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83B1 -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 Google Patents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83B1
KR101878383B1 KR1020170168245A KR20170168245A KR101878383B1 KR 101878383 B1 KR101878383 B1 KR 101878383B1 KR 1020170168245 A KR1020170168245 A KR 1020170168245A KR 20170168245 A KR20170168245 A KR 20170168245A KR 101878383 B1 KR101878383 B1 KR 10187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am
link
bulle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수
김일영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테스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스,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테스
Priority to KR102017016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29Feeding of belted ammu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약 공급 트레일러로 실탄의 수납시 이송되는 캐리어에 실탄의 안착 유,무를 감지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캐리어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엘리먼트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에 실탄이 미 안착시 출몰하는 출몰캠; 상기 출몰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출몰캠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캠제어수단; 상기 분리/안착부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산과 골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스톱돌기가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캠제어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캠제어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기 출몰캠 출몰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분리/안착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ammunition detection unit of ammunition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투기에 실탄을 수납(장전/회수)하는 탄약 공급 트레일러로 실탄의 수납시 이송되는 캐리어에 실탄의 안착 유,무를 감지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서 전투기는 없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전투 장비 중의 하나이며, 다양한 무기가 장전된다.
비행을 마친 전투기는 정비를 받는 과정에서 정비와 함께 장전된 각종 무기에 대한 체크와 동시에 소진된 무기를 재장전하게 된다.
전투기에 장전된 무기 중 기관포는 없어서는 않될 기본적인 무기 중 하나이며, 기관포 실탄의 경우는 완전하게 소진되지 않았더라도 반드시 회수과정을 거쳐 새로운 실탄이 재장전되야 한다.
이를 위해 전투기의 내부에는, 기관포와 연결되어 기관포로 실탄을 공급함과 동시에 실탄이 발사된 빈 탄피를 이송시키는 운반체인(복수개의 셔틀로 구성됨)으로 이루어진 장전장치가 마련되며, 운반체인은 기어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기관포의 실탄 재장전은, 실탄을 보유한 탄약 공급 트레일러의 실탄공급헤드를 통해 장전장치의 운반체인으로 공급된다. 즉, 실탄공급헤드가 전투기에 형성된 결합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투기에 구비된 기어와 실탄공급유닛에 구비된 구동기어의 상호 맞물림을 통해 각 전투기 내의 운반체인으로 실탄을 공급함과 동시에 빈 탄피의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정확하게는, 실탄공급헤드를 통해 일측으로 실탄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타측으로 빈 탄피를 회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탄 장전은, 탄약 공급 트레일러의 실탄저장드럼에 저장된 실탄의 개수에 맞춰 진행되며, 통상 실탄저장드럼에는 2100발 정도의 실탄이 저장되고, 저장된 실탄은 각 전투기에 정량(대략 520발 정도)으로 공급된다. 즉 탄약 공급 트레일러의 실탄저장드럼에는 전투기 4대 분의 실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탄약 공급 트레이러는, 실탄의 장전이 이루어지면 실탄 수납장치를 통해 새로운 실탄을 적재받음과 동시에 회수된 탄피를 배출하게 된다.
종래의 국내등록특허 제10-1760380호에는, 구조체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브래킷에 삽입되는 기어축부; 상기 기어축부의 단부로 삽입되며, 상기 실탄보급장치의 모터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맞물려 상기 체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기어부; 표면상에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분리벽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벽의 이격공간 사이에 상기 실탄보급 장치에서 낙하되는 실탄을 수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부; 상기 기어부와 롤러축이 연결되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외면에 권취하여 상기 기어부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이송벨트부를 움직이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외면에 권취하여 상기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이격공간에서 상기 이송벨트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을 보조하도록 구비된 보조롤러;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2롤러의 롤러축을 지지하는 동작프레임;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길이를 수축 또는 신장시키는 길이조절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동작프레임의 이격공간에서 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동작프레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기; 상기 이송벨트부의 단부의 하측에서 상기 이송벨트부가 이송한 상기 실탄을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부; 및 상기 실탄수납부의 상면에 마련되며 내측면에 상기 실탄을 끼우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실탄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실탄 수납장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탄 수납장치에는 캐리어를 통해 실탄을 이송시킬 때, 실탄의 안착 유,무 확인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실탄의 미 안착된 사태가 발생될 경우 적재되는 실탄의 공백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즉, 실탄이 캐리어에 안착된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60380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30161호 국내등록특허 제10-13147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약 공급 트레일러로 실탄을 적재할 때 이송되는 실탄의 안착 유,무가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는, 복수개의 캐리어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엘리먼트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에 실탄이 미 안착시 출몰하는 출몰캠; 상기 출몰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출몰캠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캠제어수단; 상기 분리/안착부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산과 골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스톱돌기가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캠제어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캠제어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기 출몰캠 출몰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분리/안착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캠제어수단은, 상기 출몰캠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양단이 한 쌍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링크; 및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 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접촉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에는 상기 접촉돌기와 접촉을 이루는 접촉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링크 일측에는 상기 회전링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래치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래치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래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몰캠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록킹편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톱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링크와 링크 결합되어 수평이동하는 진퇴로드; 상기 진토로드와 상기 회전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링크; 및 상기 진퇴로드 말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 선단에 상기 진퇴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편의 스톱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편의 회전을 제어하는 삽입편이 형성된 스톱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스톱퍼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블럭에는 상기 스톱퍼의 수평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출몰캠의 일측은 이동하는 실탄과 접촉을 이루도록 일측방향으로 편심되게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에 의하면, 전투기로 실탄을 장전하는 탄약 공급 트레일러로 실탄을 적재할 때 작업자의 관리가 없더라도 이송되는 실탄의 안착 유,무가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하고, 실탄의 미 적재가 감지되면 구동이 멈춰지도록 함으로써 장전되는 실탄의 공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탄 수납장치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2의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실탄 수납장치의 구성중 본 발명의 실탄감지유닛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실탄감지유닛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8는 실탄 수납장치의 구성중 캡분리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9는 캡분리플레이트에 의해 이동하는 예광탄의 탄두보호캡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실탄 수납장치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2의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실탄 수납장치의 구성중 본 발명의 실탄감지유닛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실탄감지유닛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8는 실탄 수납장치의 구성중 캡분리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9는 캡분리플레이트에 의해 이동하는 예광탄의 탄두보호캡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평면도이다.
위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탄 수납장치(800)는, 실탄을 안착시켜 이송시키고, 사용된 실탄 및 탄피를 안착시켜 회수하는 복수개의 캐리어(110)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엘리먼트(100); 외부 동력원을 변환시켜 상기 컨베이어엘리먼트(100)를 구동시키며, 공급되는 링크탄의 실탄과 링크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캐리어(110)에 실탄을 안착시키는 분리/안착부(200); 상기 분리/안착부(200)와 연결되며, 소정의 경사를 이룬 상태로 링크탄을 상기 분리/안착부(200)로 공급하는 링크탄공급트레이(300); 상기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실탄을 낱개로 공급하는 실탄공급트레이(400); 상기 컨베이어엘리먼트(100)에 배치되며,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110)의 실탄 안착 유,무를 감지하고, 실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실탄감지유닛(500); 상기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실탄들의 일정 개수 마다 배치되는 예광탄(620)의 탄두보호캡(621)을 이송간에 분리시키는 캡분리플레이트(600); 및 상기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단부측에 구비되며, 이송된 실탄을 탄약 공급 트레일러로 수납하는 실탄수납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탄 수납장치(8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여러 종류의 실탄들을 캐리어(110)에 안착시킨 상태로 정렬이동시키면서 탄약 공급 트레일러(미도시)로 실탄을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더하여, 실탄의 적재(공급)와 동시에 사용된 탄피와 미 사용된 실탄을 동시에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B)에는 컨베이어엘리먼트(100), 분리/안착부(200), 링크탄공급트레이(300), 실탄공급트레이(400), 실탄감지유닛(500), 캡분리플레이트(600) 및 실탄수납부(700)가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B)는 대략적인 직사각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4개의 다리가 배치되어 있고, 다리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캐스터가 마련되어 있다.
컨베이어엘리먼트(100)는 베이스(B)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복층 즉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되는 실탄을 안착시켜 적재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사용된 실탄 및 탄피를 안착시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컨베이어엘리먼트(100)는 복수개의 캐리어(110)가 서로 링크 연결되어 하나의 벨트를 이루고 있으며, 캐리어(110)에는 실탄이 안착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양측에는 이동하는 캐리어(110)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캐리어(110)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2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120)의 단면은 길이방향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며, 'ㄷ'자 형상이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캐리어(110)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112)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110)의 안정적인 이동과 이동간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8참조).
더하여, 가이드레일(120)은 컨베이어엘리먼트(100)를 따라 이중으로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하,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구조는 통상적인 구조임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가이드레일(120)은 지지플레이트(P)에 의해 지지되며, 이 지지플레이트(P)는 베이스(B)에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다(도 8 참조).
분리/안착부(200)는 도 1과 같이 컨베이어엘리먼트(100)가 설치된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상태로 컨베이어엘리먼트(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원을 변환시켜 컨베이어엘리먼트(100)를 구동시키고, 후술하는 링크탄공급트레이(300)로부터 공급되는 링크탄을 공급받아 실탄과 링크부재를 분리하며, 분리된 실탄을 캐리어(110)에 안착시킨다.
분리/안착부(200)의 내부에는 실탄과 링크부재를 분리하는 별도의 구조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공지사항임에 따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분리/안착부(200)는, 도 2와 같이 후술하는 실탄수납부(700)에 구비된 동력발생기(720)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된다.
동력발생기(720)의 동력은 동력발생기(720)와 분리/안착부(200)를 연결하는 구동조립체(73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이 동력발생기(72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분리/안착부(200)의 일측에서 별도의 구동모터를 통해 직접 구동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동력 전달 구조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링크탄공급트레이(300)는 링크탄이 이동할 수 있도록 길다란 판 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일측이 분리/안착부(200)의 투입구(미부호)와 연결된 상태로 링크탄을 분리/안착부(200)로 공급한다.
이때, 링크탄공급트레이(300)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다(도 3 참조). 링크탄공급트레이(300)가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야 하는 이유는, 분리/안착부(200)로 공급되는 링크탄이 도 3의 점선과 같이 링크탄공급트레이(300)에서 경사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파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링크탄 자중에 의한 당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도 3의 실선과 같이 링크탄이 작업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공급될 경우, 작업자는 링크탄의 팽팽함을 유지시키기 위해 계속적으로 당김 상태를 유지해야 할뿐만 아니라, 순간 부주의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실탄공급트레이(400)는 실탄이 이동할 수 있도록 길다란 판 상의 형태로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상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실탄을 낱개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실탄공급트레이(400)에는 공급되는 낱개의 실탄이 경사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누름편(41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실탄공급트레이(400)는 링크탄의 공급이 필요치 않는 낱개 실탄의 이송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탄감지유닛(5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경로 상에 배치되며, 분리/안착부(200) 또는 실탄공급트레이(400)를 통해 실탄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캐리어(110)의 실탄 안착 유,무를 감지하고, 이동하는 캐리어(110)에 실탄의 미 안착 상태가 감지되면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구동(이동)을 정지시킨다.
즉,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하부에 출몰캠(510)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하여 이동하는 캐리어(110)에 실탄이 미 안착된 상태일 때 출몰캠(510)이 상측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하면서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실탄감지유닛(50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하는 캐리어(110)에 실탄이 미 안착시 회동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출몰하는 출몰캠(510)과, 출몰캠(51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출몰캠(510)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캠제어수단(520)과, 분리/안착부(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산과 골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스톱돌기(531)가 형성된 회전판(530) 및 캠제어수단(520)과 연결된 상태로 캠제어수단(52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출몰캠(510) 출몰시 회전판(530)의 회전을 제어하여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톱수단(5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출몰캠(510)의 일측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이동하는 캐리어(110)에 안착된 실탄과 접촉을 이루도록 일측방향으로 편심되게 돌출되어 있다.
즉, 출몰캠(510)의 돌출부위가 이송되는 실탄의 저면과 계속적으로 접촉을 이루는 것이며, 이송과정에서 실탄이 안착되지 않은 빈 캐리어(110)가 이동하면 순간 실탄과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회동하면서 출몰하는 것이다.
캠제어수단(52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출몰캠(510)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양단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베이스(B)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5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521)와, 회전바(5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각 지지부재(522)의 일면으로 배치되어 회전바(521)와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링크(524) 및 어느 하나의 회전링크(524)와 연결되며 회전링크(524)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526),로 구성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526)는 일단이 회전링크(524)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재(5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출몰캠(510)이 이송하는 실탄의 저면과 계속적으로 접촉을 이룰 때 인장과 수축에 의한 탄성이 계속적으로 가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실탄의 미 안착시 탄성에 의해 출몰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제1탄성부재(526)와 연결된 회전링크(524)가 배치된 도면상 좌측의 지지부재(522)에는 회전링크(524)의 회전 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523)가 구비되고, 회전링크(524)에는 접촉돌기(523)와 접촉을 이루는 접촉편(525)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두 개의 접촉돌기(523)를 회전링크(524)의 접촉편(525)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출몰캠(510)의 최고와 최저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것이다(도 6 및 도 7 참조).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출몰캠(510)의 위치는 출몰된 상태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제1탄성부재(526)가 설치된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회전링크(524) 일측 즉 지지부재(522)와 회전링크(524) 사이에는 회전링크(52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래치(527)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회전래치(527)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522)에는 회전래치(527)의 회전에 의해 출몰캠(51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록킹편(528)이 구비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래치(527)를 회전시키고 록킹편(528)이 회전래치(527)의 복귀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록킹편(528)을 통한 회전래치(527)의 고정은, 출몰캠(510)의 출몰에 의해 실탄의 미 안착이 감지된 이후, 출몰캠(510)의 돌출부위가 하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 상태에서 빈 캐리어(110)에 실탄을 안착시키는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하여, 탄피 또는 미사용된 실탄을 탄약 공급 트레이러로부터 회수하는 과정에서 빈 캐리어(11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스톱수단(54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링크(524)와 링크 결합되어 수평이동하는 진퇴로드(541), 진퇴로드(541)와 회전링크(524)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링크(524)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링크(542), 및 진퇴로드(541) 말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 선단에 진퇴로드(541)의 이동에 따라 회전판(530)의 스톱돌기(531)에 삽입되어 회전판(5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삽입편(546)이 형성된 스톱퍼(543),로 구성된다.
여기서, 진퇴로드(54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회전래치(527)가 구비된 지지부재(522)의 회전링크(524)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링크(542)는 궤적을 그리는 회전링크(524)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 시킬 수 있도록 진퇴로드(541)의 일단과 회전링크(524)에 각각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스톱퍼(543)는 수직편(544)과 수평편(545)을 갖는 대략적인 'ㄴ'자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평편(545)의 선단에는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회전판(530)의 스톱돌기(531)에 삽입되는 삽입편(54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판(530)에는 스톱퍼(543)의 수평편(545)을 수용한 상태로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550)이 구비되며, 가이드블럭(550)에는 스톱퍼(543)의 수평이동 시 스톱퍼(543)의 수직편(544)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551)가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블럭(550)은 베이스(B)에 지지된 상태로 스톱퍼(543) 수평편(545)을 수용시켜 진퇴로드(541)의 이동시 수평편(545)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제2탄성부재(551)를 통해 이동된 스톱퍼(543)의 신속한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스톱수단(540)은 출몰캠(510)의 출몰시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진퇴로드(541)의 이동에 의해 스톱퍼(543)의 삽입편(546)이 회전판(530)의 스톱돌기(531) 사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회전판(530)의 회전을 제어하고, 회전판(530)의 회전이 제어됨에 따라 결국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스톱퍼(543)가 실탄의 공백에 대해 빠른속도로 응답하여 분리/안착부(200)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캡분리플레이트(60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캐리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실탄들의 일정 개수 마다 배치되는 예광탄(620)의 탄두보호캡(621)을 이송간에 분리시킨다.
예광탄(620)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사항임에 따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캡분리플레이트(600)는, 이송되는 예광탄(620)의 탄두보호캡(621) 단부가 걸쳐져 예광탄(620)으로부터 탄두보호캡(621)이 분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편편한 면을 갖는 판 상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곡률을 갖도록 벤딩되어 있다.
캡분리플레이트(600)의 곡률은, 초입부는 완만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향할수록 급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예광탄(620)의 탄두보호캡(621)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캡분리플레이트(600)의 곡률면을 타고 점진적으로 예광탄(6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탄두보호캡(621)의 안정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캡분리플레이트(600)는 예광탄(620)의 직경과 대응하는 높이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9와 같이 탄두보호캡(621)의 후방 단부 상하측이 한 쌍의 캡분리플레이트(600)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탄두보호캡(621)이 예광탄(620)의 이동간에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밀리면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8과 같이 한 쌍의 캡분리플레이트(600) 중 하측 캡분리플레이트(600)의 선단에는 이송하는 예광탄(620)에 끼워진 탄두보호캡(621)의 후방 단부와 먼저 접촉을 이루면서 탄두보호캡(621)의 끼임상태를 예광탄(620)으로부터 일차적으로 해제시키는 예비이격편(61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캡분리플레이트(600)는 예비이격편(610)을 통해 탄두보호캡(621)의 끼임상태를 해제시킨 상태로 초기의 완만한 곡률을 타고 이동하면서 탄두보호캡(621)을 예광탄(620)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시키고, 이후 탄두보호캡(621)이 급격한 곡률 구간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예광탄(62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탄두보호캡(621)이 캡분리플레이트(600)를 타고 순차적으로 서서히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탄두보호캡(621)의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탄두보호캡(621)의 순간 분리 시 탄두보호캡(621)으로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탄두보호캡(621)이 예광탄(620)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고 오히려 강하게 걸리게 되는 끼임현상 방지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분리플레이트(600)가 상하로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어느 한 측에 하나로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탄두보호캡(621)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탄수납부(7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이동하는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단부측에 구비되며, 이송된 실탄을 탄약 공급 트레일러(미도시)로 수납한다.
실탄수납부(700)에는 탄약 공급 트레일러와 연결되는 조인트(7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조인트(710)의 일측에는 구동조립체(730)와 연결되어 구동시키는 동력발생기(720)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발생기(720)는 외부의 동력 즉 에어 또는 구동모터 등을 통해 구동하게 된다.
실탄수납부(700)의 구조는 일반적인 사항임에 따라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실탄수납부(700)는 탄약 공급 트레일러의 실탄공급헤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컨베이어엘리먼트(100)를 통해 이송된 실탄을 탄약 공급 트레일러의 실탄저장드럼(미도시)에 적재시키는 기능과 동시에 전투기로부터 탄약 공급 트레이러를 통해 회수된 탄피를 실탄공급헤드를 통해 회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탄 수납장치가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시킬 실탄의 종류를 선택한다.
링크탄을 이송하는 경우, 작업자는 링크탄을 분리/안착부(200)에 걸쳐주고 링크탄이 자중을 갖는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링크탄공급트레이(300)에 얹혀 놓는다.
공급되는 링크탄은 분리/안착부(200)를 통과하면서 실탄과 링크부재로 분리되고, 분리된 링크부재는 외부로 배출되면서 실탄은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캐리어(110)에 안착되어 이송된다.
낱개 실탄을 이송하는 경우, 작업자는 먼저 낱개 실탄을 경사지게 설치된 실탄공급트레이(400)에 얹혀 놓는다. 이렇게 되면, 실탄은 경사를 타고 이동하게 되고 누름편(410)에 의해 눌려지면서 하측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캐리어(110)에 안착된다.
따라서, 캐리어(110)에 안착되는 실탄은 종류에 따라 실탄공급트레이(400)와 링크탄공급트레이(300)를 거쳐 공급된다.
캐리어(110)는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에 의해 계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이송되는 실탄들에는 실탄들의 일정 개수 마다 탄두보호캡(621)이 끼워진 예광탄(620)이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110)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실탄은, 이송간에 하부에 배치된 출몰캠(510)의 일면과 계속적인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출몰캠(510)은 이송되는 실탄의 하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이며, 스톱퍼(543)의 삽입편(546)은 도 4의 확대도에 표시된 일점쇄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판(530)의 회전을 제어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실탄들의 이송 과정에서 실탄이 안착되지 않은 캐리어(110)가 출몰캠(510)의 상부로 진입하면, 출몰캠(5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점쇄선에서 실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몰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회전바(521)와 회전래치(527)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진퇴로드(541)가 이동하면서 도 4의 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543)가 일점쇄선에서 실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판(530)의 스톱돌기(531)로 삽입편(546)이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판(530)의 회전은 정지되고, 회전판(530)의 정지와 더불어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이 제어됨에 따라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이동이 정지된다.
위와 같은 실탄의 미 적재가 감지되어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구동이 멈추면, 작업자는 신속하게 빈 캐리어(110)에 실탄을 안착시켜 출몰캠(510)을 도 6의 일점쇄선 방향으로 회동시켜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재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재 구동은 출몰캠(510)의 원위치 복귀에 따른 스톱퍼(543)의 일점쇄선 방향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은 자명하다.
한편, 실탄의 이동 없이 탄피의 회수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회전래치(527)를 회전시키고 록킹편(528)을 이용하여 회전래치(527)의 복귀를 차단시킨다. 이렇게 되면, 스톱퍼(543)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출몰캠(510)의 출몰이 차단됨에 따라 빈 캐리어(11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실탄이 안착된 캐리어(110)가 출몰캠(510)을 지나 캡분리플레이트(600)로 진입하면, 예광탄(620)의 탄두보호캡(621)이 분리된다.
도 9는 탄부보호캡(621)이 예광탄(620)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과정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캡분리플레이트(600)의 예비이격편(610)이 도 9와 같이 이송되는 예광탄(620)의 탄두보호캡(621) 후방과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로 예광탄(62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예광탄(620)에 끼워진 탄두보호캡(621)의 끼임상태가 일차적으로 해제된다.
이후, 탄두보호캡(621)은 예광탄(620)의 계속적인 이송에 의해 도 9와 같이 캡분리플레이트(600)를 타고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예광탄(620)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탄두보호캡(621)이 분리된 예광탄(620)과 복수개의 실탄들은,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구동에 의해 실탄수납부(700)로 이송되고, 실탄수납부(700)와 연결된 탄약 공급 트레일러에 적재된다.
이와 동시에, 탄약 공급 트레일러에 사용된 탄피와 미 사용된 실탄들은 실탄 적재를 완료한 빈 캐리어(110)에 안착되어 회수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는, 탄약 공급 트레일러로 실탄을 적재할 때 작업자의 관리가 없더라도 이송되는 실탄의 안착 유,무가 자동으로 감지되도록 하고, 실탄의 미 적재가 감지되면 구동이 멈춰지도록 함으로써 장전되는 실탄의 공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를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컨베이어에리먼트 110 : 캐리어
120 : 가이드레일 200 : 분리/안착부
210 : 회전축 300 : 링크탄공급트레이
400 : 실탄공급트레이 500 : 실탄감지유닛
510 : 출몰캠 520 : 캠제어수단
521 : 회전바 522 : 지지부재
523 : 접촉돌기 524 : 회전링크
525 : 접촉편 526 : 제1탄성부재
527 : 회전래치 527 : 록킹편
530 : 회전판 531 : 스톱돌기
540 : 스톱수단 541 : 진퇴로드
542 : 연결링크 543 : 스톱퍼
546 : 삽입편 550 : 가이드블럭
551 : 제2탄성부재 600 : 캡분리플레이트
610 : 예비이격편 620 : 예광탄
621 : 탄두보호캡 700 : 실탄수납부
710 : 조인트 720 : 동력발생기
730 : 구동조립체

Claims (7)

  1. 복수개의 캐리어(110)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엘리먼트(1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110)에 실탄이 미 안착시 출몰하는 출몰캠(510);
    상기 출몰캠(51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출몰캠(510)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캠제어수단(520);
    분리/안착부(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산과 골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스톱돌기(531)가 형성된 회전판(530); 및
    상기 캠제어수단(520)과 연결되며, 상기 캠제어수단(52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기 출몰캠(510) 출몰시 상기 회전판(53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분리/안착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톱수단(540);을 포함하며,
    상기 캠제어수단(520)은, 상기 출몰캠(510)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양단이 한 쌍의 지지부재(5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521)와, 상기 회전바(5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522)의 일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바(521)와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링크(524)와,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링크(524)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링크(524)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5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526)와 연결된 상기 회전링크(524)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재(522)에는 상기 회전링크(524)의 회전 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접촉돌기(523)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크(524)에는 상기 접촉돌기(523)와 접촉을 이루는 접촉편(5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링크(524) 일측에는 상기 회전링크(52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래치(527)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래치(527)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522)에는 상기 회전래치(52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몰캠(51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록킹편(52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수단(540)은,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링크(524)와 링크 결합되어 수평이동하는 진퇴로드(541);
    상기 진퇴로드(541)와 상기 회전링크(5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링크(524)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링크(542); 및
    상기 진퇴로드(541) 말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 선단에 상기 진퇴로드(541)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판(530)의 스톱돌기(53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5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삽입편(546)이 형성된 스톱퍼(5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30)에는 상기 스톱퍼(543)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55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블럭(550)에는 상기 스톱퍼(543)의 수평이동을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55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캠(510)의 일측은 이동하는 실탄과 접촉을 이루도록 일측방향으로 편심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KR1020170168245A 2017-12-08 2017-12-08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KR10187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45A KR101878383B1 (ko) 2017-12-08 2017-12-08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45A KR101878383B1 (ko) 2017-12-08 2017-12-08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383B1 true KR101878383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45A KR101878383B1 (ko) 2017-12-08 2017-12-08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3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888A (ko) * 1998-06-01 1998-10-07 문재실 벨트전동식 롤러 콘베이어의 단속장치
KR20110106309A (ko) * 2008-11-21 2011-09-28 유에스 아미 알디이씨오엠-에이알디이씨 외부-동력 화기를 구비한 자동재장전식 원격조종 무기시스템
KR20140038803A (ko) * 2012-09-21 2014-03-31 국방과학연구소 회전식 약실을 갖는 화포의 간헐 고정 및 해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888A (ko) * 1998-06-01 1998-10-07 문재실 벨트전동식 롤러 콘베이어의 단속장치
KR20110106309A (ko) * 2008-11-21 2011-09-28 유에스 아미 알디이씨오엠-에이알디이씨 외부-동력 화기를 구비한 자동재장전식 원격조종 무기시스템
KR20140038803A (ko) * 2012-09-21 2014-03-31 국방과학연구소 회전식 약실을 갖는 화포의 간헐 고정 및 해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2157A (en) Chuting assembly for ammunition magazine feed
US3501996A (en) Magazine for guns built into armoured cupolas
US3696704A (en) Ammunition bulk loader
US4872391A (en) Gun for firing telescoped ammunition, plus searing means
US8413565B2 (en) Drive and quick stop for a weapon with preferably a linear breech or ammunition feed
KR101837590B1 (ko) 실탄 수납장치
US7475626B2 (en) Device for feeding propellant charges to a heavy weapon
US20220146222A1 (en) Weapon system and breechblock
US3834272A (en) Multibarrel automatic weapon
KR101878383B1 (ko) 실탄 수납장치의 실탄감지유닛 구조
US4166408A (en) Ammunition handling system
US4381693A (en) Military equipment comprising a turret carrying an external large caliber gun
RU2607700C2 (ru) Магазин корабельной артиллерий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2378191A (en) Ammunition feed
US2809562A (en) Ammunition feed mechanism for automatic guns
US2357127A (en) Means for feeding belt ammunition to heavy machine guns
US2494728A (en) Ammunition feeder
US5159147A (en) Alternatable dual cartridge supply system for an externally driven automatic weapon
CN105492856A (zh) 炮装填时保持弹药的抓取装置
JPH05215493A (ja) 自動弾薬装填装置
JPH02133800A (ja) 送弾装置
JPH02133799A (ja) 弾薬マガジンにおける無端貯蔵―及び搬送チェン
AU2016372332B2 (en) Ammunition feed for feeding a belted ammunition
JPH0135280B2 (ko)
KR101529113B1 (ko) 전투기 탄약 공급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