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11B1 -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811B1
KR101877811B1 KR1020170046130A KR20170046130A KR101877811B1 KR 101877811 B1 KR101877811 B1 KR 101877811B1 KR 1020170046130 A KR1020170046130 A KR 1020170046130A KR 20170046130 A KR20170046130 A KR 20170046130A KR 101877811 B1 KR101877811 B1 KR 10187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support plate
inertia wheel
spring suppor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무영
구본탁
천용준
장주호
Original Assignee
(주)중우엠텍
윤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우엠텍, 윤무영 filed Critical (주)중우엠텍
Priority to KR102017004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 F16D43/1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9/00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05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for 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0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 F16D43/1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 F16D2043/145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angular speed with centrifugal masses actuating the clutching members directly in a direction which has at least a radial component; with centrifugal masses themselves being the clutching members the centrifugal masses being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샤프트(100);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관성휠(200);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스프링지지판(300); 출력샤프트(100)에 삽입되어 관성휠(200)과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위치하며 관성휠(200)과 스프링지지판(30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0); 후단부는 스프링지지판(300)에 결합되고, 전단부는 관성휠(200)을 통과하여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단부의 일정 영역은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형성된 핀해머(500);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전체적으로 "∨"자 형태를 가지는 제1절개홈(110)과 스프링지지판(300) 후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제1절개홈(110)과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하는 제2절개홈(3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스틸볼(600); 및, 관성휠(20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일측으로 형성된 동력전달돌기부(710)가 출력샤프트(100)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는 스핀들(700);을 포함하는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Sliding Pin Hammer Type Rotatory Force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임팩트 렌찌와 같은 전동공구의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볼(steel ball)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핀해머 방식을 새롭게 적용하여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손쉽게 부품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팩트 렌찌와 같은 전동공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도1에 도시된 등록실용신안 제0237307호(전동 스크류 드라이빙 툴)가 있는데, 이러한 선행기술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선행기술의 경우 모터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저속 회전하는 경우 스프링(8)의 작용에 따라 레버(17)가 도면 상에서 오른쪽으로 밀려나가고 레버(17)와 캠(18)을 통하여 연결된 승강봉(16)은 하강하여 날개(20)의 요홈(23)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핀들(7)이 관성휠(5)와 자유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관성휠(5)이 회전하더라도 스핀들(7)은 회전하지 않는다. 모터의 회전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에 다다르면 관성휠(5)에 장착된 기동자(10)가 원심력이 스프링(8)의 탄성력을 초과하여 기동자(1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레버(17)를 당기게 되고 캠(18)의 작용으로 승강봉(16)이 상승하여 승강봉(16)의 상단부가 날개(20)의 요홈(23)과 맞물리면서 타격하여 스핀들(7)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 과정에서 매우 큰 저항력이 발생하면서 모터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면 기동자(10)가 받는 원심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스프링(8)의 작용으로 기동자(10)와 레버(1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캠(18)의 작동으로 승강봉(16)이 하강하여 요홈(23)에서 이탈하고 스핀들(7)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모터의 회전속도가 다시 규정 속도에 이르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볼트나 너트의 장착/탈거에 필요한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한 동력전달기구는 기동자(10), 레버(17), 캠(18) 및 승강봉(16)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작동 초기 과정에서 모터의 회전력이 즉각적으로 스핀들(7)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승강봉(16)이 상승하다가 날개(20)의 요홈(23)에 부딪혀 하강하고, 기동자(10), 레버(17), 캠(18)의 작용으로 다시 상승하는 과정을 반복(일명 '채터링 현상')하게 되어 회전력 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동자(10), 레버(17), 캠(18) 및 승강봉(16)이 복잡한 관절 구조로 연결되어 제작 단가가 상승함은 물론 제품의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단가를 낮추고 내구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동공구용 회전력 전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동공구용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샤프트(100);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기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관성휠(200);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기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스프링지지판(300); 상기 출력샤프트(100)에 삽입되어 상기 관성휠(200)과 상기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성휠(200)과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0); 후단부는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에 결합되고, 전단부는 상기 관성휠(200)을 통과하여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단부의 일정 영역은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형성된 핀해머(500);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전체적으로 "∨"자 형태를 가지는 제1절개홈(110)과 상기 스프링지지판(300) 후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상기 제1절개홈(110)과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하는 제2절개홈(3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이 상기 출력샤프트(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틸볼(600); 및, 상기 관성휠(20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일측으로 형성된 동력전달돌기부(710)가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는 스핀들(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출력샤프트(100)에 연동하여 상기 관성휠(200)이 회전하고, 상기 관성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은 상기 스핀들(7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스핀들(700)의 회전이 멈추면 상기 출력샤프트(100)만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상기 스틸볼(600)이 상기 제1절개홈(110)을 따라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이 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핀해머(500)의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면 상기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와 상기 핀해머(50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상기 관성휠(200)이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돌기부(710)가 상기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을 통과하고, 상기 스프링(400)의 작동으로 상기 스프링지지판(300)과 상기 핀해머(50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틸볼(600)과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핀해머(500)를 이용하여 임팩트 렌찌와 같은 전동공구에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력샤프트(100)의 제1절개홈(110)과 스프링지지판(300) 후면에 형성된 제2절개홈(310)이 겹쳐지면서 형성된 공간에 스틸볼(600)이 삽입되어 스프링지지판(300)이 출력샤프트(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성휠(200)과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출력샤프트(100)와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슬립 및 임팩트(타격)가 반복되면서 볼트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둘째,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의 신뢰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순한 구조의 출력샤프트(100), 관성휠(200), 스프링지지판(300), 스프링(400), 핀해머(500) 및 스틸볼(600)이 컴팩트하게 조립된 구조로서 제품의 신뢰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회전력 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품들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부품만 손쉽게 분해하여 교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력샤프트(100), 관성휠(200), 스프링지지판(300), 스프링(400), 핀해머(500) 및 스틸볼(600)이 모두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구조로 조립되어 마모나 손상이 발생한 부품만 선택적으로 분해하여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도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이 주요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의 외형을 도시한다.
도5는 (a) 출력샤프트(100)를 도시하고, (b)는 스프링지지판(300)을 도시한다.
도6은 스프링지지판(300)과 핀해머(5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의 위치와 핀해머(500)의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의 위치가 일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동공구용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조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2는 주요 구성 요소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조립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도4는 조립된 상태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다. 한편, 도5는 출력샤프트(100)와 스프링지지판(300)만 별도로 도시한 것이다.
출력샤프트(100)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데,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 단면은 상호 결속이 용이하고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형태의 돌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도2 또는 도5(a)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전체적으로 "∨"자 형태를 가지는 제1절개홈(110)이 형성되고,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는 관성휠(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1절개홈(110)은 서로 마주보도록 180도 간격으로 2개가 구비된다.
관성휠(200)은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바닥면이 구비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관성휠(200)의 바닥면에는 출력샤프트(100)가 통과하는 구멍과 함께 핀해머(500)가 통과하는 구멍도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300)은 도2 또는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지지판(300) 후면에는 일정한 깊이로 절개된 제2절개홈(310)이 구비되고 이러한 제2절개홈(310)은 출력샤프트(100)의 제1절개홈(110)과 서로 겹쳐지는 일부 영역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제2절개홈(310)은 도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절개홈(110)과는 반대로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전체적으로 "∨"자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제2절개홈(310)은 제1절개홈(110)과 제2절개홈(310)이 겹쳐지는 영역에 삽입된 스틸볼(6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절개홈(110)과 함께 스틸볼(600)이 완만한 탄젠트 면을 따라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제1절개홈(1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절개홈(110)과 제2절개홈(310)이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에는 스틸볼(600)이 삽입되어 출력샤프트(100)와 스프링지지판(30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스프링지지판(300)의 양측 측면에는 핀해머(500)의 후단부에 형성된 평면 형태의 키홈(520)과 대응하는 위치에 키홈결착부(320)가 "ㄷ"자 형태로 절개되어 있고 핀해머(500)의 키홈(520)이 키홈결착부(3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프링(400)은 출력샤프트(100)에 삽입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관성휠(200)과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스프링(400)은 관성휠(200)과 스프링지지판(30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핀해머(5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핀해머(500)의 후단부에 형성된 키홈(520)이 스프링지지판(300)의 키홈결착부(32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스프링지지판(300)에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핀해머(500)의 후단부 일정 영역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이 평면 형태로 절삭된 키홈(520)이 형성되며, 스프링지지판(300)의 양측 측면에는 이러한 키홈(520)과 대응하도록 키홈결착부(320)가 "ㄷ"자 형태로 절개되어 있어 핀해머(500)의 키홈(520)이 키홈결착부(3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핀해머(500)의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할 경우 손쉽게 핀해머(500)만 교체할 수 있다.
핀해머(500)의 전단부는 관성휠(200)을 통과하여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핀해머(500)의 전단부 일정 영역은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을 형성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은 핀해머(5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빠져나와 노출되고, 핀해머(500)가 스프링(400)의 작용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관성휠(2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구조이다.
따라서,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의 관성휠(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가 핀해머(500)의 전단부에 맞닿아 관성휠(200)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70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스틸볼(600)은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절개된 제1절개홈(110)과 스프링지지판(300) 후면에 형성된 제2절개홈(310)이 겹쳐지면서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스프링지지판(300)이 출력샤프트(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성휠(200)과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상시 작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출력샤프트(100)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스프링지지판(300)과 관성휠(20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출력샤프트(100)와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하여 출력샤프트(100)만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출력샤프트(100)의 슬립으로 인하여 제1절개홈(110)과 제2절개홈(310)이 겹쳐지는 영역에 삽입된 스틸볼(600)이 제1절개홈(1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지지판(30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왜냐하면 스틸볼(600)이 출력샤프트(100)의 제1절개홈(1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스프링지지판(300)의 제2절개홈(310)을 따라 움직이면서 스프링지지판(300)을 전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이다.
스핀들(700)은 관성휠(200)을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데,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가 관성휠(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경우 스핀들(700)은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핀들(700)의 일측으로 형성된 동력전달돌기부(710)는 출력샤프트(100)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관성휠(200)이 회전하면 핀해머(500)와 동력전달돌기부(710)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핀들(7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스핀들(700)에 형성된 동력전달돌기부(710)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180도 간격으로 2개가 배열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만약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스핀들(700)의 회전이 멈추고 출력샤프트(100)의 슬립이 발생하면 스프링지지판(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핀해머(500)도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돌기부(710)와 핀해머(50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관성휠(200)만 회전하여 핀해머(500)의 전단부가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를 타격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출력샤프트(100)에 연동하여 관성휠(200)이 회전하고, 관성휠(200)의 회전에 따라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은 스핀들(7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스핀들(700)의 회전이 멈추면 출력샤프트(100)와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하여 출력샤프트(100)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슬립이 발생하면 스틸볼(600)이 제1절개홈(110)을 따라 출력샤프트(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지지판(300)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스프링지지판(300)이 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핀해머(500)의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면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와 핀해머(50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관성휠(200)이 회전하여 동력전달돌기부(710)가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샤프트(100)의 슬립으로 동력전달돌기부(710)가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을 통과하는 즉시 스프링(400)의 작동으로 스프링지지판(300)과 핀해머(50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후퇴)하여 핀해머(500)의 전단부가 관성휠(200)과 같이 회전하다가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를 타격하게 되는데 출력샤프트(100)의 슬립(slip)과 핀해머(500)의 타격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동공구를 이용한 볼트의 조임이나 풀림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출력샤프트
110:제1절개홈
200:관성휠
300:스프링지지판
310:제2절개홈
320:키홈결착부
400:스프링
500:핀해머
510:동력전달돌기통과홈
520:키홈
600:스틸볼(steel ball)
700:스핀들
710:동력전달돌기부

Claims (4)

  1. 전동공구용 회전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출력샤프트(100);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기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관성휠(200);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상기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회전하는 스프링지지판(300);
    상기 출력샤프트(100)에 삽입되어 상기 관성휠(200)과 상기 스프링지지판(3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성휠(200)과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0);
    후단부는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에 결합되고, 전단부는 상기 관성휠(200)을 통과하여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단부의 일정 영역은 일측 외주면이 절개되어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형성된 핀해머(500);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전체적으로 "∨"자 형태를 가지는 제1절개홈(110)과 상기 스프링지지판(300) 후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상기 제1절개홈(110)과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하는 제2절개홈(31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이 상기 출력샤프트(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틸볼(600); 및,
    상기 관성휠(20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일측으로 형성된 동력전달돌기부(710)가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회전축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는 스핀들(7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출력샤프트(100)에 연동하여 상기 관성휠(200)이 회전하고, 상기 관성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핀해머(500)의 전단부와 맞닿은 상기 스핀들(7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스핀들(700)의 회전이 멈추면 상기 출력샤프트(100)만 회전하면서 상기 스틸볼(600)이 상기 제1절개홈(110)을 따라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이 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핀해머(500)의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이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면 상기 스핀들(700)의 동력전달돌기부(710)와 상기 핀해머(50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출력샤프트(100)와 함께 상기 관성휠(200)이 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돌기부(710)가 상기 동력전달돌기통과홈(510)을 통과하고, 상기 스프링(400)의 작동으로 상기 스프링지지판(300)과 상기 핀해머(50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는 상기 관성휠(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핀들(700)은 상기 관성휠(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출력샤프트(10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핀해머(5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핀해머(500)의 후단부 일정 영역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 외주면이 평면 형태로 절삭된 키홈(52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에는 상기 핀해머(500)의 키홈(520)과 대응하는 위치에 키홈결착부(320)가 절개되어 있어 상기 키홈(520)이 상기 키홈결착부(3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스프링지지판(300)의 제2절개홈(310)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KR1020170046130A 2017-04-10 2017-04-10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KR10187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30A KR101877811B1 (ko) 2017-04-10 2017-04-10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30A KR101877811B1 (ko) 2017-04-10 2017-04-10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11B1 true KR101877811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30A KR101877811B1 (ko) 2017-04-10 2017-04-10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25B1 (ko) * 2022-10-31 2023-03-20 주식회사 대성지티 타격기능을 갖춘 해머식 코어드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59B2 (ja) * 1990-07-13 1994-02-16 相馬寝装株式会社 布団生地のフック掛け装置
JPH08141925A (ja) * 1994-11-18 1996-06-04 Hitachi Koki Co Ltd インパクトレンチのトルク制御装置
KR200237307Y1 (ko) * 1997-04-21 2001-10-25 윤무영 전동 스크류 드라이빙 툴
JP2006088323A (ja) * 2004-09-10 2006-04-06 S P Air Kk インパクトドライバおよび減速機構を有するハンドツール
WO2016017545A1 (ja) * 2014-07-31 2016-02-04 日立工機株式会社 打撃工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59B2 (ja) * 1990-07-13 1994-02-16 相馬寝装株式会社 布団生地のフック掛け装置
JPH08141925A (ja) * 1994-11-18 1996-06-04 Hitachi Koki Co Ltd インパクトレンチのトルク制御装置
KR200237307Y1 (ko) * 1997-04-21 2001-10-25 윤무영 전동 스크류 드라이빙 툴
JP2006088323A (ja) * 2004-09-10 2006-04-06 S P Air Kk インパクトドライバおよび減速機構を有するハンドツール
WO2016017545A1 (ja) * 2014-07-31 2016-02-04 日立工機株式会社 打撃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25B1 (ko) * 2022-10-31 2023-03-20 주식회사 대성지티 타격기능을 갖춘 해머식 코어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3090B2 (en) Hammer
US20060032645A1 (en) Electric hammer drill
US3180435A (en) Socket retainer for impact wrench
US5568849A (en) Clutch mechanism in power driven screwdriver
US20090194305A1 (en) Power tool
CA1167875A (en) Break-away device
US3585817A (en) Adjustable clutch construction
KR101877811B1 (ko) 슬라이드식 핀해머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US20240091915A1 (en) Battery powered impact wrench
US9333637B2 (en) Multi-tool for fasteners
CN112296946B (zh) 电锤
US2842994A (en) Rotary impact wrench
US3414065A (en) Rotary impact tool
US2463656A (en) Rotary impact tool
US8857066B2 (en) Power saw including an impact mechanism
US2889902A (en) Deceleration torque limiter for impact tools
EP2759378B1 (en) A multi-tool for fasteners
EP3150333B1 (en) Power tool with improved braking device
CN209868424U (zh) 冲击扳手
KR101524182B1 (ko) 클러치가 구비된 회전력 전달장치
US4350213A (en) Impact wrench
WO2013031893A1 (ja) マーキングトルクレンチ
KR920009834B1 (ko) 임팩트 클러치
KR20130078129A (ko) 전동공구용 클러치 장치
CN106737436B (zh) 一种冲击钻的冲击功能切换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