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447B1 -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447B1
KR101877447B1 KR1020120059992A KR20120059992A KR101877447B1 KR 101877447 B1 KR101877447 B1 KR 101877447B1 KR 1020120059992 A KR1020120059992 A KR 1020120059992A KR 20120059992 A KR20120059992 A KR 20120059992A KR 101877447 B1 KR101877447 B1 KR 10187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dot
subject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295A (ko
Inventor
석근국
장우석
남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딜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딜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딜루션
Priority to KR102012005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44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2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based on the rotation of particles under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field, e.g. gyricons, twisting ball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s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유저의 형상 및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재현하여 유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우수한 광고 효과 및 장식 효과를 갖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면에 플립 닷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촬상부;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제 1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전자석에 의하여 제 1 면 또는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동작하는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및 촬상부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IC FLIP-DOT UNIT}
본 발명은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유저의 형상 및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재현하여 유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우수한 광고 효과 및 장식 효과를 갖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테리어 장식 용품으로 정적인 조형물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고 등과 같은 영상을 출력하여 타인의 시선을 끌 수 있어 효과적인 장식 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8916호는 장식용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8916호에 따른 장식용 디스플레이는 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발광층이 여기되어 빛을 발생하는 전계발광시트와, 전계발광시트의 전면에 배열되어 있으며 전계발광시트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는 차광영역과 빛을 투과하는 투광영역을 갖는 차광조리개시트와, 전계발광시트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고 전계발광시트를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차광조리개시트의 전면에 배열되어 있으며 전면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투광성을 갖는 경질의 이미지디자인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이미지디자인플레이트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센서와 연결되어 있고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계발광시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며, 고정수단은 철제의 도어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고무자석시트로 구성된다. 이의 선행기술에 의하면 도어, 벽면 등 대상물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살려 독창적으로 장식할 수 있으며, 방문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구조에 의하여 전원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인테리어화 트렌드에 조응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광고 등의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 즉, 피사체가 접근함에 따라 해당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을 복수개의 플립 닷의 동작을 통하여 재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유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광고 등을 위한 장치로서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기술에 아날로그 감성을 접목한 장식물로, 우수한 광고 효과 및 장식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면에 플립 닷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전자석에 의하여 상기 제 1 면 또는 상기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동작하는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및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를 통해 감지되는 피사체가 없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1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여 기 설정된 무늬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에서 움직이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유효 데이터로 산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을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1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상기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연산 제어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중 선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과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은 및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은 서브 디스플레이부로써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을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분할된 상기 피사체의 형상이 각 서브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부는 병풍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 면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광고 등의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 즉, 피사체가 접근함에 따라 해당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을 복수개의 플립 닷의 동작을 통하여 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유저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광고 등을 위한 장치로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털 기술에 아날로그 감성을 접목한 장식물로, 우수한 광고 효과 및 장식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이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전자석에 의하여 동작하므로, 피사체의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 닷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 닷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레임부(10), 플립 닷 유닛(20), 촬상부(30), 및 연산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0)는 일 면에 플립 닷 유닛 수용부(10a)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프레임부(10)는 광고 및 전시 효과를 얻기 위한 실내외부의 벽면에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립 닷 유닛(20)은 프레임부(10)의 플립 닷 유닛 수용부(10a)에 형성된다. 이러한, 플립 닷 유닛(20)은 복수개가 플립 닷 유닛 수용부(10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플립 닷 유닛(20)은 원의 형태로 표현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플립 닷 유닛(20)은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플레이트부(21), 지지부(22), 및 지지봉(2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21)는 제 1 면(21a) 및 제 2 면(21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제 1 면(21a)과 제 2 면(21b)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제 2 면(21b)은 제 1 면(21a)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도 2 내지 4에서는 제 1 면(21a)의 색상은 밝게 형성하고, 제 2 면(21b)의 색상을 상대적으로 어둡게 형성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부(21)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는 프레임부(10)의 플립 닷 유닛 수용부(10a)에 한 쌍이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부(22)는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다. 지지봉(23)은 한 쌍의 지지부(22)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봉(23)은 플레이트부(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봉(23) 및 플레이트부(21)는 후술하는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지지부(22)에 있어서 전자석에 의한 동작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촬상부(30)는 프레임부(10)의 일측에 위치하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러한, 촬상부(30)는 도 1에서 프레임부(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촬상부(30)는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의 중간 이격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10)와 별도로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촬상부(30)는 프레임부(10)의 플립 닷 유닛 수용부(10a)가 마주하는 공간의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연산 제어부(40)는 촬상부(30)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연산 제어부(40)는 촬상부(30)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먼저 피사체의 형상을 검출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부(40)는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1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을 제어한다. 이 때,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 또는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연산 제어부(40)에서,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 중 선정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 또는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이 피사체의 형상을 재현한다. 연산 제어부(40)의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5와 함께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산 제어부(40)는 촬상부(30)를 통해 감지되는 피사체가 없는 경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1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여, 기 설정된 무늬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산 제어부(40)는 촬상부(30)에서 피사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광고 문구, 글귀 등이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현되도록,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연산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피사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기 설정된 무늬를 표현하도록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연산 제어부(40)는 촬상부(30)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에서 움직이는 피사체의 움직임만을 유효 데이터로 산출하여,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연산 제어부(40)는 촬상부(30)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 거리를 초과한 위치에서 움직이는 피사체의 움직임은 유효 데이터로 산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촬상부(30)를 통하여 지정영역(A)에 대하여 3D 카메라 촬영을 하며(S11), 촬영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12).
S12 단계의 판단 결과,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산 제어부는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2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 설정된 무늬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13). 도 6은 지정 영역(A)에 있어서 피사체(P)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도 6에 있어서는 기 설정된 무늬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서, 모든 플립 닷 유닛(20)들이 밝은 제 1 면만을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반면 S12 단계의 판단 결과, 피사체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촬영 영상의 깊이 값을 2차원 배열 형태로 변환한다 (S14).
그리고, 변환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의 데이터만 유효 데이터로 산출한다(S15).
이 후, 유효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역의 플립 닷 유닛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을 재현한다(S16). 도 7 및 도 8은 지정 영역(A)에 있어서, 기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에 피사체(P)가 접근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유효 데이터를 산출한 후 해당하는 영역의 플립 닷 유닛들(20b)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제 2 면을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다른 영역의 플립 닷 유닛들(20a)은 제 1 면을 노출시킴으로써,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을 재현한다. 특히, 도 8은 도 7의 피사체가 오른쪽으로 움직인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체적인 동작 및 일부 구성은 동일하나, 프레임부(10) 및 플립 닷 유닛(20)의 구성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부 및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은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 100b, 100c)로써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촬상부(30)에서 피사체(P)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연산 제어부(미도시)는 피사체(P)의 형상을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 100b, 100c)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분할된 피사체(P)의 형상이 각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 100b, 100c)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 100b, 100c)의 각각의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9에는 감지된 피사체(P)의 형상에 있어서, 상체 부분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제 1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에서 표현되도록 제 1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의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의 동작이 제어된다. 그리고, 피사체(P)의 형상에 있어서, 손 부분을 상대적으로 측부에 형성된 제 2 서브 디스플레이부(100b)에서 표현되도록 제 2 서브 디스플레이부(100b)의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피사체(P)의 형상에 있어서, 하체 부분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제 3 서브 디스플레이부(100c)에서 표현되도록 제 3 서브 디스플레이부(100c)의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의 동작이 제어된다.
반면, 촬상부(30)에서 피사체(P)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연산 제어부(미도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 디스플레이부(100a, 100b, 100c)의 플립 닷 유닛들을 제어하여 기 설정된 무늬를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체적인 동작 및 일부 구성은 동일한, 프레임부(10) 및 플립 닷 유닛(20)의 구성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부는 심미감의 향상을 위하여 병풍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100)가 프레임부의 일 면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와 플립 닷 유닛의 구성 및 배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프레임부
20; 플립 닷 유닛
21; 플레이트부
21a; 제 1 면
21b; 제 2 면
22; 지지부
23; 지지봉
30; 촬상부
40; 연산 제어부

Claims (8)

  1. 일 면에 플립 닷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전자석에 의하여 상기 제 1 면 또는 상기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동작하는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및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 및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은 서브 디스플레이부로써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을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상기 피사체의 분할된 각 분할 형상이 각 서브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부에서 하나의 피사체 형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에서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촬상부를 통해 감지되는 피사체가 없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1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여 기 설정된 모양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다른 모양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에서 움직이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유효 데이터로 산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을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1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 2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제 2 면이 외측에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의 플립 닷 유닛들은 상기 피사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연산 제어부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중 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립 닷 유닛 각각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플립 닷 유닛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과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은 및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병풍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 면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59992A 2012-06-04 2012-06-04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92A KR101877447B1 (ko) 2012-06-04 2012-06-04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92A KR101877447B1 (ko) 2012-06-04 2012-06-04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95A KR20130136295A (ko) 2013-12-12
KR101877447B1 true KR101877447B1 (ko) 2018-07-13

Family

ID=4998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92A KR101877447B1 (ko) 2012-06-04 2012-06-04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728B1 (ko) 2020-07-30 2021-08-02 뉴미디어라이팅 주식회사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04B1 (ko) * 2014-10-20 2015-02-04 코이안(주) 전자석을 이용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조립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796A (ja) * 2000-09-01 2002-04-26 Mark Iv Industries Ltd 小型ドットディスプレー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100966237B1 (ko) * 2008-12-19 2010-06-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검출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 내장형 전자 액자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2796A (ja) * 2000-09-01 2002-04-26 Mark Iv Industries Ltd 小型ドットディスプレー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100966237B1 (ko) * 2008-12-19 2010-06-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검출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 내장형 전자 액자 및 그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active art with wooden mirrors - The wooden mirror (1/4)",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BZysu9QcceM, 2008. 07. 07. *
"Interactive art with wooden mirrors - The wooden mirror (1/4)",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BZysu9QcceM, 2008. 07. 07. 1부. *
"Interactive art with wooden mirrors - The wooden mirror (1/4)",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BZysu9QcceM, 2008. 07. 07.*
유튜브영상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728B1 (ko) 2020-07-30 2021-08-02 뉴미디어라이팅 주식회사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95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5650S1 (en) Display panel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hangeable computer generated icon
WO2010007787A1 (ja) 裸眼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遊技ゲーム機、パララックスバリアシート
MY194809A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7049253A3 (en) Display system with a haptic feedback via interaction with physical objects
WO2006127677A3 (en) Immersive environments with multiple points of view
USD934907S1 (e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EP1411732A3 (en) Display systems using organic laser light sources
JP2007289479A5 (ko)
KR200473864Y1 (ko) 발광 액자
CN108293280A (zh) 基于图像的照明控制
KR101877447B1 (ko) 전자석 플립 닷 유닛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W200735934A (en) Gam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game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a
KR101539304B1 (ko) 3차원 모션감지를 통한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장치
EP1158813A3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386298B1 (ja) 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
KR20200072818A (ko) 무한 깊이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91887A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
JP2005062441A (ja) 表示装置
KR102042901B1 (ko) 이미지 가변형 led 조명액자
JP2010026014A (ja) 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
JP3209850U (ja) 携帯端末の装飾シート、及び携帯端末の装飾カバー
USD549715S1 (en) Moving image for the display scree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462180B1 (en) Multi-layered display apparatus having a mesh layer with light emitting diodes
US20160283794A1 (en) Augmented Reality Marker
KR20180052576A (ko) 투명 o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광고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