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12B1 -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812B1
KR101877812B1 KR1020160126614A KR20160126614A KR101877812B1 KR 101877812 B1 KR101877812 B1 KR 101877812B1 KR 1020160126614 A KR1020160126614 A KR 1020160126614A KR 20160126614 A KR20160126614 A KR 20160126614A KR 101877812 B1 KR101877812 B1 KR 10187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water
particles
electrolysis
dischar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257A (ko
Inventor
엄현덕
Original Assignee
엄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현덕 filed Critical 엄현덕
Priority to KR102016012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12B1/ko
Priority to PCT/KR2017/009646 priority patent/WO2018062708A1/ko
Priority to CN201780058343.5A priority patent/CN109715565A/zh
Priority to JP2019537725A priority patent/JP2019533089A/ja
Publication of KR2018003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12B1/ko
Priority to US16/369,871 priority patent/US201902255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57Perforated or foraminous electrodes
    • C02F2001/46161Porous electrodes
    • C02F2001/46166Gas diffusion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는 물과 전해질이 담겨있는 용기;와 상기용기 외부에 위치하여 전원을 발생하는 전기발생기와; 상기 전기발생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분해하며, 전위가 높은 양전극판과 전위가 낮은 음전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전극판 또는 상기 음전극판을 절연재질로 감싸게 설치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입자를 대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GAS PARTICLES SEPARATION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WATER ELECTROLYSIS}
본 발명은 물 전기 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 물 전기분해 시에 발생되는 산소입자와 수소입자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는 무색, 무취, 무맛으로 강력한 환원력을 보유하고 있는 원소이기에 생활 습관병 등 현대질병의 근원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는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수소를 고온, 고압의 플라즈마 상태에서 칼슘 등의 미네랄에 흡장시키는 분말제품, 마그네슘 등의 금속과 물과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제품, 용존 수소농도를 극대화 시켜 제조된 고농도 수소수 음료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수소수 관련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수 생성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위한 양전극판과 음전극판을 물속에 담가서 전기분해로 생성되는 산소입자와 수소입자를 같이 물속에 용존하게 되어 진정한 수소수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7697호(공고일자: 2016.01.22)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입자를 물속에 용존시키고 산소입자만을 대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고, 반대로 산소입자를 물속에 용존시키고 수소입자만을 대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는, 물과 전해질이 담겨있는 용기;와 상기용기 외부에 위치하여 전원을 발생하는 전기발생기와; 상기 전기발생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분해하며, 전위가 높은 양전극판과 전위가 낮은 음전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전극판 또는 상기 음전극판을 절연재질로 감싸게 설치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입자를 대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튜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튜브는 메쉬형태로 되어있으며, 물 입자는 통과가능하고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스입자는 빠져 나갈 수 없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튜브는 상기 전극판과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스입자가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튜브는 일단이 물속에 위치하고 타단이 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튜브는 절연재질로 되어있어 전기 입자의 흐름에 지장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는 전기분해시에 생성되는 산소입자가 물속에 용존 되는 것을 막고, 대기 밖으로 배출하여 물속에 많은 양의 순수 수소입자만을 용존 시킬 수있고, 반대로 전기분해시에 생성되는 수소입자가 물속에 용존 되는 것을 막고, 대기 밖으로 배출하여 물속에 많은 양의 순수 산소입자만을 용존 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 물 전기분해 장치,
도 2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실시도,
도 4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인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실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의 정면도이며 도3은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실시도로서, 물과 전해질이 담겨있는 용기(100);와 용기(100) 외부에 위치하여 전원을 발생하는 전기발생기(200)와; 전기발생기(200)의 전원을 공급받아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분해하며, 전위가 높은 양전극판(310)과 전위가 낮은 음전극판(320)으로 구성되는 전극판(300)을 포함하되, 양전극판(310) 또는 음전극판(320)을 메쉬형태의 절연재질로 감싸게 설치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입자를 대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튜브(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스입자는 산소입자(10)와 수소입자(20)를 포함해서 지칭하는 것이다.
전극판(300)은 막대형상으로서 전기발생기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전극판(310)과 음극에 연결되는 음전극판(320)으로 구성되며, 음전극판(320)에는 전기분해된 수소입자(20)가 모이게 되고 양전극판에는 전기분해된 산소입자(10)가 모이게 된다.
단, 전극판(300)은 막대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극판(300)의 모양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배출튜브(400)를 양전극판(310)에 감싸게 설치하면 산소입자(10)를 대기 밖으로 배출하여 물속에 수소입자(20)만을 용존 시킬 수 있다.
단, 배출튜브(400)를 양전극판(310)에 설치하는 것은 물에 용존되는 수소입자(20)의 양을 늘리기 위한 것이며, 반대로 물에 용존되는 산소입자(10)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는 음전극판(320)에 배출튜브(400)를 설치 할 수 있다.
배출튜브(400)는 절연물질로 되어 있어 전기의 흐름에는 지장이 없으며, 물 입자는 통과가능하고 산소입자(10)는 빠져 나갈 수 없는 크기의 메쉬형태로 되어있다.
배출튜브(400)는 일단이 물속에 위치하고 타단이 물 외부로 돌출되어 산소(30)가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도 4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배면도로서, 배출튜브(400)의 내측은 전극판(300)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전극판(300) 주위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통로를 형성하며 전기분해에 의해 생긴 산소입자(10)는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기포상태로 부피가 커서 메쉬형태로 구성된 배출튜브(400)를 빠져나오지 못하여 물속에 용존하지 않고,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통로로 이동하며 물밖으로 돌출된 배출튜브(400)의 일단을 통해 대기 밖으로 배출된다.
도5는 다른 실시예인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 장치의 실시도로서, 전극판(300)은 양전극판(330)과 음전극판(340)이 사각판형으로 되어있으며 전기발생기와 전극판(300)을 전선(210)으로 연결한다.
배출튜브(500)는 사각형의 양전극판(33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뒤덮는 모양이며 일측으로 산소입자(10)를 대기로 배출하기위한 통로가 물 밖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기발생부(200)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전선(210)을 타고 양전극판(330)에 산소입자(10)가 모이게 되고, 음전극판(340)에 수소입자(20)가 모이게 된다.
이때 양전극판(330)에 모인 입자크기가 큰 산소입자(10)는 메쉬형태의 배출튜브(500)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배출튜브(500)와 양전극판(330)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물 밖으로 돌출되는 통로로 산소(30)가 대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음전극판(340)에 모이는 수소입자(200)는 그대로 물속에 용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산소입자 20 : 수소입자
30 : 대기중의 산소 100 : 용기
200 : 전기발생기 210 : 전선
300 : 전극판 310,330 : 양전극판
320,340 : 음전극판 400,500 : 배출튜브

Claims (5)

  1. 물이 담겨있는 용기;
    상기 용기 외부에 위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발생기;
    상기 전기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용기 내부의 물을 전기 분해하며, 상기 전기발생기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전극판과 상기 전기발생기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전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판; 및
    절연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판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전극판과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대기 밖으로 가이드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튜브는,
    상기 양전극판 또는 음전극판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감싸는 메쉬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극판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대기 밖으로 가이드 하여 배출시키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형태는, 물 입자는 통과가능하고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스입자는 빠져 나갈 수 없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튜브는 일단이 물속에 위치하고 타단이 물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5. 삭제
KR1020160126614A 2016-09-30 2016-09-30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KR10187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614A KR101877812B1 (ko) 2016-09-30 2016-09-30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PCT/KR2017/009646 WO2018062708A1 (ko) 2016-09-30 2017-09-04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CN201780058343.5A CN109715565A (zh) 2016-09-30 2017-09-04 水电解产生的气体粒子的分离排出装置
JP2019537725A JP2019533089A (ja) 2016-09-30 2017-09-04 水電気分解によるガス粒子分離排出装置
US16/369,871 US20190225515A1 (en) 2016-09-30 2019-03-29 Apparatus for separately discharging gas particles produced by water electro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614A KR101877812B1 (ko) 2016-09-30 2016-09-30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57A KR20180036257A (ko) 2018-04-09
KR101877812B1 true KR101877812B1 (ko) 2018-07-13

Family

ID=6176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614A KR101877812B1 (ko) 2016-09-30 2016-09-30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25515A1 (ko)
JP (1) JP2019533089A (ko)
KR (1) KR101877812B1 (ko)
CN (1) CN109715565A (ko)
WO (1) WO20180627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19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카이샷 휴대용 물병의 물 전기분해에 의한 산소 발생 및 수소수 음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1036B (zh) * 2019-09-18 2021-09-10 北京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利用等离子体制备磁性铁氧体纳米带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442B1 (ko) * 1992-06-30 1995-11-08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주변장치를 위한 통신 시스템
KR200335853Y1 (ko) * 2003-09-04 2003-12-11 김승철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835929B1 (ko) * 2008-02-20 2008-06-09 모진희 가스 발생장치
KR101390651B1 (ko) * 2012-03-26 2014-05-12 (주)동양화학 메쉬전극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7588A1 (fr) * 1996-10-18 1998-04-30 Miz Co., Ltd. Eau electrolytique reductric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elle-ci
US6890410B2 (en) * 2002-12-10 2005-05-10 John T. Sullivan Apparatus for converting a fluid into at least two gasses through electrolysis
KR101061227B1 (ko) * 2008-11-27 2011-08-31 최장수 수중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수산기 라디칼 수와 수소산소가스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110100328A1 (en) * 2009-10-29 2011-05-05 Prime Core Tech LLC. Electrolysis apparatu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101020982B1 (ko) * 2010-05-17 2011-03-09 주식회사 이온팜스 이온수기
CN202529893U (zh) * 2011-12-08 2012-11-14 罗民雄 一种无隔膜电解制取负氢水杯
ITMI20131521A1 (it) * 2013-09-16 2015-03-17 Industrie De Nora Spa Cella elettrolitica per produzione di soluzioni ossidanti
KR101587697B1 (ko) * 2013-12-13 2016-01-22 유충춘 수소수 제조장치
TWM501439U (zh) * 2015-01-23 2015-05-21 Ching-Yuan Yeh 水素水生成裝置
CN205241298U (zh) * 2015-10-16 2016-05-18 大连双迪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低功耗富氢水电解商务水机
CN205774812U (zh) * 2016-06-16 2016-12-07 福建海峡两岸环境工程有限公司 生产改善疾病饮用氢水的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442B1 (ko) * 1992-06-30 1995-11-08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주변장치를 위한 통신 시스템
KR200335853Y1 (ko) * 2003-09-04 2003-12-11 김승철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835929B1 (ko) * 2008-02-20 2008-06-09 모진희 가스 발생장치
KR101390651B1 (ko) * 2012-03-26 2014-05-12 (주)동양화학 메쉬전극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19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카이샷 휴대용 물병의 물 전기분해에 의한 산소 발생 및 수소수 음용 장치
KR102087587B1 (ko) *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카이샷 휴대용 물병의 물 전기분해에 의한 산소 발생 및 수소수 음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57A (ko) 2018-04-09
WO2018062708A1 (ko) 2018-04-05
JP2019533089A (ja) 2019-11-14
US20190225515A1 (en) 2019-07-25
CN109715565A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982B1 (ko) 이온수기
JP5640266B1 (ja) 電解水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電解水の製造方法
EP3072854B1 (en) Liquid treatment device and liquid treatment method
JP2017039982A5 (ko)
WO2006127633A3 (en) Acidic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system and protection membrane
KR101877812B1 (ko) 물 전기분해에 따른 가스입자 분리 배출장치
RU201813050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лиза воды
US20140353145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dissolved hydrogen water and providing sterilization
JP6170266B1 (ja) 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方法及びオゾン水を用いた殺菌方法
EP1955757A3 (en) Exhaust gas treating system
JP2022009018A (ja) 水素ガス生成装置
JP6963789B2 (ja) 水素ガス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水素ガス吸入装置
JP5210455B1 (ja) 洗浄水生成装置
KR101049014B1 (ko) 산성 이온수기
KR200484079Y1 (ko) 수소 호흡기
KR20160117990A (ko) 포트식 수소수기용 수조통 구조
JP2021120140A (ja) オゾン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JP6541105B2 (ja) 液体処理装置
CN206225785U (zh) 一种负离子发生器
JP2016132800A (ja) 有機物生成方法および有機物生成システム
KR102244624B1 (ko) 분리된 전기 방전실을 이용한 라디칼/음이온/전자 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살균/탈취용 기기
JP2004137528A (ja) 電気分解によるガス発生装置
JP2018135555A (ja) 水素発生装置
RU79785U1 (ru) Гидроаэроионизатор
JP2009030152A (ja) 水の電気分解の実験装置およびガス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