ~ 3.05 중량부;
    준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트리에톡시옥틸실란(Triethoxyoctylsilane)과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함유하고 있는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유용 미생물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배합수 21.7 ~ 23.9 중량부; 및
    안료 3.03 ~ 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핀공과 연통하는 핀머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4. 상,하면(11,12)과 전,후면(13,14) 및 측면(1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11,1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13,14)과 상기 측면(18)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7)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핀공(15)이 형성된 직사각블록(10);
    상,하면(21,22)과 전,후면(23,24) 및 측면(2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21,2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23,2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측면 중 하나에는, 후면(24)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28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23)측에는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281)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2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2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27)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핀공(25)이 형성되고, 예각수직면(282)이 없는 측면(28)과 직각수직면(281) 사이의 거리가, 전면(23)과 후면(24) 사이의 거리보다 큰 일단돌출장폭블록(20);
    상,하면(31,32)과 전,후면(33,34) 및 측면(38)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31,3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33,3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측면 중 하나에는, 후면(34)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382)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33)측에는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381)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3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3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핀공(35)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382)이 없는 측면(38)과 직각수직면(381) 사이의 거리가, 전면(33)과 후면(3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일단돌출단폭블록(30);
    상,하면(41,42)과 전,후면(43,44) 및 측면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41,4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43,4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측면 모두에, 후면(44)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481)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43)측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482)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4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4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핀공(45)이 형성되며, 돌출부(49) 끝 사이의 거리가, 전면(43)과 후면(44) 사이의 거리보다 큰 양단돌출장폭블록(40);
    상,하면(51,52)과 전,후면(53,54) 및 측면을 가지고, 상기 상,하면(51,52)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면(53,54)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측면 모두에, 후면(54)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수직면(581)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53)측에는 전면과 예각을 이루는 예각수직면(582)이 형성되며, 예각수직면(582)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직각 삼각형 모양의 돌출부(59)가 형성되고, 평면상 가운데에는 복수개의 핀공(55)이 형성되며, 돌출부(59) 끝 사이의 거리가, 전면(53)과 후면(5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양단돌출단폭블록(50); 중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직사각블록(10), 일단돌출장폭블록(20), 일단돌출단폭블록(30), 양단돌출장폭블록(40), 양단돌출단폭블록(50)은,
    고로 슬래그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석분 295 ~ 313 중량부;
    모래 199 ~ 2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 3.03 ~ 3.05 중량부;
    준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트리에톡시옥틸실란(Triethoxyoctylsilane)과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을 함유하고 있는 백화방지 첨가제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유용 미생물 희석액 2.16 ~ 2.18 중량부;
    배합수 21.7 ~ 23.9 중량부; 및
    안료 3.03 ~ 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블록 세트는 상기 핀공에 삽입되는 핀(60)을 더 포함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세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블록(10), 일단돌출장폭블록(20), 일단돌출단폭블록(30), 양단돌출장폭블록(40), 양단돌출단폭블록(50)의 하면에는 상기 핀공(15, 25, 35, 45, 55)과 연통하는 핀머리홈(16, 26, 36, 46, 56)이 형성되어 핀머리(61)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세트.
  7. 삭제
  8. 삭제
  9. 제4항 또는 제5항의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세트를 사용하여 축조하는 옹벽 축조 방법.
  10. 제4항 또는 제5항의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세트를 사용하여 축조하는 옹벽.


KR1020180040905A 2018-04-09 2018-04-09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KR10187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5A KR101878894B1 (ko) 2018-04-09 2018-04-09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5A KR101878894B1 (ko) 2018-04-09 2018-04-09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894B1 true KR101878894B1 (ko) 2018-07-17

Family

ID=6304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05A KR101878894B1 (ko) 2018-04-09 2018-04-09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8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910B1 (ko) * 2019-07-05 2020-10-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KR102175287B1 (ko) * 2019-11-26 2020-11-06 주식회사 코뉴 알칼리성 성분의 침출이 저감된 콘크리트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옹벽 블록
KR102175278B1 (ko) * 2019-07-02 2020-11-06 권혁우 옹벽 블록 제조용 친환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0972B1 (ko) 2023-01-09 2023-12-08 구춘원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옹벽블록
KR102665788B1 (ko) 2023-12-01 2024-05-10 구춘원 환경친화형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6749A2 (en) 2001-07-12 2003-01-23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Multi-channel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432363B1 (ko) 1999-02-11 2004-05-20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즈, 인크. 옹벽 블록 시스템
KR100761990B1 (ko) * 2006-08-02 2007-10-01 한일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저독성 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어도 블록
EP2148019A2 (fr) 2008-07-25 2010-01-27 Cornaz et Fils S.A. Bloc de construction de murs
KR101563952B1 (ko) * 2015-01-05 2015-10-28 김혁준 조경용 담장 및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과 블록가공기
KR101830696B1 (ko) * 2018-01-05 2018-02-21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환경친화형 옹벽축조용 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363B1 (ko) 1999-02-11 2004-05-20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즈, 인크. 옹벽 블록 시스템
WO2003006749A2 (en) 2001-07-12 2003-01-23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Multi-channel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761990B1 (ko) * 2006-08-02 2007-10-01 한일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저독성 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어도 블록
EP2148019A2 (fr) 2008-07-25 2010-01-27 Cornaz et Fils S.A. Bloc de construction de murs
KR101563952B1 (ko) * 2015-01-05 2015-10-28 김혁준 조경용 담장 및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과 블록가공기
KR101830696B1 (ko) * 2018-01-05 2018-02-21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환경친화형 옹벽축조용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278B1 (ko) * 2019-07-02 2020-11-06 권혁우 옹벽 블록 제조용 친환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10B1 (ko) * 2019-07-05 2020-10-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되는 섬유보강 모르타르
KR102175287B1 (ko) * 2019-11-26 2020-11-06 주식회사 코뉴 알칼리성 성분의 침출이 저감된 콘크리트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옹벽 블록
KR102610972B1 (ko) 2023-01-09 2023-12-08 구춘원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옹벽블록
KR102665788B1 (ko) 2023-12-01 2024-05-10 구춘원 환경친화형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894B1 (ko) 환경친화형 옹벽 블록 및 옹벽 블록 세트
KR100917452B1 (ko) 다성분계 혼합시멘트, Na형―인공Zeolite및 성능향상용 신소재를 이용한 고내구성의 친환경 고기능성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717428B1 (ko) 자연정화형 녹조방지 및 수질정화 반응성 피복골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4758131B2 (ja) コンクリート混和剤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
KR101915782B1 (ko) 유기농 토양개량과 식물성장촉진을 위한 조성물
CN102786320A (zh) 含有工业固体废弃物的蒸压加气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CN105254236A (zh) 一种透水砖及其制造方法
EP2524593B1 (en) Environmentally active concrete
KR100582770B1 (ko) 폐콘크리트 미분말 및 순환골재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친환경 옹벽용 고기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친환경 옹벽블록
KR101830696B1 (ko) 환경친화형 옹벽축조용 블록
KR101199870B1 (ko) 해중림 조성용 구조물
KR101441039B1 (ko) 정수장 슬러지와 천연소재를 이용한 포장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0994315B1 (ko) 미생물배양액을 이용한 수질정화 블록의 제조방법
JP4924577B2 (ja) 護岸構造物
KR100806625B1 (ko) 사면 보호용 다공성 블록
KR101241818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보강옹벽용 식생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8041B1 (ko) 마사토와 황토가 포함된 유황 콘크리트 조성물
KR101279960B1 (ko) 부산물과 흙이 포함된 모르타르 및 그 모르타르로 제조된 수중투입물 및 그 모르타르로 제조된 호안블록
KR20080061812A (ko) 유효미생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록
KR101302090B1 (ko) 흙과 금속성 슬래그를 주재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JP2002114556A (ja) 機能性セメント硬化体
KR20140000513A (ko)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KR100897827B1 (ko) 자연친화형 기능성 생태목틀을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KR20040032135A (ko) 황토 몰탈을 이용한 호안블럭 및 그 제조방법
JP5114840B2 (ja) 水中動植物増殖体及びそれを利用した海洋牧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